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은 묘향산 보현사 대웅전 앞에 세워진 다각다층석탑으로, 3단의 기대석 위에 단층 기단을 두고 13층의 탑신과 상륜을 갖추고 있다.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 석탑 중 가장 층수가 많고 완전한 형태를 보인다. 한국 전쟁 중 손상되었으나 복원되었으며, 김중업의 주한 프랑스 대사관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산군 - 묘향산
    묘향산은 청천강 좌안 묘향산맥의 명산으로, 비로봉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불교 유적, 단군 신화 유래, 조선왕조실록 사고,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 지정 등의 특징을 가진 북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향산군 - 국제친선전람관
    국제친선전람관은 1978년 8월 26일 개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박물관으로, 묘향산 보현사 인근에 위치하며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각국에서 전달된 선물들을 전시하고 있고 조선식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북한 체제 선전에 활용된다는 비판도 있다.
  • 고려의 석탑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은 백제 석탑 양식을 일부 유지한 고려시대 전기 석탑으로, 목조 탑파 형식을 모방하여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며, 기단부 백제 시대 기와 조각과 사리장치, 그리고 목탑 존재 흔적 등이 특징이다.
  • 고려의 석탑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은 고려 말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대리석 석탑으로, 1348년에 건립되어 국보 제86호로 지정되었으며, 섬세한 조각과 목조건축 양식을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 부벽루
    부벽루는 평양에 있는 누각으로, 역사적, 건축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며,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문학 작품과 미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 백마산성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명칭
한국어 명칭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한자 명칭普賢寺八角十三層塔
로마자 표기Bohyeonsa-palgaksipsamcheungtap
일반 정보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유형국보
지정 번호144
소재지자강도 향산군 향암리
시대고려

2. 상세

묘향산 보현사의 주불전인 대웅전 앞에 세워진 석탑으로, 3단의 높은 기대석을 중첩시키고, 그 위에 단층기단을 구축한 후 13층의 탑신부와 상륜을 형성한 다각다층석탑이다. 3단의 기대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에 세장한 안상을 4∼3구씩 조각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일반적인 안상을 장식하여 화려한 기대를 이루고 있다. 단층기단의 하대석에는 각 면에 기대석의 측면과 같이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고, 상면에는 연꽃 무늬를 새겨 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의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였으며, 그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한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기단 갑석은 하대석과 대칭으로 아래에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무늬를 각 변에 2판씩, 각 모서리에는 1판씩 장식하고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였다. 갑석 하면에 부연은 없으나 상면에 괴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석은 초층부터 13층까지의 양식 수법이 같은데,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고 각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 기단부 면석의 각 면과 같은 형식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초층부터 13층까지 양식수법이 같은데, 하면에는 2단씩의 옥개받침을 각출하고 추녀는 약간씩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의 각 변은 전형적인 고려식 곡선이며 여덟 귀퉁이의 전각에는 큼직한 반전이 있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면의 합각은 굵은 우동(내림마루)으로 처리되었고, 상면에 1단의 괴임을 마련하여 그 윗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이나 풍경은 최근에 새롭게 달아놓은 것이다.

석탑의 특징은 우선 첫째 3단의 기대석 측면에 수미단과 같은 모양을 가득히 조각하여 기저부부터 장식적인 의장을 볼 수 있으며, 기단 역시 마치 불상 대좌를 마련하듯 상·하대에 앙련과 복련을 조각하여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탑신부에 있어서 초층부터 탑신석과 옥개석의 체감이 아주 적은 편이어서 세장한 탑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륜부는 본래 금동으로 장식되었던 것을 후대에 청동제 상륜을 새로 제작해 올렸는데, 석제가 아닌 금속제 상륜을 장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각다층탑이면서 이 석탑이 지닌 장식적 의장 및 각 부의 양식수법은 보현사 창건(1042년)과는 별도로 고려 후기에 제작된 석탑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의 석탑 가운데 가장 층수가 많으면서도 완전한 형태를 보이는 석탑의 하나이다. 1042년에 건립된 이 화강암 구조물(속가탑이라고도 불림)은 고려 시대에 지어졌다.[1] 높이는 10.03m이고 몸체는 6.58m이다.[2] 탑의 몸체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2] 팔각형 지붕돌의 처마와 각 층의 처마는 끝이 약간 들려 있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처마의 각 끝에는 총 104개의 금속 종이 매달려 있다.[2] 청동 장식이 탑의 꼭대기에 있다.[2]

