맨위로가기

맛지마 니까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맛지마 니까야는 152개의 경(Sutta)으로 구성된 팔리 경전의 중요한 문헌이다. 3편(Paṇṇāsa)으로 나뉘며, 각 편은 5개의 품(vagga)으로, 각 품은 대략 10개의 경을 포함한다. 붓다고사는 이 컬렉션을 "가장 풍부한 맥락적 설정과 가장 깊고 포괄적인 가르침의 조합"이라고 평가했다. 맛지마 니까야는 사성제, 팔정도, 연기설 등 불교의 핵심 교리와 수행 방법, 계율, 윤회, 업, 해탈, 열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마음챙김과 관련된 경전은 위빠사나 수행의 지침으로 여겨진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전재성, 대림, 최봉수 등의 번역이 있으며, 중아함경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초기 불교 교리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경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경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초기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 놓았으며,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출가 수행자의 삶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강조한다.
맛지마 니까야
개요
이름맛지마 니까야
원어명 (팔리어)Majjhima Nikāya
의미중간 길이의 가르침 모음
소속수타 피타카 (Sutta Piṭaka, 경장)
니카야판차 니까야 (Pañca Nikāya, 다섯 모음) 중 두 번째
특징부처의 중도적 가르침 강조
구성
경의 수152개의 경 (Sutta)
분량디가 니까야와 상윳타 니까야의 중간 길이
주제윤회

명상
수행
윤리
철학
내용
주요 내용다양한 종류의 수행자들과의 대화
윤회와 업에 대한 설명
명상과 수행의 방법
윤리적인 삶의 중요성
불교 철학의 핵심 내용
대표적인 경마하 살라야타나 숫타 (Maha-salayatanika-sutta, MN 149) (큰 감각 영역의 경)
아나판나사티 숫타 (Ānāpānasati-sutta, MN 118)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의 경)
카카추파마 숫타 (Kakacupama-sutta, MN 21) (톱날의 비유 경)
중요성
의의불교의 핵심 가르침과 수행법을 담고 있으며, 초기 불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임.
영향후대 불교 사상과 수행 체계에 큰 영향을 미침.

2. 구성

맛지마 니까야는 152개의 경(經, Sutt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편(編, Paṇṇāsa)으로 나뉜다. 각 편은 다시 5개의 품(品, 왁가/vaggapi)으로 구성되고, 각 품은 대체로 10개의 경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내용의 의미보다는 기계적인 분류 방식으로 여겨진다.[8]

붓다고사(Bhikkhu Bodhi)는 번역본 서문에서 이 컬렉션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맛지마 니까야가 팔리 경전의 다른 책들과 구별되는 단 하나의 문구로 특징지어진다면, 가장 풍부한 맥락적 설정과 가장 깊고 포괄적인 가르침의 조합을 결합한 컬렉션이라고 묘사할 수 있을 것이다.[4]

2. 1. 근본오십편 (Mūla-paṇṇāsa)

물라-빤나사/Mūla-paṇṇāsapi는 근본오십편(根本五十編) 또는 근본오십품(根本五十品)으로 번역된다. 한국어판 이름으로는 최봉수 역의 '근본 50경 모음', 전재성 역의 '오십 개의 근본법문', 대림 역의 '처음 50개 경들의 묶음'이 있다.

붓다고사(Bhadantācariya Buddhaghosa영어)는 번역본 서문에서 맛지마 니까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맛지마 니까야가 팔리 경전의 다른 책들과 구별되는 단 하나의 문구로 특징지어진다면, 가장 풍부한 맥락적 설정과 가장 깊고 포괄적인 가르침의 조합을 결합한 컬렉션이라고 묘사할 수 있을 것이다."[4]

맛지마 니까야는 152개의 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근본오십편에는 그 중 50개의 경이 포함되어 있으며, 5개의 품(品, 왁가/vaggapi)으로 나뉜다.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M1Mūlapariyāya Suttapi상경(想經)》(중아함 106)
