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케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케팅은 제품과 가치를 창출하고 교환하여 개인이나 단체가 필요로 하는 것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사회적, 경영적 프로세스이다. 다양한 학자들과 협회에서 마케팅을 정의하며,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윤을 얻고 사회의 생산성과 소비생활 수준을 높이는 유통 활동의 계획 및 실행 프로세스로 요약할 수 있다. 마케팅의 개념은 고객지향적이며, 욕구, 욕망, 수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케팅은 제품, 가격, 유통 경로, 판매 촉진의 4P, 또는 소비자, 비용, 편의성, 소통의 4C로 구성된 마케팅 믹스를 통해 기업의 목표를 달성한다. 마케팅은 B2B, B2C, C2B, C2C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생산, 제품, 판매, 마케팅, 사회 마케팅 개념 등 마케팅 관리 지향점이 존재한다. 또한 마케팅 환경은 거시, 미시, 내부 환경으로 구분되며, 마케팅 조사는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 분석, 해석 과정을 통해 마케팅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시장 세분화는 전체 시장을 하위 시장으로 나누어 자원 할당을 개선하고, 마케팅 계획은 기업의 마케팅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계획을 포함한다. 제품 수명 주기는 도입, 성장, 성숙, 쇠퇴의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업무 과정 - 전사적 자원 관리
    전사적 자원 관리(ERP)는 기업의 자원과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며, 재무, 인사, 제조, 공급망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다루고, 기업의 의사 결정, 투명성, 세계화를 지원한다.
  • 업무 과정 - 시장 조사
    시장 조사는 기업이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 소비자의 욕구, 필요, 신념 및 행동 방식을 파악하는 과정으로, 1차 및 2차 조사, 양적 및 질적 연구를 통해 시장 정보, 세분화, 동향 등을 분석하여 마케팅 효과를 측정하고 신제품 출시 위험을 줄이는 데 활용된다.
  • 경영학 -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특정 결과를 위해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과정으로, 불확실성, 인지적 편향,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합리적, 비합리적 접근과 개인 및 집단 역학의 영향을 받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객관적인 정보와 인지적 편향 인식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발전으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 경영학 -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는 초기 단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사무 공간, 자금 조달,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59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정부 지원 과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마케팅
마케팅 개요
정의고객에게 가치를 탐색, 창조 및 전달하는 연구 및 프로세스
관련 학문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주요 개념
제품제품
가격 전략가격 전략
유통유통
서비스서비스
소매소매
브랜드 라이선스브랜드 라이선스
브랜드 관리브랜드 관리
기업 아이덴티티기업 아이덴티티
시장 지배시장 지배
마케팅 효과마케팅 효과
마케팅 윤리마케팅 윤리
프로모션프로모션
시장 세분화시장 세분화
마케팅 전략마케팅 전략
마케팅 믹스4P
계정 기반 마케팅계정 기반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디지털 마케팅
소셜 마케팅소셜 마케팅
인플루언서 마케팅인플루언서 마케팅
수평 분업수평 분업
수직 통합수직 통합
광고 내용
광고광고
브랜딩브랜딩
언더라이팅 스팟Underwriting spot
다이렉트 마케팅다이렉트 마케팅
개인 판매개인 판매
제품 배치제품 배치
홍보홍보
판촉판촉
광고 매체
추적 광고추적 광고
브랜드 홍보대사Brand Ambassador
성과 기반 광고성과 기반 광고
드립 마케팅드립 마케팅
출판물출판물
방송방송
옥외 광고옥외 광고
판촉물판촉물
게임 내 광고게임 내 광고
모바일 광고모바일 광고
인터넷 광고인터넷 광고
데모 판매데모 판매
배너 광고배너 광고
입소문입소문
조사
마케팅 조사마케팅 조사
시장 조사시장 조사
소비자 행동소비자 행동
정성적 마케팅 조사정성적 마케팅 조사
정량적 마케팅 조사정량적 마케팅 조사

2. 정의

마케팅에 대한 정의는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고객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국 마케팅 협회(AMA)는 마케팅을 "고객, 클라이언트, 파트너 및 사회 전체를 위해 가치를 창출하고, 소통하고, 전달하고, 교환하는 활동, 제도 및 프로세스"로 정의한다.[7] AMA는 이 정의를 3년마다 검토하며,[7] 2008년에 "사회 전체"를 위한 가치 창출을 정의에 포함했다.[8] 1935년 AMA는 마케팅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상품과 서비스의 흐름을 지시하는 비즈니스 활동의 수행"으로 정의했었다.[9]

미국 마케팅 협회(AMA)의 마케팅 정의 변천
연도정의
1935년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상품과 서비스의 흐름을 지시하는 비즈니스 활동의 수행
2007년고객, 의뢰인, 파트너, 사회 전체를 위해 가치가 있는 제공물을 창조·전달·배달·교환하기 위한 활동이며, 일련의 제도, 그리고 프로세스



최근에는 소비자 관계에 더 많은 강조를 두는 경향이 있다. 필립 코틀러는 1980년에 마케팅을 "교환 과정을 통해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정의했으나,[11] 2018년에는 "기업이 고객과 관계를 맺고, 강력한 고객 관계를 구축하며, 고객으로부터 가치를 얻기 위해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으로 정의를 발전시켰다.[12]

일본마케팅협회는 1990년에 "마케팅이란, 기업 및 기타 조직이 글로벌한 시야를 갖고 고객과의 상호 이해를 얻으면서 공정한 경쟁을 통해 수행하는 시장 창조를 위한 종합적인 활동이다."[85]라고 정의했다. 여기서 '기타 조직'은 교육, 의료, 행정 기관 등을 포함하며, '글로벌한 시야'는 국내외 사회, 문화, 자연환경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케팅 개념을 쉽게 표현하면 '''잘 팔리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2. 1. 학자별 정의

필립 코틀러는 마케팅을 "제품과 가치를 창출하여 타인과 교환함으로써 개인이나 단체가 필요로 하는 것과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사회적, 경영적 프로세스"로 정의한다.[86]

3. 개념

마케팅에 대한 통일된 견해는 없지만, 크게 사회 경제적 입장과 기업 주체적 입장으로 나뉜다. 더디(E. D. Duddy)와 레브잔(D. A. Revzan)은 마케팅을 '상품이나 서비스를 교환하고 가치를 부가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해 생산부터 소비까지 유통되게 하는 경제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켈리(E. J. Kelley)는 '고객 만족을 위한 상품/서비스 배급 및 시장 유발, 그리고 생산부터 소비까지의 흐름을 개발·유통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 과업'을 포함한다고 본다. 벨(M. L. Bell)은 '고객 만족 프로젝트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계획, 감독, 통제 과업'으로 정의한다.

