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상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상학은 두개골의 형태를 통해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능력을 파악하려는 이론으로, 18세기 말 독일 의사 프란츠 요제프 갈에 의해 제창되었다. 갈은 뇌의 특정 부위가 특정 정신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며, 두개골의 융기나 함몰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골상학은 19세기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나, 과학적 증거 부족과 사회적, 윤리적 문제로 인해 19세기 후반에 쇠퇴했다. 비록 골상학은 부정되었지만, 뇌 기능 국재론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범죄학, 교육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골상학 |
---|
2. 골상학의 기원과 발전
1796년, 오스트리아의 의사 프란츠 요제프 갈(Franz Joseph Gall)은 인간의 심리적 특성이 여러 개의 독립된 기능으로 나뉘며, 각 기능은 대뇌 표면의 특정 부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41] 그는 각 부위의 크기가 그곳에 자리한 심적 기능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므로, 대뇌를 둘러싼 두개골의 형상에서 그 밑에 있는 대뇌 부위의 굴곡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심리적 특징을 짐작할 수 있다고 보았다.
슈바르츠하임(Schwarzheim)은 '골상학(Phrenology)'이라는 명칭을 제안하고, 갈과 함께 신경계의 생리와 해부에 관한 책을 저술하여 심적 기능을 35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을 대뇌 표면의 각 부위에 대응시켰다. 당시 골상학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였던 프란츠 2세의 명령으로 오스트리아에서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유럽 각지를 돌며 골상학의 타당성을 주장했다.
1802년, 갈의 학설은 너무 유물론적이며, 기독교에 반한다고 여겨져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추방되었으나, 유럽 각지에서 강연을 계속했다. 1807년에는 파리로 이주하여, 해부학자 요한 슈푸르츠하임영어과 연명으로 『신경계, 특히 뇌의 해부학과 생리학』 전 4권 (1810년 - 1819년 간행), 『뇌와 그 부위의 기능』 전 6권 (1822년 - 1825년 간행)을 발표한다.
이후 골상학은 미국에도 전해졌으며 19세기 중엽에는 크게 유행하였다. 갈의 주장은 대뇌기능에 대한 국재설(局在說)의 선구를 이룬 것으로, 프랑스의 외과 의사인 폴 브로카가 언어중추(브로카 영역)를 발견한 후 더욱 발전하였으나, 이후 골상학은 과학적 발달을 이루지 못하였고 결국 과학계에서 폐기되었다.
갈은 물리학을 만드는 데 더 관심이 있었으므로 골상학은 슈푸르츠하임을 통해 처음으로 유럽과 미국 전역으로 퍼졌다. 골상학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당시에는 주변적인 현상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조지 콤은 슈푸르츠하임의 뇌 해부 시연을 보고 골상학의 장점을 확신한 후 영어권 세계 전반에 걸쳐 골상학의 주요 홍보자가 되었다.
미국 형제 로렌조 나일스 파울러(1811–1896)와 올슨 스콰이어 파울러(1809–1887)는 당대의 주요 골상학자들이었다. 올슨은 동료 새뮤얼 로버트 웰스 및 넬슨 사이저와 함께 뉴욕에서 골상학 사업 및 출판사인 ''파울러스 & 웰스''를 운영했다. 한편 로렌조는 일생의 대부분을 영국에서 보냈으며, 그곳에서 유명한 골상학 출판사 L. N. Fowler & Co.를 설립하고 골상학적 능력을 보여주는 ''골상학적 머리'' (도자기 머리)로 상당한 명성을 얻었으며, 이는 이 분야의 상징이 되었다.[21]
골상학은 과학적 절차와 허용 가능한 증거에 대한 기준이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에 나타났다. 빅토리아 시대 사회에서 골상학은 존경받는 과학 이론으로 여겨졌다. 조지 콤과 앤드류 콤이 설립한 에든버러 골상학회는 당시 골상학의 신뢰성을 보여주는 예였으며, 출판인 로버트 챔버스, 천문학자 존 프링글 니콜, 진화적 환경 운동가 휴잇 코트렐 왓슨, 정신 병원 개혁가 윌리엄 A. F. 브라운을 포함한 수많은 매우 영향력 있는 사회 개혁가와 지식인을 포함했다. 1826년, 에든버러 학회 회원 120명 중 약 3분의 1이 의학적 배경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1840년대에는 런던에 28개 이상의 골상학회가 있었고 회원은 1,000명이 넘었다.