《낙상경(樂想經)》(K.0689, T.0056)
근본 법문 경(최봉수)
근본법문의 경(전재성)
뿌리에 대한 법문 경(대림)
M2Sabbāsava Suttapi《누진경(漏盡經)》(중아함 10)
《일체유섭수인경(一切流攝守因經)》(K.0672, T.0031)
일체 역류함 경(최봉수)
모든 번뇌의 경(전재성)
모든 번뇌 경(대림)
M3Dhammadāyāda Suttapi《구법경(求法經)》(중아함 88)법 상속 경(최봉수)
가르침의 상속에 대한 경(전재성)
법의 상속자 경(대림)
M4Bhayabherava Suttapi공포 경(최봉수)
두려움과 공포에 대한 경(전재성)
두려움과 공포 경(대림)
M5Anaṅgaṇa Suttapi《예품경(穢品經)》(중아함 87)
《구욕경(求欲經)》(K.0677, T.0049)
허물 없음 경(최봉수)
더러움 없음의 경(전재성)
흠 없음 경(대림)
M6Ākaṅkheyya Suttapi원경(願經)》(중아함 105)소망 경(최봉수)
바란다면의 경(전재성)
원한다면 경(대림)
M7Vatthūpama Suttapi《수정범지경(水淨梵志經)》(중아함 93)옷 경(최봉수)
옷감에 대한 비유의 경(전재성)
옷감의 비유 경(대림)
M8Sallekha Suttapi《주나문견경(周那問見經)》(중아함 91)내핍 고행 경(최봉수)
버리고 없애는 삶의 경(전재성)
지워 없앰 경(대림)
M9Sammādiṭṭhi Suttapi《대구치라경(大拘緻羅經)》(중아함 29)바른 견해 경(최봉수)
올바른 견해의 경(전재성)
바른 견해 경(대림)
M10Satipaṭṭhāna Suttapi《염처경(念處經)》(중아함98 )기억 확립 경(최봉수)
새김의 토대에 대한 경(전재성)
마음챙김의 확립 경(대림)
M11Cūḷasīhanāda Suttapi《사자후경(師子吼經)》(중아함 103)작은 사자 울음 경(최봉수)
사자후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사자후의 짧은 경(대림)
M12Mahāsīhanāda Suttapi《신모희수경(身毛喜豎經)》(K.1477, T.0757)큰 사자 울음 경(최봉수)
사자후에 대한 큰 경(전재성)
사자후의 긴 경(대림)
M13Mahādukkhakkhandha Suttapi《고음경(苦陰經)》上(중아함 99)
《고음경(苦陰動)》(K.0692, T.0053)
큰 괴로움 근간 경(최봉수)
괴로움의 다발에 대한 큰 경(전재성)
괴로움의 무더기의 긴 경(대림)
M14Cūḷa­dukkha­kkhandha Suttapi《고음경(苦陰經)》下(중아함 100)작은 괴로움 근간 경(최봉수)
괴로움의 다발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괴로움의 무더기의 짧은 경(대림)
M15Anumāna Suttapi《비구청경(比丘請經)》(중아함 89)유추 경(최봉수)
추론의 경(전재성)
추론 경(대림)
M16Cetokhila Suttapi《심예경(心穢經)》(중아함 206)마음 황폐 경(최봉수)
마음의 황무지에 대한 경(전재성)
마음의 삭막함 경(대림)
M17Vanapattha Suttapi임경(林經)》(중아함 107~108)밀림 경(최봉수)(대림)
숲속의 경(전재성)
M18Madhupiṇḍika Suttapi《밀환유경(蜜丸喩經)》(중아함 115)꿀 덩어리 경(최봉수)(대림)
꿀과자의 경(전재성)
M19Dvedhāvitakka Suttapi《염경(念經)》(중아함 102)두 종류 사색 경(최봉수)
두 갈래 사유의 경(전재성)
두 가지 사유 경(대림)
M20Vitakka­saṇṭhāna Suttapi《증상심경(增上心經)》(중아함 101)사색 위상 경(최봉수)
사유중지의 경(전재성)
사유를 가라앉힘 경(대림)
M21Kakacūpama Suttapi《모리파군나경(牟梨破群那經)》(중아함 193)톱 비유 경(최봉수)
톱에 대한 비유의 경(전재성)
톱의 비유 경(대림)
M22Alagaddūpama Suttapi《아리타경(阿梨吒經)》(중아함 200)뱀 비유 경(최봉수)
뱀에 대한 비유의 경(전재성)
뱀의 비유 경(대림)
M23Vammika Suttapi《의유경(蟻喩經)》(K.1451, T.0095)개미탑 경(최봉수)
개미언덕의 경(전재성)
개미집 경(대림)
M24Rathavinīta Suttapi《칠거경(七車經)》(중아함 9)차 인도 경(최봉수)
파발수레의 경(전재성)
역마차 교대 경(대림)
M25Nivāpa Suttapi《엽사경(獵師經)》(중아함 178)미끼 경(최봉수)(대림)
미끼의 경(전재성)
M26Ariyapariyesanā Suttapi《라마경(羅摩經)》(중아함 204)파사라시 경(최봉수)
고귀한 구함의 경(전재성)
성스러운 구함 경(대림)
M27Cūḷahatthi­padopama Suttapi《상적유경(象跡喩經)》(중아함 146)작은 코끼리 발 비유 경(최봉수)
코끼리 자취에 비유한 작은 경(전재성)
