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록스 파헬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트록스 파헬리아는 매트록스가 3D 그래픽 시장에서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 출시한 GPU 시리즈이다. 파헬리아-512는 256비트 메모리 버스와 512비트 링 버스를 특징으로 하며, 10비트 컬러 프레임 버퍼와 트리플 헤드 기능을 지원하여 최대 3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파헬리아-LX는 파헬리아-512의 후속 모델로, 128비트 메모리와 2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지원하며, 밀레니엄 P650, P750 등의 그래픽 카드에 탑재되었다. 파헬리아 시리즈는 10비트 기가 컬러, 16x 프래그먼트 안티 앨리어싱, 글리프 안티 앨리어싱 등의 기능을 제공했으나, 3D 게임 성능에서 경쟁 제품에 미치지 못하고 DirectX 9 지원 미흡으로 인해 게임 시장에서 철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래픽 카드 - 매트록스 G200
매트록스 G200은 1990년대 후반 매트록스가 출시한 고급 2D 그래픽 가속기 시리즈로, 듀얼버스 아키텍처, 32비트 색상 지원, 트리리니어 밉맵 필터링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2D 그래픽 분야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저전력 설계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소음 감소에 기여했다. - 그래픽 카드 - 인텔 Xe
인텔 Xe는 저전력부터 고성능 컴퓨팅까지 다양한 시장을 목표로 하는 인텔의 GPU 아키텍처 제품군으로, Xe-LP, Xe-HPG, Xe-HP, Xe-HPC 등의 하위 아키텍처를 가지며 외장 그래픽 카드인 인텔 아크 시리즈와 내장 그래픽, 데이터 센터용 GPU 등에 활용된다.
| 매트록스 파헬리아 | |
|---|---|
| 기본 정보 | |
![]() | |
| 제품군 | 파헬리아 |
| 출시일 | 2002년 8월 |
| 단종 | 2004년 |
| 인터페이스 | AGP 4x AGP 8x |
| 기술 사양 | |
| 코드명 | 파헬리아 |
| 프로세스 | 150 nm |
| 트랜지스터 수 | 8천만 |
| 메모리 | |
| 메모리 크기 | 128 또는 256 MiB |
| 메모리 종류 | DDR SDRAM |
| 메모리 인터페이스 | 256비트 |
| 클럭 속도 | |
| 코어 클럭 | 220 MHz |
| 메모리 클럭 | 275 MHz (550 MHz DDR) |
| 기능 | |
| DirectX | 8.1 |
| OpenGL | 1.4 |
| 성능 | |
| 픽셀 필 레이트 | 880 MTexel/s |
| 버텍스 파이프라인 | 4 |
| 픽셀 파이프라인 | 4 |
2. 역사적 배경
파헬리아 시리즈는 매트록스가 오랫동안 시장에서 부진한 이후, G200 및 G400 라인이 경쟁력을 잃은 뒤 처음으로 시도한 중요한 노력이었다. G400 이후에 나온 G450 및 G550과 같은 제품들은 G400 기술을 바탕으로 비용을 절감한 개정판이었으며, 3D 컴퓨터 그래픽스 성능 면에서는 ATI의 라데온이나 NVIDIA의 지포스 라인과 경쟁하기 어려웠다.
3. 파헬리아-512
파헬리아-512(Parhelia-512)는 매트록스(Matrox)사가 대만 UMC사의 150nm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 GPU로, 약 8,000만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다. 이 칩은 256비트 그래픽 코어와 독립적인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가졌으며, DirectX 8.1 수준의 기능을 지원했다.[10][11][12] 1999년 G400 시리즈 이후 약 3년 만에 출시된 새로운 GPU였으나, 높은 가격과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3D 성능으로 인해 점차 산업용 시장에 집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파헬리아-512 칩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술들을 지원했다.
이 GPU를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었다.3. 1. 개요
Parhelia-512는 8,000만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으며, 대만 UMC사의 150nm 공정으로 제조된 매트록스사의 GPU이다.