미국 마케팅 협회는 마케팅을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자에서 소비자나 사용자에게까지 유통시키는 기업 경영 활동'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견해들을 종합하면, 마케팅은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윤을 얻고, 사회의 생산성과 소비 생활 수준을 높이기 위한 유통 활동의 계획 및 실행 과정이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마케팅은 '욕망 충족을 위한 재화/서비스 계획, 가격 책정, 판매 촉진, 배급하는 상호작용적 경영활동 시스템'이다.

킹(R. L. King)은 1950년대 이후 현대적 마케팅 개념이 확립되었다고 한다. 오늘날 마케팅은 고객 지향적이며, 경영 내부적으로는 전사적/통합적 마케팅을 지향한다. 미국 마케팅 협회(AMA)는 마케팅을 "고객, 클라이언트, 파트너 및 사회 전체를 위해 가치를 창출, 소통, 전달, 교환하는 활동, 제도 및 프로세스"로 정의하며,[7] 3년마다 검토한다.[7] 2008년에는 "사회 전체"의 관심사가 추가되었다.[8]



최근 마케팅 정의는 필립 코틀러가 정의한 것처럼, "기업이 고객과 관계를 맺고, 강력한 고객 관계를 구축하며, 고객으로부터 가치를 얻기 위해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과 같이 소비자 관계에 더 중점을 둔다.[12]

과거에는 광고, 유통, 판매를 포함하는 창조적인 산업으로 간주되었지만, 오늘날 마케팅은 사회 과학, 심리학, 사회학, 수학, 경제학, 인류학, 신경 과학 등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과학으로 널리 인정받는다.[17] "마케팅 개념"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잠재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예측하고 경쟁사보다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유래되었으나, 약 200년 후에야 널리 사용되었다.[19]


3. 1. 고객지향성

고객지향성(customer oriented)이란 현대 마케팅의 중심 개념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의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 원리이다.[9] 맥케이(E. S. Mckay)에 따르면, 고객지향성은 전통적인 판매 개념과 달리, 시장 조사나 판매 예측에서 비롯되어 경영 전반에 걸쳐 고객 중심적인 기반을 제공한다.[9] 즉, 기업은 시장 조사, 판매 예측 등을 통해 고객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반영해야 한다.[9]

마케팅에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는 중심이 되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20]

  • 욕구 (Needs): 사람이 건강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충족되지 않으면 기능 장애나 사망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한다.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것(음식, 물, 주거)일 수도 있고,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가족/사회 집단 소속 욕구, 자존감)일 수도 있다.
  • 욕망 (Wants): 원하고, 바라거나, 갈망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문화나 동료 집단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 수요 (Demands): 필요와 욕구가 구매력으로 뒷받침될 때 경제적 수요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제품 개발 또는 제품 개선을 위한 마케팅 조사는 소비자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21] 고객의 요구는 시장 세분화의 핵심이며,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서비스를 설계하고 마케팅할 수 있다.[22][23]

상품화가 가속화되는 시장에서는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가 기업의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어도어 레빗은 모든 기업이 고객에게 서비스업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82] 또한, 래시와 버고는 기존의 제품 중심 마케팅(GDL, Goods Dominant Logic)에서 벗어나, 경제 활동은 모두 서비스이며 고객은 서비스 이용자라는 SDL(Service Dominant Logic, 서비스 지배 논리)을 제창했다.[82][83]

마케팅 개념을 일본어로 쉽게 바꿔 표현한 '''잘 팔리는 구조'''라는 표현이 있다. 이는 특정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니즈를 충족시키는 상품을 개발하며, 고객이 상품을 인지하고,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3. 2. 전사적 마케팅

전사적 마케팅(total marketing)이란 기업 경영 활동의 중심을 마케팅에 두고, 기업의 유지 및 발전은 고객 지향성을 중심으로 한다는 개념이다. 인사, 재무, 생산 등 다른 경영 활동은 마케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하위 분야로 간주된다. 즉, 마케팅이 회사 경영의 최우선 순위에서 전사적인 관점으로 모든 부서 및 부분을 규제하고 이끄는 관리 방식이다.[7]

이는 미국 마케팅 협회(AMA)에서 정의한 "고객, 클라이언트, 파트너 및 사회 전체를 위해 가치를 창출하고, 소통하고, 전달하고, 교환하는 활동, 제도 및 프로세스"라는 마케팅 정의와도 일맥상통한다.[7]

일반적인 기업 활동 중에는 마케팅 조사, 시장 조사·분석, 신상품·서비스의 기획·개발·설계, 브랜딩, 가격 설정(:en:Pricing), 광고·선전·홍보·커뮤니케이션, 판매 촉진, 유통, 머천다이징, 점포·시설의 설계·설치, 영업, 집객, 접객, 판매 후 고객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콜센터 업무의 질을 고객 가치 측면에서 평가·분석, 고객 정보의 관리 및 분석 등 광범위한 범위가 마케팅 활동의 대상이 된다.

또한, 기업 활동 중 직접 고객과 관계하지 않는 제조 라인, 연구, 경리, 인사 등의 부서도 겉보기에는 마케팅 활동과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고객 가치를 창출한다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부서나 조직도 마케팅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기능할 필요가 있다.

3. 3. 관리적 마케팅

관리적 마케팅은 마케팅을 독립된 기업 활동이 아닌, 생산, 재무 등 다른 경영 기능과 상호작용하는 전체적인 기업 활동의 일부로 본다.[7] 마케팅은 기업 전체의 입장에서 계획되어야 하며, 마케팅 관리자는 경영자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을 해야 한다.[7] 즉, 사회적인 분배 조직이나 과정은 경영자 활동의 요인으로만 취급된다.[7]

최근의 마케팅 정의는 필립 코틀러가 정의한 것처럼, "기업이 고객과 관계를 맺고, 강력한 고객 관계를 구축하며, 고객으로부터 가치를 얻기 위해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과 같이 소비자 관계에 더 중점을 둔다.[12] 판매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관점에서는 마케팅을 "고객의 관심과 만족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즈니스의 다른 기능과 상호 연결되고 상호 의존적인 일련의 프로세스"로 정의하기도 한다.[13]

4. 기능

마케팅 기능에는 전통적인 마케팅 기능과 관리적 마케팅 기능이 있는데, 전자는 사회적 입장과 기업적 입장과의 교차점에서 민주적인 입장에서 해석하는 기능이고, 후자는 기업의 입장에서 본 마케팅 경영 기능이다. 전통적인 마케팅 기능에는 교환 기능(판매·구매)과 물적 공급 기능(운송·보관), 그리고 조성 기능(금융·위험부담·시장정보·표준화·등급화) 등이 있다.[19]