코끼리 발자국 비유의 짧은 경(대림)
M28Mahāhatthipadopama Suttapi《상적유경(象跡喩經)》(중아함 30)큰 코끼리 발 비유 경(최봉수)
코끼리 자취에 비유한 큰 경(전재성)
코끼리 발자국 비유의 긴 경(대림)
M29Mahāsāropama Suttapi큰 고갱이 비유 경(최봉수)
나무심에 비유한 큰 경(전재성)
심재 비유의 긴 경(대림)
M30Cūḷasāropama Suttapi작은 고갱이 비유 경(최봉수)
나무심에 비유한 작은 경(전재성)
심재 비유의 짧은 경(대림)
M31Cūḷagosiṅga Suttapi《우각사라림경(牛角裟羅林經)》下(중아함 185)작은 고싱가 경(최봉수)
고씽가 법문의 작은 경(전재성)
고싱가살라 짧은 경(대림)
M32Mahāgosiṅga Suttapi《우각사라림경(牛角裟羅林經)》上(중아함 184)큰 고싱가 경(최봉수)
고씽가 법문의 큰 경(전재성)
고싱가살라 긴 경(대림)
M33Mahāgopālaka Suttapi《목우자경(牧牛者經)》(잡아함 1249)큰 목동 경(최봉수)
소치는 사람에 대한 큰 경(전재성)
소치는 사람의 긴 경(대림)
M34Cūḷagopālaka Suttapi《목우자경(牧牛者經)》(잡아함 1248)작은 목동 경(최봉수)
소치는 사람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소치는 사람의 짧은 경(대림)
M35Cūḷasaccaka Suttapi《살차경(薩遮經)》(잡아함 110)작은 삿차카 경(최봉수)
쌋짜까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삿짜까 짧은 경(대림)
M36Mahāsaccaka Suttapi《신모희수경(身毛喜豎經)》(K.1477, T.0757)큰 삿차카 경(최봉수)
쌋짜까에 대한 큰 경(전재성)
삿짜까 긴 경(대림)
M37Cūḷataṇhā­saṅkhaya Suttapi《애진경(愛盡經)》(잡아함 505)작은 갈애 소멸 경(최봉수)
갈애의 부숨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갈애멸진의 짧은 경(대림)
M38Mahātaṇhā­saṅkhaya Suttapi《다제경(荼帝經)》(중아함 201)큰 갈애 소멸 경(최봉수)
갈애의 부숨에 대한 큰 경(전재성)
갈애멸진의 긴 경(대림)
M39Mahā-Assapura Suttapi《마읍경(馬邑經)》上(중아함 182)큰 아싸푸라 경(최봉수)
앗싸뿌라 설법의 큰 경(전재성)
앗사뿌라 긴 경(대림)
M40Cūḷa-Assapura Suttapi《마읍경(馬邑經)》下(중아함 183)작은 아싸푸라 경(최봉수)
앗싸뿌라 설법의 작은 경(전재성)
앗사뿌라 짧은 경(대림)
M41Sāleyyaka Suttapi《비라경(鞞羅經)》(잡아함 1042~1043)살레야카 경(최봉수)
쌀라 마을 장자들에 대한 경(전재성)
살라의 바라문들 경(대림)
M42Verañjaka Suttapi《비라경(鞞羅經)》(잡아함 1042~1043)베란자 경(최봉수)
베란자의 장자들에 대한 경(전재성)
웨란자의 바라문들 경(대림)
M43Mahāvedalla Suttapi《대구치라경(大拘絺羅經)》(중아함 211)큰 교리문답 경(최봉수)
교리문답의 큰 경(전재성)
교리문답의 긴 경(대림)
M44Cūḷavedalla Suttapi《법락비구니경(法樂比丘尼經)》(중아함 210)작은 교리문답 경(최봉수)
교리문답의 작은 경(전재성)
교리문답의 짧은 경(대림)
M45Cūḷadhamma­samādāna Suttapi《수법경(受法經)》上(중아함 174)작은 법 받음 경(최봉수)
삶의 수용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법 실천의 짧은 경(대림)
M46Mahādhamma­samādāna Suttapi《수법경(受法經)》下(중아함 175)큰 법 받음 경(최봉수)
삶의 수용에 대한 큰 경(전재성)
법 실천의 긴 경(대림)
M47Vīmaṃsaka Suttapi《구해경(求解經)》(중아함 186)사량 경(최봉수)
관찰자의 경(전재성)
검증자 경(대림)
M48Kosambiya Suttapi코삼비야 경(최봉수)
꼬쌈비 설법의 경(전재성)
꼬삼비 경(대림)
M49Brahmanimantanika Suttapi《범천청불경(梵天請佛經)》(중아함 78)범신 초청 경(최봉수)
하느님의 초대에 대한 경(전재성)
범천의 초대 경(대림)
M50Māratajjanīya Suttapi《항마경(降魔經)》(중아함 131)
《마요란경(魔嬈亂經)》(K.0694, T.0066)
《폐마시목련경(弊魔試目連經)》(K.0667, T.0067)
마신 퇴치 경(최봉수)
악마에 대한 질책의 경(전재성)
마라 견책 경(대림)


2. 1. 1. 근본법문품 (Mūlapariyāya-vagga)

M1~M10에 해당하는 경전들은 근본법문품( Mūlapariyāya-vaggapi )에 속해있다. 한역 이름은 근본법문품(根本法門品)이며, 한국어판 이름은 대림 스님이 번역한 "뿌리에 대한 법문 품"이다.

