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양돈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양돈대는 조선 숙종 5년(1679년)에 강화도 해안 방어를 위해 축조된 48개의 돈대 중 하나이다. 강화도 북서쪽 해안 방어를 위해 건평돈대, 삼암돈대, 석각돈대와 함께 정포보에 소속되었다. 방형 구조로 둘레 약 130m, 석벽 높이 300~340cm이며, 외적의 침입을 감시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국방력 강화의 역사적 의미와 안보 의식을 고취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인근 삼별초항몽유허비를 통해 한국인의 저항 정신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제된 강화군의 향토유적 - 용진진
용진진은 조선 효종 때 강화도 해안 방어를 위해 축조된 진으로, 병마만호가 지휘하며 4문의 포좌와 26개소의 총좌 시설을 갖추고 가리산, 좌강, 용당 등 3개의 돈대를 관리했으며, 1999년 문루와 좌강돈대를 복원했다. - 해제된 강화군의 향토유적 - 건평돈대
건평돈대는 조선시대 정포보 소속으로 조운 감시와 국토 방어를 위해 축조되었으며, 강화 해협을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일부 붕괴되었으나 전체적인 형태는 비교적 잘 보존되어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1679년 작품 - 산청 율곡사 대웅전
산청 율곡사 대웅전은 보물 제374호로 지정된 율곡사의 중심 건물이며,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다포 양식 건물로 1678년에 재건되어 조선 중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보여준다. - 1679년 작품 - 계룡돈대
계룡돈대는 적의 공격에 대비하여 해안 지역에 설치된 초소로, 조선 숙종 5년에 윤이제가 설치했으며 김포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계양산성
계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강 하류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군사적 중요성을 지닌 산성으로, 문헌 기록이 남아있고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훼손이 심하여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하여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교동읍성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때 교동도에 돌로 쌓은 읍성으로, 동문, 남문, 북문을 두었으며, 1921년 남문이 붕괴되었으나 2018년 문루가 복원되었다.
망양돈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680번지 |
일반 정보 | |
이름 | 망양돈대 |
한자 표기 | 望洋墩臺 |
![]() | |
문화재 지정 정보 (인천광역시) | |
국가 | 인천광역시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37 |
지정일 | 1999년 3월 29일 |
소유자 | 기획재정부 |
관리자 |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
참고 사항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
면적 | 2,026.0m2 |
꼬리표 | 인천 외포리 |
문화재청 ID | 23,00370000,23 |
문화재 지정 정보 (강화군, 해제) | |
국가 | 강화군 |
유형 | 향토유적 |
지정 번호 | 22 |
지정일 | 1986년 4월 1일 |
해지일 | 1999년 3월 29일 |
2. 역사
2. 1. 건립 배경
조선 숙종 때 잦은 외침으로 국방력 강화의 필요성이 커졌다.[2] 특히 강화도는 수도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했다.[2] 이에 강화도 해안 방어를 강화하고자 48돈대 설치 계획이 수립되었다.[2] 1679년(숙종 5) 5월, 병조판서 김석주가 돈대 축조를 기획하고 강화유수 윤이제가 실무를 총괄하여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승군 8,900명과 어영청 소속 어영군 4,262명이 80일 정도 걸려 48돈대를 쌓았다.[2]2. 2. 건립 과정
1679년(숙종 5) 5월, 병조판서 김석주의 기획과 강화유수 윤이제의 감독 하에 48개의 돈대가 완공되었다.[2] 이 과정에는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승군 8,900명과 어영청 소속 어영군 4,262명이 동원되었으며, 약 80일이 소요되었다.[2] 망양돈대는 이 48돈대 중 하나로, 정포보에 소속된 건평돈대, 삼암돈대, 석각돈대와 함께 강화도 북서쪽 해안 방어를 담당했다.[2]3. 구조 및 특징
망양돈대는 1679년(숙종 5)에 쌓은 48돈대 가운데 하나로 건평돈대, 삼암돈대, 석각돈대와 함께 정포보에 속했다.[2] 돈대는 해안가나 접경 지역에 쌓은 소규모 관측·방어시설이다.[2] 병사들은 돈대 안에서 경계근무를 서며 외적의 척후 활동을 비롯한 각종 수상한 정황을 살피고 대처한다.[2] 적이 침략할 때는 돈대 안에 비치된 무기로 방어전을 펼친다.[2]
망양돈대는 방형 구조로 둘레는 약 130m, 석벽의 높이는 300~340cm이다.[2] 동쪽으로는 외포리 항이 위치하며, 남쪽은 급경사를 이루는 절벽에 가깝다.[2]
4. 현대적 의의
망양돈대는 조선 숙종 5년(1679년)에 강화도 해안 방어를 위해 설치된 48돈대 중 하나로, 국방력 강화 노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2] 오늘날 망양돈대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들에게 안보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망양돈대 바로 아래에는 삼별초항몽유허비가 있어, 고려 시대 몽골 침입에 맞서 싸운 삼별초의 항쟁 정신을 기리고 있다.[2] 이는 외세에 굴하지 않고 자주독립을 지키고자 했던 한국인의 저항 정신을 상징한다.
참조
[1]
간행물
인천광역시 기념물(제37호,망양돈대) 문화재 보호구역 변경 고시
http://www.incheon.g[...]
인천광역시장
2015-12-07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