일반적인 기업 활동에서 마케팅 조사, 시장 조사·분석부터, 신상품·서비스의 기획, 개발, 설계, 브랜딩, 가격 설정(:en:Pricing), 광고, 선전, 홍보, 커뮤니케이션, 판매 촉진, 유통, 머천다이징, 점포·시설의 설계·설치, 영업, 집객, 접객, 판매 후 고객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콜센터 업무의 질을 고객 가치 측면에서 평가·분석하고, 고객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등 광범위한 범위가 마케팅 활동의 대상이 되며, 다양한 수법과 논점이 있다. 또한, 기업 활동 중 직접 고객과 관계하지 않는 제조 라인, 연구, 경리, 인사 등의 부서는 겉보기에는 마케팅 활동과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고객 가치를 창출한다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부서나 조직도 마케팅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기능할 필요가 있다.

마케팅은 제품의 생산·판매에서 비롯된 개념이지만, 상품화가 가속화되는 시장에서는 자사의 경쟁 우위를 발휘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가 수행하는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시어도어 레빗(Theodore Levitt)은 모든 기업은 고객에게 서비스업이라는 고객 지향적인 인식을 가지고, 모든 기업이 서비스적 요소를 가진다고 지적했다. 또한, 래시와 버고에 따르면, 기존의 제품 중심 마케팅을 GDL(Goods Dominant Logic, 제품 지배 논리)이라고 하며, 고객은 단순히 구매자로 여겨졌지만, SDL(Service Dominant Logic, 서비스 지배 논리)에서는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 활동은 모두 서비스이며, 고객은 구매자가 아닌 서비스의 이용자라는 생각을 제창했다.[82][83]

마케팅에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가 중심이 되므로 이러한 개념에 대한 풍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20]


  • '''욕구''': 사람이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명백한 부정적인 결과, 즉 기능 장애 또는 사망이 발생한다. 욕구는 음식, 물, 쉘터와 같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것일 수도 있고, 가족이나 사회 집단에 속하고자 하는 욕구, 자존감에 대한 욕구와 같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일 수도 있다.
  • '''욕망''': 원하고, 바라거나, 갈망하는 것. 욕망은 기본적인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종종 문화나 동료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
  • '''수요''': 필요와 욕구가 구매력으로 뒷받침될 때 경제적 수요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제품 개발 또는 제품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마케팅 조사는 종종 소비자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21] 고객의 요구는 "별도의 제품이나 마케팅 조합이 필요할 수 있는 뚜렷한 요구, 특성 또는 행동을 기반으로 시장을 뚜렷한 구매자 그룹으로 나누는 것"과 관련된 시장 세분화의 핵심이다.[22] 요구 기반 세분화(''혜택 세분화''라고도 함)는 "회사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하고 마케팅하는 방식의 최전선에 고객의 욕구를 둔다."[23] 요구 기반 세분화는 실제로 수행하기 어렵지만, 시장을 세분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임이 입증되었다.[24][21] 또한, 광고 및 홍보의 상당 부분은 주어진 제품의 이점이 고객의 요구, 욕구 또는 기대를 독특한 방식으로 충족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설계되었다.[25]

4. 1. 교환 기능 (소유권 이전 기능)

교환 기능은 마케팅의 핵심 기능으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재화나 서비스를 이전하여 소유권을 이전하는 기능이다. 교환 기능은 구매 기능과 판매 기능으로 나뉜다.

  • '''구매 기능'''은 주로 중간 상인이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세부 기능이 포함된다.
  • * 상품 종류 및 수량 결정
  • * 공급원 선정
  • * 상품 적합성 검사
  • * 매매 조건 협상 및 구입
  • '''판매 기능'''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 * 수요 창조
  • * 구매자 발견
  • * 구매 조건 협상
  • * 판매 활동 및 서비스 제공

4. 2. 물적 공급 기능

상품을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공급하고, 수요와 공급을 장소적, 시간적으로 일치시키는 기능이다. 운송, 보관 등이 포함된다.[1]

4. 3. 조성 기능

조성 기능은 교환 및 물적 공급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보조하는 기능이다. 금융 기능, 위험 부담 기능, 시장 정보 기능 등이 이에 해당한다.

(1) 금융 기능(金融機能) ― 상품 구매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기능으로, 외상 판매를 통한 구매자 자금 지원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위험 부담 기능(危險負擔機能) ― 상품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관리하는 기능이다. 상품의 변질, 파손 등의 물리적 위험,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해 위험, 신용 거래에서 발생하는 대손 위험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시장 정보 기능(市場情報機能) ― 유통 활동에 필요한 의사 결정을 위해 시장 정보를 과학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이다. 현대적인 시장 조사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5. 마케팅 믹스 (4P)

마케팅 믹스는 기업이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 가지 요소, 즉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을 의미하며, 이를 4P라고 부른다. 이 요소들을 잘 조합하여 전략을 짜는 것을 마케팅 믹스라고 한다.[88]

4P는 1940년대 후반부터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1960년에 에드먼드 제롬 맥카시가 처음으로 체계화했다. 필립 코틀러는 이 개념을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48][49][50][51]


  • 제품 (Product): 브랜드 관리와 수명 주기 등을 고려한다.
  • 가격 (Price): 시장 도입 가격, 경쟁 상품과의 가격 비교, 가격 결정 요인 등을 고려하며, 소비자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요소이다.
  • 유통 (Place):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경로를 관리하며, 소매점 확보 전략(최대한 많은 소매점 또는 특정 전문점) 등을 결정한다.
  • 촉진 (Promotion): 광고, 판매 촉진, 홍보(PR), 인적 판매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을 알리고 구매를 유도한다.


5. 1. 제품 (Product)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 통제 가능한 마케팅 변수에는 제품(Product영어), 가격(Price영어), 유통 경로(Place영어), 판매 촉진(Promotion영어)이 있으며, 이 네 가지를 흔히 4P라고 한다. 제품 관리는 브랜드 관리와 수명 주기 등을 고려해야 한다.[88]

마케팅 믹스의 4P는 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을 의미한다
마케팅 믹스의 한 가지 버전은 4P 방법이다.