```text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M1Mūlapariyāyasuttapi근본법문경(根本法門經)만법의 근본 경(전재성)
근본 원리 경(대림)
M2Sabbāsavasuttapi일체루경(一切漏經)모든 번뇌 경(전재성)
모든 번뇌에 대한 경(대림)
M3Dhammadāyādasuttapi법상속경(法相續經)법을 상속하는 경(전재성)
가르침을 상속하는 자의 경(대림)
M4Bhayabheravasuttapi포외경(怖畏經)두려움과 무서움 경(전재성)
두려움과 공포 경(대림)
M5Anaṅgaṇasuttapi무예경(無穢經)흠없음 경(전재성)
번뇌 없는 경(대림)
M6Ākaṅkheyyasuttapi원경(願經)바라건대 경(전재성)
바라는 경(대림)
M7Vatthasuttapi의경(衣經)옷감의 비유 경(전재성)
옷감 비유 경(대림)
M8Sallekhasuttapi간손경(簡損經)자신을 닦는 경(전재성)
없앰 경(대림)
M9Sammādiṭṭhisuttapi정견경(正見經)바른 이해 경(전재성)
바른 견해 경(대림)
M10Satipaṭṭhānasuttapi염처경(念處經)마음챙김 확립 경(전재성)
새김의 확립 경(대림)


2. 1. 2. 사자후품 (Sīhanāda-vagga)

M11~M20을 포함하는 품(vagg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스에서 '사자후품'에 대한 정보만 출력한다.

Sīhanāda-vaggapi || 사자후품(師子吼品) ||

2. 1. 3. 비유법품 (Opamma-vagga)

wikitable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M21~M30Opamma-vaggapi비유법품(譬喩法品)


2. 1. 4. 쌍대품 (Mahāyamaka-vagga)

맛지마 니까야에는 서로 대비되는 이름을 가진 쌍(야마카/Yamakapi)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9]

  • 쭐라 고싱가 숫따/Cūḷa-gosiṅga Suttapi(M31)와 마하 고싱가 숫따/Mahā-gosiṅga Suttapi(M32)
  • 마하 고빨라까 숫따/Mahā-gopālaka Suttapi(M33)와 쭐라 고빨라까 숫따/Cūḷa-gopālaka Suttapi(M34)
  • 쭐라 삿짜까 숫따/Cūḷa-saccaka Suttapi(M35)와 마하 삿짜까 숫따/Mahā-saccaka Suttapi(M36)
  • 쭐라 딴하상카야 숫따/Cūḷa-taṇhā­saṅkhaya Suttapi(M37)와 마하 딴하상카야 숫따/Mahā-taṇhā­saṅkhaya Suttapi(M38)
  • 마하 앗사뿌라 숫따/Mahā-Assapura Suttapi(M39)와 쭐라 앗사뿌라 숫따/Cūḷa-Assapura Suttapi(M40)


위 목록은 맛지마 니까야 M31~M40에 해당하는 경들로, 큰 쌍으로 묶여 있다.

2. 1. 5. 쌍소품 (Cūḷayamaka-vagga)

맛지마 니까야에는 서로 대비되는 이름을 가진 쌍(야마카/Yamakapi)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9] M41~M50까지 작은 쌍으로 묶인 경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2. 2. 중간오십편 (Majjhima-paṇṇāsa)

맛지마 니까야는 152개의 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그 중 중간 오십편(Majjhima-paṇṇāsa)은 두 번째 부분으로, 5개의 품(vagga)으로 구성되어 있다.

  • 거사품 (Gahapati-vagga) (M51-M60): 장자(長者)(전재성)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 비구품 (Bhikkhu-vagga) (M61-M70): 수행승(전재성)[1]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 각주

1. 전재성 옮김, 《맛지마 니까야》(2002)

  • 유행자품 (Paribbājaka-vagga) (M71-M80): 유행자(전재성), 유행승 품(대림)으로 번역된다.


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보행자품(普行者品)유행자(전재성)
유행승 품(대림)


  • 왕품 (Rāja-vagga) (M81-M90)

  • 바라문품 (Brāhmaṇa-vagga) (M91-M100)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M91~M100Brāhmaṇa-vaggapi바라문품(婆羅門品)



붓다 고사(Bhikkhu Bodhi)는 맛지마 니까야가 "가장 풍부한 맥락적 설정과 가장 깊고 포괄적인 가르침의 조합을 결합한 컬렉션"이라고 평가했다.[4]

2. 2. 1. 거사품 (Gahapati-vagga)

M51~M60에 해당한다. 장자(長者)(전재성)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2. 2. 2. 비구품 (Bhikkhu-vagga)

M61~M70에 해당한다. 수행승(전재성)[1]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 각주

1. 전재성 옮김, 《맛지마 니까야》(2002)

2. 2. 3. 유행자품 (Paribbājaka-vagga)

M71~M80에 해당한다. 유행자(전재성), 유행승 품(대림)으로 번역된다.

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보행자품(普行者品)유행자(전재성)
유행승 품(대림)


2. 2. 4. 왕품 (Rāja-vagga)

M81~M90에 해당한다.

