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정부 상태 (국제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정부 상태 (국제 관계)는 '지도자 없음'을 의미하며, 국제 관계에서 통치 권력의 부재와 그로 인한 무질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G. 로우스 디킨슨은 이 용어를 정치학의 전문 용어로 처음 사용했고, 케네스 월츠의 '국제정치론'을 통해 국제 관계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국제 관계 이론에서는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구성주의 등 다양한 관점에서 무정부 상태를 설명하며, 국가 간의 관계와 협력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제시한다. 일부 학자들은 무정부 상태 개념에 도전하며, 국제 시스템이 계층 구조를 갖거나 패권으로 특징지어진다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관계론 - 다자주의
    다자주의는 여러 국가가 특정 원칙에 따라 협력하는 것으로, 강대국을 구속하고 소국에게 영향력을 부여하며 국제연합과 세계무역기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지만, 최근 일방주의와 포퓰리즘 강화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국제관계론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무정부 상태 (국제 관계)
무정부 상태 (국제 관계)
무정부 상태 기호
무정부 상태 기호
정의
의미국제 관계에서, 무정부 상태는 세계 정부나 초국가적 권위가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특징국가 간의 상호 작용이 자율적이고 분권화됨
강제적인 중앙 권위 부재
국제 사회의 질서 유지를 위한 공통적 규칙과 집행 기관의 부재
이론적 관점
현실주의무정부 상태를 국가 간의 경쟁과 갈등의 근본 원인으로 봄
국가의 안보와 생존을 최우선 목표로 간주
힘의 균형, 군비 경쟁, 동맹 형성과 같은 정책을 통해 안보를 추구
자유주의국제 협력과 상호 의존을 통해 무정부 상태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고 봄
국제기구, 국제법, 민주주의 확산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증진할 수 있다고 주장
구성주의무정부 상태는 객관적인 현실이 아니라 국가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개념으로 봄
국가의 정체성, 규범, 문화가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
무정부 상태가 항상 갈등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며, 국가 간의 상호 작용에 따라 평화로운 협력도 가능하다고 주장
영향
안보 딜레마한 국가의 안보 증진 노력이 다른 국가의 불안을 야기하여 군비 경쟁과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 협력의 어려움국가 간의 신뢰 부족과 상호 불신으로 국제 협력이 어려울 수 있다.
국제 협약과 합의가 강제력 부족으로 인해 이행되지 않을 수 있다.
국가 주권의 중요성국가들은 스스로의 생존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에게 의존해야 한다.
무정부 상태에서 국가 주권은 중요한 가치이다.
비판
현실주의 비판무정부 상태가 항상 갈등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며, 국제 협력과 평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한다.
자유주의 비판국제 협력은 국가 간의 이해관계가 일치할 때만 가능하며, 강대국 간의 경쟁과 갈등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구성주의 비판국가 간의 상호 작용에만 초점을 맞추고, 국제 관계의 구조적 요인을 간과한다.
관련 개념
국가국제 관계의 주요 행위자
주권국가의 최고 권위
국제법국가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규칙과 원칙
국제기구국제 협력을 위한 제도적 장치
힘의 균형국가 간의 힘의 분배
추가 정보
관련 인물케네스 월츠
로버트 코헤인
알렉산더 웬트
헬렌 밀너
관련 자료밀너, "국제 관계 이론에서 무정부 상태의 가정: 비판"
웬트, "무정부 상태는 국가들이 만드는 것이다: 권력 정치의 사회적 구성"
루셋과 오닐, "평화의 삼각 측량: 민주주의, 상호 의존, 국제 기구"

2. 용어의 기원과 역사

"무정부 상태"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지도자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현대 국제정치학에서 이 용어는 20세기 초 G. 로우스 디킨슨과 필립 커 등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했다.[4][5][6] 케네스 월츠는 그의 저서 국제정치론(1979)을 통해 "무정부 상태"를 국제 관계의 핵심 개념으로 만들었다.[6]