2. 1. 프란츠 요제프 갈의 초기 연구
프란츠 요제프 갈(Franz Joseph Gall)은 오스트리아의 의사로, 1796년에 인간의 심리적 특성은 여러 독립된 기능으로 나뉘며 각 기능은 대뇌 표면의 특정 부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41] 그는 뇌 각 부위의 크기가 해당 부위에 자리한 심적 기능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며, 대뇌를 둘러싼 두개골의 형태를 통해 그 아래 뇌 부위의 굴곡을 알 수 있어 인간의 심리적 특징을 짐작할 수 있다고 보았다.갈은 빈 대학교를 졸업하고 빈에서 개업한 독일인 의사로, 뇌의 해부학과 신경의 생리학 연구에 힘썼다. 그는 뇌수가 섬유 시스템이라는 것, 피질척수로와 그 교차의 존재, 그리고 눈돌림·삼차·외선 신경 등 각 신경의 기시점을 밝히는 등 신경해부학에 큰 공적을 남겼다.
또한 갈은 이탈리아의 해부학자 모르가니의 저서 『질병의 소재와 원인에 관하여』(1761년)를 참고하여 유아나 성인의 정상적인 뇌, 각종 질병 환자의 뇌, 천재의 뇌, 동물의 뇌 등을 비교 연구하여 독자적인 〈기관학 Organologie〉을 만들었고, 1796년부터 사적인 강좌를 통해 이를 강의했다.
2. 2. 슈바르츠하임과 슈푸르츠하임의 역할
갈의 동료였던 슈바르츠하임은 '골상학(Phrenology)'이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갈과 함께 신경계에 관한 책을 저술하였다.[41] 요한 슈푸르츠하임은 갈의 해부학자로 일하다가 1813년 결별한 후, 1814년과 1815년 강연 투어를 통해 영국과[41] 1832년 미국에서 골상학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2. 3. 골상학의 확산과 대중적 인기
19세기 중엽, 골상학은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조지 콤의 저서 "인간의 구조"는 골상학을 자조 사상과 결합시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책은 1860년까지 영국에서 10만 부, 미국에서 20만 부가 팔렸다.[41]조지 콤은 단순화된 원칙과 자유주의적인 빅토리아 시대의 세계관에 맞는 광범위한 사회적 적용을 통해 골상학을 대중에게 인기 있는 학문으로 만들었다.[41] 골상학은 자유 의지와 결정론 사이의 균형을 이루었으며, 자기 개선과 사회적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귀족적 특권에 대한 공격의 여지를 제공했다.[41]
골상학은 평범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과 같은 귀족들에게도 인기를 얻었다. 그들은 조지 콤을 초대하여 자녀들의 머리를 읽게 했다.[41]
여러 도시에서 골상학회가 설립되었고, 골상학 관련 서적과 강연이 유행했다. 에든버러 골상학회(1820년), 런던 골상학 협회(1823년)가 설립되었고, "골상학 논집 잡지"(1823년)가 발행되었다.[41] 1840년대에는 런던에만 28개 이상의 골상학회가 있었고 회원은 1,000명이 넘었다.[41] 미국에서는 파울러스 & 웰스 회사가 골상학 사업 및 출판을 주도했다.
당시 명사들은 초상화에 이마를 넓게 그려 사려 깊음을 강조하는 풍조가 생겨날 정도로 골상학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3. 골상학의 주요 내용과 방법
오스트리아의 의사 프란츠 요제프 갈(Franz Joseph Gall)은 1796년, 인간의 심리적 특성은 여러 개의 독립된 기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기능은 대뇌 표면의 특정 부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41] 그는 각 부위의 크기가 그곳에 자리한 심적 기능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므로, 두개골의 형상을 통해 대뇌 부위의 요철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인간의 심리적 특징을 짐작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갈의 주장은 슈바르츠하임(Schwarzheim)에 의해 "골상학(Phrenology)"이라는 명칭으로 제안되었으며, 갈과 슈바르츠하임은 신경계의 생리와 해부에 관한 책을 저술하여 심적 기능을 35가지로 분류하고 대뇌 표면의 각 부위에 대응시켰다.
