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경 양민 학살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경 양민 학살 사건은 1950년 한국 전쟁 중 대한민국 육군 제2사단 제25연대 제7중대 제2소대 제3소대가 비무장 민간인 86명을 사살한 사건이다. 이승만 정부는 이 사건을 공비에 의한 양민 학살로 조작하고 은폐하려 했으나, 참여정부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조사를 통해 진실이 밝혀졌다.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으며, 대법원은 정부의 진실 은폐를 비판하며 소멸시효를 적용하지 않고 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취지로 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12월 - 하바롭스크 재판
    하바롭스크 재판은 1949년 소련 하바롭스크에서 일본 관동군 소속 12명이 생체 실험, 세균 무기 개발 및 사용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았으며, 1956년 일소 국교 회복 후 대부분 석방되었으나 재판의 공정성 논란이 있는 사건이다.
  • 1949년 12월 - 국부천대
    국부천대는 1949년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한 후 장제스가 이끄는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 섬으로 이전한 사건을 의미하며, 타이완의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문경 양민 학살 사건
지도 정보
사건 개요
이름문경 양민 학살 사건
유형학살
대상공산주의 동조 혐의를 받는 민간인
날짜1949년 12월 24일
위치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
가해자이승만 반공 세력
사망자86–88명
추가 정보
관련 사건국민보도연맹 사건

2. 사건 배경

2. 1. 사건 발생

대한민국 육군 제2사단 제25연대 제7중대 제2소대 제3소대가 비무장 여성, 어린이, 노인 86명을 사살하였다.[18] 학살로 마을 주민 136명 중 어린이 9명과 여성 44명이 목숨을 잃었다.[18]

3. 사건 은폐와 조작

3. 1. 정부의 은폐 시도

3. 2. 진실 규명 노력 탄압

4. 진실 규명과 국가의 책임

이 사건은 이후 이승만이 집권한 제1공화국 정부에 의해 공비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으로 조작되었다. 하지만 참여정부 들어 발족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과거사 청산에 의해 2008년 여름 사건 진상과 가해 부대 책임자가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밝혀졌다.

2008년7월 10일, 사건 유족들은 한국 정부가 공산비적에 의한 학살이라며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족들을 반국가 행위자로 체포하는 등 사실상의 손해배상 청구권 행사를 방해해 왔으므로 시효는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9]。1심에서는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고, 유족들은 상고했다[10]2009년8월 6일, 서울고등법원(고등법원)은 불법 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이 경과했다며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10][9]

2008년에는 대한민국 대법원은 거창 양민 학살 사건에 대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에 시효로 인해 국가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한편, 2009년 2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부산 보도연맹 사건에 대한 판결에서는 국가 책임을 인정했기에, 상소심이 주목받고 있다[13]。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해 온 한국 정부가 소송을 제기할 수 없었던 원고를 비난하면서 시효 완성을 이유로 배상에 응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14]

4. 1.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

이 사건은 이후 이승만이 집권한 제1공화국 정부에 의해 공비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으로 조작되었다. 하지만 참여정부 들어 발족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과거사 청산에 의해 2008년 여름 사건 진상과 가해 부대 책임자가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밝혀졌다.

4. 2. 국가의 공식 사과

이 사건은 이승만이 집권한 제1공화국 정부에 의해 공비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으로 조작되었다. 하지만 참여정부 들어 발족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과거사 청산에 의해 2008년 여름 사건 진상과 가해 부대 책임자가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밝혀졌다.

5. 손해배상 소송

2008년 7월 10일, 사건 유족들은 한국 정부가 공산비적에 의한 학살이라며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족들을 반국가 행위자로 체포하는 등 사실상의 손해배상 청구권 행사를 방해해 왔으므로 시효는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9] 1심에서는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고, 유족들은 상고했다.[10] 2009년 8월 6일, 서울고등법원(고등법원)은 불법 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이 경과했다며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10][9]

2008년에는 대한민국 대법원거창 양민 학살 사건에 대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에 시효로 인해 국가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한편, 2009년 2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부산 보도연맹 사건에 대한 판결에서는 국가 책임을 인정했기에, 상소심이 주목받고 있다.[13] 2011년 9월 8일, 대한민국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해 온 한국 정부가 소송을 제기할 수 없었던 원고를 비난하면서 시효 완성을 이유로 배상에 응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14] 대한민국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조차 게을리 한 국가가 이제 와서 문경 양민 학살 사건의 유족인 원고들이 미리 소를 제기하지 못한 것을 탓하며 시효 완성을 이유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판시하고, 손해배상 청구권 시효는 진실화해위가 진실 규명 결정을 한 2007년 6월부터 시작된다고 보았다.[18]

5. 1. 1, 2심 판결

국가를 상대로 한 유족들의 배상 요구 소송에서 1심과 2심 재판부는 유족들이 헌법소원을 낸 2000년 3월을 기점으로 손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손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이유로 청구를 기각했다.[18] 하지만 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다.[18]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조차 게을리 한 국가가 이제 와서 문경 학살 사건의 유족인 원고들이 미리 소를 제기하지 못한 것을 탓하며 시효 완성을 이유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판시하고, 손해배상 청구권 시효는 진실화해위가 진실 규명 결정을 한 2007년 6월부터 시작된다고 보았다.[18]

