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강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강도는 1949년 평안북도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서부에 위치한 도이다. 산악 지형이 많고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납, 아연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3개의 시와 15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강계시이다. 자강도는 전력, 기계, 화학 등 다양한 산업을 갖추고 있으며, 북한의 군사 산업 시설이 위치해 있다. 2019년부터 관광객에게 개방되었으며, 만포시 등을 방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강도 - 관서팔경
    관서팔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 지방의 아름다운 여덟 곳으로, 인풍루, 통군정, 동림폭포, 백상루, 연광정, 강선루, 세검정, 약산동대가 있으며 역사적 의미와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명소이다.
  • 자강도 - 통군정
    통군정은 압록강변 삼각산 정상에 위치한 관서팔경 중 하나로, 고려 시대 창건 추정, 조선 중종 때 재건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 후 복원되었으며, 현재 북한 보물 제51호로 지정된 조선 초기 정자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유산이다.
  • 1949년 설치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1949년 설치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자강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
위치관서
수도강계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의 자강도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의 자강도 위치
면적16,613km²
인구 (2008년)1,299,83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평안 방언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9
ISO 3166-2KP-04
로마자 표기Jagang-do
매큔-라이샤워 표기Chagang-do
정치
조선로동당 위원장강봉훈
인민위원회 위원장리형근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3개 시, 15개 군
강계시
만포시
희천시
장강군
자성군
화평군
낭림군
동신군
성간군
고풍군
시중군
위원군
전천군
초산군
우시군
룡림군
삭주군
중강군
관광 정보
관광 정보만포시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개방됨.
기타 정보
지정자강도는 특별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아마도 핵무기를 숨기기 위한 것임.

2. 역사

1949년 1월 평안북도에서 강계군, 후창군, 자성군, 위원군, 희천군, 초산군을 분리하여 '''자강도'''가 신설되었다. 강계군 중 만포면, 시중면, 외귀면, 고산면, 리서면이 만포군으로, 전천면, 룡림면, 성간면, 화경면, 립관면, 간북면이 전천군으로 분리되었으며,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이 강계군으로 편입되었다. 몇 달 후 강계군 강계면이 강계시로 승격되어 강계군의 잔여지역이 장강군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12월 동신군, 시중군, 성간군, 화평군, 송원군, 고풍군, 룡림군, 중강군이 설치되었으며, 장강군 동문면은 함경남도 랑림군에 이관되었다.

1954년 10월 후창군이 신설된 량강도에 이관되고 함경남도에서 랑림군, 평안북도에서 우시군이 편입되었다.

1960년 만포군이 만포시로 승격되었다.

1967년 희천군이 희천시로 승격되었다.

2023년 2월 평안북도 향산군이 자강도로 편입되었다[10].

3. 지리

한반도 북부 내륙에 있는 도이다.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13도제 시기 평안북도 동부와 평안남도 일부를 포함한다. 량강도 신설 때 후창군 등 일부 지역이 관할에서 제외되었다. 북서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 시 및 랴오닝성, 서남쪽은 평안북도, 남쪽은 평안남도, 동남쪽은 함경남도, 북쪽은 량강도와 맞닿아 있다. 대부분 산지이며, 대륙성 기후 때문에 가장 추운 지역이다. 주요 하천은 장자강과 충만강이 있는데, 이 강들은 동쪽에서 북서쪽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유입된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도 전체 면적의 98%가 산악 지대이다. 평균 해발고도는 750m이며, 대부분 지역의 경사도는 15~40도이다.[1]

아시아 대륙의 영향으로 뚜렷한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매우 춥고 긴 겨울, 짧은 봄과 가을이 나타난다. 일교차 및 연교차가 큰 기후적 특징을 보이며, 여름에는 집중호우와 우박이 자주 내린다. 따라서 천둥과 번개도 자주 발생한다.[1]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 아연, , 구리, 몰리브덴, 텅스텐, 안티몬, 흑연, 인회석, 명반석, 석회석, 탄산 칼슘, 무연탄, 광석의 주요 생산지이다. 또한 수정과 귀중한 보석도 매장되어 있다.[1]

4. 행정 구역

1949년 1월 평안북도에서 강계군, 후창군, 자성군, 위원군, 희천군, 초산군을 분리하여 '''자강도'''가 신설되었다. 강계군 중 일부는 만포군과 전천군으로 분리되었고,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이 강계군으로 편입되었다. 몇 달 후 강계군 강계면이 강계시로 승격되어 강계군의 잔여 지역은 장강군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12월에는 동신군, 시중군, 성간군, 화평군, 송원군, 고풍군, 룡림군, 중강군이 설치되었으며, 장강군 동문면은 함경남도 랑림군에 이관되었다.

1954년 10월에는 후창군이 신설된 량강도에 이관되고 함경남도에서 랑림군, 평안북도에서 우시군이 편입되었다.

1960년 만포시, 1967년 희천시가 각각 승격되었다.