2. 1. 어원

"무정부 상태"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접두사 "an-"(없음을 뜻함)과 인도유럽어족 어근 "arkh"(시작하다 또는 주도하다를 뜻함)을 결합하여 "지도자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지도자의 부재"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ἀναρχία|아나르키아grc에서 유래했다.[3] 일반적인 용법에서 "무정부 상태"는 통치 권력의 부재와 그러한 권력의 부재와 함께 예상되는 무질서를 모두 의미하게 되었다.[3]

2. 2. 용어의 사용

G. 로우스 디킨슨은 ''유럽의 무정부 상태(The European Anarchy)''(1916), ''전쟁: 그 본질, 원인 그리고 치유(War: Its Nature, Cause and Cure)''(1923), ''국제적 무정부 상태(The International Anarchy)''(1926)에서 "무정부 상태(Anarchy)"라는 용어를 정치학전문 용어로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 종종 인정받고 있다.[4][5] 하지만 일부는 디킨슨이 현대 국제관계 이론가들과 일치하지 않는 맥락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6] 잭 도넬리는 필립 커의 ''평화주의는 충분하지 않다(Pacifism is Not Enough)''(1935)가 현대 국제관계 이론가들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의미와 맥락을 무정부 상태라는 용어에 처음으로 부여했다고 주장한다.[6]

케네스 월츠는 국제정치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1979)으로 국제 관계에 있어 근본적인 담론적 변화를 일으켰다. 한 연구에 따르면 1979년 이전 국제 관계 관련 서적에서는 "무정부 상태"라는 용어가 평균 6.9회 등장했지만, 1979년 이후에는 35.5회 등장했다고 한다.[6] 1985년 ''세계 정치(World Politics)''의 특집호[7]와 로버트 케오한이 편집한 ''신현실주의와 그 비판자들(Neorealism and Its Critics)''(1986)은 국제 정치를 설명하는 데 있어 케네스 월츠의 무정부 상태 개념 사용에 대해 광범위하게 다루었다. 이후 무정부 상태는 국제 관계 학문에서 근본적으로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8][9][10]

3. 국제 관계 이론의 관점

국제 관계 이론의 주요 학파들은 국제 시스템이 무정부 상태라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그 영향과 국가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인다.

3. 1. 현실주의

현실주의 이론은 세계 정치에서 국가가 주요 행위자라고 주장한다. 현실주의자들은 무정부 상태의 세계 시스템에 대해 "자력갱생" 원칙을 가정하여, 안보에 있어 자신들 외에는 아무도 의지할 수 없다고 믿는다.[11] 그들은 무정부 상태의 시스템에서 국가 행동의 기본 동기는 생존이며, 이를 상대적인 용어로 본다. 즉, 한 국가의 안보 증가는 필연적으로 다른 국가의 안보 감소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이 자신들보다 더 강력하거나 더 많은 힘을 얻으려고 계획하고 있을 가능성을 끊임없이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자신들도 그렇게 해야 하므로 경쟁과 균형으로 이어진다.[11]

고전적인 현실주의 사상가인 니콜로 마키아벨리에 따르면, 더 많은 권력에 대한 욕망은 인류의 결함 있는 본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정치 세계로 확장되어 국가들이 끊임없이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투쟁하게 만든다. 또 다른 전통적인 현실주의자인 한스 모겐소는 "국제 정치는 권력 투쟁이다"라고 주장하며, "권력 투쟁은 시간과 공간에 있어 보편적이다"라고 설명했다.[12]

현실주의자들의 믿음의 핵심은 권력이 군사적 용어로 정의되어야 한다는 확신이다. 현실주의는 더 강력한 군사력이 국가들을 궁극적인 목표, 즉 공세적 현실주의자들에게는 패권 국가가 되는 것, 수세적 현실주의자들에게는 세력 균형이 되는 것으로 이끌 것이라고 주장한다. 1988년 논문 "무정부 상태와 협력의 한계"에서 조셉 그리코는 "현실주의자들에게 국제적 무정부 상태는 국가들 간의 경쟁과 갈등을 조장하고, 공통의 이익을 공유하더라도 협력 의지를 저해한다"라고 썼다.[13] 따라서 현실주의자들은 국가들이 서로를 신뢰할 수 있다고 믿을 이유가 없으며, 무정부 상태의 세계 시스템에서 자력갱생 원칙에 의존해야 한다고 본다. 자신의 안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국가는 자동적으로 다른 국가의 불안을 부추길 것이다. 이러한 불안의 악순환은 "안보 딜레마"로 알려져 있다.[11]

