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랫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랫은 야행성이며 습한 숲에 서식하는 포유류로, 지렁이와 절지동물을 주로 먹고 산다. 인도네시아, 태국 남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미얀마 남단에 분포하며, 강한 암모니아 냄새를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수마트라와 타이-말레이 반도에 서식하는 E. g. gymnura와 보르네오에 서식하는 E. g. alba 두 아종이 있다. 멸종 위협은 낮지만, 서식지 파괴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털고슴도치아과 - 하이난털고슴도치
    하이난털고슴도치는 고슴도치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중국 하이난 섬에 토착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털고슴도치아과 - 난쟁이털고슴도치
    난쟁이털고슴도치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고슴도치의 일종이다.
  • 1822년 기재된 포유류 - 붉은캥거루
    붉은캥거루는 캥거루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수컷은 붉은 갈색, 암컷은 푸른 회색 털을 가지며 호주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초본을 먹고 딩고와 맹금류에게 포식되며, 개체 수가 많아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 1822년 기재된 포유류 - 동부베통
    동부베통은 캥거루목 쥐캥거루과에 속하며, 과거에는 별개 종이었던 태즈메이니아베통과 대륙동부베통을 포함하는 두 아종으로 나뉘고, 한때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 서식했던 대륙동부베통은 멸종되었으나 태즈메이니아베통은 생존하여 캔버라 지역에 재도입되었으며, 유칼립투스 숲과 초원에서 송로버섯을 주식으로 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문랫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헤어리겔 (Echinosorex gymnura)
헤어리겔 (Echinosorex gymnura)
박물관 표본, 문랫 아종
박물관 표본, 문랫 아종
학명Echinosorex gymnura
명명자라플스, 1822
이명Viverra gymnura Raffles, 1822
영명Greater moonrat
Gymnure
Moonrat
한국어 명칭짐누라
멸종 위기 등급최소 관심 (LC)
문랫 분포 지역
문랫 분포 지역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진무맹장목 Eulipotyphla
고슴도치과 Erinaceidae
아과짐누라아과 Galericinae
짐누라속 (Echinosorex)
속 명명자Blainville, 1838
아종
아종Echinosorex gymnura gymnura
Echinosorex gymnura alba

2. 분포

문랫은 두 가지 아종으로 나뉜다.[6] ''E. g. gymnura'' 아종은 수마트라와 타이-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되며, 머리와 몸 앞부분 절반은 흰색 또는 회백색이고 나머지는 주로 검은색이다.[5][6] ''E. g. alba'' 아종은 보르네오 섬에 서식하며, 이름('alba'는 라틴어로 흰색을 의미)처럼 일반적으로 흰색 털을 가지고 검은 털이 드문드문 섞여 있다.[6] 보르네오 서부 개체는 동부 개체보다 검은 털이 더 많은 경향이 있고, 브루나이 개체는 중간적 특징을 나타낸다.[6]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 태국 남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미얀마 남단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11]

3. 형태

박제된 문랫


문랫은 전신이 가시 모양이 아닌 뻣뻣한 털로 덮여 있다. 일반적으로 몸통은 검은색이고 머리털은 흰색이며, 눈 주위부터 정수리까지의 털도 검은색이다.

체장은 26cm에서 46cm 사이이고,[13][15] 꼬리 길이는 16.5cm에서 30cm 사이이다.[13] 체중은 0.5kg에서 2kg에 달하며[13], 이는 고슴도치과에서 가장 큰 종 중 하나이다. 비록 유럽고슴도치는 최대 2kg까지 더 무거울 수 있지만[7], 문랫의 크기는 고슴도치과 내에서 두드러진다.

치아 공식은 윗니 3.1.4.3 / 아랫니 3.1.4.3 으로 총 44개의 이빨을 가진다.[6][16]

발달된 냄새샘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분비되는 물질은 강한 암모니아 성분을 포함하여 매우 고약하고 독특하며 자극적인 냄새를 풍긴다. 이는 식육목 동물의 사향 냄새와는 구별된다.[3]

3. 1. 아종

문랫은 카니보란의 사향 냄새와는 다른, 강한 암모니아 성분을 포함하는 독특하고 자극적인 냄새를 풍긴다.[3] 두 종의 아종이 있으며, 각 아종의 특징과 분포는 다음과 같다.

