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토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멕시코토끼(Romerolagus diazi)는 멕시코 고유종으로, 멕시코시티 남동쪽의 4개 화산 지역에 서식하는 토끼이다. 몸무게는 386~602g이며, 짧고 빽빽한 털을 가지고 있다. 멕시코토끼는 해발 2,900~3,660m의 초원, 소나무 숲 등에서 발견되며, 멕시코 횡단 신화산대의 초원 최대 280km2를 포함하는 분포 범위를 가진다.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사냥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었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끼과 - 아마미검은토끼
아마미검은토끼는 일본 아마미 군도의 아마미오섬과 도쿠노시마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토끼로, 짧은 귀와 뒷다리, 굵은 체형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본 정부에서 보호하고 있다. - 토끼과 - 안남줄무늬토끼
- EDGE 종 - 오랑우탄
오랑우탄은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유인원으로,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타파눌리섬에 서식하는 세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EDGE 종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 1893년 기재된 포유류 - 회색쇠주머니쥐
회색쇠주머니쥐는 멕시코 남부에서 유카탄 반도까지 분포하며, 옅은 회색에서 갈색 털을 가진 작은 주머니쥐로, 곤충을 주로 먹는 잡식성 야행성 동물이며, 삼림 벌채와 외래종과의 경쟁에 위협받는다. - 1893년 기재된 포유류 - 나무쌀쥐
나무쌀쥐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며 멕시코 남부에서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까지 분포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멕시코토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omerolagus diazi |
명명자 | (Ferrari-Pérez, 1893) |
다른 이름 | Lepus diazi Ferrari-Perez, 1893 |
영어 이름 | Volcano rabbit (화산 토끼) |
분포 | |
![]() |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토끼목 |
과 | 토끼과 |
속 | 멕시코토끼속 (Romerolagus) |
종 | 멕시코토끼 (R. diazi) |
보존 상태 | |
IUCN | 멸종 위기 (EN) |
CITES | 부속서 I |
IUCN 평가 시점 | 2019년 |
서식지 및 개체수 | |
서식지 | 멕시코의 화산 지역 |
개체수 | 엘 펠라도 화산의 분포 및 개체수 크기 연구 (1994년) |
2. 형태 및 해부학적 특징
멕시코토끼는 멕시코 고유종이다.[9] 구체적으로 멕시코시티 남동쪽에 위치한 4개의 화산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가장 큰 서식지는 이스타-포포 국립공원 내에 있으며, 그 외 치치나우친 화산과 펠라도 화산 등에도 분포한다.[4][10][6] 그러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서식지가 16개의 개별적인 구획으로 파편화되었다.[4][10][6]
멕시코토끼 성체의 체중은 386g에서 602g 사이이다.[7][26] 몸길이는 27cm에서 31.5cm 정도이다.[26] 꼬리 길이는 1.8cm에서 3.1cm로 매우 짧아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26][25] 온몸은 짧고 빽빽한 털로 덮여 있으며[26], 털 색깔은 갈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다.[7] 등과 옆면은 짙은 갈색이고, 배 쪽은 엷은 황갈색을 띤다.[26]
귓바퀴는 짧고 둥근 모양이며, 길이는 4cm에서 4.5cm이다.[26] 사지는 짧다.[25][26] 쇄골과 흉골은 서로 붙어 있다.[25] 특화된 상부 앞니 두 쌍을 가지고 있어 이빨 구조로 설치류와 구별된다.[12]
몸집이 작고 뒷다리가 덜 발달한 편이어서,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풀이 우거진 환경이 필수적이다.[4][12]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갑작스러운 위험 회피 행동과 관련이 있다.[12] 개방된 서식지에서는 비교적 느리고 취약하기 때문에, 높고 은폐된 지역을 선호한다.[12] 작은 몸집은 먹이를 까다롭게 고르는 선택적인 식습관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2]
갓 태어난 새끼는 털로 덮여 있지만, 눈은 감겨 있는 상태이다.[26]