3. 2. 신현실주의

구조적 현실주의 또는 신현실주의는 국제 시스템의 구조, 즉 무정부 상태가 국가 행동의 주요 원인이라고 본다. 신현실주의자들은 국제 정치의 중요한 주제 대부분이 국제 시스템의 구조와 그 중심 특징인 무정부 상태로 설명될 수 있다고 믿는다.[11]

이러한 사상은 케네스 월츠가 그의 신현실주의 저서인 ''인간, 국가 그리고 전쟁''에서 처음 제기되었으며, 그의 ''국제 정치론''에서 더욱 확장되었다. 월츠에 따르면, 국제 시스템에서 국가보다 상위의 권위가 없다는 것은 국가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는 오직 자신에게만 의존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편집증적인 경계심과 끊임없는 갈등 준비를 필요로 한다. ''인간, 국가, 그리고 전쟁''에서 월츠는 무정부 상태를 전쟁의 가능성 조건 또는 “허용적” 원인으로 묘사한다.[14] 그는 “전쟁이 발생하는 것은 그것을 막을 것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4] 마찬가지로, 미국 정치학자 존 허츠는 국제적 무정부 상태가 침략성이나 유사한 요인이 없더라도 권력 투쟁의 중심성을 보장한다고 주장하며, 국가의 이익과 행동은 국제 시스템 자체의 무정부적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고 강조한다.[15]

3. 3. 자유주의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는 모두 국제 시스템이 무정부 상태이며,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국가가 두 이론의 출발점이라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현실주의와 달리 자유주의 이론은 국제기구가 국가 간 협력에 대한 무정부 상태의 제약 효과를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6]

자유주의 이론은 국제 시스템이 무정부 상태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무정부 상태는 자유주의적 민주화, 자유주의적 경제적 상호 의존, 자유주의적 제도주의와 같은 다양한 도구를 통해 규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7] 자유주의의 기본 목표는 완전히 상호 의존적인 세계이다. 자유주의 이론은 자유 무역의 존재와 확산이 갈등의 가능성을 줄인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경제적으로 상호 의존적인 국가들은 갈등이 무역과 외국인 투자를 방해하고 따라서 상대방에게 비용을 초래한다는 우려 때문에 군사적 분쟁에 개입하는 것을 꺼린다"는 것이다.[18] 또한, 자국의 사적 경제 주체가 광범위한 재화와 자본 교류를 유지하는 국가와 전쟁을 하는 것은 국가의 이익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9]

자유주의자들은 국가들이 공통의 기반을 추구하고 세계 강대국을 감시하기 위한 동맹과 제도를 형성한다면, 무정부 상태에서도 세계 평화에 대한 희망이 있다고 본다. 현실주의자들은 권력이 전쟁이나 군사 행동의 위협을 통해 얻어진다고 믿으며, 이러한 권력 장악 시스템으로 인해 지속적인 동맹이나 평화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자유주의 사상은 국가보다 공통의 제도에 더 많은 권력을 부여하고, 국가가 가지고 있는 개별 속성을 고려하여 공통된 신념과 사상에 기반한 지속적인 동맹의 가능성을 허용한다. 자유주의자들은 국가의 군사적 생존에만 초점을 맞추는 대신 공통된 사상이 국가들을 상호 의존으로 이끌 수 있으며, 따라서 동맹을 주권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자유주의는 국가에 대한 진정한 권력은 종교, 언어, 경제, 정치 체제와 같은 상호 공유된 사상에서 비롯되며, 이러한 사상이 국가들이 동맹을 형성하고 상호 의존적으로 되도록 이끌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주장은 고전적인 런던 정경대학 자유주의자인 노먼 앤절이 "우리 국가 또는 동맹의 정치적 또는 군사적 우위를 통해 또는 라이벌에게 의지를 부과함으로써 현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한 것에서 잘 나타난다.[20]