이 GPU는 256비트 그래픽스 코어와 상하 독립적인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가지며, 비디오 메모리 (VRAM)는 DDR-SGRAM을 최대 256MB까지 지원한다. DirectX (Direct3D) 8.1에 대응[10]한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02년 말 DirectX 9.0이 정식 출시되기 전에, 그 기능의 일부를 선점하는 형태로 구현했으며[11], 프로그래머블 셰이더 유닛은 픽셀 셰이더 1.3(4기)과 버텍스 셰이더 2.0(4기)을 탑재한다. 그러나 DirectX 7의 고정 기능 하드웨어 T&L은 탑재하지 않고, 버텍스 셰이더 유닛에 의한 에뮬레이션으로 대응한다[12]. 또한 비디오 출력 인코더와 2기의 RAMDAC을 통합하며, 2기의 TMDS 트랜스미터와 1기의 외부 RAMDAC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는 AGP 4x에 대응하며, 이후 AGP 8x 대응 모델도 출시되었다. 매트록스 제품으로는 처음으로 동영상 재생 지원 기능으로서 MC에 대응하고 있다.
1999년의 G400 시리즈 이후, 3년 만에 출시된 매트록스의 신규 GPU라는 점과 다양한 독자 기능 및 화려한 사양으로 큰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실제로 출시된 제품은 가격이 높은 데다가 기대했던 정도의 3D 처리 성능을 얻지 못했다. 이 때문에, 초기에는 게임 사용자를 포함한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지만, 점차 독자 기능을 살릴 수 있는 산업용으로 전환되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제품 라인업은 AGP 버전 중심의 개인용 모델보다는 Parhelia의 고정밀 2D 기능을 활용한 PCI 버전 중심의 산업용 모델이 압도적으로 많아지는 등, 매트록스의 GPU 비즈니스가 개인용에서 산업용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 칩이라고 할 수 있다.
3. 2. 주요 기능
파헬리아-512는 매트록스가 처음으로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갖춘 GPU로, 출시 당시 다른 그래픽 카드보다 메모리 대역폭 측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제품명의 "-512" 접미사는 512비트 링 버스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파헬리아 프로세서는 글리프 가속 기능을 내장하여 텍스트의 앤티에일리어싱 처리를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했다.
GPU 구조는 전용 디스플레이스먼트 매핑 엔진을 갖춘 4개의 32×4 버텍스 셰이더와 4개의 텍스처 유닛, 그리고 픽셀당 5단계 처리가 가능한 픽셀 셰이더 파이프라인을 포함한다. 16배 프래그먼트 앤티에일리어싱(16x Fragment Anti-Aliasing)을 지원하며, 이는 매트록스가 공개한 '코랄 리프(Coral Reef)' 기술 데모 영상에서 주요 특징으로 부각되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10비트 색상 프레임 버퍼, 이른바 "기가컬러(GigaColor)"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2개의 RGB 포트에서 각각 10비트 400MHz RAMDAC을, TV 인코더 포트에서는 230MHz RAMDAC을 통해 구현되어 당시 경쟁 제품들보다 향상된 색상 표현 능력을 제공했다. 프레임 버퍼는 RGBA(10:10:10:2) 형식으로 구성되며 전체 감마 보정을 지원한다.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컨트롤러를 통해 듀얼 링크 TMDS 출력이 가능하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256비트 DDR SDRAM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서라운드 게이밍(Surround Gaming)" 기능은 파헬리아 카드의 독특한 장점 중 하나로, 최대 3대의 모니터를 동시에 연결하여 게임 플레이 시 높은 수준의 몰입감을 제공했다. 예를 들어, 비행 시뮬레이터나 레이싱 게임에서 가운데 모니터는 정면 시야를 보여주고, 좌우 모니터는 각각 측면 시야(주변 시야)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다만, 3대의 모니터 중 독립적인 화면 설정이 가능한 것은 2대까지였다.[1]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색상 정보를 RGB 각 채널당 10비트로 처리하여 약 10억 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색 공간을 구현한다.
: 최대 3대의 디스플레이 연결을 지원하는 멀티 모니터 기능이다. 이를 통해 최대 3,840×1,024 화소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표시가 가능하다.
: 화면 속 3D 모델의 가장자리(edge)를 감지하여 해당 부분에만 16×16 정밀도의 앤티에일리어싱을 적용하는 기술이다. 전체 화면에 앤티에일리어싱을 적용하는 방식(FSAA)에 비해 그래픽 처리 부하를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앤티에일리어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글꼴 표시에 감마 보정을 적용하여 텍스트를 부드럽게 표시하는 기능이다.
