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네덜란드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네덜란드 분쟁은 17세기 명나라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을 의미한다.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네덜란드는 푸젠성 개항과 마카오 포르투갈 상인 추방을 요구하며 명나라 상선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1622년 펑후 제도를 점령하고 타이완으로 철수했으나, 명나라의 반격으로 타이완으로 철수하고 펑후 제도를 포기했다. 이후에도 네덜란드는 중국 해안을 공격했으나, 1633년 랴오루만 해전에서 패배하는 등 명나라에 지속적으로 패배했다. 1662년에는 정성공에게 타이완에서 쫓겨났으며, 1660~1670년대에도 분쟁이 이어졌다. 이 분쟁은 명나라와 네덜란드 양측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중국 - 셀던 지도
    셀던 지도는 17세기 존 셀던의 유언에 따라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된 지도로, 조선, 일본, 명나라, 동남아시아 지역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교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17세기 중국 - 동성파
    동성파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방포, 유대규, 요내 등이 창시하여 문단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으나,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5·4 운동 이후 비판받으며 쇠퇴한 문학 유파이다.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데지마
    데지마는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 섬으로, 쇄국 정책 하에 서양과의 유일한 교류 창구로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관이 위치하여 무역과 학문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매립되었고, 현재 나가사키시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타이오완 사건
    타이오완 사건은 1628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일본 상인 간의 갈등으로, 네덜란드 행정 장관의 일본 상인 체포 및 재물 몰수, 그리고 하마다 야효에의 납치 시도로 인해 발생하여 네덜란드와 일본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해군사 - 애산 전투
    1279년 애산 전투는 쿠빌라이 칸의 원나라가 남송의 잔존 세력을 격파하고 마지막 황제 소제가 자결함으로써 남송을 멸망시키고 원나라의 중국 통일을 완수한 해전으로, 중국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해군사 - 양양성 공방전
    양양성 공방전은 1267년부터 1273년까지 몽골 제국과 남송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로, 몽골이 회회포를 사용하여 남송의 요새인 양양성을 함락시키면서 남송 멸망과 원나라의 중국 통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명-네덜란드 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충돌 개요
분쟁 명칭명-네덜란드 분쟁
1662년 중국에 [[타이난|제일란디아]]가 항복하는 네덜란드 삽화
1662년 중국에 제일란디아가 항복하는 네덜란드 삽화
시기1620년대–1670년대
장소푸젠
아모이
펑후
랴오뤄 만
진먼
타이난
타이완
결과명나라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1명나라
남명
동녕
교전 2[[File:VOC-Amsterdam.svg|14px|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중국 해적
지휘관 및 지도자
명나라/남명/동녕상주좌 (尙周祚)
난쥐이 (南居益)
왕멍슝 장군
정지룡
정성공 (궈싱예)
정경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중국 해적[[File:VOC-Amsterdam.svg|14px| ]] 코르넬리스 레이에르센
[[File:VOC-Amsterdam.svg|14px| ]] 크리스티안 프랑스 (포로)
[[File:VOC-Amsterdam.svg|14px| ]] 마르텐 손크
[[File:VOC-Amsterdam.svg|14px| ]] 한스 풋만스
[[File:VOC-Amsterdam.svg|14px| ]] 프레데리크 코예트
류샹
리궈주

2. 명나라-네덜란드 분쟁의 배경

明朝중국어해금 정책을 통해 해상 무역과 교류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외국과의 관계를 조공 무역 체제로 제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동아시아 지역으로 진출을 꾀하며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3. 명나라-네덜란드 분쟁의 전개

1618년부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푸젠성 개항을 요구하며 명나라 상선을 공격했지만, 협상은 실패했다.[1] 1622년 마카오 전투에서 포르투갈에 패배한 네덜란드는 펑후 제도를 점령하고 요새를 건설하여 푸젠성 개항을 요구했다. 그러나 상저우주오는 네덜란드에게 타이완으로 철수할 것을 요구하며 거부했다. 이로 인해 1622년부터 1624년까지 전쟁이 발생했고, 결국 명나라가 승리하여 네덜란드는 타이완으로 철수하고 펑후 제도를 포기했다.[2]

