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스카린 작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스카린 작용제는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로, M1, M2, M3, M4, M5의 5가지 유형이 있다. M1 수용체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잠재적 표적이며, M1, M4 이중 효능제인 자노멜린은 조현병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다. M3 수용체 작용제인 필로카르핀, 아세클리딘, 세비멜린 등은 녹내장,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 M4 수용체는 정신병 및 인지 증상 조절에 관여하며, 콜린성 작용제는 무스카린성 작용제와 니코틴성 작용제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스카린 작용제 - 클로자핀
클로자핀은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 치료, 자살 위험 감소, 추체외로계 장애에 효과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제이나, 심각한 부작용 위험으로 혈액 검사를 통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제2세대 항정신병약의 효시로 재도입되었으나 인종 간 대사 차이 및 저사용 현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 무스카린 작용제 - 세비멜린
세비멜린은 구강건조증과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사용되는 콜린성 작용제로, 무스카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침샘을 자극, 타액 생산량을 증가시키지만, 특정 질환이 있거나 다른 약물과 병용하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무스카린 작용제 | |
---|---|
약리학 | |
활성제 |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
2.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종류
무스카린 작용제의 표적은 무스카린 수용체이며, M1, M2, M3, M4, M5의 5가지로 세분된다. 이러한 수용체는 GPCR이며 Gi 또는 Gq 서브유닛에 결합되어 있다.
M1형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인지 과정에 관여하며, 알츠하이머병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형성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된다. 이 수용체는 질병 과정에서 비교적 변화가 적어 치료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13][14][15]
3.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임상적 의의
많은 무스카린 작용제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개발 중이며, 신경 영양 작용, 아밀로이드 침착 감소, 산화 스트레스 개선, 타우 단백질 인산화 감소, 콜린성 기능 향상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AF 시리즈 (AF102B, AF150(S), AF267B) 등이 연구되고 있다.
자노멜린은 조현병 치료제로 기대되며[16][17], 부작용 억제를 위해 트로스피움을 배합한 복합제 「KarXT」가 개발 중이다. 카르나 세라퓨틱스는 2024년 9월 26일 FDA 심사 종료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18]
3. 1. M1 수용체 관련 질환 및 치료제
M1형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인지 처리 과정에 관여한다. 알츠하이머병(AD)에서 아밀로이드 형성은 이러한 수용체의 신호 전달 능력을 감소시켜 콜린성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수용체 자체는 질병 과정에서 비교적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AD 환자의 인지 기능을 개선하려는 시도에서 잠재적인 치료 표적이 되었다.[2][3][4]
AD 치료를 위해 여러 무스카린 효능제가 개발되었으며 연구 중에 있다. 이러한 약제는 신경영양인자이고, 아밀로이드 침착을 감소시키며,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개선하여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타우 단백질-인산화가 감소하고 콜린성 기능이 향상된다. 특히 AF 계열의 여러 무스카린 효능제(AF102B, AF150(S), AF267B)가 이러한 연구의 초점이 되었다. AD 손상을 모방한 동물 모델에서 이러한 약제는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M1, M4 이중 효능제인 자노멜린은 조현병의 잠재적 치료제로 제안되었다.[5][6]
3. 2. M3 수용체 관련 질환 및 치료제
필로카르핀 형태의 무스카린 수용체 효능제는 짧은 기간 동안 의학적으로 사용되어 왔다.3. 3. M4 수용체 관련 질환 및 치료제
자노멜린은 부분적으로 M4 수용체를 통해 작용을 나타낸다. 전임상 약리학 및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M4 수용체는 정신병과 인지 증상 영역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8][9]
4. 무스카린성 작용제와 니코틴성 작용제의 비교
콜린성 작용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무스카린성 작용제와 니코틴성 작용제로 구분된다. 다음은 무스카린성 작용제와 니코틴성 작용제의 비교 표이다.[10][19]
물질 | 수용체 특이성 |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에 의한 가수분해 | 비고 | |
---|---|---|---|---|
무스카린성 | 니코틴성 | |||
아세틸콜린 | +++ | +++ | +++ | 내인성 리간드 |
카바콜 | ++ | +++ | - | 녹내장 치료에 사용됨 |
메타콜린 | +++ | + | ++ | 기관지 과민성(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특징) 진단에 사용됨 |
베타네콜 | +++ | - | - | 방광 및 위장관 저긴장증에 사용됨 |
무스카린 | +++ | - | - | 특정 버섯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알칼로이드. 버섯 중독의 한 형태를 유발함 |
니코틴 | - | +++ | - | 담배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알칼로이드. |
필로카르핀 | ++ | - | - | 녹내장에 사용됨 |
옥소트레모린 | ++ | + | - | 파킨슨병 증상을 유발하는 연구에 사용됨 |
참조
[1]
논문
Muscarinic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2001-02-28
[2]
논문
AF150(S) and AF267B: M1 muscarinic agonists as innovative therapies for Alzheimer's disease
[3]
논문
M1 muscarinic agonists: Their potential in treatment and as disease-modifying agents in Alzheimer's disease
[4]
논문
Cholinergic treatments with emphasis on m1 muscarinic agonists as potential disease-modifying agents for Alzheimer's disease
2008-07
[5]
논문
Selective Muscarinic Receptor Agonist Xanomeline as a Novel Treatment Approach for Schizophrenia
2008-07
[6]
논문
Muscarinic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cognition in schizophrenia
2008-11
[7]
간행물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pproves Bristol Myers Squibb's Cobenfy (xanomeline and trospium chloride), a First-In-Class Muscarinic Agonist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in Adults
https://www.business[...]
Bristol Myers Squibb
2024-09-27
[8]
논문
Attenuation of amphetamine-induced activity by the non-selective muscarinic receptor agonist, xanomeline, is absent in muscarinic M4 receptor knockout mice and attenuated in muscarinic M1 receptor knockout mice
2009-01
[9]
논문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Agonists as Novel Treatments for Schizophrenia
2022-09
[10]
서적
Rang & Dale's pharmacology
Churchill Livingstone
[11]
논문
Methacholine challenge testing: identifying its diagnostic role, testing, coding, and reimbursement
https://journal.ches[...]
2007-06
[12]
논문
Activation of muscl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channels by nicotinic and muscarinic agonists
1999-12-01
[13]
논문
AF150(S) and AF267B: M1 muscarinic agonists as innovative therapies for Alzheimer's disease
[14]
논문
M1 muscarinic agonists: Their potential in treatment and as disease-modifying agents in Alzheimer's disease
http://www3.intersci[...]
[15]
논문
Cholinergic treatments with emphasis on m1 muscarinic agonists as potential disease-modifying agents for Alzheimer's disease
2008-07
[16]
논문
Selective Muscarinic Receptor Agonist Xanomeline as a Novel Treatment Approach for Schizophrenia
2008-07
[17]
논문
Muscarinic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cognition in schizophrenia
2008-11
[18]
웹사이트
FDA kicks off review of Karuna’s schizophrenia drug KarXT
https://pharmaphorum[...]
pharmaphorum
2023-12-13
[19]
서적
Rang & Dale's pharmacology
Churchill Livingstone
[20]
논문
Methacholine challenge testing: identifying its diagnostic role, testing, coding, and reimbursement
https://journal.ches[...]
2007-06
[21]
논문
Activation of muscl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channels by nicotinic and muscarinic agonists
1999-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