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학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학살은 무자비한 방법으로 사람을 죽이는 행위를 의미하며, 영어 'massacre'에서 유래했다. 로버트 멜슨은 학살을 정치적 행위자가 무방비한 사람들을 고의적으로 살해하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마크 레빈은 무력을 사용하는 집단이 무방비한 희생자에게 가하는 살해로 간주했다. 학살은 대량 학살, 집단 학살, 전쟁 범죄 등과 관련하여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대학살, 시칠리아 만종 사건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 제주 4.3 사건,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5.18 민주화운동 등이 학살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살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대량 살인 - 아나타한의 여왕사건
    아나타한의 여왕사건은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아나타한 섬에 고립된 일본군 패잔병들과 여성 히가 카즈코 사이에서 벌어진 권력 다툼과 갈등, 의문사 등을 다룬 비극적인 사건으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며 고립된 환경에서 인간 본성을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유형별 살해 - 암살
    암살은 정치적, 종교적, 또는 이념적 목적을 위해 주요 인물을 살해하는 행위이며, 역사적으로는 권력 투쟁의 수단으로, 근대 이후에는 정치적 선전과 상징으로도 활용되었으며, 다양한 암살 기법과 방지 대책이 존재한다.
  • 유형별 살해 - 살해 후 자살
    살해 후 자살은 살인 후 가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이며, 우울증, 약물 남용, 결별, 폭력의 역사 등이 주요 예측 요인으로 작용하고, 확대 자살은 타인을 자살에 끌어들이는 행위를 의미한다.
학살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유형대규모 살인 사건
관련 용어집단살해, 대량학살, 대량살인, 대학살
로마자 표기haksal
영어 표기massacre
특징
대상특정 집단 또는 무차별 다수
규모다수의 인명이 살해되는 사건
동기정치적 목적
종교적 갈등
인종적 증오
경제적 이익
방법대량 살상 무기 사용
무차별 폭력
역사적 맥락
발생 빈도역사적으로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발생
관련 사건제노사이드
홀로코스트
아르메니아인 학살
난징 대학살
법적 정의 및 사회적 의미
법적 정의집단살해와 유사하지만, 법적 정의는 국가 및 국제법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사회적 영향사회적 트라우마
정치적 불안정
국제적 비난
관련 개념
관련 개념전쟁범죄
인도에 반한 죄
테러

2. 어원

영어 'massacre'는 16세기 후반 중세 프랑스어 'macacre'(도살장, 도축)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 'macellum'(식료품 저장소, 정육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4][5][6] 중세 프랑스어 'macecr'("도살, 대학살")은 11세기 후반에 처음 기록되었으며,[7] 12세기에 사람들의 대량 학살을 의미하는 용례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580년대에 영어로 차용되었으며, 특히 "많은 사람들의 무차별적인 학살"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리스토퍼 말로의 ''파리 대학살''에서는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대학살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어 '학살'은 '무자비한 방법으로 죽이는 것', '잔혹한 수단으로 죽이는 것', '무서운 죽임 방식'을 의미한다. 한자 '虐殺'에 가장 가까운 영어 번역은 살육(Slaughter)이며,[19][20] 대규모 사건에는 대학살(Massacre)이 주로 사용된다.

3. 정의

로버트 멜슨(Robert Melson)은 1982년 함디예 학살의 맥락에서 학살을 "정치적 행위자들이 상당수의 비교적 무방비한 사람들을 고의적으로 살해하는 것"으로 정의했다.[11] 그는 학살의 동기가 합리적일 필요는 없으며, 잘못된 소문에 대한 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자행될 수 있다고 보았다.[11] 또한 정치적 학살은 범죄적 또는 병리적인 대량 살상과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1]

마크 레빈(Mark Levene)은 1999년 역사 전반에 걸친 "학살"에 대한 객관적인 분류를 시도하면서, 이 용어를 무력을 사용하는 집단이 무방비한 희생자들에게 가하는 살해를 가리키는 것으로 간주했다. 그는 특정한 대량 처형 사례를 제외하고, 학살은 반드시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특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랙탈 학살"이라는 용어는 두 가지 유형의 사건을 가리킨다. 첫째, 원주민 부족의 사냥 임무 중 30% 이상이 살해되어 부족이 분열되는 경우이다.[12] 둘째, 여러 건의 소규모 살해가 더 큰 대량 학살로 이어지는 경우이다.

4. 용법

'학살', '대량 학살', '집단 학살', '전쟁 범죄' 등의 표현은 인접하여 사용되지만, 집단 학살 및 전쟁 범죄는 국제법상 정의가 존재한다.[19][20] 영어 표현으로는 살육 (Slaughter), 대학살 (Massacre), 집단학살 (Genocide), 대량학살 (Mass killing), 집단학살 대학살 (Genocidal massacre) 등이 있다. 흉악범죄 분야에서는 잔혹한 수법으로 살해되었음을 나타낼 때 "참살(시체)"이 많이 쓰인다.

