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누스 3세 (스웨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누스 3세는 "Ladulås"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스웨덴의 국왕으로, 1275년 호바 전투에서 동생 발데마르 비르예르손을 물리치고 왕위에 올랐다. 그의 별칭은 "헛간의 자물쇠"를 의미하며, 자작농의 의무를 완화하는 칙령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슬라브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는 예탈란드를 스웨덴에 통합하고 "고트족의 왕" 칭호를 사용하며 영토를 확장했다. 망누스는 아들 비르예르 망누손이 미성년일 때 사망하여 토르켈 크누트손에게 후견인 역할을 맡겼으며, 리다르홀멘 교회에서 그의 유해를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의 무덤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엘보가 - 에리크 12세
    에리크 12세는 마그누스 에릭손 국왕의 장남으로, 아버지에 대한 반란을 일으켜 스웨덴 국왕을 자칭하며 공동 통치하다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스웨덴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킨 스웨덴 왕족이다.
  • 비엘보가 - 망누스 4세 (스웨덴)
    망누스 4세는 1319년부터 1364년까지 스웨덴 국왕, 1319년부터 1343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을 겸임했으며, 과세 정책과 귀족 반발로 스웨덴 왕위에서 폐위 후 노르웨이 망명 중 난파 사고로 사망했다.
  • 1290년 사망 - 쩐 성종
    쩐 성종은 1258년 즉위하여 원나라의 침략에 맞서 항전하고 쩐 왕조의 기틀을 다졌으며, 레 왕조의 역사가 최고의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한 쩐 왕조의 제2대 황제이다.
  • 1290년 사망 - 알 만수르 칼라운
    알 만수르 칼라운은 킵차크 초원 출신의 맘루크 왕조 술탄으로, 일 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십자군에 대응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을 다스려 맘루크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1240년 출생 - 치마부에
    치마부에는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비잔틴 미술의 영향을 받아 서양 회화의 중세에서 르네상스 시기 전환에 기여했고, 조토 디 본도네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 1240년 출생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망누스 3세 (스웨덴)
기본 정보
스카라 대성당에 있는 공작 흉상
스카라 대성당에 있는 공작 시대의 망누스 3세 흉상
칭호스웨덴 국왕
재위 기간1275년 – 1290년 12월 18일
이전 국왕발데마르
다음 국왕비르예르
왕가뱔보
아버지비르예르 야를
어머니잉에보리 에리크스도테르 아브 스베리예
배우자홀슈타인의 헬비히
자녀덴마크 왕비 잉에보리
스웨덴 국왕 비르예르
세데르만란드 공작 에리크
핀란드 공작 발데마르
성 클라라 수도원장 리키사
출생과 사망
출생1240년경
사망1290년 12월 18일 (50세 추정)
매장지리다르홀름 교회
이름
스웨덴어망누스 3세
다른 이름망누스 비리에르손, 망누스 라둘로스
별칭라둘로스 (Barnlock, 창고 자물쇠)

2. 별칭

마그누스 3세의 별칭인 "Ladulås"(warehouse lock|창고 자물쇠영어)의 정확한 기원은 14세기 후반의 자료 부족으로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별칭은 15세기 초부터 문서에 널리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1412년의 비스비 연대기가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7][8] 1450년경의 《작은 운문 연대기》는 이 별칭이 알스뇌 칙령 때문이라는 전통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마그누스의 이 칙령은 자작농이 여행하는 귀족과 주교에게 식량을 제공해야 할 의무에서 벗어나게 하여 "창고를 잠갔다"는 것이다.[7][8]

다른 이론에 따르면 "Ladulås"는 마그누스의 외증조모인 미네스크의 소피아가 류리크 왕조의 공주였기 때문에, 그녀의 슬라브식 이름 "블라디슬라프"의 라틴어식 이름인 "Ladislaus"에서 변형된 것이라고 한다.[8]

마그누스 3세는 스웨덴을 장기간 통치한 최초의 마그누스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며, 일반적으로 찬탈자나 참칭자로 여겨지지 않는다. (하지만 스웨덴 왕으로서 통치한 마그누스로는 세 번째이다.) 후대 역사가들은 그의 별명인 "Ladulås"(헛간의 자물쇠)가 1279년 또는 1280년에 발표된 칙령, 즉 여행하는 귀족이나 주교에게 식량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에서 자작농을 해방시키는 칙령 때문이라고 본다. ("농민이여! 헛간에 자물쇠를 걸어라!") 다른 설에서는 이 별명이 라디슬라우스의 변형이며, 마그누스가 슬라브 혈통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라디슬라우스가 마그누스의 두 번째 이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마그누스의 외증조모는 류리크 왕조 출신의 소피야 블라디미로브나였다.) 이 왕은 마그누스 1세라고도 불리지만, 오늘날 스웨덴 역사가들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핀란드어로는 마그누스를 ''Mauno Ladonlukko'' 또는 ''Mauno Birgerinpoika''라고 부른다.