네덜란드는 펑후 제도에서의 무역을 허용하지 않으면 중국 항구와 해운을 습격하겠다고 위협하고, 중국에게 바타비아, , 캄보디아의 네덜란드와만 무역하고 마닐라와는 무역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명나라는 쉽게 위협받지 않았다. 상저우주오가 1622년 9월 19일에 타이완으로 철수하라고 명령하자, 네덜란드는 10월과 11월에 아모이를 습격했다.[3] 리궁화 대령은 1622년 3월에 네덜란드에 대항하기 위해 아모이에 긴 포병대를 설치했다.[5]

1623년, 네덜란드는 명나라에 항구 개방을 강요하기 위해 5척의 함대를 류아오로 보냈으나 실패하여 많은 선원이 포로로 잡히고, 배 한 척을 잃었다. 네덜란드가 징발된 중국인을 강제 노동에 사용하고 펑후 제도 수비대를 강화하자, 푸젠성 순무 난주이는 1623년 7월에 명나라로부터 펑후 제도의 네덜란드군 공격 준비를 허락받았다. 1623년 10월 아모이에서 명나라군이 네덜란드 습격을 격퇴하고, 네덜란드 사령관 크리스티안 프란스를 포로로 잡고 네 척의 네덜란드 선박 중 한 척을 불태웠다. 위쯔가오는 1624년 2월에 펑후 제도의 네덜란드를 몰아내기 위해 전함과 병력을 동원하여 공세를 시작했다.[6]

1624년 7월 30일, 마르텐 손크가 지휘하는 요새를 포위한 위쯔가오와 왕멍슝 장군의 지휘하에 5,000명 (또는 10,000명)의 명나라군과 40-50척의 전함이 네덜란드 요새에 도달했으며, 네덜란드는 8월 3일에 평화를 구걸하여 펑후 제도에서 타이완으로 철수했다. 네덜란드는 군사력을 사용하여 명나라를 무역에 종사시키려는 시도가 펑후 제도에서의 패배로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붉은 머리 야만인"에 대한 명나라의 승리 축하 행사에서 난주이는 베이징 황제 앞에서 포로로 잡힌 12명의 네덜란드 군인을 열병했다.[7][8][9][10]

1630년대에 네덜란드 군대는 1620년대에 명나라군에게 격퇴당한 이후, 한동안 명나라에 입국하는 것이 금지될 정도로 심한 배척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몇몇 중국인 해적 함대가 네덜란드 군에 합류하며 다시 명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며 전열을 가다듬기 시작하였고, 이후 선제공격을 벌였으나 또다시 대패하여 쫓겨났다. 1633년 랴오루만 해전에서 네덜란드는 1622년~1624년 펑후에서 패배하고 축출된 후 명나라 해안에서 완전히 쫓겨났다. 해적 류샹과 리궈주 역시 네덜란드에 합류했고, 한때 네덜란드는 최소 41척의 해적 정크선과 450명의 중국 군인과 함께 명나라 해안에서 활동하는 새로운 해적 연합의 수장이 되어 승리할 것처럼 보였다.[12] 그러나 그들은 1633년 랴오루만 해전에서 제독 정즈룽 휘하의 명나라군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했다.[12][13][14]

1660년대1670년대에는 1662년 정성공 휘하의 명나라군이 제일란디아 요새 포위전에서 네덜란드를 패배시키고 타이완에서 쫓아냈다.[25] 1665년에는 네덜란드가 정성공의 아들 정경과의 전쟁 중 주산 열도의 푸투오산에 있는 불교 사찰을 공격하여 유물을 약탈하고 승려들을 살해했다.[25] 1672년에는 정경의 해군이 타이완 북동쪽에서 네덜란드 플뤼트선 큐일렌부르크 호를 약탈하고 매복 공격하여 침몰시켰다.[26]

3. 1. 1620년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푸젠성 개항을 요구하며 1618년부터 명나라 상선을 공격했지만, 협상은 실패했다.[1]

1622년 마카오 전투에서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에 패배했다. 같은 해, 네덜란드는 펑후 제도를 점령하고 요새를 건설하여 푸젠성 개항을 요구했다. 그러나 당시 푸젠성 순무였던 상저우주오는 네덜란드에게 펑후 제도에서 타이완으로 철수할 것을 요구하며 거부했다. 이로 인해 1622년부터 1624년까지 전쟁이 발생했고, 결국 중국이 승리하여 네덜란드는 타이완으로 철수하고 펑후 제도를 포기했다.[2]