3. 4. 신자유주의

신자유주의는 자유주의 정치 이념을 구현하는 과정으로, 제도가 "국가 간 협력에 대한 무정부 상태의 제약 효과를 완화할 수 없다"는 신현실주의의 주장에 맞서고자 한다. 신자유주의는 무정부적인 국가 시스템에서도 규범, 체제, 제도의 구축을 통해 협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신자유주의 사상은 국제 시스템의 무정부적 성격의 "중요성과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국가는 다른 국가에 대한 상대적 이익보다는 절대적 이익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현실주의자와 신현실주의자는 안보가 경쟁적이고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가정한다. 즉, "어떤 한 국가의 안보 증대는 다른 국가의 안보 감소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자들은 국가는 안보가 협력적이거나 집단적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다른 국가의 안보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자국의 안보를 증대시킬 수 있거나, 다른 국가의 안보가 사실상 자국에 귀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신자유주의 이론과 신현실주의 이론 모두 국가와 그 이익을 분석의 중심 주제로 고려하지만, 신자유주의적 주장은 신현실주의자들이 "…분권화된 시스템 내에서 가능한 다양한 협력적 행동"을 과소평가한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5. 구성주의

국제 관계 이론에서 구성주의는 무정부 상태가 국제 시스템의 본질적인 조건이 아니라, 국가 간 상호 작용의 결과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본다. 알렉산더 웬트는 "무정부 상태는 국가가 만드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2] 이는 무정부 상태가 국제 시스템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내 국가들의 구성물이라는 의미이다.

구성주의의 핵심은 국제 관계의 많은 핵심 측면이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생각이다. 즉, 사회적 실천과 상호 작용의 지속적인 과정에 의해 형태가 부여된다는 것이다. 웬트는 구성주의의 두 가지 기본 원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인간 연합의 구조는 물질적 힘보다는 공유된 사상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 목적을 가진 행위자의 정체성과 이익은 자연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공유된 사상에 의해 구성된다.[21]


웬트는 행위자(이 경우 국가)가 자신들의 행동 방식을 통해 특정 구조(이 경우 무정부 상태)의 내용과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1980년대 구성주의 형성기는 신현실주의가 지배적인 국제 관계 담론이었던 시기였다. 따라서 구성주의는 초기 이론적 작업을 통해 신현실주의의 기본적인 가정에 도전하였다. 예를 들어, 신현실주의는 무정부 상태가 국가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했지만, 구성주의는 무정부 상태의 속성이 내재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에 의해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구성주의자들, 특히 웬트는 신현실주의의 "구조"가 "두 국가가 친구가 될지 적으로 될지, 서로의 주권을 인정할지, 왕조적 유대 관계를 가질지, 수정주의 국가일지 현상 유지 국가일지 등을 예측하는 데 실패한다"고 주장한다.[22] 웬트는 무정부 상태가 본질적으로 자력갱생 시스템이 아니며, 국가가 무정부 상태에 반응하는 방식은 국가가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국가가 다른 국가의 안보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자신의 안보를 증진할 수 있거나, 다른 국가의 안보가 실제로 자신에게 귀중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면, 무정부 상태는 전혀 자력갱생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구성주의자들은 국가들이 자신의 실천을 통해 무정부 상태의 문화를 유지하거나 붕괴시킬 수 있으며, 이는 국제 시스템 자체의 규범적 기반을 옹호하거나 의문을 제기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한다.

웬트의 저서 ''무정부 상태는 국가가 만드는 것이다''에는 구성주의적 관점이 잘 요약되어 있다.