골상학자들은 사람의 성향이 뇌의 특정 영역의 상대적인 크기에 비례한다고 믿었다. 즉, 두개골은 뇌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져 있어, 특정 성격 특성에 대한 사람의 능력은 뇌의 해당 영역을 덮고 있는 두개골 부위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골상학은 두개골의 크기, 무게, 모양을 연구하는 두개골 계측법이나 얼굴 특징을 연구하는 관상학과는 구별된다.
3. 1. 정신 능력과 뇌 기관
골상학자들은 인간의 정신이 여러 정신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능력은 뇌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나타난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친자애" 능력은 그리스어로 "자식 사랑"을 의미하며, 머리 뒤쪽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15]프란츠 요제프 갈은 뇌가 성격을 결정하는 27개의 개별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었으며, 처음 19개의 "기관"은 다른 동물 종에도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골상학자들은 두개골을 만지면서 머리 모양과 기관 위치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개인의 전반적인 타고난 강점과 약점을 파악했다. 기관이 융기되었다는 것은 환자가 해당 "기관"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음을 의미했다.[15]
갈의 "뇌 기관" 목록은 구체적이었다. 27개의 영역은 색감, 종교심, 싸움 또는 파괴적인 성향에 이르기까지 기능이 다양했다. 기관의 수와 더 자세한 의미는 나중에 다른 골상학자들에 의해 추가되었다. 골상학자들은 머리가 타고난 경향을 드러내지만 성격의 절대적인 한계나 강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15]
갈의 "골상학"에 따르면, 뇌는 "색", "소리", "언어", 명예, 우정, "예술", "철학", 절도, 살인, 겸손, 거만, 사교" 등과 같은 정신 활동에 대응하는 27개의 "기관"의 집합으로 여겨졌으며, 각 기관의 작용의 개인차가 두개골의 크기나 형태에 나타난다고 여겨졌다. 이는 가장 초기의 뇌 기능 국재론이며, 또한 근대 골상학의 시작이다.
갈의 주장에 따르면, 예를 들어 "파괴관"이나 "집착관"과 같은 기관이 큰 사람은 집요하고 잔인한 경향이 강했다.
현재 시점에서 갈의 오류는 정신적 기질이 물리적으로 측정 가능한 두개골 형태로 그대로 나타난다고 생각한 것, 더 나아가 두개골을 외부에서 시진•촉진하면 그 사람의 성격이나 소질을 알 수 있다는 극단적인 주장을 펼친 것이다.
3. 2. 두개골 관찰과 측정
골상학자들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두개골을 관찰하거나 만져보는 방법을 사용했다. 프란츠 요제프 갈은 뇌가 성격을 결정하는 27개의 개별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었다. 골상학자들은 환자의 두개골에 손가락과 손바닥을 대고 융기나 함몰을 느껴 이러한 기관의 발달 정도를 파악하려 했다.[15]골상학자들은 머리 전체 크기를 줄자로 측정하거나, 두개골 계측기라는 특수한 캘리퍼스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들은 특정 특징을 가진 개인의 그림을 통해 성격을 파악하기도 했으며, 많은 골상학 서적에는 대상의 사진이 실려 있다.[15] 골상학자는 두개골의 절대적 및 상대적 크기를 통해 환자의 성격과 기질을 평가했다.
갈의 "뇌 기관" 목록은 구체적이었으며, 기관이 융기되었다는 것은 환자가 해당 "기관"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음을 의미했다. 기관의 수와 더 자세한 의미는 나중에 다른 골상학자들에 의해 추가되었다. 27개의 영역은 색감, 종교심, 싸움 또는 파괴적인 성향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했다.[15] 골상학자들은 머리가 타고난 경향을 드러내지만, 성격의 절대적인 한계나 강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
3. 3. 골상학적 차트와 해석

골상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두개골을 관찰하거나 만져보는 과정을 포함한다. 프란츠 요제프 갈은 뇌가 성격을 결정하는 27개의 개별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었으며, 이 중 처음 19개의 "기관"은 다른 동물 종에도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골상학자들은 환자의 두개골에 손가락과 손바닥을 대고 융기나 함몰을 느끼곤 했다.[15] 골상학자들은 흔히 머리 전체 크기를 줄자로 측정했으며, 드물게 두개골 계측기를 사용했는데, 이는 캘리퍼스의 특수한 버전이었다. 일반적으로 두개골 크기를 측정하는 기구는 주류 골상학이 끝난 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골상학자들은 특정 특징을 가진 개인의 그림을 사용하여 그 사람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따라서 많은 골상학 서적에서 대상의 사진을 보여준다. 골상학자는 두개골의 절대적 및 상대적 크기를 통해 환자의 성격과 기질을 평가했다.