3. 생애

1275년 마그누스는 덴마크의 지원을 받아 형 발데마르에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서 몰아냈다. 발데마르는 1275년 6월 14일 티베덴 숲에서 벌어진 호바 전투 이후 마그누스에 의해 추방되었고, 같은 해 마그누스는 모라의 돌에서 스웨덴 국왕으로 선출되었다.[16]

1276년 망누스는 홀슈타인-이체호 백작 게르하르트 1세의 딸 헬비히와 결혼했다. 헬비히는 어머니 엘리자베트 폰 메클렌부르크를 통해 스베르케르 2세의 딸로 보이는 크리스티나의 후손이었다. 1286년, 로마 교황으로부터 마그누스의 첫 번째 결혼에 대한 무효 선언과 두 번째 결혼에 대한 특면장(혈족 관계에 있었기에 필요했다)이 발행되었다. 헬비히는 1290년부터 1302년까지, 그리고 1320년부터 1327년까지 섭정을 맡았다.[17][18]

퇴위된 형 발데마르는 덴마크의 지원을 받아 왕국 남부의 예탈란드 지역을 되찾았고, 마그누스는 1277년에 이를 인정해야 했다. 그러나 1278년경에 이를 되찾고, "''rex Gothorum''la (고트족의 왕)" 칭호를 추가했는데, 이것이 "스베아인과 고트인의 왕" 칭호의 시작이 되었다.[19]

마그누스의 막내 동생 벵트 (1254년 - 1291년)는 부제장이 되었고, 스웨덴의 대법관을 역임했으며, 1284년 마그누스는 벵트에게 핀란드 공국을 하사했다.[19]

마그누스가 사망했을 때, 그의 아들들은 아직 미성년이었다. 마그누스는 친족이자 스웨덴의 대신(Riksmarsk)이었던 토르켈 크누트손에게 당시 10세 정도였던 왕위 계승자 비르예르의 후견인이 될 것을 명했다.

3. 1. 초기 생애

1240년비르예르 얄(Birger Jarl, 비르예르 망누손(Birger Magnuson), 1200년 ~ 1266년)과 그의 아내인 잉에보리 에릭스도테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잉에보리는 자녀가 없었던 에리크 11세의 누이이자, 에리크 10세의 딸이었다. 마그누스의 어린 시절은 문서가 부족하지만, 그는 광범위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7]

발데마르 1세 (1239년 - 1302년)는 부모의 장남으로, 1250년부터 1275년까지 스웨덴 왕으로 통치했으며, 1250년까지 스웨덴 왕위에 있던 외삼촌 에리크 11세의 후계자였다. 1257년 발데마르 1세가 성인이 된 후에도 아버지 비르예르 야르는 계속해서 국정을 지배했다. 1266년 비르예르 야르가 사망한 후, 발데마르 1세는 스스로 왕위에 오르기를 원했던 동생 마그누스와 대립했다.[16] 1255년 마그누스는 iunior duxla('젊은 야를'이라는 뜻) 칭호를 받았다.[7][9]

1266년 비르예르가 사망하자 마그누스는 스웨덴 공작이라는 칭호를 물려받았다. 이 칭호에는 통일된 영토가 수반되지 않았지만, 여러 흩어진 영지와 세금 및 벌금 징수 권한이 따랐다. 그는 또한 쇠데르만란드의 뉘셰핑 성을 받았다.[7][10]

그가 아버지의 권력을 물려받았다는 징후는 없다.[9] 에리크 연대기에 따르면, 마그누스는 그의 형과 왕권을 공유하고 싶어했고, 이것이 갈등을 야기했다.[7]

3. 2. 즉위와 결혼

1275년 6월 14일 호바 전투에서 동생 발데마르 비르예르손 국왕을 상대로 승리한 망누스는 모라의 돌에서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11]

1276년, 망누스는 헬비그와 결혼했다. 헬비그는 홀슈타인의 게르하르트 1세의 딸이자, 어머니 메클렌부르크의 엘리자베스를 통해 스웨덴의 스베르케르 2세의 딸 크리스티나의 후손이었다. 10년 후인 1286년에 망누스의 첫 번째 결혼에 대한 교황의 무효화와 두 번째 결혼에 대한 특별 면제(근친혼으로 인해 필요)가 발급되었다.[11] 헬비그는 이후 1290년~1302년1320년~1327년 사이에 섭정으로 활동했다.[11]

3. 3. 통치

1275년 6월 14일에 일어난 호바 전투에서 자신의 동생이었던 발데마르 비르예르손 국왕을 상대로 승리했다.[16] 망누스는 모라의 돌을 통해 스웨덴의 국왕으로 즉위했다.[16]

1277년에는 예탈란드를 스웨덴에 편입시켰으며[19] 1278년경에는 "''rex Gothorum''la (고트족의 왕)"이라는 칭호를 추가했는데,[19] 이것이 "스베아인과 고트인의 왕" 칭호의 시작이 되었다. 1284년에는 자신의 동생인 벵트를 부주교, 핀란드의 공작으로 임명했다.[12]

마그누스는 그의 아들들이 아직 미성년일 때 사망했다. 마그누스는 친족이자 스웨덴의 대신(Riksmarsk)이었던 토르켈 크누트손에게 당시 10세 정도였던 왕위 계승자 비르예르의 후견인이 될 것을 명했다.

