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쿼드런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직 쿼드런트는 IT 시장 분석 기업 가트너가 벤더를 평가하는 방법론으로, 비전 완성도와 실행 능력을 기준으로 한다. 벤더는 평가 결과에 따라 리더, 도전자, 비저너리, 틈새 시장 주자 등 4개의 사분면 중 하나에 위치하며, 각 사분면은 시장에서의 벤더의 위치와 특징을 나타낸다. 매직 쿼드런트는 시장 왜곡, 이해 상충, 투명성 부족, 오픈 소스 벤더 고려 부족 등 다양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법론 - 궤변
궤변은 발언자가 유리한 결론을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논리를 전개하는 것으로, 소피스트로부터 발전하여 정치, 설득 등에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논리적 오류를 포함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 - 방법론 - 진리와 방법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대표작인 진리와 방법은 철학적 해석학의 개념을 설명하고, 진리와 방법의 대립을 통해 과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인간 의식의 역사적, 문화적 뿌리와 텍스트 해석의 지평 융합을 강조하는 책이다. - 연구 - 양적 연구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여 과학적 방법과 통계 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 연구 - 교육 지수
교육 지수는 유엔개발계획의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국가의 교육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기대수학년수지수와 평균수학년수지수를 평균하여 계산된다. - 정보과학 - 시소러스
시소러스는 특정 단어나 개념의 유의어, 상위어, 하위어를 모아놓은 사전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를 보여주며 글쓰기,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정보과학 - 지식 표현
지식 표현은 컴퓨터가 인간의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정보를 구조화하는 기술이며, 표현력과 추론 효율성의 균형, 불확실성 처리 등을 핵심 과제로 다양한 기법과 의미 웹 기술을 활용한다.
| 매직 쿼드런트 | |
|---|---|
| 매직 쿼드런트 | |
![]() | |
| 유형 | 시장 조사 보고서 |
| 발행인 | 가트너 |
| 첫 발행 | 1990년대 초 |
| 목적 | 특정 기술 시장 내 경쟁 환경 분석 및 시각화 |
| 분석 요소 | 실행 능력 비전 완성도 |
| 범주 | 리더 도전자 비저너리 니치 플레이어 |
| 평가 방법 | 정량적 데이터 및 정성적 분석 결합 |
| 시장 범위 | 특정 기술 시장 |
| 이점 | 벤더 강점 및 약점 파악 시장 트렌드 이해 정보에 입각한 구매 결정 지원 |
| 비판 | 주관적 판단 개입 가능성 특정 시점 스냅샷 제공 모든 사용자 요구 충족 어려움 |
| 관련 용어 | 시장 조사 벤더 평가 기술 시장 |
| 외부 링크 | |
2. 평가 방법
가트너는 벤더를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기준을 사용한다. 바로 비전의 완전성[1][3]과 실행 능력이다.[1][3]
- 비전의 완전성: 벤더의 혁신 역량과 시장을 주도하는지 혹은 따르는지를 반영한다.[1][3]
- 실행 능력: 벤더의 재정적 생존 능력, 시장 대응력, 제품 개발, 판매 채널 및 고객 기반과 같은 요소를 요약한다.[1][3]
이 두 가지 기준에 대한 점수를 종합하여 벤더는 다음 네 가지 사분면 중 하나에 위치하게 된다.
; 리더 (Leaders)
: 비전의 완전성과 실행 능력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벤더이다. 이들은 시장 점유율, 신뢰성, 마케팅 및 판매 역량을 갖추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주도한다. 시장 요구를 명확히 이해하고, 혁신가이자 사상적 리더로서 고객이 인프라와 전략을 설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잘 정립된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주요 5개 지역에서의 사업 운영, 일관된 재무 성과, 광범위한 플랫폼 지원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챌린저 (Challengers)
: 실행 능력은 뛰어나지만 비전의 완전성은 리더보다 낮은 벤더이다.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리더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강력한 제품과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시장 지위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재정적 생존 능력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리더만큼의 규모와 영향력은 부족하다.