네덜란드는 펑후 제도에서의 무역을 허용하지 않으면 중국 항구와 해운을 습격하겠다고 위협하고, 중국에게 바타비아, , 캄보디아의 네덜란드와만 무역하고 마닐라와는 무역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중국은 쉽게 위협받지 않았다. 상저우주오가 1622년 9월 19일에 타이완으로 철수하라고 명령하자, 네덜란드는 10월과 11월에 아모이를 습격했다.[3] 네덜란드는 푸젠성과 펑후 제도의 중국 해운을 습격하여 "힘이나 공포로 중국을 무역에 종사하게 하려"고 했다.[4] 리궁화 대령은 1622년 3월에 네덜란드에 대항하기 위해 아모이에 긴 포병대를 설치했다.[5]

1623년, 네덜란드는 중국에 항구 개방을 강요하기 위해 5척의 함대를 류아오로 보냈으나 실패하여 많은 선원이 포로로 잡히고, 배 한 척을 잃었다. 네덜란드가 징발된 중국인을 강제 노동에 사용하고 펑후 제도 수비대를 강화하자, 푸젠성 순무 난주이는 1623년 7월에 중국으로부터 펑후 제도의 네덜란드군 공격 준비를 허락받았다. 1623년 10월 아모이에서 중국군이 네덜란드 습격을 격퇴하고, 네덜란드 사령관 크리스티안 프란스를 포로로 잡고 네 척의 네덜란드 선박 중 한 척을 불태웠다. 위쯔가오는 1624년 2월에 펑후 제도의 네덜란드를 몰아내기 위해 전함과 병력을 동원하여 공세를 시작했다.[6]

중국 공세는 1624년 7월 30일에 마르텐 손크가 지휘하는 요새를 포위한 위쯔가오와 왕멍슝 장군의 지휘하에 5,000명 (또는 10,000명)의 중국군과 40-50척의 전함과 함께 네덜란드 요새에 도달했으며, 네덜란드는 8월 3일에 평화를 구걸하여 펑후 제도에서 타이완으로 철수했다. 네덜란드는 군사력을 사용하여 중국을 무역에 종사시키려는 시도가 펑후 제도에서의 패배로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붉은 머리 야만인"에 대한 중국의 승리 축하 행사에서 난주이는 베이징 황제 앞에서 포로로 잡힌 12명의 네덜란드 군인을 열병했다.[7][8][9][10] 네덜란드는 동남아시아에서의 경험으로 중국인을 "소심한 무리"로 여겼기 때문에 펑후 제도의 요새에 대한 중국의 공격에 놀랐다.[11]

3. 2. 1630년대

네덜란드 군대는 1620년대에 중국군에게 격퇴당한 이후, 한동안 중국에 입국하는 것이 금지될 정도로 심한 배척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몇몇 중국인 해적 함대가 네덜란드 군에 합류하며 다시 중국을 공격할 준비를 하며 전열을 가다듬기 시작하였고, 이후 선제공격을 벌였으나 또다시 대패하여 쫓겨났다. 이 전투에서 명나라 함대는 화약을 가득 담은 배들을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위장하여 네덜란드 함대로 보내어 화포 공격을 퍼부어 승리하였다고 한다.

1633년 랴오루만 해전에서 네덜란드는 1622~1624년 펑후에서 패배하고 축출된 후 중국 해안에서 완전히 쫓겨났다. 해적 류샹과 리궈주 역시 네덜란드에 합류했고, 한때 네덜란드는 최소 41척의 해적 정크선과 450명의 중국 군인과 함께 중국 해안에서 활동하는 새로운 해적 연합의 수장이 되어 승리할 것처럼 보였다.[12] 그러나 그들은 1633년 랴오루만 해전에서 제독 정즈룽 휘하의 중국군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했다.[12][13][14] 중국은 네덜란드를 속여 정면 대결을 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군함으로 위장한 화공선을 사용했다.[15]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잠비에서 후추를 거래하던 정즈룽의 정크선을 공격했지만, 네덜란드가 중국인 포로 32명을 네덜란드 배로 옮기는 동안 나머지 중국인들은 중국 정크선에 있던 네덜란드 선원 13명을 살해하고 배를 탈환했다. 정즈룽은 1636년 네덜란드에게 32명의 중국인들을 석방할 것을 요구했다.[16]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64년 태국 무역을 봉쇄했고, 1661-1662년에는 태국에 있는 페르시아어 관리 소유의 태국 정크선을 점령했다. 네덜란드는 잠비에서 후추 무역에서 네덜란드와 태국 및 중국의 경쟁을 방해하려 했다.[17] 잠비 술탄은 네덜란드와 영국 사이의 폭력 사태 동안 영국 상인들을 일시적으로 투옥했다.[18][19][20] 태국과 잠비 술탄국은 네덜란드의 공격과 잠비의 중국어태국어 무역 방해 시도에 대해 네덜란드에 분노하며 항의했다.[21][22] 중국 정크선은 정기적으로 잠비, 파타니, 시암 및 캄보디아와 무역을 했다.[23] 천 거래에 종사하는 현지 무슬림 여성들은 종종 이슬람교로 개종한 팔렘방, 반텐 및 잠비의 한족 남성들과 기꺼이 결혼했다. 같은 상인들은 네덜란드인들과 더욱 신중하게 거래했는데, 특히 팔렘방에서 그들은 토착 여성들을 학대하는 것으로 악명 높은 현지 네덜란드인들과의 연관을 피하려고 했다.[24]