"나는 자력갱생과 권력 정치가 논리적으로나 인과적으로 무정부 상태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며, 오늘날 우리가 자력갱생의 세계에 있다면 이는 과정 때문이지 구조 때문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 자력갱생과 권력 정치는 무정부 상태의 필수적인 특징이 아니라 제도이다. 무정부 상태는 국가가 만드는 것이다." [2]

4. 비판, 종합 및 확장

많은 학자들이 기존의 국제 관계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너무 단순하여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데이비드 레이크는 "-isms"가 이론적 진보를 저해할 뿐 증진시키지 못했으며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3] 기든 로즈는 전통적 또는 고전적 현실주의의 통찰력으로 신현실주의를 풍부하게 하려는 학자들을 묘사하기 위해 신고전주의 현실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4] 존 H. 허츠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를 통합하여 현실주의적 자유주의라고 부르는 것을 시도했다.[25] 베어 F. 브라우멜러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를 결합한 이론을 도출하고 검증하여, 어느 하나도 다른 하나 없이는 강대국의 행동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보였다.[26]

5. 무정부 상태에 대한 도전

일부 학자들은 국제 시스템이 무정부 상태가 아니라 계층 구조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27][28][29] 찰스 킨들버거(Charles Kindleberger), 스티븐 D. 크래스너(Stephen D. Krasner), 로버트 길핀(Robert Gilpin) 등 다른 학자들은 국제 시스템이 패권으로 특징지어지며, 이것이 무정부 상태의 영향을 변화시키고 완화한다고 주장했다.[30][31]

참조

[1] 논문 The Assumption of Anarchy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 Critique https://www.jstor.or[...] 1991
[2] 논문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https://www.jstor.or[...] 1992
[3] 웹사이트 Anarchy http://www.towson.ed[...]
[4] 논문 Conversa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view with John J. Mearsheimer (Part II) 2006-06-01
[5] 논문 Rereading Early Twentieth-Century IR Theory: Idealism Revisited 1998-09-01
[6] 논문 The discourse of anarchy in IR 2015-11-01
[7] 서적 Oye, K.A.: Cooperation under Anarchy (Paperback).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6-03-21
[8] 논문 The assumption of anarchy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 critique 1991-01-01
[9] 서적 Hierarchy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cornellp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06-26
[10] 서적 When Opponents Cooperat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 서적 Security Studies: An Introduction Routledge
[12]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Alfred A. Knopf
[13] 논문 Anarchy and the Limits of Cooperation: A Realist Critique of the Newest Liberal Institutionalism
[14] 서적 Man, the State, and War: A Theoret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5] 서적 Re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논문 Anarchy and the Limits of Cooperation: A Realist Critique of the Newest Liberal Institutionalism
[17]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8] 논문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Militarized International Conflict
[19] 서적 Triangulating Peace: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0] 서적 The Great Illusion G.P. Putnam’s Sons
[21]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논문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1992-03-01
[23] 논문 Why "isms" Are Evil: Theory, Epistemology, and Academic Sects as Impediments to Understanding and Progress1 2011-06-01
[24] 논문 Neoclassical Realism and Theories of Foreign Policy 1998-10-01
[25] 서적 Political Realism and Political Ideal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서적 The Great Powers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Systemic Theory in Empir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Hierarchy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www.degruyt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
[28] 논문 Hierarchies in World Politics https://www.jstor.or[...] 2016
[29] 논문 Beyond anarchy: logics of political organization, hierarchy, and international structure https://www.cambridg[...] 2018
[30]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31] 논문 Hegemonic Stability Theory: An Empirical Assessment https://www.jstor.or[...] 1989
[32] 논문 The Assumption of Anarchy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 Critique https://www.jstor.or[...] 1991
[33] 서적 Security Studies: An Introduction Routledge
[34] 서적 Security Studies: An Introduction Routledge
[35] 논문 Anarchy and the Limits of Cooperation: A Realist Critique of the Newest Liberal Institutionalism
[36]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37] 저널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Militarized International Conflict
[38] 서적 Triangulating Peace: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39] 저널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https://www.jstor.or[...]
[40]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