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스타가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타가넴은 고대 페니키아 항구 무루스타가에 해당하는 알제리의 도시이다. 카르타고, 로마 제국, 지리 왕조, 알모라비드 왕조, 자얀 왕조, 마리니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16세기에 스페인의 침략을 격퇴하고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도시 현황으로는 아인 세프라 강을 기준으로 나뉘어 있으며, 항구를 통해 다양한 화물을 처리한다. 모스타가넴은 극작가 울드 압데라흐만 압델카데르, 영화 감독 모하메드 슈이흐, 수피 대가 아흐마드 알-알라위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도시 - 틀렘센
    틀렘센은 알제리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틀렘센주의 주도로, 베르베르어 어원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포마리아로 불렸고, 자이야니드 왕조의 수도로서 마그레브의 주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알제리의 중요한 관광 중심지이다.
  • 알제리의 도시 - 겔마
    겔마는 알제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며, 여러 지배 시대를 거쳐 현재는 농업 중심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모스타가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모스타가넴 현의 위치
모스타가넴 현의 위치
모스타가넴 전경
모스타가넴 전경
일반 정보
공식 명칭모스타가넴
현지 명칭مستغانم
로마자 표기Mustaghānim
별칭해당 사항 없음
국가알제리
행정 구역모스타가넴 주
모스타가넴 구
지리
면적50km²
해발 고도104m
좌표35°56′N 0°05′E
인구
인구 (2014년)245,33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시간대CET (+1)
우편 번호27000
기타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2. 역사

모스타가넴은 카르타고가 건설한 항구 도시였으며, 로마 제국, 무라비트 왕조, 틀렘센의 자얀 왕조와 페스의 마린 왕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특히 무라비트 왕조유수프 이븐 타슈핀(재위: 1061년~1106년)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6세기에는 스페인의 침략을 격퇴했으나, 1516년 오스만 제국의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에게 점령되었다. 1833년에는 프랑스에게 점령되었고, 1962년 알제리가 독립하면서 프랑스 통치에서 벗어났다.[2]

2. 1. 고대

모스타가넴은 고대 페니키아 항구 '''무루스타가'''에 해당한다.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된 후, 일부 자료에 따르면 황제 갈리에누스(253–268) 시대에 공식적으로 카르테나이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2] 그러나 더 신뢰할 만한 자료에 따르면 카르테나이 (또는 카르테나 또는 카르테나스)는 오히려 동쪽으로 50km 떨어진 현대의 테네스에 해당한다.[3][4] 어쨌든 무루스타가는 이 도시가 기독교 주교구가 되었을 때 알려진 이름이며, 가톨릭 교회의 주교좌 목록에서도 그렇게 언급된다.[5] 이 이름은 또한 모스타가넴의 현대적인 이름의 기원이기도 하다.

2. 2. 중세

모스타가넴은 고대 페니키아 항구 '''무루스타가'''에 해당한다.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된 후, 일부 자료에 따르면 황제 갈리에누스(253–268) 시대에 공식적으로 카르테나이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2] 그러나 더 신뢰할 만한 자료에 따르면 카르테나이 (또는 카르테나 또는 카르테나스)는 오히려 동쪽으로 50km 떨어진 현대의 테네스에 해당한다.[3][4] 어쨌든 무루스타가는 이 도시가 기독교 주교구가 되었을 때 알려진 이름이며, 가톨릭 교회의 주교좌 목록에서도 그렇게 언급된다.[5] 이 이름은 또한 모스타가넴의 현대적인 이름의 기원이기도 하다.

이 도시는 973년부터 1146년까지 지리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그 후 알모라비드 왕조에 정복되었으며, 유수프 이븐 타슈핀(c. 1061–1106)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다. 모스타가넴은 이후 틀렘센의 자얀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페스의 마리니 왕조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다. 그 후 자얀 왕조가 다시 이 도시를 장악했다.

16세기에 이 도시는 스페인의 침략에 저항했으며 오스만 하이레딘 바르바롯사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

2. 3. 근세

페니키아의 항구 도시 무루스타가가 현재 모스타가넴의 기원이다.[2] 로마 제국 시대에는 갈리에누스 황제(253년~268년) 시대에 카르테나이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지만,[2] 카르테나이(또는 카르테나, 카르테나스)는 현재의 테네스 지역이라는 것이 더 신뢰할 만한 자료에서 확인된다.[3][4] 무루스타가는 기독교 주교구가 되었을 때 사용된 이름이며, 가톨릭 교회의 주교좌 목록에도 언급된다.[5] 이 이름은 현대 모스타가넴 지명의 기원이기도 하다.

이 도시는 973년부터 1146년까지 지리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알모라비드 왕조에 정복되었고, 유수프 이븐 타슈핀(c. 1061년~1106년)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모스타가넴은 이후 틀렘센의 자얀 왕조와 페스의 마리니 왕조에게 번갈아 점령되었다.

16세기에 모스타가넴은 스페인의 침략에 저항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하이레딘 바르바롯사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

2. 4. 근대

카르타고가 항구 도시 무르스타가넴을 건설했다.[2]

로마 제국이 통치했다.