5. 2. 대법원 판결

공식 결정 이후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1심과 2심 재판부는 유족들이 헌법소원을 낸 2000년 3월을 기점으로 손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손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이유로 청구를 기각했다. 하지만 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다.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조차 게을리 한 국가가 이제 와서 문경 학살 사건의 유족인 원고들이 미리 소를 제기하지 못한 것을 탓하며 시효 완성을 이유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판시하고, 손해배상 청구권 시효는 진실화해위가 진실 규명 결정을 한 2007년 6월부터 시작된다고 봤다.[18]

2008년7월 10일, 사건 유족들은 한국 정부가 공산비적에 의한 학살이라며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족들을 반국가 행위자로 체포하는 등 사실상의 손해배상 청구권 행사를 방해해 왔으므로 시효는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9]。1심에서는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고, 유족들은 상고했다[10]2009년8월 6일, 서울고등법원(고등법원)은 불법 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이 경과했다며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10][9]

2008년에는 대한민국 대법원은 거창 양민 학살 사건에 대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에 시효로 인해 국가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한편, 2009년 2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부산 보도연맹 사건에 대한 판결에서는 국가 책임을 인정했기에, 상소심이 주목받고 있다[13]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해 온 한국 정부가 소송을 제기할 수 없었던 원고를 비난하면서 시효 완성을 이유로 배상에 응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14]

5. 2. 1. 대법원의 판결 논리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1심과 2심 재판부는 유족들이 헌법소원을 낸 2000년 3월을 기점으로 손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손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이유로 청구를 기각했다. 하지만 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다.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조차 게을리 한 국가가 이제 와서 문경 학살 사건의 유족인 원고들이 미리 소를 제기하지 못한 것을 탓하며 시효 완성을 이유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판시하고, 손해배상 청구권 시효는 진실화해위가 진실 규명 결정을 한 2007년 6월부터 시작된다고 봤다.[18]

2008년 7월 10일, 사건 유족들은 한국 정부가 공산비적에 의한 학살이라며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족들을 반국가 행위자로 체포하는 등 사실상의 손해배상 청구권 행사를 방해해 왔으므로 시효는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9] 1심에서는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고, 유족들은 상고했다.[10] 2009년 8월 6일, 서울고등법원(고등법원)은 불법 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이 경과했다며 국가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10][9]

2008년에는 대한민국 대법원은 거창 양민 학살 사건에 대한 국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에 시효로 인해 국가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한편, 2009년 2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부산 보도연맹 사건에 대한 판결에서는 국가 책임을 인정했기에, 상소심이 주목받고 있다.[13] 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해 온 한국 정부가 소송을 제기할 수 없었던 원고를 비난하면서 시효 완성을 이유로 배상에 응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14]

5. 3. 국가 배상 책임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1심과 2심 재판부는 유족들이 헌법소원을 낸 2000년 3월을 기점으로 손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손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이유로 청구를 기각했다.[18] 하지만 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다.[18]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조차 게을리 한 국가가 이제 와서 문경 학살 사건의 유족인 원고들이 미리 소를 제기하지 못한 것을 탓하며 시효 완성을 이유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판시하고, 손해배상 청구권 시효는 진실화해위가 진실 규명 결정을 한 2007년 6월부터 시작된다고 봤다.[18]

참조

[1] 뉴스 민간인학살 울산-문경 두 판결문 비교 http://www.idomin.co[...] 2010-07-08
[2] 뉴스 두 민간인 학살 사건, 상반된 판결 왜 나왔나?'울산보도연맹' - '문경학살사건' 판결문 비교분석해 봤더니... http://www.ohmynews.[...] 2010-07-08
[3] 뉴스 Compensation claim period limitless for inhumane state crimes https://www.koreatim[...] 2012-09-28
[4] 뉴스 문경 양민 학살 진실 밝혀질까 문경 양민 학살 유족들, 헌법 소원 내기로…정부, 50년 동안 외면 http://www.sisapress[...] 2011-11-30
[5] 뉴스 '문경 양민학살 특별법' 제정 청원 http://article.joins[...] 2010-07-08
[6] 뉴스 '과거사 사건' 12건 배상액 1810억원 http://news.chosun.c[...] 2010-07-08
[7] 뉴스 '과거사 사건' 12건 배상액 1810억원 http://news.chosun.c[...] 2010-02-15
[8] 뉴스 국가범죄 '문경학살사건' 항소심서도 패소 판결 http://www.cbs.co.kr[...] 2010-02-15
[9] 뉴스 '문경학살사건' 유족 항소심도 패소 http://www.chosun.co[...] 2010-02-15
[10] 뉴스 민간인학살 울산-문경 두 판결문 비교 http://www.idomin.co[...] 2010-02-15
[11] 문서 犠牲者は86人との説もあり
[12] 뉴스 두 민간인 학살 사건, 상반된 판결 왜 나왔나? http://www.ohmynews.[...] 2010-02-15
[13] 뉴스 한국전쟁 민간인학살 ‘배상시효 소멸’ 판결 http://www.ohmynews.[...] 2010-02-15
[14] 뉴스 韓国で起こった1949年・聞慶虐殺での国の賠償責任認める https://japanese.joi[...] 2010-12-24
[15] 뉴스 "`문경 양민학살 특별법` 제정 청원"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7-06
[16] 뉴스 "과거사 사건' 12건 배상액 1810억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10-26
[17] 뉴스 두 민간인 학살 사건, 상반된 판결 왜 나왔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2-17
[18] 뉴스 “어린아이도 사냥 연습하듯 학살했다” http://media.daum.ne[...] 시사IN 2011-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