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수는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전쟁의 신으로, "유목민"을 의미하는 이름 'mntw'에서 유래되었다. 라의 작열하는 속성이 발현된 신으로 여겨져 '몬투-라'로 불리기도 하며, 전쟁에서의 용맹함과 왕권을 상징했다. 매 머리나 황소 머리를 한 남성으로 묘사되며, 굽은 칼, 창, 활과 화살 등의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테베의 수호신 중 하나로 숭배받았으며, 제11왕조의 파라오들은 몬투를 보호하고 왕조의 신으로 선택하여 멘투호테프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몬투는 테베, 아르만트, 메다무드 등지에서 숭배되었으며, 몬투 신전은 메다무드와 아르만트에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웅의 신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영웅의 신 - 바알
바알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된 폭풍, 다산, 풍요를 관장하는 신으로, 히브리 성경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상징한다. - 테베 (이집트) - 카르나크 신전
카르나크 신전은 룩소르에 위치한 대규모 신전 단지로, 약 2000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아문을 비롯한 테베의 신들에게 바쳐졌다. - 테베 (이집트) - 두아트
두아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태양신 라가 밤마다 여행하며 죽은 자들이 심판을 받는 지하 세계로, 여러 신들과 초자연적 존재들의 영역이며, 죽은 자는 장례 문서를 통해 묘사된 시련과 심판을 거쳐 영원한 삶을 얻는다고 여겨졌고, 현대 대중문화에도 다양하게 표현된다. - 신화의 맹금류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 신화의 맹금류 - 자타유
자타유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거대한 독수리로 라마의 친구이자 라바나의 시타 납치를 막으려다 죽었으며, 그의 희생은 라마의 시타 구출 여정에 영향을 주었고 용기, 헌신,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몬수 | |
|---|---|
| 몬투 | |
![]() | |
| 신화 | |
| 유형 | 이집트 신 |
| 문화 중심지 | 아르만트 테베 메다무드 엘-토드 |
| 배우자 | 라에트-타위 트제네니에트 이우니트 사테트 |
| 관련 신 | 라 아몬 호루스 세트 |
| 상징 | 황소 매 창 칼 |
| 역할 | 전쟁의 신 |
2. 이름
몬수의 이름은 이집트 상형 문자로 ''mntw''로 표기되며, "유목민"을 의미한다.[4][5] 이집트어 모음 표기가 어려워, '''몬트''', '''몬투''', '''몬주''', '''멘트''' 또는 '''멘투'''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4]
몬투는 라의 태양의 작열하는 속성이 발현된 신으로, '몬투-라'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6] 이러한 파괴적인 속성으로 인해 점차 전쟁의 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집트인들은 몬투가 마아트(진실, 우주 질서)의 적을 공격하고, 동시에 전쟁에서의 용맹함을 고취한다고 믿었다.[6] 아툼-라와 함께 몬투-라는 각각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왕권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7] 호루스와 결합될 때는 "강한 팔의 호루스"라는 칭호를 얻었다.[12]
몬수의 이름은 "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설이 있다.
몬투는 테베를 비롯하여 아르망트, 메다무드, 엘-토드 등지에서 숭배되었다. 특히 이집트 제11왕조 파라오들은 몬투를 열렬히 숭배했으며, '멘투호테프'라는 이름을 가진 파라오들이 여럿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이름의 의미가 "매"가 아니냐는 설도 제기한다.
3. 역할 및 특징
강인함과 전쟁과 관련된 황소와의 연관성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몬투가 흰색 몸통에 검은 코를 가진 황소 부키스(아르만트에서 숭배받는 살아있는 황소)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믿었다. 후기 시대(기원전 7-4세기)에는 황소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2] 이 신성한 황소는 수십 명의 하인을 거느리고 귀중한 왕관과 턱받이를 착용했다.[7]
이집트 미술에서 몬투는 매의 머리나 황소 머리를 가진 남성으로 묘사되며, 머리에는 태양 원반(라[2]와의 관계 때문에)과 두 개의 깃털 장식이 있다.[8][9] 매는 하늘의 상징이었고 황소는 힘과 전쟁의 상징이었다. 그는 굽은 칼, 창, 활과 화살 또는 칼과 같은 다양한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자주 나타나는데, 이러한 군사적 도상은 신왕국 시대(기원전 16-11세기)에 널리 퍼져 있었다.[4]
4. 신화
몬수는 하야부사의 머리에 태양 원반과 두 장의 깃털 장식을 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전투의 수호자"로 여겨지며, 라가 명계를 지날 때 타는 태양의 배를 악령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생각되었다.
원래는 지방신이었으나 테베가 이집트의 수도가 되면서 지위가 높아졌다.