갈의 "뇌 기관" 목록은 구체적이었다. 기관이 융기되었다는 것은 환자가 해당 "기관"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음을 의미했다. 기관의 수와 더 자세한 의미는 나중에 다른 골상학자들에 의해 추가되었다. 27개의 영역은 색감, 종교심, 싸움 또는 파괴적인 성향에 이르기까지 기능이 다양했다. 27개의 "뇌 기관" 각각은 두개골의 특정 영역 아래에 위치했다. 골상학자는 두개골을 만지면서 머리 모양과 기관 위치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개인의 전반적인 타고난 강점과 약점을 파악했다. 골상학자들은 머리가 타고난 경향을 드러내지만 성격의 절대적인 한계나 강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 최초의 골상학 차트는 갈이 설명한 기관의 이름을 담고 있었으며, 단일 시트로 1센트에 판매되었다. 이후의 차트는 더 광범위했다.[15]

4. 골상학에 대한 비판과 쇠퇴
프란츠 요제프 갈이 제창한 골상학은 19세기 중반부터 여러 비판에 직면하며 쇠퇴했다.
우선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골상학자들은 정신 기관의 숫자와 위치에 대해 합의를 보지 못했고, 장 피에르 플루랑스의 실험은 뇌 손상과 기능 변화 사이의 관계가 골상학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골상학이 기업가들에 의해 상업적으로 이용되면서 학문적 진지함이 결여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골상학은 유물론적 경향과 결정론적인 성격으로 인해 윤리적,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인간의 정신 현상을 뇌의 물리적 특성으로만 설명하려는 시도는 무신론과 도덕성 파괴를 조장한다는 비난을 받았고, 개인의 행동이 뇌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은 범죄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이러한 과학적, 윤리적 비판과 더불어, 골상학은 대중적 인기를 잃으면서 점차 쇠퇴했다. 최면술과 같은 대안적인 심리 이론의 등장과 자기 공명 영상(MRI)과 같은 현대 기술의 발전은 골상학의 주장을 더욱 약화시켰다.
4. 1. 과학적 반박
골상학자들은 기본적인 정신 기관의 숫자에 대해 27개에서 40개 이상으로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고,[23],, 기관의 위치를 찾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은 두개골의 형태를 보고 기관의 위치를 파악하려 했다.장 피에르 플루랑스는 비둘기 뇌 실험을 통해 뇌의 일부를 제거해도 기능 손실이 없거나, 골상학에서 주장하는 것과 전혀 다른 기능 손실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였다. 플루랑스의 실험은 완벽하지 않았지만, 갈의 주장이 허구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과학자들은 또한 기업가들이 골상학을 이용하여 중산층과 노동자 계급을 착취하는 것에 환멸을 느꼈다. 골상학의 대중화는 단순화와 관상학 원칙의 혼합을 초래했고, 이는 갈이 처음부터 경계했던 것이었다. 골상학은 유물론, 무신론을 조장하고 도덕성을 파괴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골상학의 몰락을 가져왔다., 최근에는 MRI와 같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골상학적 주장이 더욱 반박되고 있다.[24]
4. 2. 사회적, 윤리적 비판
골상학은 유물론과 무신론을 조장하고 도덕성을 파괴한다는 비난을 받았다.[23] 이는 골상학이 인간의 정신적 특성을 뇌의 물리적 구조와 연결시키면서, 정신이나 영혼과 같은 비물질적인 개념을 부정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골상학은 범죄 행위에 대한 일종의 변명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였는데, 이는 골상학이 본질적으로 결정론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31] 즉, 개인의 행동이 뇌의 특정 영역의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범죄 행위도 개인의 의지보다는 뇌의 구조적 문제로 설명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4. 3. 대중적 인기의 감소