2. 2. 5. 바라문품 (Brāhmaṇa-vagga)

wikitable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M91~M100Brāhmaṇa-vaggapi바라문품(婆羅門品)


2. 3. 후반오십편 (Upari-paṇṇāsa)

Upari-paṇṇāsapi는 후반오십편(後半五十編) 혹은 상분오십품(上分五十品)으로 번역되며, 50경 이상 모음(최봉수), 오십 개의 최종법문(전재성), 마지막 50개 경들의 묶음(대림)으로 번역된다.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M101Devadaha Suttapi《니건경(尼乾經)》(중아함 19)데다바하 경(최봉수)
데바다하의 경(전재성)
데와다하 경(대림)
M102Pañcattaya Suttapi다섯 경(최봉수)
다섯과 셋의 경(전재성)
다섯과 셋 경(대림)
M103Kinti Suttapi킨티 경(최봉수)
무엇의 경(전재성)
어떻게 생각하는가 경(대림)
M104Sāmagāma Suttapi《주나경(周那經)》(중아함 196)사마가마 경(최봉수)(대림)
싸마가마 마을의 경(전재성)
M105Sunakkhatta Suttapi수낙캇타 경(최봉수)
쑤낙캇따의 경(전재성)
수낙캇따 경(대림)
M106Āneñjasappāya Suttapi《정부동도경(淨不動道經)》(중아함 75)부동 적절 경(최봉수)
동요 없는 경지를 향한 길의 경(전재성)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길 경(대림)
M107Gaṇakamoggallāna Suttapi《산수목건련경(算數目揵連經)》(중아함 144)산수 목련 경(최봉수)
가나까 목갈라나의 경(전재성)
가나까목갈라나 경(대림)
M108Gopakamoggallāna Suttapi《구묵목건련경(瞿黙目揵連經)》(중아함 145)목동 목련 경(최봉수)
고빠까 목갈라나의 경(전재성)
고빠까목갈라나 경(대림)
M109Mahāpuṇṇama Suttapi《음근경(陰根經))》(잡아함 58)큰 푼나마 경(최봉수)
보름날 밤의 큰 경(전재성)
보름밤의 긴 경(대림)
M110Cūḷapuṇṇama Suttapi작은 푼나마 경(최봉수)
보름날 밤의 작은 경(전재성)
보름밤의 짧은 경(대림)
M111Anupada Suttapi지속 경(최봉수)
차례 차례의 경(전재성)
차례대로 경(대림)
M112Chabbisodhana Suttapi《설지경(設智經)》(중아함 187)찹비소다나 경(최봉수)
여섯 가지 청정의 경(전재성)
여섯 가지 청정 경(대림)
M113Sappurisa Suttapi《진인경(眞人經)》(중아함 85)바른 사람 경(최봉수)(대림)
참사람의 경(전재성)
M114Sevitabbāsevitabba Suttapi《자관심경(自觀心經)》上(중아함 109)실천 경(최봉수)
계발해야 할 것과 계발하지 말아야 할 것의 경(전재성)
행하고 행하지 말아야함 경(대림)
M115Bahudhātuka Suttapi《다계경(多界經)》(중아함 181)많은 계층 경(최봉수)
다양한 종류의 세계의 경(전재성)
여러종류의 요소 경(대림)
M116Isigili Suttapi이시길리 경(최봉수)(대림)
이씨길리의 경(전재성)
M117Mahācattārīsaka Suttapi《성도경(聖道經)》(중아함 189)큰 사십 경(최봉수)
커다란 마흔의 경(전재성)
위대한 마흔 가지 경(대림)
M118Ānāpānasati Suttapi《포살경(布薩經)》(잡아함 815)호흡 기억 경(최봉수)
호흡새김의 경(전재성)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경(대림)
M119Kāyagatāsati Suttapi《염신경(念身經)》(중아함 81)몸 기억 경(최봉수)
몸에 대한 새김의 경(전재성)
몸에 대한 마음챙김 경(대림)
M120Saṅkhārupapatti Suttapi《의행경(薏行經)》(중아함 168)결합 발생 경(최봉수)
형성의 생겨남에 대한 경(전재성)
의도적 행위에 의한 태어남 경(대림)
M121Cūḷasuññata Suttapi《소공경(小空經)》(중아함 190)작은 빈 것 경(최봉수)
공(空)에 대한 작은 경(전재성)
공(空)에 대한 짧은 경(대림)
M122Mahāsuññata Suttapi《대공경(大空經)》(중아함 191)큰 빈 것 경(최봉수)
공(空)에 대한 큰 경(전재성)
공(空)에 대한 긴 경(대림)
M123Acchariya-abbhūta Suttapi《미증유법경(未曾有法經)》(중아함32 )희유 경(최봉수)
아주 놀랍고 예전에 없었던 것의 경(전재성)
경이롭고 놀라운 일 경(대림)
M124Bakkula Suttapi《박구라경(薄拘羅經)》(중아함 34)바쿨라 경(최봉수)
박꿀라의 경(전재성)
박꿀라 경(대림)
M125Dantabhūmi Suttapi《조어지경(調御地經)》(중아함 198)단타부미 경(최봉수)
길들임의 단계에 대한 경(전재성)
길들임의 단계 경(대림)
M126Bhūmija Suttapi《부미경(浮彌經)》(중아함 173)부미자 경(최봉수)(대림)
부미자의 경(전재성)
M127Anuruddha Suttapi《유승천경(有勝天經)》(중아함 79)아누룻다 경(최봉수)(대림)
아누룻다의 경(전재성)
M128Upakkilesa Suttapi《장수왕본기경(長壽王本起經)》(중아함 72)때 경(최봉수)
