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아딘(Muezzin)은 아랍어 '무아딘'에서 유래된 용어로, 이슬람 사원에서 예배 시간을 알리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무아딘은 훌륭한 인격과 목소리, 기술을 갖춘 남성으로 선발되며, 기도를 부르기 전 키블라(메카 방향)를 향해 아잔을 낭송한다. 과거에는 수학적 천문학 지식을 활용하여 기도 시간을 결정하는 무와키트와 연관되기도 했으나, 오늘날에는 전자 장치의 발달로 인해 무아킨의 역할은 간소화되었다. 최초의 무아딘은 빌랄 빈 라바흐이며, 무아딘은 이슬람에서 존경받는 직책으로 여겨진다. 아잔의 내용은 알라의 위대함을 찬양하고, 무슬림에게 예배를 권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수니파와 시아파의 아잔 내용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무아딘 | |
---|---|
직책 개요 | |
직책 | 무아딘 |
역할 | 이슬람 사원에서 기도 시간을 알리는 역할 |
어원 | |
언어 | 아랍어 |
아랍어 표기 | مُؤَذِّن |
로마자 표기 | mu'adhdhin |
의미 | 알리는 사람 |
직무 | |
주요 임무 | 아잔 낭송 (기도 시간 알림) 이카마 낭송 (기도 시작 알림) |
추가 임무 (일부 모스크) | 모스크 관리 및 유지 보수 |
자격 요건 | |
필수 조건 | 무슬림 남성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성품 아름다운 목소리 아잔 구절 암기 및 정확한 발음 |
선호 조건 | 이슬람 법률 및 전통에 대한 지식 |
역사 | |
기원 | 무함마드 시대 (7세기) |
최초의 무아딘 | 빌랄 이븐 라바 |
역할 변화 | 전통적인 낭송 외에 오디오 장비 사용 증가 |
2. 어원
영어 단어 "muezzin"은 아랍어 مُؤَذِّن|무아딘ar[4]에서 차용되었으며, 이는 "부르다"라는 의미의 أَذَّنَ|아단ar의 능동 분사이다. 따라서 "부르는 자"를 의미한다.
전문 무아진은 사원에서 봉직하기 위해 훌륭한 인격, 목소리 및 기술을 갖춘 사람으로 선발되며, 일반적으로 남성이다.[5] 무아진은 성직자로 간주되지 않으며, 이들의 역할에는 화장실과 사람들이 기도 전에 우두(세정 의식)를 행할 때 손, 얼굴, 발을 씻는 장소를 청소하는 것도 포함된다.[6] 기도를 부르는 동안 무아진은 키블라(qiblah)(카바(Ka'bah) 방향)를 향하여 아잔(adhan)을 낭송한다.[7]
무에진이 예배 시간을 알리기 위해 외치는 아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역할과 책임
14세기, 맘루크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이슬람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간 주요 사원에서는 수학적 천문학을 이용하여 기도 시간을 결정하는 ''무와키트(muwaqqit)''를 고용하기도 했다. 무아진은 경건함과 아름다운 목소리로 선발되었지만, 무와키트의 자격은 천문학에 대한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했다. 역사학자 손야 브렌트예스(Sonja Brentjes)는 무와키트가 특수화된 무아진으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과 두 직책 간의 명확한 구분이 없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샴스 알딘 아부 압둘라 알칼릴리(Shams al-Din Abu Abd Allah al-Khalili)와 이븐 알샤티르(ibn al-Shatir)을 포함한 일부 유명한 무와키트들은 한때 무아진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두 직책을 동시에 맡았다. 오늘날에는 전자 장치와 권위 있는 시간표의 생산으로 사원의 무아진은 표나 시계를 참조하여 기도를 부르는 방송을 할 수 있게 되어 ''무와키트''의 특수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큰 모스크에는 와끄프 기금으로 고용된 전문 무아진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은 하루 다섯 번의 예배 전에 모스크의 미나레트 꼭대기에서 아잔을 외쳐 무슬림(이슬람교도)에게 예배를 알린다.