멕시코토끼는 서식지 내 이동을 위해 밭쥐가 만드는 것과 유사한 통로를 만든다.[12] 이들의 굴은 빽빽한 풀 덩어리 아래 만들어지며, 길이는 최대 5m, 깊이는 40cm에 달할 수 있다.[12]
3. 분포 및 서식지
이들 서식지는 해발 2900m에서 3660m 사이의 고지대에 위치하며,[9] 북아메리카와 신열대구 품종을 포함하는 토착 초원이 우세하다. 토양은 주로 안도졸과 리토졸로 구성되어 있다.[9] 지역 기후는 온대 아습윤하며, 연평균 기온은 11°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약 1000mm이다.[9] 멕시코토끼가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에는 ''Festuca tolucensis''와 ''Pinus hartwegii'' 같은 식물이 풍부하다.[9] 멕시코토끼는 개방된 소나무 숲이나 혼합된 오리나무-소나무 숲처럼 키가 크고 빽빽한 풀과 짙은 초목이 있는 환경을 선호한다.[9][12] 거의 71%의 개체가 소나무 숲, 오리나무 숲, 초원에서 발견된다.[12]
이러한 서식지는 고속도로 건설, 농업 확장, 조림, 그리고 미흡한 화재 및 방목 관리와 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크게 파편화되었다.[9][4][10][11] 벌목이나 화재와 같은 인위적인 환경 교란 역시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12]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동은 특히 서식 가능한 범위의 가장자리에 있는 멕시코토끼 개체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멕시코토끼의 전체 분포 범위는 멕시코 횡단 화산대 고지대 초원의 최대 280km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2]
과거 네바도 데 톨루카에서도 1975년에 표본이 수집된 기록이 있으나,[4] 이후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서식 증거를 찾지 못했다. 2003년 미확인 목격 보고가 있었지만,[14] 영구적인 군집은 확인되지 않았고, 결국 2018년 이 지역에서는 지역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14]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역시 네바도 데 톨루카를 멕시코토끼의 분포 지역으로 간주하지 않는다.[16] 현재 멕시코토끼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주요 지역은 이스타시우아틀 산, 티아록 산, 페라도 산, 포포카테페틀 산 등이다.[26]
3. 1. 서식지 관리
국제 자연 보전 연맹 (IUCN)/종 보존 위원회(SSC) 토끼 전문가 그룹은 멕시코토끼의 서식지인 사카톤 풀밭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과도한 방목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멕시코토끼의 사냥, 포획, 판매를 금지하는 법률 시행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한다.[12] 또한, 멕시코토끼(화산토끼)의 지리적 분포, 서식지 내 생태적 역할, 개체군 역학, 그리고 진화 역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권장했다.[12]
4. 생태
화산토끼의 성체 몸무게는 386g에서 602g 사이이다. 털은 짧고 빽빽하며, 색깔은 갈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다.[7] 다른 토끼류처럼 두 쌍의 상부 앞니를 가지고 있어 설치류와 구별된다.[12] 작은 몸집과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뒷다리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풀로 덮인 은신처가 중요함을 보여준다.[4][12] 이 때문에 화산토끼는 개방된 서식지에서는 비교적 느리고 취약하여, 키 큰 풀이 우거진 지역을 선호한다.[12]
화산토끼는 서식지를 이동하기 위해 밭쥐가 만드는 것과 유사한 통로를 만든다.[12] 굴은 빽빽한 풀숲 아래에 만들며, 길이는 최대 5m, 깊이는 40cm에 이른다.[12] 주로 해 질 녘이나 밤에 활동하며,[26] 2마리에서 5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25][26]
화산토끼는 멕시코 고유종으로,[9] 멕시코시티 남동쪽에 위치한 네 개의 화산 지역에만 서식한다. 주요 서식지로는 이스타시우아틀-포포카테페틀 국립공원이 있으며, 치치나우친 화산과 펠라도 화산 등에서도 발견된다.[4][10][6] 이들의 서식지는 해발 2900m에서 3660m 사이의 고지대에 위치하며,[9] 주로 안도졸과 리토졸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후는 온대 아습윤하며, 연평균 기온은 11°C, 연평균 강수량은 약 1000mm이다.[9] 화산토끼는 특히 ''Festuca tolucensis''와 ''Pinus hartwegii''(하트웩소나무)가 풍부한 초원이나, 소나무 숲, 오리나무 숲 등을 선호한다.[9][12]