각종 종과 금박을 입힌 청동 장식은 한국 전쟁 중 미국의 폭격으로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이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었다.[2]

이 탑은 불가사 절의 다보탑과 짝을 이루는 남성적인 구조물이며, 한국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한 주한 프랑스 대사관의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3]

2. 1. 구조

3단의 높은 기대석을 중첩시키고, 그 위에 단층기단을 구축한 후 13층의 탑신부와 상륜을 형성한 다각다층석탑이다. 3단의 기대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에 세장한 안상을 4∼3구씩 조각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일반적인 안상을 장식하여 화려한 기대를 이루고 있다. 단층기단의 하대석에는 각 면에 기대석의 측면과 같이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고, 상면에는 연꽃 무늬를 새겨 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의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였으며, 그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한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기단 갑석은 하대석과 대칭으로 아래에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무늬를 각 변에 2판씩, 각 모서리에는 1판씩 장식하고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였다. 갑석 하면에 부연은 없으나 상면에 괴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석은 초층부터 13층까지의 양식 수법이 같은데,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고 각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 기단부 면석의 각 면과 같은 형식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초층부터 13층까지 양식수법이 같은데, 하면에는 2단씩의 옥개받침을 각출하고 추녀는 약간씩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의 각 변은 전형적인 고려식 곡선이며 여덟 귀퉁이의 전각에는 큼직한 반전이 있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면의 합각은 굵은 우동(내림마루)으로 처리되었고, 상면에 1단의 괴임을 마련하여 그 윗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이나 풍경은 최근에 새롭게 달아놓은 것이다.

석탑의 특징은 우선 첫째 3단의 기대석 측면에 수미단과 같은 모양을 가득히 조각하여 기저부부터 장식적인 의장을 볼 수 있으며, 기단 역시 마치 불상 대좌를 마련하듯 상·하대에 앙련과 복련을 조각하여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탑신부에 있어서 초층부터 탑신석과 옥개석의 체감이 아주 적은 편이어서 세장한 탑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륜부는 본래 금동으로 장식되었던 것을 후대에 청동제 상륜을 새로 제작해 올렸는데, 석제가 아닌 금속제 상륜을 장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각다층탑이면서 이 석탑이 지닌 장식적 의장 및 각 부의 양식수법은 보현사 창건(1042년)과는 별도로 고려 후기에 제작된 석탑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의 석탑 가운데 가장 층수가 많으면서도 완전한 형태를 보이는 석탑의 하나이다.

2. 2. 장식

3단의 기대 측면에는 직사각형 안에 세장한 안상을 4∼3구씩 조각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일반적인 안상을 장식하여 화려한 기대를 이루고 있다. 단층기단의 하대석에는 각 면에 기대석의 측면과 같이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고, 상면에는 연꽃 무늬를 새겨 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의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였으며, 그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한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기단 갑석은 하대석과 대칭으로 아래에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무늬를 각 변에 2판씩, 각 모서리에는 1판씩 장식하고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였다. 갑석 하면에 부연은 없으나 상면에 괴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석은 초층부터 13층까지의 양식 수법이 같은데,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고 각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 기단부 면석의 각 면과 같은 형식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초층부터 13층까지 양식수법이 같은데, 하면에는 2단씩의 옥개받침을 각출하고 추녀는 약간씩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의 각 변은 전형적인 고려식 곡선이며 여덟 귀퉁이의 전각에는 큼직한 반전이 있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면의 합각은 굵은 우동(내림마루)으로 처리되었고, 상면에 1단의 괴임을 마련하여 그 윗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이나 풍경은 최근에 새롭게 달아놓은 것이다.