3. 3. 성능

매트록스 파헬리아는 최고급형에 속하는 다소 비싼 카드(399USD)였지만, 3D 게임 성능은 당시 NVIDIA의 구형이자 비슷한 가격대의 GeForce 4 Ti 4600보다 훨씬 떨어졌다. 성능 면에서는 이전 세대 그래픽 카드인 ATI의 Radeon 8500이나 엔비디아의 GeForce 3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이었는데, 이들 제품은 파헬리아 가격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파헬리아의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낮은 GPU 클럭 속도였다. 소매용 모델은 220MHz, OEM 및 256MB 메모리 모델은 200MHz로 동작했다. 초기에는 당시 기준으로 많은 트랜지스터 수(8천만 개) 때문에 클럭 속도를 높이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하지만 같은 해 말에 출시된 ATI의 Radeon 9700은 동일한 150nm 칩 제조 공정으로 만들어졌음에도 파헬리아보다 훨씬 많은 1억 8백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하고도 더 높은 325MHz의 클럭 속도를 달성했다.
이 카드의 필 레이트(fill rate) 성능은 여러 개의 텍스처 유닛을 사용하는 게임에서 강력했다. 파헬리아는 4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가졌고, 각 파이프라인마다 4개의 텍스처 유닛을 탑재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대부분의 게임 환경에서 효율적이지 못했다. 또한, 파헬리아는 경쟁 제품들에 비해 메모리 대역폭 절약 기술이 부족했다. ATI는 Radeon 9700에 3세대 HyperZ 기술을 도입했고, NVIDIA는 GeForce 4 시리즈에서 Lightning Memory Architecture 2를 내세웠지만, 매트록스는 이와 견줄 만한 최적화 기술을 갖추지 못했다. 파헬리아는 인상적인 원시 메모리 대역폭을 가지고 있었지만, 카드가 화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그리는 오버드로우를 예측하거나 z-버퍼 데이터를 압축하는 능력 등이 부족하여 실제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많은 대역폭이 낭비되었다. 일부 평론가들은 파헬리아가 전형적인 3D 렌더링 작업에서 칩의 나머지 부분을 고갈시키는 "불완전한" 삼각형 설정 엔진(triangle setup engine)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https://web.archive.org/web/20030904210006/http://www.anandtech.com/video/showdoc.html?i=1656&p=6.
파헬리아 출시 후반기에 DirectX 9 기반의 게임들이 점차 확산되면서, 매트록스는 파헬리아가 버텍스 셰이더에서 셰이더 모델 2.0을 지원하지 않아 초기 광고와 달리 DirectX 9 규격을 완전히 준수하지 못한다고 인정했다. 아마도 파헬리아 코어 내에 드라이버에서 해결할 수 없는 몇 가지 버그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파헬리아의 성능이 더 복잡한 셰이더 코드가 카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DirectX 9 지원 타이틀을 제대로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다소 무의미한 문제가 되었다.
3. 4. 제품
2002년에 출시된 이 카드들은 간단히 "매트록스 파헬리아(Matrox Parhelia)"라고 불렸으며, 처음에는 128 또는 256MiB 메모리가 탑재되었다. 소매용 카드는 220MHz 코어, 275MHz 메모리로 클럭되었고, OEM 카드는 200MHz 코어, 250MHz 메모리로 클럭되었다.[2]
아날로그 이미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5차 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되었다.
Parhelia-512는 8,000만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으며, 대만 UMC사의 150nm 공정으로 제조된 매트록스(Matrox)사의 GPU이다.