; 비저너리 (Visionaries)
: 비전의 완전성은 높지만 실행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벤더이다. 혁신적인 제품으로 중요한 최종 사용자 문제를 해결하지만, 아직 시장 점유율 확보나 지속 가능한 수익성을 입증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주로 비상장 회사이며, 더 크고 안정된 기업의 인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인수 가능성은 해당 시스템 도입에 따르는 위험을 줄여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틈새 시장 주자 (Niche Players)
: 특정 시장이나 수직적 시장 부문에 집중하는 벤더이다. 이 사분면에는 기존 제품을 특정 시장에 맞게 조정하여 진입하는 벤더나, 비전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대형 벤더도 포함될 수 있다.
2. 1. 비전 완성도
벤더의 혁신 역량, 시장을 주도하는지 혹은 추종하는지 여부, 그리고 현재와 미래 시장 방향에 대한 벤더의 견해가 가트너의 분석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이다.[1][3][14] 세부적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14]- 시장 이해: 구매자의 요구와 필요를 이해하고 이를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하는 능력. 우수한 비전을 가진 벤더는 고객 요구를 경청하고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장 방향을 제시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 마케팅 전략: 조직 전체의 일관되고 차별화된 메시지를 웹사이트, 광고, 고객 프로그램, 포지셔닝 등을 통해 외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식.
- 판매 전략: 직접 또는 간접 판매망, 마케팅,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채널 등을 활용한 제품 판매 전략의 효율성. 이는 시장 조사, 기술 전문성, 서비스 역량, 고객 기반 확대 등과 연관된다.
- 오퍼링(제품) 전략: 현재와 미래의 시장 요구 사항 충족을 위해 제품 개발 및 서비스 제공에서 차별화된 기능, 방법론, 기술 등을 적용하고 발전시키는 접근 방식.
- 비즈니스 모델: 벤더가 추구하는 사업 방식의 건전성과 논리적 타당성.
- 업종/산업별 전략: 특정 산업 분야나 시장 부문의 고유한 요구 충족을 위해 자원, 기술, 제품을 특화하여 제공하는 전략.
- 혁신: 관련 기술, 자원, 자본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거나 기존 시장을 개선하고 경쟁 환경에 대응하는 능력. 투자, 기술 통합, 시장 공략 및 방어 전략 등이 포함된다.
- 지역 전략: 본사 소재지 외 다른 국가나 지역 시장의 특성과 요구에 맞춰 자원, 기술,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 현지 시장에 맞는 직접 진출 또는 파트너, 유통 채널, 자회사 등을 통한 간접 진출 방식을 포함한다.
2. 2. 실행 능력
가트너는 벤더를 평가하는 두 가지 주요 기준 중 하나로 '''실행 능력'''을 사용한다.[1][3][13] 이는 벤더의 재무적 사업 실현 가능성, 시장 대응력, 제품 개발, 판매 채널, 고객 기반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이다.[1][3]실행 능력을 평가하는 세부 기준은 다음과 같다.[14]
- 시장 이해: 구매자의 욕구와 니즈를 이해하고, 이를 제품과 서비스에 구현하는 벤더의 능력. 최고의 비전을 제시하는 벤더는 구매자의 요구와 니즈에 귀 기울이고 이해하며, 추가된 비전으로 이를 형성하고 강화할 수 있다.
- 마케팅 전략: 조직 전체에서 일관성이 있으며, 웹사이트, 광고, 고객 프로그램, 포지셔닝 스테이트먼트를 통해 외부에 전달되는 명확하고 차별화된 메시지.
- 판매 전략: 직접/간접적인 판매망, 마케팅,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회사를 통한 제품 판매 전략. 이를 통해 시장 조사, 기술, 전문성, 기술, 서비스, 고객 기반이 확대, 강화된다.
- 오퍼링(제품) 전략: 현재 및 미래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차별화, 기능, 방법론, 기능 세트를 강조하는, 제품 개발/전개에 관한 벤더의 접근 방식.
- 비즈니스 모델: 벤더의 근본적인 비즈니스 제안의 건전성과 논리.
- 업종/산업별 전략: 수직 시장을 포함한 개별 시장 세그먼트의 특정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자원, 기술, 및 제품을 방향 짓는 벤더의 전략.
- 혁신: 투자, 통합, 공격과 방어의 목적으로, 직접 관련성이 있는 보완적 시너지 효과의 자원, 기술, 자본의 배치.