골상학은 1840년대에 과학 이론으로서 대부분 신뢰를 잃었다. 이는 골상학에 반대하는 증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23] 골상학자들은 27개에서 40개 이상으로 가장 기본적인 정신 기관 숫자에 대해 결코 합의할 수 없었고,[24][25] 정신 기관의 위치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골상학자들은 기관 위치를 찾기 위해 두개골의 두개골 관상학적 판독에 의존했다.[26] 장 피에르 플루랑스의 비둘기 뇌에 대한 실험은 뇌의 일부를 잃어도 기능 손실이 없거나 골상학에 의해 귀속된 것과 완전히 다른 기능의 손실을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플루랑스의 실험은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갈의 기관이 상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27][28] 과학자들은 또한 기업가에 의한 중산층과 노동자 계급에 대한 착취로 인해 골상학에 환멸을 느꼈다. 이러한 대중화는 골상학의 단순화와, 성격의 지표로 프란츠 요제프 갈에 의해 처음부터 거부된 관상학 원칙의 혼합을 초래했다.[29] 골상학은 처음부터 유물론과 무신론을 조장하고 도덕성을 파괴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러한 모든 요인이 골상학의 몰락을 초래했다.[30][31]최면술과 존 엘리오트슨에 의해 시작된 골상최면술(골상자력)은 골상학과 최면술을 결합한 것이다.[32] 조셉 로데스 부캐넌과 같은 다른 사람들도 골상학과 최면술을 결합했다. 최면술과 골상학을 결합하면 환자가 트랜스 상태에 들어가서 그의 성향과 자질을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33] 예를 들어, 자존감 기관을 만지면 대상은 거만한 표정을 짓게 된다.[34]
최근 연구에서는 자기 공명 영상(MRI)과 같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골상학적 주장을 더욱 반증했다.[35]
5. 골상학의 유산과 현대적 의의
골상학은 현대 과학에서 유사 과학으로 간주되지만, 19세기 사회와 문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뇌 과학의 발전에도 일부 기여했다.
조지 콤이 설립한 에든버러 골상학회는 당시 골상학의 신뢰성을 보여주는 예였다. 로버트 챔버스, 존 프링글 니콜, 휴잇 코트렐 왓슨, 윌리엄 A. F. 브라운을 포함한 수많은 사회 개혁가와 지식인들이 에든버러 골상학회 회원이었다. 1826년, 에든버러 학회 회원 120명 중 약 3분의 1이 의학적 배경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1840년대에는 런던에만 28개 이상의 골상학회가 있었고 회원은 1,000명이 넘었다. 이탈리아의 루이지 페라레세는 정부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골상학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2]
골상학은 과학적 절차와 증거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던 시기에 등장했지만, 모든 정신 현상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골상학은 과학 지식이 중요하게 여겨지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중산층과 노동자 계급에게 널리 퍼졌다.[25] 소책자와 과학 강연의 인기는 골상학 확산에 기여했다. 콤은 단순화된 원칙과 자유주의적 세계관을 통해 골상학을 대중화했다.[1][3] 그의 저서 ''인간의 구성과 외부 대상과의 관계''는 2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콤은 종교와 골상학을 조화시키려 했으며, 골상학이 자유 의지와 결정론 사이의 균형을 이룬다고 보았다.[5] 골상학은 자기 개선과 사회적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귀족적 특권에 대한 비판을 제공했다.[5]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도 콤에게 자녀들의 머리를 읽게 할 정도로 골상학은 폭넓은 인기를 누렸다.[1]
미국의 파울러 형제는 골상학 사업과 출판을 통해 골상학을 대중화했다. 로렌조 파울러는 영국에서 골상학 출판사를 설립하고 ''골상학적 머리'' (도자기 머리)로 명성을 얻었다.[21]
20세기 초, 진화, 범죄학, 인류학 연구는 골상학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버나드 홀란더는 갈의 가르침을 평가하고 정량적 접근 방식을 도입했다.[25] 벨기에의 폴 부츠는 골상학, 성격 유형, 필적학을 결합한 심리관상학을 만들었다. 그는 브라질과 캐나다에서도 활동하며 성격학 연구소를 설립했다.