그러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화산토끼의 서식지는 16개의 조각으로 파편화되었다.[9] 고속도로 건설, 농업 확장, 조림 사업, 그리고 부적절한 화재 및 방목 관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4][10][11] 또한, 지난 18,000년 동안 진행된 5°C에서 6°C 정도의 기온 상승과 같은 기후 변화 역시 서식지 감소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서식 범위 가장자리에 사는 개체군에게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3][18] 화산토끼의 분포 범위는 멕시코 횡단 신화산대의 고지대 초원 약 280km2에 불과하다.[12] 과거 네바도 데 톨루카에서도 서식 기록이 있었으나, 현재는 안정적인 개체군이 확인되지 않아 2018년 해당 지역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4][14][16]
서식지 파괴와 파편화는 화산토끼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멕시코에서 가장 인구가 밀집한 멕시코시티 주변에 서식하기 때문에 서식지 파괴 압력이 매우 높다.[18] 서식지가 파편화되고 환경이 개방적으로 변하면서 생존에 불리해지고 있으며, 인위적인 교란은 다른 토끼 종인 실비라구스 속 토끼들이 초원에서 번성하게 만들어 화산토끼와의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12]
화산토끼는 사육 환경에서 번식시킬 수 있지만,[5] 이 경우 유전적 다양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사육된 화산토끼는 야생 개체군에 비해 상당수의 유전자좌를 잃었으며, 일부는 유전적 변이의 88%까지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19]
4. 1. 식단
화산토끼는 주로 ''Festuca amplissima'', ''Muhlenbergia macroura'', ''Stipa ichu'', 그리고 ''Eryngium rosei''와 같은 풀을 먹고 산다.[17] 토끼는 또한 포식자로부터 숨기 위해 이러한 식물을 은신처로 사용한다.[17] ''M. macroura''는 화산토끼의 배설물에서 89%나 발견되어 주요 식단임을 시사하지만, 실제로 토끼에게 필요한 에너지와 단백질을 제공하지는 못한다.[17] 화산토끼는 15가지 다른 형태의 식물을 보충하여 필요한 영양소를 얻는다.[17] 화산토끼를 지원하는 다른 식물 종으로는 ''Muhlenbergia quadidentata'', ''Pinus hartwegii'', ''Festuca tolucensis'' 등이 있다.[17] 또한 서식지 손실로 인해 먹이원이 많이 사라진 열악한 환경에서는 잎, 잎사귀, 꽃을 가리지 않고 섭취한다.[17] 단백질 획득은 이 종이 서식하는 네 개의 화산 각각의 개체군 크기를 제한하는 주요 요인이다.[17] 연구에 따르면 개체군의 많은 개체가 심각한 체중 감소와 기아로 고통받고 있다.[17]계절 변화 또한 화산토끼의 식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17]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풀은 우기에 풍부하다.[17] 건기에는 화산토끼는 관목과 작은 나무, 그리고 기타 목본 식물을 먹는다.[17] 겨울 동안에는 이러한 목본 식물이 식단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둥지를 짓는 주요 재료가 된다.[17]
4. 2. 번식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연중 번식하지만, 주로 여름철에 번식한다.[26] 임신 기간은 28일에서 40일 사이이며,[26] 암컷은 4월부터 9월 사이에 식물 뿌리 근처에 번식용 얕은 굴을 파고, 그 안에서 한 번에 1마리에서 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6] 새끼는 태어난 후 약 2주 동안 이 번식용 굴 속에서 지내며, 생후 3주가 되면 굴 밖으로 나와 활동하기 시작한다.[26] 좁은 울타리와 같은 제한된 환경에서는 번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12]5. 인간과의 관계
멕시코토끼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서식지 파괴, 개체수 감소 등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23] 도시 개발, 농지 확장, 도로 건설, 과도한 방목, 목초 마련을 위한 방화 등이 주요 서식지 파괴 원인으로 지목된다.[23] 이 종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부터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 대상이다.[22] 멕시코 법에 따라 사냥이 금지되어 있지만, 다른 토끼 종을 사냥할 때 오인되어 포획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26] 보호 조치가 충분히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1997년 보고에 따르면 당시 생존 개체수는 약 7,000마리로 추정되었다.[23] 한편, 종 보전을 위해 일부 동물원에서는 사육 및 번식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27]