5. 숭배
5. 1. 몬투와 파라오의 전쟁
제11왕조 시대에 몬투 숭배는 절정에 달했다.[1] 파라오들은 몬투를 통치자, 정복자, 승리자의 상징이자 전장에서 그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로 여겼다.[6] 이집트 군대는 테베, 아르만트, 메다무드, 엘-토드의 4개 지역 몬투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장식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적을 짓밟고 창으로 꿰뚫는 용맹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었다.[6]
투트모세 3세는 "전장의 용감한 몬투"로 묘사되었으며,[4] 람세스 2세는 카데시 전투에서 적을 보고 "테베의 몬투 신처럼 분노했다"고 전해진다.[17]
5. 2. 몬투 신전

메다무드의 몬투 신전 단지는 오늘날 룩소르에서 북동쪽으로 5km 미만 떨어진 곳에 있으며,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 세누스레트 3세(기원전 1878~1839년)가 이집트 구왕국의 기존 신성한 부지에 건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신전 안뜰은 몬투의 화신으로 숭배받은 부키스 황소가 거주하는 곳으로 사용되었다.[7] 성스러운 호수는 아마도 성소 서쪽에 있었을 것이다. 건물은 북쪽의 신전과 남쪽의 사제 집으로 추정되는 두 개의 인접 구역으로 구성되었다. 생 벽돌로 지어졌고, 신의 가장 안쪽 켈라는 조각된 돌로 지어졌다. 메다무드의 신전 단지는 이집트 신왕국,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로마 시대에 걸쳐 복원과 개조를 거쳤다.[14]
아르망트에는 적어도 제11왕조부터 몽투 사원이 있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는 이 사원의 첫 번째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원래의 단지는 제12왕조, 이집트 제13왕조(기원전 1803~1649년경)와 이후 신왕국 시대(특히 투트모세 3세 치세)에 확장되고 장식되었다.[20] 람세스 2세(기원전 1279~1213년)와 그의 아들 메르네프타(기원전 1213~1203년)는 이집트 제19왕조에서 거상과 조각상을 추가했다.[20] 늦은 시대(기원전 7세기/4세기)에 파일론을 제외하고 해체되었지만, 이집트의 마지막 토착 파라오인 넥타네보 2세(기원전 360~342년)에 의해 새로운 사원이 시작되었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의해 계속 건설되었다. 기원전 1세기에 클레오파트라 7세(기원전 51~30년)는 어린 아들 카이사리온(프톨레마이오스 15세 카이사리온)을 기리기 위해 맘미시와 성스러운 호수를 건설했다.[21] 이 건물은 1861년까지 보존되었지만, 설탕 공장 건설에 사용하기 위해 해체되었다. 투트모세 3세의 파일론 유적과 두 개의 입구 유적(그중 하나는 서기 2세기 로마 황제/파라오 안토니누스 피우스 치하에 건설됨)만 남아 있다. 대규모 아르망트 단지에는 부키스 신성한 황소의 묘지인 부케움이 있었다. 부키스의 첫 번째 매장은 넥타네보 2세 통치(기원전 340년경)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마지막 매장은 황제/파라오 디클레티아누스(서기 300년경) 시대에 이루어졌다.[14]
카르나크 신전 단지 내, 기념비적인 아문 신전 북쪽에, 아멘호테프 3세는 몬투를 위한 신성한 구역을 건설했다.[2][14] 중왕국 시대에 건설된 요새인 우로나르티 (나일강 두 번째 폭포 남쪽)에도 몬투에게 헌정된 신전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1986
[2]
서적
Dizionario della civiltà egizia
Gremese Editore
1994
[3]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I: Late Perio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4]
웹사이트
Gods of Ancient Egypt: Montu
http://www.ancienteg[...]
2018-05-03
[5]
서적
The Spirit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Algora Publishing
2001
[6]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7]
문서
Pinch 2004, p. 166.
[8]
웹사이트
Montu ! Description & 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30
[9]
웹사이트
Egypt: Montu, Solar and Warrior God
http://www.touregypt[...]
2023-05-30
[10]
문서
Wilkinson 2003, p. 168.
[11]
문서
Wilkinson 2003, p. 150.
[12]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13]
서적
'The Middle Kingdom Renaiss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4]
문서
Hart 1986, p. 127.
[15]
서적
'Ancient Times: A History of the Early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and the Career of Early Man'
Ginn and Company
1914
[16]
서적
Amenhotep III: Perspectives on His Reig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1
[17]
웹사이트
Egyptian Accounts of the Battle of Kadesh
http://www.reshafim.[...]
2018-05-04
[18]
문서
Egyptian Accounts of the Battle of Kadesh
http://www.reshafim.[...]
[19]
서적
Cleopatra the Great: The Woman Behind the Legend
HarperCollins
2011
[20]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11-03
[21]
웹사이트
The mammisi
http://www.reshafim.[...]
2018-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