- 지역 전략: 벤더의 본사 관할 구역 외의 지역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자원, 기술, 오퍼링을 제공하는 전략. 지역 및 시장에 맞게, 직판 또는 파트너, 채널, 자회사를 통해 실시된다.
3. 매직 쿼드런트 4사분면
가트너는 벤더를 평가할 때 두 가지 주요 기준을 사용한다. 바로 '비전의 완전성(Completeness of Vision)'[1][3]과 '실행 능력(Ability to Execute)'[1][3]이다.
- '''비전의 완전성''': 벤더가 얼마나 혁신적인지, 그리고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는지 아니면 따라가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 '''실행 능력''': 벤더의 재정적 안정성,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력, 제품 개발 역량, 판매 채널의 효율성, 확보하고 있는 고객 기반 등 다양한 실행 관련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이 두 가지 기준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각 벤더는 다음 네 개의 사분면 중 하나에 위치하게 된다.[4]
- '''리더 (Leaders)'''
- '''도전자 (Challengers)'''
- '''비저너리 (Visionaries)'''
- '''틈새 시장 주자 (Niche Players)'''
3. 1. 리더 (Leaders)
"리더" 사분면에 있는 벤더는 ''비전의 완전성''[1][3]과 ''실행 능력''[1][3] 모두에서 가장 높은 종합 점수를 받는다. 이들은 새로운 기술의 수용을 주도하는 데 필요한 시장 점유율, 신뢰성, 마케팅 및 판매 역량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시장의 요구 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혁신가이자 사상적 리더로서 고객과 잠재 고객이 인프라와 전략을 설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잘 정립된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세계 주요 5개 지역에서의 존재감, 일관된 재무 성과, 폭넓은 플랫폼 지원 등의 특징을 보인다.3. 2. 도전자 (Challengers)
'도전자' 사분면에 속하는 벤더들은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리더 그룹에 속한 벤더들에게 상당한 위협이 될 만큼 뛰어난 실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들은 강력한 제품과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시장 지위와 자원을 가지고 있다. 재정적 생존 능력은 도전자 그룹에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리더 그룹이 가진 규모나 시장 영향력에는 미치지 못한다.3. 3. 비저너리 (Visionaries)
"비저너리" 사분면에 있는 벤더는 운영상 또는 재정적으로 중요한 최종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한다.[1][3] 하지만 아직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거나 지속 가능한 수익성을 입증하지는 못한 상태이다.[1][3]비저너리 벤더는 비상장 회사인 경우가 많으며, 규모가 더 크고 자리를 잡은 기업의 인수 대상이 되기도 한다.[1][3] 이러한 인수 가능성은 해당 벤더의 시스템을 도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여주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1][3]
3. 4. 틈새 시장 주자 (Niche Players)
"틈새 시장 주자" 사분면에 속하는 벤더는 주로 특정 시장이나 수직 시장 부문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 분류에는 해당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기존 제품을 조정하는 벤더나, 비전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대규모 벤더도 포함될 수 있다.4. 비판
Gartner의 매직 쿼드런트는 IT 벤더 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여러 가지 비판에 직면해 있다.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
- 시장 왜곡: 매직 쿼드런트의 평가 방법론 자체가 시장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분석가의 기준에 맞게 시장을 재정의하고 왜곡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5][16]
- 오픈 소스 벤더 고려 부족: 오픈 소스 기반의 벤더들이 평가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거나 불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6][17]
- 이해 상충 및 투명성 부족: 평가 대상 벤더로부터 컨설팅 비용 등 보상을 받는 구조가 평가의 객관성을 해칠 수 있다는 이해 상충 문제가 지적된다. 또한, 벤더별 세부 점수나 평가 방법론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