원래는 각 미나레트의 회랑을 걸어 다니며 불렀지만, 나중에는 회랑에 오른 무아진이 휴대용 확성기를 사용하거나, 모스크 안의 한 무아진이 마이크 앞에서 외치고, 미나레트 등에 설치된 확성기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게 되었다. 또한, 어디에서든 무슬림이 집단 예배를 할 때는 누군가가 아잔을 외치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러한 임시 무아진이 아잔을 외칠 때는 특히 음량은 요구되지 않는다.
최초의 무아진으로 알려진 빌랄 빈 라바흐는 현대에도 무아진이 목표해야 할 모습으로 존경받고 있다. 코란 암송자나 무아진은 종종 귀 뒤에 손을 대고 낭송하는데, 이러한 제스처는 빌랄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다.
무아진을 맡는 일에는 큰 공덕이 있으며, “사후 심판의 날에는 심판관에게 눈에 띄는 존재가 되도록 목이 길어진다”, “무아진을 7년 동안 섬기면 지옥에 가지 않고, 12년 동안 섬기면 천국에 간다”는 전승이 있다. 하디스에 따르면, 각 모스크에는 두 명의 무아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무아진이 되는 자에게는 여러 가지 조건이 요구되며, 그것을 어기는 것은 혐오스러운 것으로 여겨진다.무아진의 조건 무슬림이어야 한다. 이성적인 사람이어야 한다. (미치광이, 술 취한 사람, 실신하는 버릇이 있는 사람, 어린아이여서는 안 된다.) 남자여야 한다. (여자나 거세된 남자는 안 된다.) 병 등의 이유가 없는 한 서서 행해야 한다. 정해진 동작을 지켜야 한다.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목소리가 높은 사람이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암송해야 한다.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지고 암송해야 한다. 아잔에 변화나 기교를 가해서는 안 된다.
참고로, 시각장애인이나 어린아이라도, 무와캇(مواقيت)이라 불리는 시간을 지키는 역할의 보조자가 있다면 무아진이 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4. 아잔의 내용
모아진의 부름은 아름다운 아잔의 낭송에 반영된 예술 형식으로 여겨진다. 튀르키예에서는 매년 전국 최고의 모아진을 선발하는 대회가 열린다.[8]
역사적으로 모아진은 사원 주변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미나렛 꼭대기에서 기도를 부르는 소리를 낭송했다. 현재 사원에는 종종 미나렛 꼭대기에 설치된 확성기가 있으며, 모아진은 마이크를 사용하거나 녹음된 소리를 재생하여 미나렛에 오르지 않고도 먼 거리에서 기도를 부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4. 1. 수니파
알라는 위대하시도다. 알라는 위대하시도다. 나는 알라 이외에 다른 어떤 신도 존재하지 않음을 선언한다. 무함마드는 알라의 예언자이시다. 기도하러 오라. 구원받으러 오라. 알라는 가장 위대하시다. 알라 이외에 다른 어떤 신도 존재하지 않는다.[1]
الله أكبرأشهد أن لا اله إلا اللهأشهد أن محمدا رسول اللهحي على الصلاةحي على الفلاحالله أكبرلا إله إلا الله|알라후 아크바르 아슈하두 안 라 일라하 일랄라 아슈하두 안나 무함마단 라술룰라 하이야 알랄 살라 하이야 알랄 팔라 알라후 아크바르 라 일라하 일랄라ar[1]
4. 2. 시아파
시아파의 아잔은 다음과 같다.[1]
الله اكبراشهد ان لا اله الا اللهاشهد ان محمدا رسول اللهاشهد ان عليا ولي اللهحي على الصلاةحي على الفلاححي على خير العملالله اكبرلا اله الا اللهar
5. 역사
무아진 제도는 무함마드 시대부터 존재해 왔다. 최초의 무아진은 무함마드의 가장 신뢰받고 충성스러운 사하바(صحابہ) 중 한 명이었던 전 노예 빌랄 이븐 라바였다. 그는 메카에서 태어났으며 무함마드 자신이 선택한 최초의 무아진으로 여겨진다.[9][10][11][12]
첨탑이 모스크에서 관례가 된 후, 도시에서 무아진의 직책은 때때로 맹인에게 주어지기도 했다. 그들은 시민들의 집 안마당을 내려다볼 수 없어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13] 큰 모스크에는 와끄프 기금으로 고용된 전문 무아진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하루 다섯 번의 예배 전에 모스크의 미나레트 꼭대기에서 아잔을 외쳐 무슬림(이슬람교도)에게 예배를 알리는 일을 한다.