과거에는 이마가 뛰어난 것을 지적 능력의 증거로 여겼으며, 이는 '하이 브로우(Highbrow)' (브로우는 이마를 의미)라는 단어에 남아 현대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고인류학에서는 화석 인류의 두개골 모양으로 지능이나 특정 뇌 기능을 추측하기도 한다.
5. 1. 뇌 기능 국재론의 선구
1796년, 오스트리아의 의사 프란츠 요제프 갈(Franz Joseph Gall)은 인간의 심리적인 특성은 독립된 여러 개의 기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기능은 대뇌 표면의 각 부위에 대응된다고 주장했다.[41]골상학자들은 인간의 정신이 다양한 정신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능력은 뇌의 다른 영역에 의해 나타난다고 믿었다.
"두개골의 모양으로 개인의 성격을 알 수 있다"는 골상학의 단순한 주장은 부정되었지만, 정신적 기능이 특정 신경 구조에 기반을 둔다는 현대적인 시각은 뇌 기능 국재론이 되었다. 또한 언어 습득, 우정, 도덕성, 직관적인 물리적 능력, 마음 이론 등이 일반적인 지능으로 혼재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유전적이며,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기능한다는 아이디어는 "마음의 모듈 설"이라고 불리며, 인지 과학과 마음의 철학에서 논의되고 있다.
5. 2. 범죄학과 교육학에 미친 영향
골상학은 범죄자들을 갱생시켜 교정할 수 있다는 생각을 제시했다. 이는 범죄의 원인을 뇌의 문제로 보았기 때문이다. 골상학자들은 범죄 성향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를 통해 범죄자 유형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8]엄격한 보상과 처벌, 노동, 종교 교육을 통해 버려지고 방치된 사람들을 교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집단 수용하고, 지능과 악의를 가진 범죄자들은 격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골상학은 또한 교육적, 도덕적 결함이 있는 사람들은 빨리 풀어주고, "정신적 결함"이 있는 사람들은 감시하며, 흉악범은 가두어야 한다는 가변적 형량 개념을 제시했다.[28]
교육 분야에서 골상학은 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사람들은 타고난 불평등이 존재하며, 교육은 이를 바로잡아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펠릭스 부아쟁은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위한 개혁 학교를 운영하며, 학생들을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교육했다.
유형 | 설명 |
---|---|
학습 부진 학생 |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
버릇없거나 방치, 학대받은 학생 | 올바른 양육을 받지 못한 학생 |
고집 세고 무질서한 학생 | 통제하기 어려운 학생 |
정신 질환 위험이 높은 학생 | 정신 질환을 물려받을 가능성이 있는 학생 |
5. 3. 인종주의와 성차별에 미친 영향
일부 과학자들은 골상학을 통해 다른 인종에 비해 유럽인의 우월성을 입증한다고 믿었다. 이들은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의 두개골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덜 진화한 인종부터 가장 진화한 인종까지 순위를 매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갈의 제자인 브루세는 백인이 가장 아름답다고 선언했고,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마오리족과 같은 민족은 "위대한 예술가를 만들어내는 뇌 기관이 없기" 때문에 결코 문명화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7] 소수의 골상학자들은 노예제 폐지를 주장했지만, 많은 이들은 노예제를 옹호하기 위해 골상학을 이용했다. 이들은 교육과 혼혈을 통해 "덜 우수한 민족"이 개선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27] 또 다른 주장은 사람들의 자연적인 불평등을 이용하여 그들을 사회에서 가장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성별 고정관념 또한 골상학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머리 뒤쪽이 크고 이마가 낮은 경향이 있는 여성들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기관이 발달하지 못한 반면, 육아와 종교와 관련된 정신적 기관은 더 큰 것으로 여겨졌다.[27] 골상학자들은 재능 있는 여성의 존재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소수의 여성은 시민권이나 정치 참여를 정당화하지 못했다.