- 평가 기준의 편향성: 평가 기준이 최종 사용자나 구매자보다는 투자자나 대규모 벤더의 관점에 더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있다.[15]
- 법적 분쟁: 2009년 소프트웨어 벤더 ZL Technologies는 매직 쿼드런트 평가의 "정당성"에 이의를 제기하며 가트너를 상대로 연방법 소송을 제기했다.[7][18] 가트너는 해당 보고서가 수정 헌법 제1조에 의해 보호받는 "순수한 의견"이라고 주장했고,[8][19] 법원은 구체적인 불만 사항 부족을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으며 이 결정은 항소심에서도 유지되었다.[9][20][10][21]
4. 1. 시장 왜곡
매직 쿼드런트는 시장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자체적인 방법론에 시장을 맞추어 정의함으로써 시장을 왜곡한다는 비판을 받는다.[5][16] 연구에 따르면, 분석가들이 자신의 방법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장 자체를 자신들의 도구에 맞게 변화시킨다는 것이다.[5]또한, 가트너와 같은 분석 기업들이 오픈 소스 벤더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는 탈렌드의 부사장과 가트너의 독일 연구 부사장 간의 온라인 토론을 통해 공개적으로 논의된 바 있다.[6][17]
가트너는 2009년 5월 29일, 소프트웨어 벤더인 ZL Technologies로부터 매직 쿼드런트 평가 시스템의 "정당성"에 대한 연방법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7][18] 이에 대해 가트너는 매직 쿼드런트 보고서가 법적으로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순수한 의견"이며, 수정 헌법 제1조에 따른 보호를 받는다고 주장하며 기각을 신청했다.[8][19] 법원은 ZL Technologies 측이 제기한 구체적인 불만 사항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으며,[9][20] 이 결정은 항소심에서도 유지되었다.[10][21]
매직 쿼드런트의 평가 기준이 실제 소프트웨어 구매자보다는 투자자나 대규모 벤더의 이해관계에 더 부합한다는 지적도 있다.[15]
이러한 비판의 상당 부분은 이해 상충 문제와 관련이 있다. 평가 대상 벤더로부터 받는 보상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점, 벤더별 세부 평가 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점, 그리고 매직 쿼드런트 내 벤더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론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
4. 2. 이해 상충
매직 쿼드런트에 대한 비판은 주로 이해 상충 문제에 집중된다. 특히 평가 대상 벤더로부터 받는 보상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또한, 각 벤더의 세부 평가 점수를 공개하지 않고, 매직 쿼드런트 지도 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트너의 방법론 역시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일각에서는 매직 쿼드런트의 평가 기준 자체가 최종 구매자보다는 투자자나 규모가 큰 벤더에게 유리하게 설정되어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15] 더 나아가 매직 쿼드런트나 분석가들이 시장 자체를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한 조사[16]에 따르면, 가트너가 자신들의 방법론에 맞춰 시장의 정의를 변경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오픈 소스 벤더들이 가트너와 같은 분석 회사로부터 충분한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는 Talend의 부사장과 가트너 독일 연구 담당 부사장 간의 온라인 토론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이기도 하다.[17]
한편, 2009년 5월 29일 소프트웨어 벤더인 ZL Technologies는 가트너를 상대로 연방 소송을 제기하며 매직 쿼드런트 평가 시스템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8] 이에 대해 가트너는 매직 쿼드런트 보고서의 내용이 사실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법적인 의미에서 '순수한 의견'에 해당하며, 이는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 의해 보호받는다고 주장하며 소송 기각을 신청했다.[19] 법원은 ZL 측이 구체적인 주장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으며[20], 이 결정은 항소심에서도 유지되었다.[21]
4. 3. 투명성 부족
매직 쿼드런트의 평가 기준이 구매자보다는 투자자나 대규모 벤더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지적이 있다.[15]주요 비판 중 하나는 이해 상충 문제로, 평가 대상 벤더로부터 받는 보상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벤더별 세부 평가 점수를 공개하지 않고, 벤더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트너의 평가 방법론 자체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비판의 원인이 된다.