번뇌에 대한 경(전재성)
오염원 경(대림)
M129Bālapaṇḍita Suttapi《아이나경(阿夷那經)》(중아함 188)우자·현자 경(최봉수)
어리석은 자와 현명한 자의 경(전재성)
어리석은 자와 현명한자 경(대림)
M130Devadūta Suttapi《천사경(天使經)》(중아함 64)
《니리경(泥犁經)》(K.0712, T.0086)
《철성니리경(鐵城泥犁經)》(K.0684, T.0042)
《고래세시경(古來世時經)》(K.0670, T.0044)
천신 심부름 경(최봉수)
천사의 경(전재성)
저승사자 경(대림)
M131Bhaddekaratta Suttapi현성 일야 경①(최봉수)
한 밤의 슬기로운 님의 경(전재성)
지복한 하룻밤 경(대림)
M132Ānanda­bhaddekaratta Suttapi《아난설경(阿難設經)》(중아함 167)현성 일야 경②(최봉수)
아난다와 한 밤의 슬기로운 님의 경(전재성)
아난다 존자와 지복한 하룻밤 경(대림)
M133Mahākaccāna­bhaddekaratta Suttapi《온천림천경(溫泉林天經)》(중아함 165)현성 일야 경③(최봉수)
마하 깟짜나와 한 밤의 슬기로운 님의 경(전재성)
마하깟짜나존자와 지복한 하룻밤 경(대림)
M134Lomasa­kaṅgiya­bhaddekaratta Suttapi《석중선실존경(釋中禪室尊經)》(중아함 166)현성 일야 경④(최봉수)
로마싸깡기야와 한 밤의 슬기로운 님의 경(전재성)
로마사깡기야존자와 지복한 하룻밤 경(대림)
M135Cūḷakamma­vibhaṅga Suttapi《앵무경(鸚鵡經)》(중아함 170)작은 업 분별 경(최봉수)
업에 대한 작은 분석의 경(전재성)
업분석의 짧은 경(대림)
M136Mahākamma­vibhaṅga Suttapi《분별대업경(分別大業經)》(중아함 171)큰 업 분별 경(최봉수)
업에 대한 큰 분석의 경(전재성)
업분석의 긴 경(대림)
M137Saḷāyatana­vibhaṅga Suttapi《분별육처경(分別六處經)》(중아함 163)여섯 포섭처 분별 경(최봉수)
여섯 감역에 대한 분석의 경(전재성)
여섯감각장소의 분석 경(대림)
M138Uddesavibhaṅga Suttapi《분별관법경(分別觀法經)》(중아함 164)요약 분별 경(최봉수)
대강에 대한 분석의 경(전재성)
요약의 분석 경(대림)
M139Araṇavibhaṅga Suttapi《구루수무쟁경(拘樓瘦無諍經)》(중아함 169)무해 분별 경(최봉수)
평화에 대한 분석의 경(전재성)
무쟁(無諍)의 분석 경(대림)
M140Dhātuvibhaṅga Suttapi《분별육계경(分別六界經)》(중아함 162)계층 분별 경(최봉수)
세계에 대한 분석의 경(전재성)
요소의 분석 경(대림)
M141Saccavibhaṅga Suttapi《분별성제경(分別聖蹄經)》(중아함 31)사실 분별 경(최봉수)
진리에 대한 분석의 경(전재성)
진리의 분석 경(대림)
M142Dakkhiṇā­vibhaṅga Suttapi《구담미경(瞿曇彌經)》(중아함 180)보시 분별 경(최봉수)
보시에 대한 분석의 경(전재성)
보시의 분석 경(대림)
M143Anātha­piṇḍik­ovāda Suttapi급고독장자 하교경(최봉수)
아나타삔디까에 대한 가르침의 경(전재성)
아나타삔디까를 교계한 경(대림)
M144Channovāda Suttapi《천타경(闡陀經)》(잡아함 1266)찬나 하교 경(최봉수)
찬나에 대한 가르침의 경(전재성)
찬나를 교계한 경(대림)
M145Puṇṇovāda Suttapi《부루나경(富樓那經)》(잡아함 311)푼나 하교 경(최봉수)
뿐나에 대한 가르침의 경(전재성)
뿐나를 교계한 경(대림)
M146Nandakovāda Suttapi《난타설법경(難陀說法經)》(잡아함 276)난다카 하교 경(최봉수)
난다까의 교화에 대한 경(전재성)
난다까의 교계 경(대림)
M147Cūḷarāhulovāda Suttapi《라후라경(羅睺羅經)》(잡아함 200)작은 라훌라 하교 경(최봉수)
라훌라에 대한 가르침의 작은 경(전재성)
라훌라를 교계한 짧은 경(대림)
M148Chachakka Suttapi《육육경(六六經)》(잡아함 304)여섯·여섯 경(최봉수)
여섯의 여섯에 대한 경(전재성)
여섯씩 여섯[六六] 경(대림)
M149Mahāsaḷ­āyatanika Suttapi《육입처경(六入處經)》(잡아함 305)큰 여섯 포섭처 경(최봉수)
커다란 여섯 감역에 대한 경(전재성)
위대한 여섯감각장소 경(대림)
M150Nagaravindeyya Suttapi《빈두성경(頻頭城經)》(잡아함 280)나가라빈데아 경(최봉수)
나가라빈다의 장자들에 대한 경(전재성)
나가라윈다의 장자들 경(대림)
M151Piṇḍapāta­pārisuddhi Suttapi《청정걸식주경(清淨乞食住經)》(잡아함 236)걸식 청정 경(최봉수)
탁발음식의 정화에 대한 경(전재성)
탁발음식의 청정 경(대림)
M152Indriyabhāvanā Suttapi《제근수경(諸根修經)》(잡아함 282)감관 수행 경(최봉수)
능력의 계발에 대한 경(전재성)
감각기능을 닦음 경(대림)



맛지마 니까야는 팔리 경전의 다른 책들과 구별되는 특징으로, 풍부한 맥락적 설정과 깊고 포괄적인 가르침의 조합을 결합한 컬렉션이라고 묘사할 수 있다.[4]

2. 3. 1. 천비품 (Devadaha-vagga)

맛지마 니까야의 천비품(Devadaha-vagga)에는 M101부터 M110까지의 경전이 포함되어 있다.