2023년 2월에는 평안북도 향산군이 자강도로 편입되었다.[10]

자강도는 3개의 시와 15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시

자강도는 3개의 (''si'')로 나뉜다.[8]

이름조선글한자인구 (2008년)하위 행정 구역
강계시 (수도)강계시江界市25197134 , 2
만포시만포시滿浦市11676011 , 15
희천시희천시熙川市16818021 , 12


4. 2. 군

(2008년)[8]하위 행정 구역희천시희천시熙川市168,18021 , 12 강계시 (수도)강계시江界市251,97134 , 2 만포시만포시滿浦市116,76011 , 15 장강군장강군長江郡54,6011 , 3 로동자구, 10 자성군자성군慈城郡50,9391 , 1 로동자구, 15 전천군전천군前川郡106,3111 , 5 로동자구, 11 초산군초산군楚山郡43,6141 , 18 중강군중강군中江郡41,0221 , 1 로동자구, 8 화평군화평군和坪郡42,1831 , 3 로동자구, 10 향산군향산군香山郡52,3501 , 20 고풍군고풍군古豐郡31,5721 , 12 랑림군랑림군狼林郡36,4811 , 2 로동자구, 14 룡림군룡림군龍林郡32,7271 , 12 시중군시중군時中郡41,8421 , 14 성간군성간군城干郡92,9521 , 5 로동자구, 9 송원군송원군松原郡38,0511 , 12 동신군동신군東新郡47,4601 , 14 우시군우시군雩時郡42,9191 , 1 로동자구, 22 위원군위원군渭原郡60,2451 , 2 로동자구, 20


5. 산업

자강도는 한반도 북부 내륙에 위치한 도(道)로,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었다. 울창한 산림 자원을 바탕으로 임업이 발달했으며, 희천발전소를 비롯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다.

자강도는 풍부한 지하자원, 산림 자원,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 전쟁 이전에는 매우 낙후된 지역이었으나, 전쟁 이후 전력, 기계, 화학, 경공업, 광업, 임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전했다. 총 산업 생산량은 전쟁 직전보다 1,000배나 증가했다.

북한의 대다수 지하 군사 산업 시설이 자강도에 위치해 있으며,[4] 여기에는 대량 살상 무기 프로그램의 일부도 포함된다.[5]

강계시는 자강도의 도도(道都)이며, 주요 경제적 제재 공장 중 하나가 위치해 있다. 희천시는 한국 전쟁 당시 산업 이전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되어 크게 발전했다. 오늘날 희천시에는 거대한 기계 공구 공장, 실크 공장, 경질 유리 제품 공장 등 여러 산업이 있으며, 북한의 주요 통신 대학교가 있다.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농업이 어려웠던 자강도는 오늘날 농업 활동이 주로 축산업과 연계되어 있다. 그 예로 흥주농장이 있다.

6. 농업

1945년 광복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자강도는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농업이 어려워 가장 덜 발달되고 고립된 도(道) 중 하나였다. 화전 농업을 하는 농부들만이 산비탈을 일구며 생계를 유지했다.

오늘날 자강도의 농업 활동은 주로 축산업과 연계되어 있다. 그 예로 흥주농장이 있다.

7. 에너지

자강도는 강계청년발전소, 운봉발전소, 장자강발전소 등 대규모 수력 발전소 건설을 통해 국가의 전력 기지로 변모했다.[1]

1990년대 이후 자강도 지방 당국은 다수의 중소형 발전소를 건설했다.[1] 통나무 댐, 수로, 뗏목 및 수문 등은 발전소 건설에 사용된 효율적인 방식이었다.[1]

2~70kW 용량의 소형 수력 터빈이 현지 기술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발전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켰다.[1]

8. 관광

자강도는 한반도 북부 내륙에 있는 도로, 임업이 발달하여 북한의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생태·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6] 대표적인 산업시설로는 희천발전소가 있으며, 희천공작기계공장, 강계연필공장, 강계포도술공장, 강계제지공장, 자강도림산사업소, 전천도자기공장 등이 있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자강도는 한동안 관광객이 갈 수 없는 유일한 북한의 도였다. 이 지역에 무기 및 핵무기 공장과 부지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6] 2019년 4월 이전에는 희천호텔[6]만이 관광객이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

그러나 2019년 4월, 자강도는 관광객에게 개방되었으며, 만포시에 갈 수 있게 되었다. 만포시는 중국에서 강을 건너 바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7]

9. 교육

참조

[1] 웹사이트 NK Leadership Tracker https://www.nknews.o[...]
[2] 웹사이트 Manpo City to Open Foreign Tourists https://www.youngpio[...] 2020-06-26
[3] 웹사이트 North Korea designates Chagang Province as special zone, possibly to conceal nuclear weapons https://www.dailynk.[...] 2020-06-26
[4] 웹사이트 Defense https://www.fas.org/[...]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3-10-11
[5] 웹사이트 North Korea Expanding WMD Production Capabilities http://www.nti.org/g[...] Nuclear Threat Initiative 2013-10-11
[6] 웹사이트 Huichon Hotel North Korea Travel Guide - Koryo Tours https://koryogroup.c[...] 2020-06-26
[7] 웹사이트 Manpo City to Open Foreign Tourists https://www.youngpio[...] 2020-06-26
[8] 웹사이트 DPR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http://unstats.un.or[...]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20-11-25
[9] 웹사이트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10] 웹인용 우리나라의 북서부에서 압록강 중류에 있는 도.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