마케팅에서 제품은 실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사양, 그리고 최종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다룬다. 제품 요소에는 제품 디자인, 신제품 혁신, 브랜딩, 포장 및 라벨링이 포함된다. 제품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보증, 보장, 지원과 같은 지원 요소를 포함한다. 브랜드는 제품 관리의 핵심 요소로, 제품, 브랜드 또는 회사에 대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을 의미한다.[58]

5. 2. 가격 (Price)

가격 관리는 제품의 시장 도입 시 가격 수준, 경쟁 상품의 가격 대응 전략, 가격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격 결정에는 비용 지향적 방법, 경쟁 지향적 방법, 수요 지향적 방법의 세 가지가 있다.[88] 가격은 소비자가 가장 민감하고 빠르게 반응하는 요소로, 즉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가격은 제품의 가격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할인도 포함된다. 가격은 돈뿐만 아니라 시간, 에너지, 주의와 같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얻기 위해 소비자가 치르는 모든 희생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격은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지불하는 (금전적이든 아니든) 비용이다. 가격 책정 방법은 가격 책정 과학의 영역에 속한다.[55]

5. 3. 유통 (Place)

유통 경로는 제조사가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유통 채널과 중개인(도매상, 소매업자 등)이 포함되며, 소비자가 편리하게 상품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55]

제조사는 유통 전략을 결정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 소매점 확보 전략:
  • 최대한 많은 소매점 확보: 가능한 많은 소매점에 상품을 공급하여 소비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 특화된 전문점 선택: 특정 상품만을 취급하는 전문점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여, 전문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특정 고객층을 공략한다.


상품이 판매되는 채널(온라인, 오프라인 등), 지리적 지역, 산업, 고객층(청년, 가족, 사업가 등)을 고려하여 유통 경로를 결정하며,[55] 상품이 판매되는 환경은 판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4. 촉진 (Promotion)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필하는 것으로, 광고, 판매 촉진, 홍보(PR), 인적 판매 등이 대표적이다.[55][56]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온라인 및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중요한 촉진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4P 모델에서 프로모션은 광고, 판매 촉진, 홍보, 개인 판매, 제품 배치, 브랜드 엔터테인먼트, 이벤트 마케팅, 무역 박람회 및 전시회 등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모든 측면을 포함한다. 이 네 번째 P는 소비자의 반응을 얻기 위한 메시지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메시지는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설득하거나 이야기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4P 모델의 "프로모션"과 유사한 개념으로 '소통'이 있다. 소통은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되는지를 의미하며, 프로모션과 달리 광고의 일방향적 소통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도 포함한다.[68]

6. 마케팅 믹스 (4C)

마케팅 믹스(4C)는 4P를 소비자 관점에서 재해석한 개념이다. 4C는 소비자(Consumer), 비용(Cost), 편의성(Convenience), 소통(Communication)으로 구성된다.


  • 소비자 (Consumer):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20]
  • 비용 (Cost): 제품 가격 외에 소비자가 들이는 모든 희생을 포함한다.
  • 편의성 (Convenience): 소비자가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유통 채널을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19]
  • 소통 (Communication):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메시지와 매체를 활용하며,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한 양방향 소통도 포함한다.[25]

6. 1. 소비자 (Consumer)

마케팅에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는 중심이 되므로 이러한 개념에 대한 풍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20]

  • '''욕구''': 사람이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기능 장애 또는 사망과 같은 명백한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한다. 욕구는 음식, 물, 쉘터와 같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것일 수도 있고, 가족이나 사회 집단에 속하고자 하는 욕구, 자존감에 대한 욕구와 같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일 수도 있다.
  • '''욕망''': 원하고, 바라거나, 갈망하는 것이다. 욕망은 기본적인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종종 문화나 동료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
  • '''수요''': 필요와 욕구가 구매력으로 뒷받침될 때 경제적 수요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제품 개발 또는 제품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마케팅 조사는 종종 소비자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21] 고객의 요구는 "별도의 제품이나 마케팅 조합이 필요할 수 있는 뚜렷한 요구, 특성 또는 행동을 기반으로 시장을 뚜렷한 구매자 그룹으로 나누는 것"과 관련된 시장 세분화의 핵심이다.[22] 요구 기반 세분화(''혜택 세분화''라고도 함)는 "회사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하고 마케팅하는 방식의 최전선에 고객의 욕구를 둔다."[23] 요구 기반 세분화는 실제로 수행하기 어렵지만, 시장을 세분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임이 입증되었다.[24][21] 또한, 광고 및 홍보의 상당 부분은 주어진 제품의 이점이 고객의 요구, 욕구 또는 기대를 독특한 방식으로 충족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설계되었다.[25]

6. 2. 비용 (Cost)

마케팅에서 비용은 제품 가격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들이는 시간, 노력 등 모든 희생을 포함한다.

6. 3. 편의성 (Convenience)

편의성(Convenience영어)은 소비자가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유통 채널을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19] 마케팅에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는 매우 중요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20]

6. 4. 소통 (Communication)

소통(Communication영어)은 마케팅 믹스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이며,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메시지와 매체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광고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소비자와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는 활동도 포함된다. 광고 및 홍보의 상당 부분은 주어진 제품의 이점이 고객의 요구, 욕구 또는 기대를 독특한 방식으로 충족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설계되었다.[25]

7. 마케팅의 종류

마케팅은 대상, 방법,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주요 마케팅 종류는 다음과 같다.


  • B2B 마케팅 (기업 간 마케팅): 기업 또는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 B2C 마케팅 (기업과 소비자 간 마케팅): 회사가 개별 소비자에게 제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는 전략이다.
  • C2B 마케팅 (소비자 대 기업 마케팅): 최종 소비자가 기업 및 조직에서 소비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 C2C 마케팅 (소비자 간 마케팅): 한 고객이 제3자 기업 또는 플랫폼을 사용하여 다른 고객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시장 환경을 나타낸다.


B2B 마케팅과 B2C 마케팅은 수요, 구매량, 고객 수, 고객 집중도, 유통, 구매 특성, 구매 영향, 협상, 상호성, 리스 및 프로모션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외에도 콘텐츠 마케팅, 광고브랜딩, 다이렉트 마케팅, 스포츠 마케팅, 국제 마케팅, 홍보, 커뮤니케이션, 전략 관리, 마케팅 조사, 이벤트 조직,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검색 엔진 마케팅, 데이터 마케팅, 농업 마케팅, 산업 마케팅, 목적지 마케팅, 글로벌 마케팅, 인플루언서 마케팅, 관계 마케팅, 서비스 마케팅, 소셜 마케팅, 마케팅 지향점, 생산 지향, 판매 지향점, 사회적 책임 마케팅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종류의 마케팅이 존재한다.