Parhelia-512 GPU는 256비트 그래픽스 코어와 상하 독립적인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가지며, 비디오 메모리 (VRAM)는 DDR-SGRAM을 최대 256MB까지 지원한다. DirectX (Direct3D) 8.1에 대응하며[10],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02년 말 DirectX 9.0이 정식 출시되기 전에 그 기능의 일부를 선점하는 형태로 구현했다.[11] 프로그래머블 셰이더 유닛은 픽셀 셰이더 1.3(4개)과 버텍스 셰이더 2.0(4개)을 탑재했지만, DirectX 7의 고정 기능 하드웨어 T&L은 탑재하지 않고, 버텍스 셰이더 유닛에 의한 에뮬레이션으로 대응하는 방식이다.[12] 또한 비디오 출력 인코더와 2개의 RAMDAC을 통합하며, 2개의 TMDS 트랜스미터와 1개의 외부 RAMDAC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는 AGP 4x에 대응하며, 이후 AGP 8x 대응 모델도 출시되었다. 매트록스 제품으로는 처음으로 동영상 재생 지원 기능으로서 MC(Motion Compensation)에 대응하고 있다.
1999년의 G400 시리즈 이후 3년 만에 출시된 매트록스의 신규 GPU라는 점과 다양한 독자 기능 및 화려한 사양으로 큰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실제로 출시된 제품은 높은 가격에 비해 기대했던 수준의 3D 처리 성능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 때문에, 처음에는 게임 사용자를 포함한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지만, 점차 독자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산업용 시장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제품 라인업은 AGP 버전 중심의 개인용 모델보다는 Parhelia의 고정밀 2D 기능을 활용한 PCI 버전 중심의 산업용 모델이 압도적으로 많아졌으며, 이는 매트록스의 GPU 사업이 개인용 시장에서 산업용 시장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 칩이라고 평가받는다.
'''파헬리아'''
'''파헬리아 PCI'''
'''파헬리아 DL256 PCI'''
'''파헬리아 HR 256'''3. 5. 기타 탑재 제품
; '''QID Pro'''
: PCI 버전을 쿼드 디스플레이까지 지원하여 최대 4개의 모니터에 걸쳐 오버레이 표시를 가능하게 한 제품이다. 비디오 메모리 용량은 256MB이다.
; '''기타 산업용 파생 버전'''
: 의료, 금융 증권, 항공 관제, 위성 이미지, GIS, 공공 광고 등 각종 산업용 특수 용도 모델이 다수 존재한다. 인터페이스에 PCI-X를 채용한 모델이 많다.
; '''QID'''
: 쿼드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며, 최대 4개의 모니터에 걸쳐 오버레이 표시가 가능하다. AGP 8x를 지원한다. 비디오 메모리 용량은 128MB이다.
; '''QID LP PCI'''
: 쿼드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로우 프로파일 PCI를 지원한다. 비디오 메모리 용량은 128MB이다.
; '''QID LP PCIe'''
: 쿼드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PCI Express와 로우 프로파일을 지원한다. 비디오 메모리 용량은 128MB이다.
4. 파헬리아-LX

매트록스가 파헬리아 512 출시 이후 발표한 GPU이다. 파헬리아 512의 저가형 모델로 2003년에 출시되었으며, 128비트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2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갖추었다. 파헬리아-LX를 탑재한 대표적인 그래픽 카드로는 '''매트록스 밀레니엄 P650'''과 '''매트록스 밀레니엄 P750'''이 있다. 파헬리아 512에 비해 일부 기능이 축소되었으나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은 개선된 특징을 보인다.
4. 1. 개요
매트록스는 파헬리아 512를 출시한 후, 2003년에 저가형 모델인 '''파헬리아 LX'''(Parhelia-LX)를 발표했다. 파헬리아 LX는 128비트 메모리와 2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지원하며, 파헬리아 512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렌더링 유닛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발표 당시 DirectX 9를 지원한다고 했던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되었다(제품 CD에 포함된 DirectX는 8.1 버전이다). 하지만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은 파헬리아 512보다 개선되었다.파헬리아 LX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그래픽 카드는 '''매트록스 밀레니엄 P650'''과 '''매트록스 밀레니엄 P750'''이다. 밀레니엄 시리즈에는 기존 G 시리즈 대신 'P'가 붙었는데, 이는 '파헬리아(Parhelia)'를 의미한다. 파헬리아 512가 PCI 버전을 중심으로 산업용 고화질 파생 제품을 많이 내놓은 반면, 파헬리아 LX 기반 제품들은 Plus 시리즈나 QID 시리즈처럼 주로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강화한 파생 버전이 출시된 것이 특징이다.