1930년대 벨기에 식민 당국은 르완다에서 골상학을 사용하여 투치족의 후투족에 대한 우위를 설명했다.[26]
5. 4. 현대 문화 속 골상학
골상학은 현대에는 유사 과학으로 여겨지지만, 여전히 대중문화에서 언급되거나 영감을 주는 소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이 브로우(Highbrow)'와 같은 단어는 골상학의 흔적을 보여주는 예시이다.몇몇 문학 평론가들은 에드거 앨런 포의 소설에 나타난 골상학[38](및 관상학)의 영향을 언급했다.[39]
더 루츠의 앨범 ''골상학''(2002)은 그룹 멤버 블랙 소트가 과학 저널에서 기사를 본 후 "정치적 아이러니뿐만 아니라 ... 용어를 차용했다"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40]
6. 한국에서의 골상학
개화기 이후 서양 학문의 유입과 함께 골상학이 한국에 소개되었으나, 주류 학문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참조
[1]
백과사전
Science and Pseudoscience: A Primer in Critical Thinking
Skeptics Society
2002
[2]
서적
Pseudoscience and the Paranormal
Prometheus Books
2002
[3]
서적
Modularity of Mind: An Essay on Faculty Psychology
MIT Press
1983
[4]
서적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Reasoning and Evidence Beat Improvisation across Fields
Cambridge Scholar Publishing
2018
[5]
학술지
An empirical, 21st century evaluation of phrenology
2018
[6]
비디오
Phrenology: revealing the mysteries of the mind
American Home Treasures
2001
[7]
문서
[8]
문서
[9]
서적
The Modularity of Mind
MIT Press
1983
[10]
학술지
Phrenology and the Neurosciences: Contributions of F. J. Gall and J. G. Spurzheim
Oxford
2005
[11]
학술지
The Emergence of Language in the Hominin Lineage: Perspectives from Fossil Endocasts
[12]
웹사이트
From Neanderthal Skull to Neanderthal Brain?
https://www.national[...]
2013-03-13
[13]
웹사이트
'psychological study of the skull' synonyms
https://www.oed.com/[...]
[14]
웹사이트
[15]
서적
How to Read Character: A New Illustrated Hand-Book of Phrenology and Physiognomy, for Students and Examiners; with A Descriptive Chart
https://books.google[...]
Fowler & Wells Co.
1885
[16]
서적
Minds Behind the Brain: A History of the Pioneers and Their Discov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7]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Brain
http://www.stanford.[...]
Stanford University, Early Science Lab
[18]
서적
Controlling Time and Shaping the Self: Developments in Autobiographical Writing Since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The pocket Lavater, or, The science of physiognomy : to which is added, An inquiry into the analogy existing between brute and human physiognomy, from the Italian of Porta
https://archive.org/[...]
[20]
학술지
Th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Southern Society for Clinical Investigation
1833
[21]
웹사이트
Oops...
http://www.sciencemu[...]
[22]
서적
Yasgur's Homeopathic Dictionary
2003
[23]
서적
A Hundred Years of Psychology
https://books.google[...]
[24]
bioRxiv
An empirical, 21st century evaluation of phrenology
2018-01-31
[25]
학술지
A Contribution to a Scientific Phrenology
1891
[26]
웹사이트
Applying Restorative Justice to the Genocide in Rwanda
https://f3magazine.u[...]
[27]
학술지
Phrenology and the Science of Race in Antebellum America
https://www.jstor.or[...]
2017
[28]
학술지
Punishing Criminals
1871-03
[29]
서적
An Organ of Murder: Crime, Violence, and Phrenology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Rutgers University Press
2021
[30]
잡지
When Phrenology Was Used in Court: Lessons in Neuroscience from the 1834 Trial of a 9-year-old
https://slate.com/te[...]
2015-12-16
[31]
학술지
A new classification of mental illness based on brain functions
http://www.crossingd[...]
2014
[32]
학술지
Science and self-assessment: phrenological charts 1840–1940
2018-06
[33]
서적
Pseudoscience and the paranormal: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vidence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1988
[34]
웹사이트
Lectures on phrenology, with notes by A. Boardman
https://books.google[...]
1839
[35]
웹사이트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Volume 1) – Digital Collection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collections.[...]
[36]
서적
APA handbook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
학술지
Rescripting a Troubled Past: John Brown's Family and the Harpers Ferry Conspiracy
1989-03-00
[38]
학술지
Poe and Phrenology
[39]
논문
Weird Science, Weirder Unity: Phrenology and Physiognomy in Edgar Allan Poe
http://www.arts.corn[...]
[40]
잡지
Mo' Money, Mo' Problems
https://books.google[...]
2019-05-24
[41]
비디오
Phrenology
American Home Treasu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