7. 1. B2B 마케팅 (기업 간 마케팅)

B2B(기업 간 거래) 마케팅은 기업 또는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마케팅 전략 또는 콘텐츠를 의미한다.[26] 다른 기업이나 조직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든 회사는 일반적으로 B2B 마케팅 전략을 사용한다. B2B 마케팅의 7P는 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 사람, 프로세스 및 물리적 증거이다.[26] B2B 마케팅의 몇 가지 트렌드로는 팟캐스트, 비디오, 소셜 미디어 마케팅 캠페인과 같은 콘텐츠가 있다.[26]

B2B 마케팅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주요 장비
  • 부속 장비
  • 원자재
  • 부품
  • 가공 재료
  • 소모품
  • 장소
  • 비즈니스 서비스[77]


B2B 제품 구매자의 주요 4가지 범주는 다음과 같다.

  • 생산자 - B2B 마케팅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여 자체 상품을 생산 (예: Mattel이 장난감을 만들기 위해 플라스틱을 구매)
  • 재판매업자 - 소매 또는 도매 판매를 위해 B2B 제품을 구매 (예: Walmart가 매장에서 판매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를 구매)
  • 정부 - 정부 프로젝트에 사용하기 위해 B2B 제품을 구매 (예: 폐수 처리 공장을 위한 기상 관측 장비 구매)
  • 기관 - 운영을 계속하기 위해 B2B 제품을 사용 (예: 학교가 사무실 사용을 위해 프린터를 구매)[77]


B2B와 B2C 마케팅의 서로 다른 목표는 B2B 및 B2C 시장의 차이로 이어진다. 이러한 시장의 주요 차이점은 수요, 구매량, 고객 수, 고객 집중도, 유통, 구매 특성, 구매 영향, 협상, 상호성, 리스 및 프로모션 방식이다.[77]

항목B2B 마케팅B2C 마케팅
수요기업이 최종 소비재에 대한 수요에 따라 제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파생된다. 기업은 고객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제품을 구매한다.주로 소비자가 자신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제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구매량기업은 소비자에 배포하기 위해 대량의 제품을 구매한다.소비자는 개인적인 사용에 적합한 소량의 제품을 구매한다.
고객 수직접 소비자보다 마케팅할 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상대적으로 많다.
고객 집중도특정 시장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은 지리적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기업으로부터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은 집중되어 있지 않다.
유통B2B 제품은 제품 생산자로부터 기업으로 직접 전달된다.B2C 제품은 도매상이나 소매상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구매 특성B2B 구매는 전문 구매자와 판매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절차이다.B2C 구매는 비공식적이다.
구매 영향B2B 구매는 품질 관리, 회계, 물류 등 다양한 부서의 여러 사람의 영향을 받는다.B2C 마케팅은 구매를 하는 사람과 몇몇 다른 사람에게만 영향을 받는다.
협상B2B 마케팅에서는 더 낮은 가격이나 추가적인 혜택을 위한 협상이 일반적으로 허용된다.B2C 마케팅(특히 서구 문화권)에서는 가격이 고정되어 있다.
상호성기업은 주로 자신에게 판매하는 기업으로부터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예: 프린터 잉크를 판매하는 기업은 해당 기업의 프린터 잉크를 구매하는 공급업체로부터 사무용 의자를 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다.)B2C 마케팅에서는 소비자가 제품을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호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리스기업은 고가의 품목을 리스하는 경향이 있다.소비자는 고가의 품목을 구매하기 위해 저축하는 경향이 있다.
프로모션 방식B2B 마케팅에서 가장 일반적인 프로모션 방식은 개인 판매이다.B2C 마케팅은 주로 판매 촉진, 홍보, 광고 및 소셜 미디어를 사용한다.

[77]

7. 2. B2C 마케팅 (기업과 소비자 간 마케팅)

B2C 마케팅, 즉 기업-소비자 간 마케팅은 회사가 개별 소비자에게 제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는 전술과 전략을 의미한다.[77] 전통적으로, 이는 광범위한 의미에서 개인용 제품을 구매하는 개인을 지칭할 수 있다. 더 최근에는 B2C라는 용어가 소비자 제품의 온라인 판매를 의미한다.

B2B와 B2C 마케팅의 서로 다른 목표는 B2B 및 B2C 시장의 차이로 이어진다. 이러한 시장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77]

항목B2B 마케팅B2C 마케팅
수요기업이 최종 소비재에 대한 수요에 따라 제품을 구매하므로 파생 수요소비자가 자신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제품을 구매하므로 주 수요
구매량대량 구매소량 구매
고객 수상대적으로 적음상대적으로 많음
고객 집중도지리적으로 집중되는 경향집중되어 있지 않음
유통생산자로부터 기업으로 직접 전달도매상이나 소매상을 추가로 거칠 수 있음
구매 특성전문 구매자와 판매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절차비공식적
구매 영향품질 관리, 회계, 물류 등 다양한 부서의 여러 사람의 영향구매를 하는 사람과 몇몇 다른 사람에게만 영향
협상일반적으로 허용가격 고정 (특히 서구 문화권)
상호성발생 (예: 프린터 잉크 판매 기업은 해당 기업의 잉크를 구매하는 공급업체로부터 사무용 의자 구매)발생하지 않음
리스고가 품목 리스 경향고가 품목 구매 위해 저축 경향
프로모션 방식개인 판매판매 촉진, 홍보, 광고 및 소셜 미디어


7. 3. C2B 마케팅 (소비자 대 기업 마케팅)

C2B 마케팅(소비자 대 기업 마케팅)은 최종 소비자가 기업 및 조직에서 소비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는 기업이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B2C(기업 대 소비자)라는 일반적인 개념과 정반대이다.

이러한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기업은 소비자가 자체 가격을 제시하거나 회사에 데이터 또는 마케팅을 제공하려는 의지를 통해 수익을 얻는다. 반면 소비자는 유연성, 직접적인 지불 또는 무료나 할인된 제품 및 서비스 혜택을 받는다. C2B 마케팅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기업에 시장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는 것이다.[27]

7. 4. C2C 마케팅 (소비자 간 마케팅)

고객 간 거래 마케팅 또는 C2C 마케팅은 한 고객이 제3자 기업 또는 플랫폼을 사용하여 다른 고객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시장 환경을 나타낸다. C2C 기업은 전자 상거래 기술과 공유 경제와 함께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모델이다.[28]

7. 5. 기타 마케팅 종류

8. 마케팅 관리 지향점

마케팅 관리 지향점은 기업이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 철학 또는 방식을 의미한다.[29][30][31] 학자들은 마케팅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개념의 정확한 본질에 대해 계속해서 논쟁을 벌이고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지향성은 다음과 같다.[32]


  • 생산 개념: 규모의 경제 또는 범위의 경제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가능한 한 많이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제품 개념: 주로 제품의 품질에 관심을 둔다.
  • 판매 개념: 회사의 기존 제품 판매와 촉진에 초점을 맞춘다.
  • 마케팅 개념: 현대 마케팅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개념으로, 새로운 소비자 취향에 맞는 제품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 중심 접근 방식이다.
  • 사회 마케팅 개념: 고객 만족뿐만 아니라 직원, 고객, 지역 사회 등 사회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다.