5. 역사적 사례

크리스토퍼 말로의 ''파리 대학살''에서 언급된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대학살, 1695년 문헌에서 "시칠리아에서 프랑스인들의 유명한 대량학살"로 언급된 시칠리아 만종 사건(Sicilian Vespers)이 역사적 사례로 기록되어 있다. 1182년 콘스탄티노플에서는 라틴인 대학살이 발생하여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살해되었고, 1599년 투르쿠에서는 투르쿠 대학살(Åbo Bloodbath)로 스웨덴 국왕 카를 9세의 반대자 14명이 처형되었다. 1770년에 발생한 보스턴 학살(Boston Massacre)은 미국 독립 전쟁 지지 여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함디예 학살은 로버트 멜슨이 학살의 정의를 내리는 데 영향을 준 사건이다.

6. 대한민국에서의 대량학살


  • 대한민국


한국 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과 경찰은 국민보도연맹원들을 포함한 민간인들을 불법적으로 학살했다. 이 사건은 보도연맹 학살 사건으로 불린다. 진보 정권은 이 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보수 정권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사건 자체를 부정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국군거창 양민 학살 사건을 일으켜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전라남도 함평군에서도 함평 양민 학살 사건을 통해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까지 이어진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진보 진영은 이 사건을 국가 폭력에 의한 민간인 학살로 규정하고,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과 진상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반면, 보수 진영은 이 사건을 공산주의 세력의 반란으로 규정하며, 희생자 규모와 진상 규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은 한국전쟁 초기 미군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에서 피난민들을 학살한 사건이다.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 세력에 의해 광주에서 발생한 민주화 운동으로, 신군부는 무력으로 시민들을 진압하며 수많은 사상자를 냈다. 진보 진영은 5.18을 민주주의를 위한 항쟁으로, 보수 진영은 폭동으로 규정하는 등 시각차가 크다. 삼청교육대는 전두환 정권이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설치한 기관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강제 구금되어 가혹행위와 인권 유린을 당했다.

6. 1.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과 경찰은 국민보도연맹원들을 포함한 민간인들을 불법적으로 학살했다. 이 사건은 보도연맹 학살 사건으로 불린다. 진보 정권은 이 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보수 정권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사건 자체를 부정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국군거창 양민 학살 사건을 일으켜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전라남도 함평군에서도 함평 양민 학살 사건을 통해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6. 2.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까지 이어진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진보 진영은 이 사건을 국가 폭력에 의한 민간인 학살로 규정하고,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과 진상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반면, 보수 진영은 이 사건을 공산주의 세력의 반란으로 규정하며, 희생자 규모와 진상 규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6. 3. 기타 대량학살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은 한국전쟁 초기 미군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에서 피난민들을 학살한 사건이다.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 세력에 의해 광주에서 발생한 민주화 운동으로, 신군부는 무력으로 시민들을 진압하며 수많은 사상자를 냈다. 진보 진영은 5.18을 민주주의를 위한 항쟁으로, 보수 진영은 폭동으로 규정하는 등 시각차가 크다. 삼청교육대는 전두환 정권이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설치한 기관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강제 구금되어 가혹행위와 인권 유린을 당했다.

7. 같이 보기


  • 대량 학살 사건 목록
  • 해상 대량학살 목록
  • 분류:대량학살
  • 분류:국가별 대량학살
  • 분류:연도별 대량학살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a Massacre https://dictionary.c[...]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massacre http://www.dictionar[...] 2017-11-24
[3] 논문 Levene (Mark) and Roberts (Penny), (Eds.), The Massacre in History https://journals.ope[...] 2023-09-01
[4] 웹사이트 Massacre https://www.merriam-[...] 2017-01-08
[5] 웹사이트 Massacre http://etymonline.co[...] 2017-01-08
[6] 웹사이트 Massacr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8
[7] 웹사이트 Massacre http://www.cnrtl.fr/[...] 2019-03-22
[8] 서적 De Quatuor Summis Imperiis: An Historical Account of the Four Chief Monarchies Or Empir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Nathaniel Rolls
[9] 서적 Sleidani de quatuor monarchiis libri tres https://books.google[...] Apud Felicen Lopez de Haro
[10] 서적 A history of Finland Dorset Press
[11] 논문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Armenian Massacres of 1894–1896 1982-07-01
[12] 웹사이트 Definition https://c21ch.newcas[...] Centre For 21st Century Humanities 2022-08-01
[13] 웹사이트 虐殺 https://kotobank.jp/[...]
[14] 웹사이트 虐殺 https://kotobank.jp/[...]
[15] 웹사이트 massacre https://dictionary.c[...]
[16] 웹사이트 massacre https://www.etymonli[...]
[17] 논문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Armenian Massacres of 1894–1896 1982-07-01
[18] 서적 The Massacre in History https://books.google[...] Berghahn 1999-01-01
[19] 웹사이트 slaughter https://ejje.weblio.[...]
[20] 웹사이트 slaughter https://ejje.weblio.[...]
[21] 웹사이트 http://krdic.naver.c[...]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2] 논문 review of Levene, Roberts The Massacre in History 2001-01-01
[23] 논문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Armenian Massacres of 1894-1896 2014-11-20
[24] 서적 The Massacre in Histor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