무라비트 왕조가 통치했으며, Yusuf ibn Tashfin영어 왕(재위: 1061년~1106년) 시대에 무르스타가넴은 최성기를 맞이했다.

틀렘센에서 발상한 Ziyanid영어페스에서 발상한 마린 왕조가 통치했다.

무르스타가넴은 스페인의 침략을 격퇴했다.[2]

1516년, 오스만 제국의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이 침략했다.[2]

2. 5. 현대

1833년, 프랑스가 모스타가넴을 침략했다.[2]

1962년, 알제리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3. 지리

Sidi Lakhdar beach.


모스타가넴은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띤다. 겨울에는 여름보다 강수량이 많다.

3. 1. 기후

모스타가넴은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띤다. 겨울에는 여름보다 강수량이 많다. 모스타가넴의 연평균 기온은 17.9°C이고, 연간 강수량은 약 347mm이다.[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5.3°C16°C17.4°C19.2°C21.9°C25.1°C27.8°C28.4°C26.5°C23.1°C19°C16°C
평균 최저 기온 (℃)8.3°C9.1°C10.6°C12.8°C15.2°C18.5°C20.9°C21.9°C19.8°C16.3°C12.1°C9.3°C
강수량 (mm)50mm34mm33mm26mm28mm5mm1mm3mm13mm34mm60mm60mm


4. 도시 현황

도시는 아인 세프라 강 협곡을 기준으로 둘로 나뉘는데, 현대 도시는 남서쪽에, 오래된 이슬람 도시 티지트는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2010년에는 도시 아래로 시내 중심가를 향하는 터널이 건설되어 교통 흐름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대식 건물과 식민지 양식의 건물이 혼합되어 이 성장하는 도시에 추가되고 있다.

4. 1. 교통

알제에서 오랑으로 향하는 새로운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수도에서 모스타가넴까지 도로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다. 모스타가넴에는 공항이 없기 때문이다. 오랑(모스타가넴에서 서쪽으로 약 80km)을 연결하는 도로는 여전히 양방향 2차선 고속도로로 혼잡하다.

모스타가넴 항구는 식료품부터 자동차, 파이프라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화물을 하역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알제리의 대부분의 항구와 마찬가지로, 선원들은 항구를 벗어나 도시를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항구는 대형 수송 선박과 어선이 함께 사용하고 있다. 어선용으로 더 작은 새 항구가 건설되었지만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다.

4. 2. 항구

모스타가넴 항구는 식료품, 자동차, 파이프라인 등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하역하는 데 사용된다. 알제리의 다른 항구들과 마찬가지로 선원들은 항구를 벗어나 도시를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항구는 대형 수송 선박과 어선이 함께 사용한다. 어선용으로 더 작은 새 항구가 건설되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El Arsa

5. 인물

모스타가넴은 극작가 울드 압데라흐만 압델카데르(일명 카키), 영화 감독 모하메드 슈이흐, 역사가 물라이 벨하미시, 작사가 카다 메제데드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대중 및 아마추어 극장의 주요 중심지로서, 안달루시아 고전 음악 (물라이 벤크리지), 차아비 (마아주즈 부아자지, 하비브 베타하르), 전통적인 베두인 음악의 거장 (셰이크 하마다, 셰이크 질랄리 아인 테델레스)과 말훈 시의 유명한 카시다의 저자이자 차아비 유산과 에미르 압드 알-카디르 알-자자이리와 같은 베두인에게 물려준 시인 셰이크 압델카데르 벤토브지와 시디 라크다르 벤켈루프의 고향이다. 시인 아흘람 모스타가네미는 무하마드 이븐 알리 아스-세누시는 모스타가넴 근처 출신이다.

20세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종교 지도자 중 한 명인 수피 대가 아흐마드 알-알라위도 모스타가넴에서 태어나 묻혔다. 그는 샤들리 다르카위 타리카 (영적 질서)를 전 세계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알-알라위의 무덤은 현재 모스타가넴에서 인기 있는 방문 명소이다.

모스타가넴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루이 프랑셰 데스페레이, 프랑스 장군은 1856년 모스타가넴에서 태어났다.
  • 알랭-쥘리앵 루데포, 프랑스 작가이자 극작가는 1950년 모스타가넴에서 태어났다.
  • 이샤크 벨포딜 (1992년 1월 12일 출생)은 알제리 프로 축구 선수이다.
  • 압델카데르 왈리 (1952년 출생)는 정치인이다.

참조

[1] PDF http://www.ons.dz/IM[...] 2013-09-27
[2] 웹사이트 Murustaga-Mostaganem http://murustaga-mos[...] 2014-02-01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4]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larke & Co. 2014
[5] 간행물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6] 웹사이트 Mostaganem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09
[7] 웹사이트 Klimadaten ausgewählter Wetterstationen: Algerien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nest 2023-07-28
[8] URL http://www.ons.dz/IM[...]
[9] 웹사이트 Murustaga-Mostaganem http://murustaga-mos[...]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