8. 1. 생산 개념

규모의 경제 또는 범위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제품이나 서비스를 가능한 한 많이 생산하는 데 전문으로 한다. 이는 186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마케팅 실무를 지배했지만, 여전히 일부 회사나 산업에서 발견될 수 있다. 특히 코틀러와 암스트롱은 생산 철학이 "판매자를 안내하는 가장 오래된 철학 중 하나이며...[그리고] 일부 상황에서는 여전히 유용하다"고 언급한다.[35]

8. 2. 제품 개념

주로 제품의 품질에 관심을 둔다. 이는 오트 쿠튀르와 예술 마케팅을 제외하고는 마케팅 지향성에 의해 대체되었다.[33][34]

8. 3. 판매 개념

판매 개념은 주로 회사의 기존 제품 판매와 촉진에 초점을 맞추며, "원치 않는 상품"에 대한 적극적인 판매 및 촉진 기법을 통해 판매량을 늘리는 방식이다.[36][37] 주로 산업 회사에서 이러한 판매 방식을 활용한다.[38] 2011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판매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업사원의 판매 관련 지식(시장 세분화, 프레젠테이션 기술, 갈등 해결, 제품), 적응성, 역할 명확성, 인지 능력, 동기 부여 및 판매 역할에 대한 관심이다.[39]

8. 4. 마케팅 개념

마케팅 개념은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잠재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예측하고, 경쟁사보다 더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개념은 애덤 스미스의 저서 ''국부론''에서 유래되었지만, 약 200년 후에야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19] 마케팅과 마케팅 개념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마케팅에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가 중심이 되므로 이러한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20]

  • '''욕구''': 사람이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기능 장애 또는 사망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한다. 욕구는 음식, 물, 주거와 같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것일 수도 있고, 가족이나 사회 집단에 속하고자 하는 욕구, 자존감에 대한 욕구와 같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일 수도 있다.
  • '''욕망''': 원하고, 바라거나, 갈망하는 것. 욕망은 기본적인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종종 문화나 동료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
  • '''수요''': 필요와 욕구가 구매력으로 뒷받침될 때 경제적 수요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제품 개발 또는 제품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마케팅 조사는 종종 소비자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21] 고객의 요구는 "별도의 제품이나 마케팅 조합이 필요할 수 있는 뚜렷한 요구, 특성 또는 행동을 기반으로 시장을 뚜렷한 구매자 그룹으로 나누는 것"과 관련된 시장 세분화의 핵심이다.[22] 요구 기반 세분화(''혜택 세분화''라고도 함)는 "회사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하고 마케팅하는 방식의 최전선에 고객의 욕구를 둔다."[23] 요구 기반 세분화는 실제로 수행하기 어렵지만, 시장을 세분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24][21] 또한, 광고 및 홍보의 상당 부분은 주어진 제품의 이점이 고객의 요구, 욕구 또는 기대를 독특한 방식으로 충족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설계되었다.[25]

8. 5. 사회 마케팅 개념

1970년대에 소셜 마케팅이 탄생했다. 소셜 마케팅은 고객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마케팅 방식이다.[82][83] 지속 가능한 마케팅, 친환경 마케팅 등은 사회 마케팅 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9. 마케팅 환경

마케팅 환경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인에는 내부, 외부,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것들이 포함되며, 기업의 마케팅 환경은 크게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뉜다.


  • 거시 환경: 기업이 거의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으로, 경제, 사회, 정치, 기술 등이 있다.
  • 미시 환경: 기업이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는 요인으로, 고객, 소비자, 직원, 공급업체, 미디어 등이 있다.
  • 내부 환경: 기업 내부의 요인으로, 노동력, 재고, 회사 정책, 물류, 예산, 자본 자산 등이 있다.

9. 1. 거시 환경

거시 환경(매크로마케팅)은 기업이 거의 통제할 수 없는, 대규모(또는 거시)로 나타나는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및 기술적 요인이 포함된다. 기업의 거시 환경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PESTLE(정치, 경제, 사회, 기술, 법률, 생태) 분석을 이용하는 것이다.[69] PESTLE 분석 내에서 기업은 국가 정치 문제, 문화 및 기후, 주요 거시 경제 조건, 건강 및 지표(예: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 사회적 트렌드/태도, 그리고 기술이 해당 사회와 사회 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의 성격을 분석한다.[69]

9. 2. 미시 환경

미시 환경은 기업이 더 많은 통제력을 가지지만 (반드시 완전하지는 않음) 일반적으로 고객/소비자, 직원, 공급업체 및 미디어를 포함한다. 거시 환경과 달리, 조직은 이러한 요인에 대해 더 큰 (하지만 완전하지 않은) 통제력을 갖는다.[69]

9. 3. 내부 환경

기업의 내부 환경은 회사 자체 내의 요인을 포함한다.[69] 기업의 내부 환경은 노동력, 재고, 회사 정책, 물류, 예산 및 자본 자산으로 구성된다.[69]

10. 마케팅 조사

마케팅 조사는 마케팅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해석하는 과정이다. 경영자는 이 정보를 통해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회사의 마케팅 환경을 파악하며, 공급업체로부터 정보를 얻는다.[5] 마케팅 조사와 시장 조사는 구분되는데, 시장 조사는 특정 타겟 시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고, 마케팅 조사는 마케팅 내에서 수행되는 모든 조사와 관련이 있다.[5] 시장 조사는 유통에 관한 것이고, 마케팅 조사는 유통, 광고 효과 및 판매원 효과를 포함한다.[71]

마케팅 조사 단계는 다음과 같다.[72]


  • 문제 정의
  • 조사 계획
  • 조사
  • 데이터 해석
  • 결과 구현

10. 1. 주요 마케팅 학술지

사회 과학 인용 지수(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와 SCImago 저널 순위(SCImago Journal Rank)에서 높은 영향력 지수를 가진 마케팅 분야의 주요 학술지는 다음과 같다.[72]

  • 소비자 연구 저널(Journal of Consumer Research)
  • 마케팅 저널(Journal of Marketing)
  • 마케팅 조사 저널(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마케팅 과학(Marketing Science)


이 학술지들은 미국 마케팅 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에서 프리미어 AMA 저널로 지정되었다.