석탑의 특징은 우선 첫째 3단의 기대석 측면에 수미단과 같은 모양을 가득히 조각하여 기저부부터 장식적인 의장을 볼 수 있으며, 기단 역시 마치 불상 대좌를 마련하듯 상·하대에 앙련과 복련을 조각하여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탑신부에 있어서 초층부터 탑신석과 옥개석의 체감이 아주 적은 편이어서 세장한 탑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륜부는 본래 금동으로 장식되었던 것을 후대에 청동제 상륜을 새로 제작해 올렸는데, 석제가 아닌 금속제 상륜을 장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2. 3. 특징

3단의 높은 기대석을 중첩시키고, 그 위에 단층기단을 구축한 후 13층의 탑신부와 상륜을 형성한 다각다층석탑이다. 3단의 기대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에 세장한 안상을 4∼3구씩 조각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일반적인 안상을 장식하여 화려한 기대를 이루고 있다. 단층기단의 하대석에는 각 면에 기대석의 측면과 같이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고, 상면에는 연꽃 무늬를 새겨 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의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였으며, 그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한 모양으로 조각하였다. 기단 갑석은 하대석과 대칭으로 아래에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무늬를 각 변에 2판씩, 각 모서리에는 1판씩 장식하고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였다. 갑석 하면에 부연은 없으나 상면에 괴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석은 초층부터 13층까지의 양식 수법이 같은데,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고 각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 기단부 면석의 각 면과 같은 형식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초층부터 13층까지 양식수법이 같은데, 하면에는 2단씩의 옥개받침을 각출하고 추녀는 약간씩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의 각 변은 전형적인 고려식 곡선이며 여덟 귀퉁이의 전각에는 큼직한 반전이 있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면의 합각은 굵은 우동(내림마루)으로 처리되었고, 상면에 1단의 괴임을 마련하여 그 윗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이나 풍경은 최근에 새롭게 달아놓은 것이다.

석탑의 특징은 우선 첫째 3단의 기대석 측면에 수미단과 같은 모양을 가득히 조각하여 기저부부터 장식적인 의장을 볼 수 있으며, 기단 역시 마치 불상 대좌를 마련하듯 상·하대에 앙련과 복련을 조각하여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탑신부에 있어서 초층부터 탑신석과 옥개석의 체감이 아주 적은 편이어서 세장한 탑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륜부는 본래 금동으로 장식되었던 것을 후대에 청동제 상륜을 새로 제작해 올렸는데, 석제가 아닌 금속제 상륜을 장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각다층탑이면서 이 석탑이 지닌 장식적 의장 및 각 부의 양식수법은 보현사 창건(1042년)과는 별도로 고려 후기에 제작된 석탑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의 석탑 가운데 가장 층수가 많으면서도 완전한 형태를 보이는 석탑의 하나이다.

3. 역사

묘향산 보현사의 주불전인 대웅전 앞에 세워진 석탑으로, 3단의 높은 기대석을 중첩시키고, 그 위에 단층기단을 구축한 후 13층의 탑신부와 상륜을 형성한 다각다층석탑이다. 3단의 기대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에 세장한 안상을 4∼3구씩 조각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일반적인 안상을 장식하여 화려한 기대를 이루고 있다. 단층기단의 하대석에는 각 면에 기대석의 측면과 같이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고, 상면에는 연꽃 무늬를 새겨 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의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였으며, 그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한 모양으로 조각하였다. 기단 갑석은 하대석과 대칭으로 아래에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무늬를 각 변에 2판씩, 각 모서리에는 1판씩 장식하고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였다. 갑석 하면에 부연은 없으나 상면에 괴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석은 초층부터 13층까지의 양식 수법이 같은데,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고 각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 기단부 면석의 각 면과 같은 형식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초층부터 13층까지 양식수법이 같은데, 하면에는 2단씩의 옥개받침을 각출하고 추녀는 약간씩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의 각 변은 전형적인 고려식 곡선이며 여덟 귀퉁이의 전각에는 큼직한 반전이 있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면의 합각은 굵은 우동(내림마루)으로 처리되었고, 상면에 1단의 괴임을 마련하여 그 윗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이나 풍경은 최근에 새롭게 달아놓은 것이다.

석탑의 특징은 우선 첫째 3단의 기대석 측면에 수미단과 같은 모양을 가득히 조각하여 기저부부터 장식적인 의장을 볼 수 있으며, 기단 역시 마치 불상 대좌를 마련하듯 상·하대에 앙련과 복련을 조각하여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탑신부에 있어서 초층부터 탑신석과 옥개석의 체감이 아주 적은 편이어서 세장한 탑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륜부는 본래 금동으로 장식되었던 것을 후대에 청동제 상륜을 새로 제작해 올렸는데, 석제가 아닌 금속제 상륜을 장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각다층탑이면서 이 석탑이 지닌 장식적 의장 및 각 부의 양식수법은 보현사 창건(1042년)과는 별도로 고려 후기에 제작된 석탑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의 석탑 가운데 가장 층수가 많으면서도 완전한 형태를 보이는 석탑의 하나이다.