초기 모델은 AGP 8x를 지원하는 P650과 P750 두 제품뿐이었으나, 이후 PCI 버전이 출시되었고, 2005년에는 PCI Express 16x를 지원하는 P650 PCIe와 Parhelia APVe가 발표되었다. 2007년에는 P650 시리즈를 재설계하여 소비 전력을 낮추고 팬리스 구조를 채택한 P690 시리즈가 나왔다. P690 Plus 시리즈는 비디오 메모리를 256MB로 늘리고, 옵션으로 쿼드 디스플레이(QuadDisplay)까지 지원했다.
4. 2. 제품
매트록스는 파헬리아-512(Parhelia-512) 출시 이후, 128비트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2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갖춘 '''파헬리아-LX'''(Parhelia-LX)를 출시했다. 파헬리아-LX는 파헬리아-512의 저가형 모델로 2003년에 발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첫 그래픽 카드로는 '''매트록스 밀레니엄 P650'''(Matrox Millennium P650)과 '''밀레니엄 P750'''(Millennium P750)이 있다.파헬리아-LX는 기존 파헬리아-512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렌더링 유닛 수가 절반으로 줄었고, 발표 당시 DirectX 9를 지원한다고 했던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되었다 (제품에 포함된 DirectX 버전은 8.1). 하지만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은 오히려 개선되었다.
Millennium 시리즈는 기존의 G 시리즈를 대체하며 모델명에 '''P'''가 붙었는데, 이는 '''파헬리아'''(Parhelia)를 의미한다. 파헬리아-512 기반 제품들이 주로 PCI 버전을 중심으로 산업용 고화질 파생 모델을 많이 출시한 반면, 파헬리아-LX 기반 제품들은 Plus 시리즈나 QID 시리즈처럼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강화한 파생 모델 위주로 출시된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AGP 8x를 지원하는 P650과 P750 두 모델만 있었으나, 이후 PCI 버전이 추가되었고, 2005년에는 PCI Express 16x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P650 PCIe와 파헬리아 APVe(Parhelia APVe)가 발표되었다. 2007년에는 P650 시리즈를 재설계하여 소비 전력을 낮추고 팬 없이 작동하도록 만든 P690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또한 Plus 시리즈는 비디오 메모리를 256MB로 늘리고, 옵션을 통해 쿼드 디스플레이(QuadDisplay)까지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다음은 파헬리아-LX 기반의 주요 제품 목록이다.
| 모델명 | 인터페이스 | 최대 헤드 수 | 비디오 메모리 | 비고 |
|---|---|---|---|---|
| Millennium P650 | AGP 8x | 듀얼 | 64MB | |
| Millennium P650 로우 프로파일 PCI | 로우 프로파일 PCI | 듀얼 | 64MB | |
| Millennium P650 PCIe | PCI Express x16 | 듀얼 | 128MB | ![]() |
| Millennium P650 LP PCIe | 로우 프로파일 PCI Express x16 | 듀얼 | 64MB | |
| Millennium P750 | AGP 8x | 트리플 | 64MB | |
| 파헬리아 APVe | PCI Express x16 | 트리플 | 128MB | HDTV 출력, S-Video/컴포지트 입력 지원 -- |
| Millennium P690 PCIe x16 | PCI Express x16 | 듀얼 | 128MB | P650 재설계, 저전력, 팬리스 -- |
| Millennium P690 PCI | PCI | 듀얼 | 128MB | P650 재설계, 저전력, 팬리스 |
| Millennium P690 LP PCIe x16 | 로우 프로파일 PCI Express x16 | 듀얼 | 128MB | P650 재설계, 저전력, 팬리스 |
| Millennium P690 PCIe x1 | 로우 프로파일 PCI Express x1 | 듀얼 | 128MB | P650 재설계, 저전력, 팬리스 |
| Millennium P690 Plus LP PCIe x16 | 로우 프로파일 PCI Express x16 | 쿼드 (옵션) | 256MB | P650 재설계, 저전력, 팬리스 |
| Millennium P690 Plus LP PCI | 로우 프로파일 PCI | 쿼드 (옵션) | 256MB | P650 재설계, 저전력, 팬리스 |
4. 3. 관련 제품
파헬리아 512를 출시한 뒤 매트록스는 128비트 메모리에 2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지원하는 '''파헬리아 LX'''를 출시하였다. 이를 이용한 최초의 그래픽 카드로는 '''매트록스 밀레니엄 P650'''과 '''밀레니엄 P750'''이 있다.- '''밀레니엄 P650 AGP TripleHead 업그레이드 키트''': P650 AGP를 TripleHead 지원 및 DualHead+TV 출력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출력 케이블이다(P650 AGP 전용, 구매 시 시리얼 번호 필요). 매트록스의 직판 사이트에서 판매되었지만, 일본 내에서는 출시되지 않았다.