  • E. g. gymnura: 수마트라와 타이-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다.[6] 이 아종은 머리와 몸의 앞부분 절반이 흰색 또는 회백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주로 검은색이다.[5]
  • E. g. alba: 보르네오에서 발견된다.[6] 이 아종은 일반적으로 흰색이며 (''alba''는 라틴어로 흰색을 의미한다), 검은색 털이 드문드문 흩어져 있어 멀리서 보면 완전히 흰색으로 보인다. 보르네오 서부의 개체는 동부의 개체보다 검은 털이 더 많은 경향이 있으며, 브루나이의 개체는 중간 정도의 특징을 보인다.[6] 드물지만 주로 흰색인 ''E. g. gymnura'' 개체도 존재한다.[5]


머리와 몸의 길이는 32cm~40cm이고, 꼬리 길이는 20cm~29cm이며,[4] 뒷발 길이는 6.5cm~7.5cm이다. 몸무게는 870g~1100g이다.[5] 치아 공식은 윗니 3.1.4.3 / 아랫니 3.1.4.3 (총 44개)이다.[6] 문랫은 고슴도치목에서 가장 큰 종일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고슴도치는 1000g에서 최대 2000g까지 더 무겁다.[7]

아종의 분류 및 분포는 Hutterer (2005)를 따른다.[12]

아종분포
Echinosorex gymnura alba (Giebel, 1863)보르네오섬
Echinosorex gymnura gymnura (Raffles, 1822)말레이 반도, 수마트라섬


4. 생태

문랫은 야행성이며 주로 땅 위에서 생활한다.[2][5] 낮에는 통나무 속, 나무 뿌리 밑 또는 버려진 굴 같은 곳에 숨어 지낸다. 저지대의 열대 우림이나 맹그로브 숲, 늪지 숲처럼 습한 숲에 서식하며[2][5][13], 수영을 잘하며 물에도 자주 들어간다.[2][5] 보르네오에서는 주로 숲에서 발견되지만, 말레이 반도에서는 정원이나 고무 농원 같은 경작지에서도 발견된다.[11] 주로 숲 바닥에서 활동하지만, 나무 위에 오르기도 한다.[13] 혼자 생활하는 단독 생활 동물이다.[13][15] 문랫은 극두동물의 일종인 ''Moniliformis echinosorexi''라는 장내 기생충의 숙주이기도 하다.[8]

4. 1. 먹이

문랫은 주로 지렁이, 곤충류, 작은 연체동물과 같은 무척추 동물을 먹는다.[13] 특히 절지동물을 즐겨 먹는다. 때로는 개구리류나 어류 같은 척추 동물이나 과일을 먹기도 한다.[13][15]

4. 2. 번식

항목내용
번식 방식태생
번식 시기연중[15]
출산 횟수1년에 2번[13][15]
임신 기간35~40일[13][15]
한 배 새끼 수2마리[13][15]
최대 수명 (사육)4.5~5년[13]


5. 인간과의 관계

보르네오의 페난족은 과거 문랫 고기를 다른 음식이나 물건, 그리고 돈과 교환하는 데 사용했다.[9]

문랫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서식지가 풍부하여 멸종 위험은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11] 그러나 개체군 분포 지역이 단편화되어 있으며, 산림 개척 등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13]

6. 보존 상태

문랫은 현재 심각한 위협을 받는 종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10]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문랫의 보존 상태를 '최소관심대상'으로 분류하고 있다.[2] 이는 문랫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멸종 위험이 낮다고 평가되기 때문이다.[11]

그러나 문랫의 생존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농업, 플랜테이션 개발, 상업적 벌목 등으로 인한 인간의 삼림 벌채 활동이 꼽힌다. 이러한 개발 활동은 문랫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다.[10] 또한, 보르네오에서는 일부 원주민인 페난족이 식량이나 전통 약재로 문랫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어, 해당 지역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0] 이로 인해 문랫의 분포 지역이 점점 단편화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서식지 파괴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13]

문랫은 마탕 국립공원이나 쿠칭 습지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 구역 내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0]

참조

[1] 간행물 MSW3 Erinaceomorpha
[2] 간행물 Echinosorex gymnura 2016
[3] 문서 Britannica
[4] 서적 A Naturalist's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John Beaufoy Publishing
[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UK) Ltd. 2011-04-06
[6] 문서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Sabah society, Malaysia 2005
[7]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8] 간행물 Two New Species of Moniliformis (Acanthocephala: Moniliformidae) from Malaysia
[9] 웹사이트 The Leading America Zoo Site on the Net http://www.americazo[...] 2012-12-19
[10] 웹사이트 Gymnures and hedgehogs http://www.thewebsit[...] 2012-12-19
[11] 뉴스 Echinosorex gymnura https://doi.org/10.2[...] 2016
[12] 서적 “Order Erinaceomorpha” http://www.departmen[...]
[13] 서적 "ハリネズミ科」「ジムヌラ」 朝倉書店
[14] 서적 ハリネズミ 平凡社
[15] 웹사이트 Echinosorex gymnura https://animaldivers[...] 1999
[16] 문서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Sabah society, Malaysia 2005
[17] 간행물 MSW3 Erinaceomorpha
[18] 간행물 Echinosorex gymnu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