11. 시장 세분화

시장 세분화는 제품에 대한 전체 시장을 여러 하위 시장 또는 세분 시장으로 나누는 것이다. 각 세분 시장은 모든 중요한 측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73] 이 과정은 기업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다양해진 현대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 수행된다. 기업은 자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특정 소비자 집단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선택을 해야 한다. 또한, 현대 소비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짐에 따라 기업은 여러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점을 얻고자 한다.

시장 세분화는 STP, 즉 세분화, 타겟팅, 포지셔닝의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세분화'''는 비슷한 요구, 욕구, 취향을 가진 소비자들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준예시
지리적국가, 지역, 도시, 마을
심리적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 또는 라이프스타일 특성
인구 통계학적연령, 성별, 사회 경제적 계층, 교육
성별남성, 여성
소득10000USD 이하, 50000USD이상 등
생애 주기베이비붐 세대, X세대, 밀레니얼 세대, Z세대
라이프스타일기술에 정통, 활동적
행동적브랜드 충성도, 사용률[74]



세분 시장이 정해지면 기업은 해당 세분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지 확인해야 한다. ''DAMP''는 타겟 시장의 생존 가능성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DAMP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식별 가능성''' – 세분 시장을 다른 세분 시장과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가.
  • '''접근 가능성''' – 기업이 제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세분 시장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가.
  • '''측정 가능성''' – 세분 시장을 정량화하고 그 규모를 결정할 수 있는가?
  • '''수익성''' – 세분 시장 서비스에서 충분한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


타겟팅 다음 단계는 세분 시장 서비스에 관련된 차별화 수준이다. 기업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세 가지 차별화 방식이 있다.

  • '''비차별화''' – 기업이 시장 세분 시장 전체에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 '''차별화''' – 기업이 세분 시장 내에서 제품을 약간 수정하여 생산하는 경우
  • '''틈새''' – 조직이 전문화된 타겟 시장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품을 만드는 경우


'''포지셔닝'''은 제품을 소비자의 마음에 어떻게 각인시키고 경쟁 제품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알리는 것이다. 기업은 소비자가 가격과 품질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동일한 산업에서 생산된 유사한 제품을 나타내는 지각 지도를 제작하여 이를 수행한다. 지도에서 제품의 위치를 통해 기업은 소비자와 경쟁사의 제품 간의 인식과 일치하도록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맞춤화한다.[75]

12. 마케팅 계획

마케팅 계획은 기업의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다. 마케팅 계획 수립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하며, 특정 제품뿐만 아니라 조직의 전체적인 마케팅 전략과 관련될 수도 있다. 조직의 마케팅 계획 수립 과정은 전체적인 사업 전략에서 파생되므로, 최고 경영진이 기업의 전략적 방향/미션을 구상할 때 의도된 마케팅 활동이 이 계획에 통합된다.

전략적 마케팅 계획 과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최고 경영진은 기업의 일반적인 사업 전략을 수립한다. 이 일반적인 사업 전략은 기업 전체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해석되고 실행된다.

기업 수준에서 마케팅 목표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하며, 단기, 중기 또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일반적인 비전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여러 회사 그룹(복합 기업)의 최고 경영진은 그룹의 매출이 10년 동안 25% 증가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전략 사업 단위(SBU)는 특정 시장/산업 내에서 활동하는 기업 내의 자회사이다. SBU는 기업 전략을 수용하고, 자체적인 특정 산업에 맞게 조정한다. 예를 들어, SBU는 스포츠 용품 산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사업 전략을 충족하기 위해 스포츠 용품 판매를 어떻게 늘릴지 파악할 것이다.

기능 수준은 SBU 내의 부서(마케팅, 재무, 인사, 생산 등)와 관련이 있다. 기능 수준은 SBU의 전략을 채택하고, 자체 시장에서 SBU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용품 산업에서 마케팅 부서는 SBU가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마케팅 계획, 전략 및 커뮤니케이션을 수립할 것이다.

13. 제품 수명 주기

제품 수명 주기. 주요 4단계(도입, 성장, 성숙, 쇠퇴)를 가정한다. 시장 출시 시점에 따른 판매량 곡선. 제품 성숙기 판매량 정체 후 급격한 감소가 뒤따를 수 있다.


제품 수명 주기(PLC)는 마케팅 관리자가 제품의 진행 상황,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한 판매량 또는 수익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제품 수명 주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 특정 제품은 도입, 성장, 성숙 및 쇠퇴 단계를 거친다.
  • 시장에 영원히 존재하는 제품은 없다.
  • 기업은 제품이 제품 수명 주기의 어느 단계에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도입''' 단계에서 제품은 시장에 출시된다. 판매량/수익 성장을 자극하기 위해, 해당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광고를 많이 사용할 수 있다.

'''성장''' 단계에서 제품의 판매량/수익이 증가하며, 이는 판매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더 많은 진입자가 시장에 진입하여 업계가 생산하는 명백한 높은 이익을 얻으려고 한다.

제품이 '''성숙''' 단계에 도달하면 판매량이 정체되기 시작하고, 시장에 진입하는 경쟁자가 증가하여 제품 가격이 하락한다. 기업은 판매를 늘리기 위해 판매 촉진을 사용할 수 있다.

'''쇠퇴''' 단계에서는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기 시작하고, 기업은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제품에 대한 수익이 실제 상품/서비스 판매보다 생산의 효율성 절감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제품이 틈새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른 제품을 보완하는 경우, 낮은 수준의 판매량/수익이 발생하더라도 제품의 생산을 계속할 수 있다.[77]