- '''밀레니엄 P690 Plus, M9120 Plus 쿼드 모니터 업그레이드 케이블(CAB-L60-4XAF)''': P690 Plus, M9120 Plus를 쿼드 디스플레이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출력 케이블이다(P690 Plus, M9120 Plus 전용).
5. 파헬리아 시리즈의 표시 기능
또한, 업무용 상위 기종인 QID 시리즈(''QID''는 "Quad Information Display"의 약자)에서는 '''Quad Display''' 기능을 통해 최대 4개의 화면을 지원한다.
| 모드 | 기능 | 비고 |
|---|---|---|
| 복제 | 주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화면을 보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 |
| 멀티 디스플레이 | 여러 디스플레이에 단일 또는 독립적인 데스크톱을 표시한다. | |
| 확대 | 주 디스플레이에서 지정한 임의의 영역을 보조 디스플레이에 임의의 배율로 전체 화면 표시한다. | 안티앨리어싱 표시가 가능하다. |
| DVD MAX | 주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동영상 이미지를 보조 디스플레이에 전체 화면으로 출력한다. | 대상 동영상은 DVD에 한정하지 않는다. |
6. 주요 사양
파헬리아-512는 매트록스가 처음으로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갖춘 GPU로, 출시 당시 다른 그래픽 카드보다 메모리 대역폭 측면에서 유리했다. 칩 이름의 "-512"는 512비트 링 버스를 의미한다. 파헬리아 프로세서는 글리프 가속 기능을 내장하여 텍스트의 앤티에일리어싱을 하드웨어적으로 가속 처리했다.
주요 기술 사양은 다음과 같다:
- 4개의 32×4 버텍스 셰이더 유닛 (전용 디스플레이스먼트 매핑 엔진 포함)
- 4개의 텍스처 유닛
- 픽셀당 5단계의 픽셀 셰이더 파이프라인
- 16배 프래그먼트 앤티에일리어싱 지원 (매트록스의 'Coral Reef' 기술 데모에서 강조됨)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10비트 컬러 프레임 버퍼("기가컬러")를 지원했는데, 이는 당시 경쟁 제품보다 개선된 부분이었다. 세부적으로는 2개의 RGB 포트에 10비트 400 MHz RAMDAC, TV 인코더 포트에 230 MHz RAMDAC를 갖추었다. 프레임 버퍼는 RGBA(10:10:10:2) 형식이며 전체 감마 보정을 지원했다. 듀얼 링크 TMDS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컨트롤러를 통해 지원되었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256비트 DDR SDRAM을 지원했다.
파헬리아는 "서라운드 게이밍" 기능을 통해 3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게임 몰입감을 높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비행 시뮬레이션이나 레이싱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가운데 모니터는 정면 시야를, 좌우 모니터는 측면 시야(주변 시야)를 보여주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2개의 디스플레이만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1]
파헬리아-512는 출시 당시 399USD의 비교적 높은 가격대의 카드였으나, 3D 게임 성능은 NVIDIA의 이전 세대이면서 비슷한 가격대의 GeForce 4 Ti 4600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성능 면에서는 오히려 절반 가격 수준이었던 ATI의 Radeon 8500이나 NVIDIA의 GeForce 3와 경쟁하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성능 부족의 원인으로는 비교적 낮은 GPU 클럭 속도(소매 모델 220 MHz, OEM 및 256 MB 모델 200 MHz)가 지적되었다. 당시 많은 전문가들은 8천만 개에 달하는 트랜지스터 수 때문일 것으로 추측했으나, 같은 해 말에 출시된 ATI의 Radeon 9700은 동일한 150 nm 칩 제조 공정에서 더 많은 1억 8백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하고도 훨씬 높은 325 MHz의 클럭 속도를 달성했다.