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천비품(天臂品)데바다하데와다하/Devadahapi(대림)



(대림=맛지마 니까야(2012))

2. 3. 2. 부단품 (Anupada-vagga)

맛지마 니까야의 부단품(Anupada-vagga)은 차례차례(전재성) 혹은 차례대로 품(대림)으로 번역된다.

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부단품(不斷品)차례차례(전재성)
차례대로 품(대림)



2. 3. 3. 공품 (Suññata-vagga)

M121~M130에 해당한다.

기호이름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Suññata-vaggapi공품(空品)



2. 3. 4. 분별품 (Vibhaṅga-vagga)

M131~M142에 해당한다. Vibhaṅga-vagga}}는 분석 또는 분별품(分別品){{ref name="wiki-ko-1"pi으로 번역된다.

한역 이름한국어판 이름
분별품(分別品)분석(전재성)
분석품(대림)



(전재성=맛지마 니까야(2002), 대림=맛지마 니까야(2012))

2. 3. 5. 육처품 (Saḷāyatana-vagga)

맛지마 니까야의 육처품(Saḷāyatana-vagga)은 여섯 감역(전재성) 또는 여섯감각장소(대림)를 다룬다. 한역 이름은 육처분별품(六處分別品) 또는 육처품(六處品)이다.

3. 주요 내용

맛지마 니까야는 사성제, 팔정도, 연기설 등 불교의 핵심 교리를 비롯하여, 수행 방법, 계율, 윤회, 업, 해탈, 열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마음챙김(Satipaṭṭhāna)과 관련된 경전들(M10, M118, M119 등)은 위빠사나 수행의 중요한 지침으로 여겨진다.

쌍으로 묶인 경들, 예를 들어 M11-M12, M13-M14, M27-M28 등은 서로 대비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가르침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돕는다.[9] 각 쌍의 경들은 다음과 같다:


  • Cūḷa-sīhanāda Suttapi(M11)와 Mahā-sīhanāda Suttapi(M12)
  • Mahā-dukkhakkhandha Suttapi(M12)와 Cūḷa-dukkha­kkhandha Suttapi(M13)
  • Cūḷa-hatthi­padopama Suttapi(M27)와 Mahā-hatthipadopama Suttapi(M28)
  • Mahā-sāropama Suttapi(M29)와 Cūḷa-sāropama Suttapi(M30)
  • Cūḷa-gosiṅga Suttapi(M31)와 Mahā-gosiṅga Suttapi(M32)
  • Mahā-gopālaka Suttapi(M33)와 Cūḷa-gopālaka Suttapi(M34)
  • Cūḷa-saccaka Suttapi(M35)와 Mahā-saccaka Suttapi(M36)
  • Cūḷa-taṇhā­saṅkhaya Suttapi(M37)와 Mahā-taṇhā­saṅkhaya Suttapi(M38)
  • Mahā-Assapura Suttapi(M39)와 Cūḷa-Assapura Suttapi(M40)
  • Mahā-vedalla Suttapi(M43)와 Cūḷa-vedalla Suttapi(M44)
  • Cūḷa-dhamma­samādāna Suttapi(M45)와 Mahā-dhamma­samādāna Suttapi(M46)
  • Mahā-rāhulovāda Suttapi(M62)와 Cūḷa-rāhulovāda Suttapi(M147)
  • Cūḷa-māluṅkya Suttapi(M63)와 Mahā-māluṅkya Suttapi(M64)
  • Mahā-sakuludāyi Suttapi(M77)와 Cūḷa-sakuludāyi Suttapi(M79)
  • Mahā-puṇṇama Suttapi(M109)와 Cūḷa-puṇṇama Suttapi(M110)
  • Cūḷa-suññata Suttapi(M121)와 Mahā-suññata Suttapi(M122)
  • Cūḷa-kamma­vibhaṅga Suttapi(M135)와 Mahā-kamma­vibhaṅga Suttapi(M136)


중아함경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초기 불교의 다양한 교리적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다.