1042년(서기)에 건립된 이 화강암 구조물([1] 속가탑이라고도 불림)은 고려 시대에 지어졌다. 팔각형 지붕돌의 처마와 각 층의 처마는 끝이 약간 들려 있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처마의 각 끝에는 총 104개의 금속 종이 매달려 있다.[2]

각종 종과 금박을 입힌 청동 장식은 한국 전쟁 중 미국의 폭격으로 심각하게 손상되었으나, 이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었다.[2] 이 탑은 불가사 절의 다보탑과 짝을 이루는 남성적인 구조물이며, 한국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한 주한 프랑스 대사관의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3]

3. 1. 건립 및 양식

묘향산 보현사의 주불전인 대웅전 앞에 세워진 석탑으로, 3단의 높은 기대석을 중첩시키고, 그 위에 단층기단을 구축한 후 13층의 탑신부와 상륜을 형성한 다각다층석탑이다.[1] 3단의 기대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에 세장한 안상을 4∼3구씩 조각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일반적인 안상을 장식하여 화려한 기대를 이루고 있다. 단층기단의 하대석에는 각 면에 기대석의 측면과 같이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고, 상면에는 연꽃 무늬를 새겨 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의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였으며, 그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한 모양으로 조각다. 기단 갑석은 하대석과 대칭으로 아래에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무늬를 각 변에 2판씩, 각 모서리에는 1판씩 장식하고 측면에는 직사각형 내의 안상을 3구씩 장식하였다. 갑석 하면에 부연은 없으나 상면에 괴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석은 초층부터 13층까지의 양식 수법이 같은데, 각 모서리에는 둥근 기둥을 모각하고 각 면에는 마치 액자를 돌린 듯 기단부 면석의 각 면과 같은 형식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초층부터 13층까지 양식수법이 같은데, 하면에는 2단씩의 옥개받침을 각출하고 추녀는 약간씩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의 각 변은 전형적인 고려식 곡선이며 여덟 귀퉁이의 전각에는 큼직한 반전이 있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면의 합각은 굵은 우동(내림마루)으로 처리되었고, 상면에 1단의 괴임을 마련하여 그 윗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석탑의 특징은 우선 첫째 3단의 기대석 측면에 수미단과 같은 모양을 가득히 조각하여 기저부부터 장식적인 의장을 볼 수 있으며, 기단 역시 마치 불상 대좌를 마련하듯 상·하대에 앙련과 복련을 조각하여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탑신부에 있어서 초층부터 탑신석과 옥개석의 체감이 아주 적은 편이어서 세장한 탑신을 이루고 있다.

1042년(서기)에 건립된 이 화강암 구조물은[1] 고려 시대에 지어졌다. 팔각형 지붕돌의 처마와 각 층의 처마는 끝이 약간 들려 있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처마의 각 끝에는 총 104개의 금속 종이 매달려 있다.[2]

다각다층탑이면서 이 석탑이 지닌 장식적 의장 및 각 부의 양식수법은 보현사 창건(1042년)과는 별도로 고려 후기에 제작된 석탑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의 석탑 가운데 가장 층수가 많으면서도 완전한 형태를 보이는 석탑의 하나이다. 상륜부는 본래 금동으로 장식되었던 것을 후대에 청동제 상륜을 새로 제작해 올렸는데, 석제가 아닌 금속제 상륜을 장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2] 각종 종과 금박을 입힌 청동 장식은 한국 전쟁 중 미국의 폭격으로 심각하게 손상되었으나, 이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었다. 이 탑은 불가사 절의 다보탑과 짝을 이루는 남성적인 구조물이며, 한국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한 주한 프랑스 대사관의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3]

3. 2. 한국 전쟁과 복원

4. 문화적 의의

참조

[1] 서적 The New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iUniverse 2012
[2] 웹사이트 The 13-storeyed Octagonal Pagoda of the Pohyon Temple http://www.naenara.c[...] Korea Computer Center in DPR Korea &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014-11-09
[3] 간행물 Remembrances: Kim Chung-up http://koreana.kf.or[...] Korea Foundation 198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