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함마드 나시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함마드 나시리는 이란의 역도 선수로, 196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72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1976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1995년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아시안 게임 역도 참가 선수 - 황호동
황호동은 신민당 소속 제9대 국회의원이자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역도 무제한급 은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역도 선수였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역도 참가 선수 - 황호동
황호동은 신민당 소속 제9대 국회의원이자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역도 무제한급 은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역도 선수였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역도 참가 선수 - 미야케 요시노부
미야케 요시노부는 일본의 역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올림픽에서 은메달 1개와 금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서 후진 양성에 힘썼고, 여러 스포츠 관련 협회에서 활동했다.
모함마드 나시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모함마드 나시리 세레슈트 |
출생일 | 1945년 7월 31일 |
출생지 | 테헤란, 이란 |
국적 | 이란 |
코치 | 헨리크 탐라즈 |
스포츠 경력 | |
종목 | 역도 |
은퇴 | 미상 |
올림픽 | |
1968 멕시코시티 | 금메달 (56kg) |
1972 뮌헨 | 은메달 (56kg) |
1976 몬트리올 | 동메달 (52kg) |
세계 선수권 대회 | |
1966 베를린 | 동메달 (56kg) |
1968 멕시코시티 | 금메달 (56kg) |
1969 바르샤바 | 금메달 (56kg) |
1970 콜럼버스 | 금메달 (56kg) |
1971 리마 | 동메달 (56kg) |
1972 뮌헨 | 은메달 (56kg) |
1973 아바나 | 금메달 (52kg) |
1974 마닐라 | 금메달 (52kg) |
1976 몬트리올 | 동메달 (52kg) |
아시안 게임 | |
1966 방콕 | 금메달 (56kg) |
1970 방콕 | 금메달 (56kg) |
1974 테헤란 | 금메달 (총합 - 52kg) 금메달 (용상 - 52kg) 은메달 (인상 - 52kg)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1965 테헤란 | 동메달 (56kg) |
1971 마닐라 | 금메달 (56kg) |
1977 바그다드 | 금메달 (56kg) |
2. 생애
모함마드 나시리는 이란의 역도 선수로 활동했다. 1965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밴텀급 4위를 기록했으며,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여러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1995년에는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1. 올림픽

모함마드 나시리는 총 4번의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첫 출전은 1964년 도쿄 올림픽으로, 밴텀급(56 kg)에서 15위를 기록했다.
이후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밴텀급(56 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같은 체급에서 은메달을 추가했고,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플라이급(52 kg)으로 체급을 내려 동메달을 획득했다. 몬트리올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연도 | 개최지 | 체급 | 밀리터리 프레스 (kg) | 인상 (kg) | 용상 (kg) | 총합 | 순위 | ||||||||||||||
---|---|---|---|---|---|---|---|---|---|---|---|---|---|---|---|---|---|---|---|---|---|
1차 | 2차 | 3차 | 순위 | 1차 | 2차 | 3차 | 순위 | 1차 | 2차 | 3차 | 4차 | 순위 | |||||||||
올림픽 | |||||||||||||||||||||
1964 | 도쿄, 일본 | 56 kg | 97.5 | 102.5 | 105 | 4 | 85 | 22 | 120 | 18 | 310 | 15 | |||||||||
1968 | 멕시코 시티, 멕시코 | 56 kg | 112.5 | 4 | 100 | 105 | 3 | 142.5 | 150 | -- | 1 | 367.5 | 1 | ||||||||
1972 | 뮌헨, 독일 | 56 kg | 120 | 125 | 127.5 | 1 | 100 | 10 | 142.5 | 1 | 370 | 2 | |||||||||
1976 | 몬트리올, 캐나다 | 52 kg | 90 | 100 | 4 | 135 | 2 | 235 | 3 |
2. 2.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1965년 테헤란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밴텀급(56kg)에서 4위를 기록했다. 이후 여러 차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1968년 하계 올림픽, 1972년 하계 올림픽, 1976년 하계 올림픽 경기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겸했으며, 나시리는 이 대회들에서도 메달을 획득했다.1995년에는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연도 | 개최지 | 체급 | 메달 | |||
---|---|---|---|---|---|---|
인상 | 용상 | 프레스 | 합계 | |||
1965 | 테헤란, 이란 | 56 kg | — | — | — | 4위 |
1966 | 동베를린, 동독 | 56 kg | — | — | — | 동 |
1968* | 멕시코 시티, 멕시코 | 56 kg | — | — | — | 금 |
1969 | 바르샤바, 폴란드 | 56 kg | 은 | 금 | 금 | 금 |
1970 | 콜럼버스, 미국 | 56 kg | 동 | 금 | 금 | 금 |
1971 | 리마, 페루 | 56 kg | 금 | 은 | 동 | 동 |
1972* | 뮌헨, 서독 | 56 kg | 은 | 은 | 금 | 은 |
1973 | 아바나, 쿠바 | 52 kg | — | 금 | — | 금 |
1974 | 마닐라, 필리핀 | 52 kg | — | 금 | 동 | 금 |
1976* | 몬트리올, 캐나다 | 52 kg | — | 은 | — | 동 |
1977 | 슈투트가르트, 서독 | 52 kg | — | 은 | — | 4위 |
- 1968년, 1972년, 1976년 하계 올림픽 경기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겸하여 치러졌다.
- 1969년 이전에는 인상, 용상, 프레스 개별 종목에 대한 메달 수여가 없었다.
- 1972년 하계 올림픽 이후 프레스 종목이 제외되었다.
2. 3. 아시안 게임
3. 기록
대회 메달 연도 올림픽 금메달 1968 은메달 1972 동메달 1976 세계 선수권 금메달 1968, 1969, 1970, 1973, 1974 은메달 1972 동메달 1966, 1971, 1976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66, 1970, 1974 은메달 1974
4. 명예
1965년 테헤란에서 열린 1965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밴텀급(56kg)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76년 몬트리올에서 열린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1995년에는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