매직 쿼드런트나 이를 발표하는 애널리스트가 시장 자체를 왜곡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조사[16]에 따르면, 가트너의 방법론에 맞추기 위해 시장의 정의가 변경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더불어 오픈 소스 벤더는 가트너와 같은 애널리스트 기업으로부터 충분한 검토를 받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7]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2009년 5월 29일 소프트웨어 벤더 ZL Technologies는 가트너를 상대로 연방 소송을 제기하며 매직 쿼드런트 평가 시스템의 "정당성"에 이의를 제기했다.[18] 이에 가트너는 매직 쿼드런트 보고서가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법적 의미의 "순수한 의견"에 해당하며, 이는 수정 헌법 제1조에 따라 보호받는다고 주장하며 소송 기각을 신청했다.[19] 법원은 ZL Technologies 측이 구체적인 주장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으며,[20] 이 결정은 항소심에서도 유지되었다.[21]
4. 4. 오픈 소스 벤더 고려 부족
가트너와 같은 시장 분석 기업들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벤더를 평가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지적은 Talend의 부사장과 가트너 독일 연구 담당 부사장 사이의 온라인 토론을 통해 공개적으로 제기되었다.[6][17]4. 5. 법적 분쟁
2009년 5월 29일, 소프트웨어 벤더 ZL Technologies는 가트너를 상대로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며 매직 쿼드런트 평가 시스템의 "정당성"에 이의를 제기했다.[7] 이에 가트너는 해당 보고서가 법적으로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순수한 의견"이라 주장하며, 수정 헌법 제1조에 따른 보호를 근거로 기각을 신청했다.[8] 법원은 ZL Technologies의 주장에 구체적인 불만 사항이 없다는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으며,[9] 이 결정은 항소심에서도 유지되었다.[10]참조
[1]
웹사이트
Magic Quadrants and MarketScopes: How Gartner Evaluates Vendors Within a Market
https://web.archive.[...]
Gartner.com
2008-02
[2]
간행물
Gartner Magic Quadrant: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emtemp.gcom.[...]
Gartner
2019
[3]
웹사이트
How Markets and Vendors Are Evaluated in Gartner Magic Quadrants
https://www.gartner.[...]
Gartner.com
2019-08
[4]
웹사이트
Critical Capabilities Research Methodology
https://www.gartner.[...]
[5]
웹사이트
Why IT Vendors Should Take Industry Analysts (More) Seriously | Institute of Industry Analyst Relations
http://analystrelati[...]
Analystrelations.org
2012-09-26
[6]
웹사이트
Vendor complains in a very public blog post about Gartner's Data Integration Magic Quadrant
http://sagecircle.wo[...]
Sagecircle.wordpress.com
2009-12-29
[7]
웹사이트
Is shooting on the referee productive? | Institute of Industry Analyst Relations
http://analystrelati[...]
Analystrelations.org
2009-10-21
[8]
웹사이트
ZL v Gartner Complaint
https://www.scribd.c[...]
Scribd.com
[9]
웹사이트
E-mail Archiving Vendor Takes on Gartner's Magic Quadrant
http://www.enterpris[...]
EnterpriseStorageForum.com
2009-11-13
[10]
웹사이트
Unpublished Dispositions (Memoranda)
http://www.ca9.uscou[...]
Ca9.uscourts.gov
[11]
웹사이트
Magic Quadrants and MarketScopes: How Gartner Evaluates Vendors Within a Market
http://www.gartner.c[...]
Gartner.com
2008-02
[12]
간행물
Gartner Magic Quadrant: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emtemp.gcom.[...]
Gartner
2019
[13]
웹사이트
Magic Quadrants and MarketScopes: How Gartner Evaluates Vendors Within a Market
http://www.gartner.c[...]
Gartner.com
2008-02
[14]
웹사이트
How Markets and Vendors Are Evaluated in Gartner Magic Quadrants
https://www.gartner.[...]
Gartner.com
2019-08
[15]
웹사이트
Looking beyond the magic quadrant to find the nitty-gritty
http://www.cmswatch.[...]
Real Story Group
2009-08-07
[16]
웹사이트
Why IT Vendors Should Take Industry Analysts (More) Seriously | Institute of Industry Analyst Relations
http://analystrelati[...]
Analystrelations.org
2012-09-26
[17]
웹사이트
Vendor complains in a very public blog post about Gartner's Data Integration Magic Quadrant
http://sagecircle.wo[...]
Sagecircle.wordpress.com
2009-12-29
[18]
웹사이트
Is shooting on the referee productive? | Institute of Industry Analyst Relations
http://analystrelati[...]
Analystrelations.org
2009-10-21
[19]
웹사이트
ZL v Gartner Complaint
https://www.scribd.c[...]
Scribd.com
[20]
웹사이트
E-mail Archiving Vendor Takes on Gartner's Magic Quadrant
http://www.enterpris[...]
EnterpriseStorageForum.com
2009-11-13
[21]
웹사이트
Unpublished Dispositions (Memoranda)
http://www.ca9.uscou[...]
Ca9.uscourts.gov
[22]
웹인용
가트너 홈페이지
https://www.gartner.[...]
2018-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