폐위된 발데마르(Valdemar)는 덴마크의 도움을 받아 예탈란드 왕국 남부 지역의 영토를 되찾았고, 마그누스는 1277년에 이를 인정해야 했다. 그러나 마그누스는 1278년경에 이를 다시 되찾았다.

마그누스 왕의 막내 동생인 벵트 (1254–1291)는 당시 부제였으며 그의 스웨덴 대재상으로 활동했고, 1284년 마그누스는 그에게 핀란드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19]

4. 현대 연구

2011년 봄, 스톡홀름 대학교고고학자들과 골상학자들은 리다르홀멘 교회의 왕실 묘지 중 하나를 열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이 묘지는 전통적으로 망누스 라둘로스와 그의 친족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고 여겨지던 곳이었다. 골상학적 및 치아학적 검사 결과, 남성 5구와 여성 2구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예비 연구 결과, 이전에 망누스 라둘로스의 질병에 대한 묘사를 토대로 그에게 속한다고 추정되었던 한 유골에서 현저한 질병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유골들은 15세기와 16세기 초에 속하며, 국왕과 그의 가족의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3]

2012년, 연구팀은 인접한 묘지를 열 수 있는 허가를 받았는데, 이 묘지에는 전통적으로 국왕 칼 크누트손(1408년1470년)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고 여겨졌다. 분석 결과, 이 유해들은 15세기와 16세기 초에 속했으며, 한 유골은 칼 국왕의 예상 프로필과 일치했다. 망누스 라둘로스의 무덤 위치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2014년, 연구팀은 두 묘지 사이에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벽돌 방을 발견했지만, 추가 발굴은 법적 및 행정적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13][14]

5. 자녀

배우자자녀
신원 미상
홀슈타인의 헬비히


참조

[1] 서적 Furstebilder från Folkungatid Skaraborgs länsmuseum 1987
[2] 웹사이트 Magnus Birgersson 'Ladulås' https://www.pennanoc[...] Pennan & Svärdet 1999
[3]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 a pocket encyclopedia http://archive.org/d[...] Stockholm, Sweden : Vincent Publications 1995
[4] 웹사이트 Magnus I {{!}} Viking Age, Reformer & Lawgiver https://www.britanni[...] 2024-03-25
[5]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 a pocket encyclopedia http://archive.org/d[...] Stockholm, Sweden : Vincent Publications 1995
[6] 문서 Centuries of Selfies
[7] 웹사이트 Magnus Birgersson https://sok.riksarki[...] 2024-04-25
[8] 서적 A history of the Swedish people http://archive.org/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5
[9] 서적 Kingship and state formation in Sweden, 1130-1290 http://archive.org/d[...] Brill 2006
[10] 웹사이트 Maunu Ladonlukko http://urn.fi/urn:nb[...]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24-04-26
[11] 웹사이트 Magnus Ladulås https://www.urn.fi/U[...] 2014-12
[12] 웹사이트 Bengt Birgersson https://sok.riksarki[...] Svenskt biografiskt lexikon 2019-01-01
[13] 간행물 Sökandet efter Magnus Ladulås https://www.vitterhe[...] Kungl. Vitterhets Historie och Antikvitets Akademien 2015
[14] 웹사이트 Magnus Ladulås gravöppningsblogg - Dagbok för forskningsprojektet kring Magnus Ladulås och hans anhöriga. http://magnusladulas[...] 2024-06-23
[15] 저널 The Sobriquets of Medieval European Princes
[16] 웹사이트 Valdemar Birgersson, kung av Sverige http://kulturnav.org[...] KulturNav 2019-01-01
[17] 웹사이트 Mora Stenar http://www.knivstash[...] knivstashistoria.se 2019-01-01
[18] 웹사이트 Magnus Ladulås (ca 1240–1290) http://www.blf.fi/ar[...] Biografiskt lexikon för Finland 2019-01-01
[19] 웹사이트 Bengt Birgersson https://sok.riksarki[...] Svenskt biografiskt lexikon 2019-01-01
[20] 뉴스 Wrong persons found in King's tomb http://www.stockholm[...] Stockholm News 2011-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