5. 1. 위협 요인
멕시코토끼는 서식지 파괴와 변화로 인해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주요 서식지는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16개의 개별 구획으로 서식지 파편화가 진행되었다.[4][10][6] 고속도로 건설, 농업 확장, 조림, 그리고 부적절한 화재 및 방목 관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4][10][11] 특히 멕시코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멕시코시티 주변에 서식하고 있어 높은 수준의 서식지 파괴 압력을 받고 있으며,[18] 벌목, 풀 채취, 가축 과방목, 도시 확장, 잦은 산불 등도 서식지를 지속적으로 파괴하고 있다.[4][23] 지난 세대 동안 이러한 위협으로 인해 서식지의 15~20%가 손실되었으며, 이는 멕시코토끼의 생태적 이주와 유전적 고립을 초래했다. 이스타-포포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 구역 내에서도 조림을 포함한 부적절한 관리 정책이 개체수를 위협하고 있다.[10]기후 변화 역시 중요한 위협 요인이다. 지난 18,000년 동안 평균 기온이 5°C에서 6°C 사이로 상승하면서 서식 범위가 고지대로 축소되었고, 이는 서식지 파편화를 더욱 심화시켰다.[18] 기후 변화는 특히 서식 가능 범위의 가장자리에 있는 개체군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이러한 서식지 변화와 파편화는 멕시코토끼가 생존에 의존하는 식생 환경을 변화시켜 생존에 불리하게 만들고 있다.[18] 한때 서식이 확인되었던 네바도 데 톨루카 지역에서는 2003년 이후 확인된 목격담이 없고 영구적인 군집이 기록되지 않아, 2018년에는 해당 지역에서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14][16]
인위적인 환경 교란은 실비라구스(Sylvilagus)와 같은 다른 토끼 종들이 초원에서 번성하게 만들어 멕시코토끼와의 경쟁을 심화시킨다.[12] 또한, 사냥 역시 심각한 위협이다. 멕시코토끼는 CITES 부록 I에 등재되어 있고 멕시코 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사냥이 계속되고 있다.[20][23] 많은 사람들이 멕시코토끼가 보호종이라는 사실을 모르거나, 당국의 보호 조치 시행이 미흡한 실정이다.[20] 보호 구역 내에서도 사냥, 가축 방목, 산불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며,[20] 다른 토끼 종을 사냥할 때 오인되어 포획되는 경우도 있다.[26]
사육 환경에서의 번식은 유전적 다양성 손실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사육된 멕시코토끼는 야생 개체군에 비해 상당한 양의 DNA 유전자 위치(loci)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표본은 유전적 변이의 88%까지 상실한 경우도 보고되었다.[19]
5. 2. 보전 노력
멕시코토끼(''Romerolagus diazi'')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이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벌목, 풀 채취, 가축 과방목, 도시 확장 및 농지 개발, 고속도로 건설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잦은 산불, 그리고 국립공원 내 부적절한 관리 정책(예: 조림) 등이 있다.[4][10] 이러한 위협으로 지난 세대 동안 서식지의 15~20%가 손실되었으며, 이는 멕시코토끼의 생태적 이주 방해와 유전적 고립을 초래했다.서식지 파괴 외에도 사냥 역시 심각한 위협이다. 멕시코토끼는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부터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22] 멕시코 법에 따라 사냥이 불법임에도 불구하고,[20]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지 못하거나 당국이 보호 조치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아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다른 토끼 종을 사냥할 때 오인되어 포획되는 경우도 있으며,[26] 이스타-포포 국립공원 및 조키아판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 구역 내에서도 불법 사냥, 가축 방목,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다.