원래는 각 미나레트의 회랑을 걸어 다니며 불렀지만, 나중에는 회랑에 오른 무아진이 휴대용 확성기를 사용하거나, 모스크 안의 한 무아진이 마이크 앞에서 외치고, 미나레트 등에 설치된 확성기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게 되었다. 또한, 어디에서든 무슬림이 집단 예배를 할 때는 누군가가 아잔을 외치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러한 임시 무아진이 아잔을 외칠 때는 특히 음량은 요구되지 않는다.
최초의 무아진으로 알려진 빌랄 빈 라바흐는 현대에도 무아진이 목표해야 할 모습으로 존경받고 있다. 코란 암송자나 무아진은 종종 귀 뒤에 손을 대고 낭송하는데, 이러한 제스처는 빌랄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다.
무아진을 맡는 일에는 큰 공덕이 있으며, “사후 심판의 날에는 심판관에게 눈에 띄는 존재가 되도록 목이 길어진다”, “무아진을 7년 동안 섬기면 지옥에 가지 않고, 12년 동안 섬기면 천국에 간다”는 전승이 있다.
6. 무에진에 관한 규칙 (일본어 위키 참고)
하디스에 따르면, 각 모스크에는 두 명의 무아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무아진이 되는 자에게는 여러 가지 조건이 요구되며, 그것을 어기는 것은 혐오스러운 것으로 여겨진다.[1]
무아진이 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무슬림이어야 한다.
- 이성적인 사람이어야 한다. 미치광이, 술 취한 사람, 실신하는 버릇이 있는 사람, 어린아이는 무아진이 될 수 없다.
- 남자여야 한다. 여자나 거세된 남자는 무아진이 될 수 없다.
- 병 등의 이유가 없는 한 서서 아잔을 외쳐야 한다.
- 정해진 동작을 지켜야 한다.
-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 목소리가 커야 한다.
- 원칙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아잔을 암송해야 한다.
-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지고 아잔을 외쳐야 한다.
- 아잔에 변화나 기교를 가해서는 안 된다.
시각장애인이나 어린아이라도 시간을 지키는 역할의 보조자(무와캇(مواقيت))가 있다면 무아진이 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7. 저명한 무에진
- 빌랄 이븐 리바 알-하바시
- 라힘 모아젠 자데 아르다빌리
- 알리 아흐메드 뮬라
참조
[1]
사전
muezzin
[2]
서적
The Laws of Islam
http://almodarresi.c[...]
Enlight Press
2018-08-08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Muezzin
https://www.merriam-[...]
2021-09-13
[4]
웹사이트
muezzin
http://www.dictionar[...]
[5]
논문
The Idea of Female Muezzins and Imams in Islam a Challenge to the Pakistani Patriarchal Forces
https://www.research[...]
2023-06-27
[6]
웹사이트
Muezzin Definition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22
[7]
Youtube
A Muazzin calling for prayer in Saudi Arabia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Muezzin
http://www.aljazeera[...]
Aljazeera
2015-03-21
[9]
웹사이트
Slavery in Islam
http://www.bbc.co.uk[...]
BBC News
2013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slam
Scarecrow Press
2009
[11]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History of Islam in Africa
https://books.google[...]
Ohio UP
[13]
서적
The History of the Siege of Lisbon
Harcourt Bra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