파헬리아는 많은 텍스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게임에서는 필 레이트 성능이 강점을 보였다. 4개의 픽셀 파이프라인 각각에 4개의 텍스처 유닛을 탑재했기 때문인데, 이는 대부분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비효율적인 구조였다. 또한 메모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경쟁사인 ATI는 Radeon 9700에 3세대 HyperZ 기술을, NVIDIA는 GeForce 4 시리즈에 Lightning Memory Architecture 2 기술을 적용했지만, 매트록스에는 이와 같은 종합적인 최적화 기술이 없었다. 파헬리아는 높은 원시 메모리 대역폭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그리는 오버드로우를 예측하거나 Z 버퍼 데이터를 압축하는 등의 기능 부족으로 인해 상당 부분의 대역폭이 낭비되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파헬리아의 삼각형 설정 엔진(triangle setup engine)이 불완전하여 칩의 다른 부분 성능까지 저하시킨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DirectX 9 규격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파헬리아는 초기의 광고와 달리 DirectX 9를 완전하게 지원하지 못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는 버텍스 셰이더가 셰이더 모델 2.0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드라이버 업데이트로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적인 문제로 추정된다. 하지만 당시 파헬리아의 전반적인 성능 자체가 DirectX 9 게임들을 원활히 구동하기에는 부족했기 때문에, 이 문제는 큰 의미를 갖지는 못했다.
파헬리아 512 출시 이후, 매트록스는 128비트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2개의 픽셀 파이프라인을 지원하는 보급형 모델인 파헬리아 LX를 출시했다. 이 칩을 사용한 대표적인 그래픽 카드로는 매트록스 밀레니엄(Matrox Millennium) P650과 P750이 있다.
| 모델 | 인터페이스 | 메모리 | 텍스처 유닛 수 | 셰이더 유닛 수 | 제조 공정 (nm) | 대표 제품 | 비고 | |||
|---|---|---|---|---|---|---|---|---|---|---|
| 종류 | 버스 폭 (bit) | 최대 용량 (MB) | 픽셀 (버전) | 정점 (버전) | ||||||
| Parhelia-512 | AGP 4x 또는 8x | DDR-SGRAM | 256 | 256 | 4 | 4 (v1.3) | 4 (v2.0) | 150 | Parhelia | PCI 버전은 브리지 칩 사용 |
| Parhelia-LX | AGP 8x 또는 PCIe 1x 또는 16x | 128 | 128 | 2 | 2 (v1.3) | 2 (v1.1) | 130 | Millennium P650 Parhelia APVe |
참조
[1]
웹사이트
Matrox's Comeback Kid - The Parhelia-512
http://www.anandtech[...]
[2]
웹사이트
Matrox's Parhelia - A Performance Paradox
http://www.anandtech[...]
[3]
웹사이트
Parhelia II Codename "Pitou"
http://www.forum-3dc[...]
[4]
웹사이트
Matrox brings triple displays to gaming with TripleHead2Go
https://arstechnica.[...]
[5]
웹사이트
New Matrox TripleHead2Go external upgrade offers support for 3 monitors at a time
http://matrox.com/gr[...]
[6]
웹사이트
Matrox Graphics announces Millennium P690 Series fanless graphics cards
http://matrox.com/gr[...]
[7]
웹사이트
Introducing Matrox M-Series - graphics cards for stretched desktop applications powered by industry's first true QuadHead GPU
http://www.matrox.co[...]
[8]
웹사이트
Matrox Chooses AMD GPU for Next Generation Multi-display Graphics Cards
http://www.matrox.co[...]
[9]
웹사이트
Matrox Unveils Quad and Six-Head PCI Express Graphics Cards
http://www.matrox.co[...]
[10]
웹사이트
Matrox Parhelia-512 GPU Specs | TechPowerUp GPU Database
https://www.techpowe[...]
[11]
웹사이트
ASCII.jp:GPU黒歴史 失敗したMatroxの反撃 Parheliaは今も生きる (3/4)
https://ascii.jp/ele[...]
[12]
웹사이트
AKIBA PC Hotline! HotHotレビュー
https://pc.watch.im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