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트 생성 함수는 확률 변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함수로, 변수의 적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확률 변수 X의 모멘트 생성 함수 MX(t)는 E[etX]로 정의되며, 0 근방에서 t에 대해 존재한다. 모멘트 생성 함수는 확률 분포의 모멘트의 지수적 생성 함수이므로, n번째 모멘트는 모멘트 생성 함수를 t=0에서 평가한 n번째 도함수이다. 모멘트 생성 함수는 선형 변환, 독립 확률 변수의 합, 벡터 값 확률 변수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성 함수, 큐물런트 생성 함수, 확률 생성 함수 등 다른 함수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멘트 (수학) - 분산 분산은 확률 변수의 흩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확률 변수 제곱의 기댓값에서 기댓값의 제곱을 뺀 것과 같으며, 0 이상의 값을 갖고, 표준 편차의 제곱이다.
모멘트 (수학) - 모멘트 문제 모멘트 문제는 측도 공간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적분 가능 함수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유일한지 묻는 문제로, 고전적인 형태로는 실수선 위의 측도와 수열을 다루며, 유일성 판별에는 칼레만 조건과 크레인 조건 등이 사용된다.
확률론 - 확률 밀도 함수 확률 밀도 함수는 연속 확률 변수의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함수로, 특정 구간에서 확률 변수가 값을 가질 확률은 해당 구간에 대한 함수의 적분으로 계산되며, 통계적 특성 계산 및 변수 변환 등에 활용되어 불확실성 모델링 및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확률론 - 체비쇼프 부등식 체비쇼프 부등식은 확률 변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확률의 상한을 제공하는 부등식으로, 이레네-쥘 비네메가 처음 공식화하고 체비쇼프와 안드레이 마르코프에 의해 일반화 및 증명되었으며, 확률론적 표현 외에도 측도 공간에 대한 명제로 확장될 수 있다.
모멘트 생성 함수
2. 정의
확률변수 ''X''의 누적 분포 함수(CDF)를 라고 할 때, ''X'' (또는 )의 적률생성함수(mgf) 는 의 기대값으로 정의된다.[1]
:
이는 0의 어떤 열린 근방에서 에 대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즉,
4. 주요 성질
적률생성함수는 양수이며 로그 볼록이다. ''M''(0) = 1이다.
두 확률변수 ''X''와 ''Y''의 적률생성함수가 모든 ''t''에 대해 같다면, 두 확률변수의 분포는 같다. 즉, 모든 값 ''t''에 대해,
특성 함수 \varphi_X(t)는 모멘트 생성 함수와 \varphi_X(t) = M_{iX}(t) = M_X(it)라는 관계에 있다. 즉, 특성 함수는 ''iX''의 모멘트 생성 함수이며, ''X''의 모멘트 생성 함수를 허수 축에서 평가한 것이다. 이 함수는 확률 밀도 함수의 푸리에 변환으로 볼 수도 있으며, 따라서 역 푸리에 변환을 통해 이를 추론할 수 있다.
큐물런트 생성 함수는 적률생성함수의 로그로 정의된다. 일부에서는 큐물런트 생성 함수를 특성 함수의 로그로 정의하며, 다른 사람들은 후자를 ''두 번째'' 큐물런트 생성 함수라고 부른다.
확률 생성 함수 ''G(''z'')''는 G(z) = E\left[z^X\right]로 정의된다. 이는 G(e^t) = E\left[e^{tX}\right] = M_X(t)임을 의미한다.
5. 1. 특성 함수
특성 함수 \varphi_X(t)는 모멘트 생성 함수와 \varphi_X(t) = M_{iX}(t) = M_X(it)라는 관계에 있다. 즉, 특성 함수는 ''iX''의 모멘트 생성 함수이며, ''X''의 모멘트 생성 함수를 허수 축에서 평가한 것이다. 이 함수는 확률 밀도 함수의 푸리에 변환으로 볼 수도 있으며, 따라서 역 푸리에 변환을 통해 이를 추론할 수 있다.
5. 2. 큐물런트 생성 함수
큐물런트 생성 함수는 적률생성함수의 로그로 정의된다. 일부에서는 큐물런트 생성 함수를 특성 함수의 로그로 정의하며, 다른 사람들은 후자를 ''두 번째'' 큐물런트 생성 함수라고 부른다.
5. 3. 확률 생성 함수
확률 생성 함수 ''G(''z'')''는 G(z) = E\left[z^X\right]로 정의된다. 이는 G(e^t) = E\left[e^{tX}\right] = M_X(t)임을 의미한다.
[1]
서적
Statistical Inference
Wadsworth & Brooks/Cole
[2]
서적
Principles of Statistics
Dover
[3]
문서
Kotz et al. p. 37 using 1 as the number of degree of freedom to recover the Cauchy distribution
2019-12
[4]
서적
Probability: A Graduate Course
Springer-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