이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종 보존 위원회(SSC) 토끼 전문가 그룹은 행동 계획을 수립하여, 주요 서식지인 사카톤 초원의 화재 및 과도한 방목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사냥, 포획, 판매를 금지하는 법률 시행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12] 또한, 멕시코토끼의 지리적 분포, 서식지 내 역할, 개체군 동역학 및 진화 역사에 대한 추가 연구가 권장되었다.[12] 다양한 인공 증식 프로그램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사육 환경에서의 유아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7] 따라서 현재 보존 노력은 법률 시행 강화, 서식지 관리(산불 통제 및 과방목 방지), 그리고 멕시코토끼와 그들이 직면한 위협에 대한 대중 교육 프로그램 시행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R. diazi'' 사냥이 불법이라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보호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1997년 보고에 따르면, 생존 개체수는 약 7,085마리로 추정된다.[23]
일본에서는 우에노 동물원과 히가시야마 동식물원에서 사육 사례가 있으며,[27] 2014년에는 히가시야마 동식물원에서 사육 하 번식에 성공하기도 했다.[27]
5. 3. 사육
화산토끼는 사육 환경에서 번식할 수 있다.[5] 하지만 사육 환경에서 번식할 경우, 종의 유전적 다양성이 상당히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야생 개체와 사육 개체를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사육된 화산토끼는 상당수의 DNA 유전자 위치(loci)를 잃었으며, 일부는 유전적 변이의 88%까지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특정 유전자 위치에서는 오히려 야생 개체군보다 높은 변이를 보이기도 했다.[19]일본에서는 우에노 동물원과 히가시야마 동식물원 등에서 화산토끼를 사육한 사례가 있다. 특히 히가시야마 동식물원은 2013년에 사육을 시작하여 2014년에는 사육 환경에서의 번식에 성공했다.[27]
참조
[1]
서적
MSW3 Hoffmann
[2]
간행물
Romerolagus diazi
2021-11-12
[3]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논문
The Volcano Rabbit- a Shrinking Distribution and a Threatened Habitat
https://www.research[...]
Oryx. IUCN
1987-12-15
[5]
논문
A Preliminary Report on the Breeding of the Volcano Rabbit (''Romerolagus diazi'') at the Chapultepec Zoo, Mexico City
https://www.research[...]
International Zoo Yearbook
1987-12-15
[6]
학술지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Romerolagus diazi'' on El Pelado Volcano, Mexico
[7]
서적
Rabbits, Hares, and Pika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Gland, Switzerland: IUCN
1990-12-15
[8]
학술지
Gestation period of the laboratory reared volcano rabbit (''Romerolagus diazi'')
[9]
학술지
Habitat Suitability Study for the Conservation of the Volcano Rabbit (''Romerolagus diazi'')
[10]
Youtube
A ciegas entre reyes tuertos: comentarios a la conservación de suelo y ecosistemas templados en México.” Año Internacional del suelo. 5a Semana de la Diversidad Biológica de CONABIO
https://www.youtube.[...]
2015-12-15
[11]
학술지
Man-Made and Ecological Habitat Fragmentation – Study Case of the Volcano Rabbit (''Romerolagus diazi'')
[12]
학술지
Habitat Use By Parapatric Rabbits In A Mexican High-Altitude Grassland System
[13]
학술지
Dynamics of range margins for metapopulations under climate change
[14]
웹사이트
Volcano rabbit declared extinct due to lost habitat
https://mexiconewsda[...]
2018-09-29
[15]
웹인용
El teporingo no está extinto! Cuidémoslo
https://www.gob.mx/s[...]
2018-09-30
[16]
학술지
Romerolagus diazi (Volcano Rabbit)
https://www.iucnredl[...]
2020-04-12
[17]
학술지
Composición de la dieta y capacidad nutricional de carga del hábitat del conejo de los volcanes (''Romerolagus diazi'') en México
[18]
학술지
The Volcano Rabbit ''Romerolagus diazi'', a Peculiar Lagomorph
http://www.ciga.unam[...]
2013-10-23
[19]
학술지
Assessment of the genetic variability in the captive population of Volcano Rabbit (''Romerolagus diazi'')
2005-04-01
[20]
웹사이트
Interpretation.
http://www.cites.org[...]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1973-12-15
[21]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2]
웹사이트
Romerolagus diazi
https://www.speciesp[...]
The Species+ Website. Nairobi, Kenya. Compiled by UNEP-WCMC, Cambridge, UK
2020-12-15
[23]
간행물
Romerolagus diazi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12-15
[24]
서적
Lagomorpha
http://www.departme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3rd ed.), Volume 1, Don E. Wilson & DeeAnn M. Reeder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12-15
[25]
서적
アナウサギ,ノウサギ
平凡社
1986-12-15
[26]
서적
メキシコウサギ
講談社
2001-12-15
[27]
웹사이트
メキシコウサギ公開式
http://www.higashiya[...]
[28]
서적
MSW3 Hoffmann
[29]
간행물
Romerolagus diaz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