3. 3. 1660년대, 1670년대

1662년, 정성공 휘하의 중국군은 제일란디아 요새 포위전에서 네덜란드를 패배시키고 타이완에서 쫓아냈다.[25] 이 과정에서 네덜란드인들은 대만섬 내부에서 명나라 군대와 전투를 벌였는데, 수적으로 크게 불리하여 산지로 퇴각하였다. 그들은 중산에 있던 사찰을 파괴하고 약탈하며 승려들을 살해하는 만행을 저지른 후 탈출을 시도하였다. 잇따른 전투 끝에 명나라 군대는 네덜란드 선원 34명을 죽이고 8명을 수장시켰다. 네덜란드인 중 오직 20여 명만이 일본으로 도망칠 수 있었으며, 나가사키에서 배를 타고 네덜란드로 귀환하였다.

1665년, 네덜란드는 정성공의 아들 정경과의 전쟁 중 주산 열도의 푸투오산에 있는 불교 사찰을 공격하여 유물을 약탈하고 승려들을 살해했다.[25]

1672년, 정경의 해군은 타이완 북동쪽에서 네덜란드 플뤼트선 큐일렌부르크 호를 약탈하고 매복 공격하여 침몰시켰다. 이 공격으로 네덜란드 선원 34명이 처형되고 8명이 익사했으며, 21명만이 일본으로 탈출했다. 큐일렌부르크 호는 나가사키에서 바타비아로 향하던 무역선이었다.[26]

4. 분쟁의 영향

(이전 출력과 동일) 분쟁의 영향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Covell 1998 https://books.google[...]
[2] 서적 Wright 1908 https://books.google[...]
[3] 서적 ed. Twitchett & Mote 1998 https://books.google[...]
[4] 서적 Shepherd 1993 https://books.google[...]
[5] 서적 Hughes 1872 https://books.google[...]
[6] 서적 ed. Goodrich 1976 https://books.google[...]
[7] 서적 ed. Goodrich 1976 https://books.google[...]
[8] 서적 ed. Twitchett & Mote 1998 https://books.google[...]
[9] 서적 Deng 1999 https://books.google[...]
[10] 서적 Parker 1917 https://books.google[...]
[11] 서적 ed. Idema 1981 https://books.google[...]
[12] 간행물 Pioneers or cattle for the slaughterhouse? A rejoinder to A.R.T. Kemasang 1989-01-01
[13] 서적 Cook 2007 https://books.google[...]
[14] 서적 Li (李) 2006 https://books.google[...]
[15] 서적 Lost Colony: The Untold Story of China's First Great Victory Over the Wes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16] 서적 War, Trade and Piracy in the China Seas (1622-1683) https://books.google[...] BRILL 2013
[17] 서적 The Southeast Asian Port and Polity– Rise and Demise https://books.google[...] Singapore University Pres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990
[18] 서적 Calendar of state papers– 1625/29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1884
[19] 서적 Calendar of State Papers– Preserved in the State Paper Department of Her Majesty's Record Office. Colonial series, volume 6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1884
[20] 서적 Calendar of state papers: Colonial series. ... https://books.google[...]
[21] 서적 LEGAL RECORD & HISTORICAL REALITY– Proceedings of the Eighth British Legal History Conference A&C Black 1989
[22]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Its Sources– Liber Amicorum Maarten Bos Brill Archive 1989
[23] 서적 European Commercial Expansion in Early Moder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
[24] 서적 Textiles in the Pacific, 1500–1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25]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6]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