3. 1. 중아함경과의 관계

한역(漢譯) 《중아함경(中阿含經)》(K.0648, T.0026)은 맛지마 니까야보다 70개가 더 많은 222개의 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중아함경이 맛지마 니까야 외에 다른 4부 니까야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맛지마 니까야와 중아함경의 일치하는 경의 수는 98개 정도로 약 3분의 2 가량으로 여겨진다.[10]

이러한 차이는 중아함경이 설일체유부의 산스크리트어본 맛지마 니까야를 참조하였기 때문으로 추청된다. 반면 팔리 삼장은 상좌부의 교리를 반영한다. 또 한역 과정에서 의미가 단순해진 부분도 있는 것이 특징이다.[11]

맛지마 니까야 15품(品, vaggapali)는 내용과 큰 관계가 없는 기계적인 10단위의 분류로 보여지는데, 중아함경의 내용에 따라 18품으로 분류하였다.

4. 한국 불교와의 관계

5. 번역본

대림 스님이 옮긴 《(빠알리 경장)맛지마 니까야: 중간 길이로 설하신 경》은 2012년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총 4권으로 출간되었다. 전재성 박사의 역주로 2002년에서 2003년에 걸쳐 한국빠알리성전협회에서 출간된 《(우리말 빠알리대장경)맛지마 니까야》는 총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9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백도수 역주, 《(불교수행에 대한 가르침)맛지마니까야(中部)》는 2002년에 민속원에서 출판되었으며 제3품 제25경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12]

이 외에도 전재성 역주의 《(맛지마니까야 앤솔로지)명상수행의 바다: 부처님과 제자들의 原音대화》(2003)는 명상 수행과 관련된 부분을 발췌하여 묶은 책이다. 돈연 옮김, 불전간행회 편의 《아함경: 인생의 지침》(1994)은 제목과 달리 5부를 기준으로 번역되었다. 최봉수 옮김의 《팔리경전이 들려주는 고타마 붓다》(1994)와 《팔리경전이 들려주는 불교의 진리》(1994)도 참고할 만하다. 최봉수 지음의 〈중니카야—남방의 중아함〉(1993)은 《원시불교 원전의 이해》에 수록된 내용이다.

일본어 번역으로는 增谷文雄 지음, 이원섭 옮김의 《阿含經이야기》(1977)가 있으며, 이는 일본어역 남전대장경, 즉 5부를 바탕으로 쓰였다. 나카무라 하지메가 감수한 『원시불전 중부경전 1-4』(제4-7권)는 춘추사에서 출판되었다. 카타야마 카즈요시가 번역한 『팔리불전 중부(맛지마니까야)』(전 6권)는 대장출판에서 출간되었다.

서구 언어 최초의 번역은 Karl Eugen Neumannde의 《Die Reden Gotamo Buddhosde》(1896~1902)으로 알려져 있다. Lord Chalmers영어의 《Further Dialogues of the Buddha영어》(1926~1927)와 Isaline Blew Horner의 《The Book of Middle Length Sayings영어》(1954~1959)도 팔리 텍스트 소사이어티에서 출판되었다. Kurt Schmidtde의 《Buddhas Redende》(1961, 1989, 2003)도 있다. Bhikkhu Ñāṇamoli와 Bhikkhu Bodhi의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영어》(1995)는 널리 알려진 영역본 중 하나이다. 마하판디트 라훌 상크리티야얀은 맛지마 니까야를 프라크리트어에서 힌디어로 번역했다.[5]

'''마하(대) 하티파도파마 경(상족유대경)''' [MN28], '''출라(소) 말루키야 경(말루키야 소경)''' [MN63], '''앙굴리마라 경(앙굴리마라 경)''' [MN86], '''아쌀라야나 경(아쌀라야나 경)''' [MN93], '''바후다투카 경(다계경)''' [MN115] 등은 『세계의 명저 1 바라몬교전, 원시불전』(주오코론샤)에 각각 다른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2] 서적 Majjhima Nikaya: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3]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āy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first published by Wisdom Publications
[5] 서적 Rethinking India's Past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WEB南伝大蔵経目録 http://daizoshuppan.[...]
[7] 웹사이트 마성, 중부(中部, 맛지마 니까야, Majjhima Nikaya) http://blog.daum.net[...] 2014-10-06
[8] 서적 맛지마니까야 1권 한국빠알리성전협회
[9] 웹사이트 마성, 중부(中部, 맛지마 니까야, Majjhima Nikaya) http://blog.daum.net[...] 2014-10-06
[10] 서적 맛지마니까야 1권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1] 서적 맛지마니까야 1권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2] 웹사이트 http://www.minsokw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