참조

[1] 웹사이트 The Real Story Behind Apple's 'Think different' Campaign https://www.forbes.c[...] 2011-12-14
[2] 뉴스 Searching for Magic in India and Silicon Valley: An Interview with Daniel Kottke, Apple Employee #12 http://boingboing.ne[...] 2012-08-09
[3] 웹사이트 The Role of Customers in Marketing Introduction to Business https://courses.lume[...]
[4] 서적 The Practice of Management Harper & Row
[5] 논문 The Insights Industry: Towards a Performativity Turn in Market Research http://journals.sage[...] 2022
[6] 뉴스 For Tobacco, Stealth Marketing Is the Norm https://www.nytimes.[...] 2006-03-10
[7] 웹사이트 Definitions of Marketing https://www.ama.or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8] 간행물 A Sustainability Roadmap for Contemporary Marketing Education: Thinking Beyond the 4Ps https://documents.uo[...]
[9] 논문 The 2004 AMA Definition of Marketing and Its Relationship to a Market Orientation: An Extension of Cooke, Rayburn, & Abercrombie https://www.jstor.or[...] 2004-09-01
[10] 웹사이트 Josiah Wedgwood, an Industrial Revolution pioneer https://www.adamsmit[...] Adam Smith Institute
[11]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1980
[12]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2018
[13] 서적 Sales Process Engineering: A Personal Workshop ASQ Quality Press
[14] 서적 International Marketing – Modern and Classic Papers Edward Elgar
[15] 웹사이트 Marketing library resources – content, knowledge databases http://www.cim.co.uk[...] CIM
[16] 논문 Market Orientation, Creativity, and New Product Performance in High-Technology Firms Journal of Marketing
[17] 뉴스 The Science of Marketing https://www.forbes.c[...]
[18] 웹사이트 10 Steps to Creating a Marketing Plan for Your Small Business http://www.dummies.c[...]
[19] 웹사이트 Marketing Concept http://www.netmba.co[...]
[20] 논문 The Market Concept: Problems and Promises 1968-09-01
[21] 서적 Market Research in Practice: How to Get Greater Insight From Your Market Kogan-Page
[22] 논문 Product Differentiation and Market Segmentation as Alternative Marketing Strategies http://pdfs.semantic[...] 1956-07-01
[23] 웹사이트 What Comes Next? Survey Analysis and Segmentation https://hub.wiley.co[...] Wiley 2017-01-12
[24] 논문 Benefit segmentation https://www.warc.com[...] 2003-05-01
[25] 서적 Introduction to Public Relations and Advertising
[26] 웹사이트 What is B2B Marketing? https://marketingcom[...] 2023-09-20
[27] 논문 Consumer involvement in supply networks: A cubic typology of C2B2C and C2B2B business models https://www.scienced[...] 2021-02-01
[28] 웹사이트 Customer to Customer – C2C https://www.investop[...]
[29] 서적 Developing a Market Orientation Sage
[30] 논문 Market Orientation: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1990-04-01
[31] 논문 The Effect of a Market Orientation on Business Profitability
[32] 논문 Periodization in Marketing History
[33] 논문 Art for Art's Sake or Art for Business Sake: An exploration of artistic product orientation
[34] 논문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ustomer-Centric Marketing
[35]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Education
[36]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Inc.
[37]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Education
[38] 논문 Marketing Orient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Industrial vs. Consumer Goods Companies
[39] 논문 Drivers of sales performance: A contemporary meta-analysis. Have salespeople become knowledge brokers? https://repub.eur.nl[...]
[40] 논문 The Marketing Concept in Perspective
[41] 논문 Market Orientation in the Transition Economies of Central Europe: Tests of the Narver and Slater Market Orientation Scales
[42] 논문 What consumerism means for marketers
[43] 서적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Irwin
[44] 논문 From Marketing Mix to Relationship Marketing: Towards a Paradigm Shift in Marketing https://www.emerald.[...]
[45] 서적 Marketing: Essential Principles, New Realities https://books.google[...] Kogan Page Publishers
[46] 논문 The Rise and Fall of the Functional Approach to Marketing: A Paradigm Displacement Perspective Emerald
[47] 논문 The marketing mix: A Canadian perspective
[48] 서적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Irwin
[49] 논문 From Marketing Mix to E-Marketing Mix: A Literature Review https://web.archive.[...] 2009-09-01
[50] 논문 The Evolution of the Marketing Concepts: Theoretically Different Roads Leading to Practically the Same Destination!
[51]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52] 논문 The Marketing Mix Revisited: Towards the 21st Century Marketing http://intranet.fuca[...]
[53] 논문 The Evolution of the Services Marketing Mix and its Relationship to Service Quality
[54] 서적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https://archive.org/[...] NTC Business Books
[55] 논문 The Concept of the Marketing Mix
[56] 웹사이트 Promotion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promotion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18-01-07
[57] 서적 Riding the Waves of Change https://archive.org/[...] Jossey-Bass
[58] 논문 An Inside-out Approach to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59] 논문 How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IMC) works? A theoretical review and an analysis of its main drivers and effects/ ¿Cómo funciona la Comunicación Integrada de Marketing (CIM)? Una revisión teórica y un análisis de sus antecedents Efectos
[60] 논문 The 4P Classification of the Marketing Mix Revisited
[61] 논문 The Marketing Mix Revisited: Towards the 21st Century Marketing
[62] 논문 Tracking the Evolution of Services Marketing Literatur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63] 논문 New Marketing Litany: Four Ps Passé: C-Words Take Over
[64] 서적 Marketing and Management Pearson Prentice Hall
[65] 논문 Business Hacks https://eprints.ucm.[...]
[66] 서적 Digital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of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67] 논문 An analysis of the virtual value chain in electronic commerce
[68] 웹사이트 Marketing Strategy: Forget the 4 P'S! What are the 4 C'S? https://catmediathea[...] 2019-04-09
[69] 뉴스 What is Marketing Environment? definition and meaning – Business Jargons http://businessjargo[...] 2015-08-25
[70] 웹사이트 NAPCS Product List for NAICS 54191: Marketing Research https://www.census.g[...]
[71]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Market Research and Marketing Research https://marketing-in[...] 2018-01-09
[72] 웹사이트 The Marketing Research Process {{!}} Principles of Marketing https://courses.lume[...] 2019-11-15
[73] 서적 Fundamentals of marketing McGraw-Hill
[74] 서적 Marketing: the Basics Routledge
[75] 서적 Strategic Management in Tourism https://archive.org/[...] CABI Publishing
[76] 뉴스 The Advertising Industry Has a Problem: People Hate Ad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10-28
[77]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Cengage Learning
[78] 웹사이트 Definitions of Marketing https://www.ama.or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022-02-01
[79] 웹사이트 Definitions of Marketing https://www.ama.or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022-02-01
[80] 웹사이트 The Real Story Behind Apple's 'Think different' Campaign https://www.forbes.c[...] 2011-12-14
[81] 뉴스 Searching for Magic in India and Silicon Valley: An Interview with Daniel Kottke, Apple Employee #12 http://boingboing.ne[...] 2012-08-09
[82] 서적 成功事例に学ぶマーケティング戦略の教科書
[83] 웹사이트 【解説】サービス・ドミナント・ロジック(SDL) https://d-marketing.[...]
[84] 웹사이트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https://en.wikipedia[...]
[85] 웹사이트 マーケティングの定義 https://www.jma2-jp.[...] 公益社団法人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 2024-09-20
[86] 서적 Marketing Pearson Education Australia
[87] 웹사이트 隔月誌「Mi」2006年10月号中小企業診断士 根本寛 http://www.kcon-nemo[...]
[88] 웹인용 마케팅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