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가지수는 물가 변동을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경제학에서 물가 수준을 의미하며, 소비자 물가 지수, 생산자 물가 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이 있다. 물가지수는 경제의 체온계 역할을 하며,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물가지수 계산에는 라스파이레스 지수, 파셰 지수, 피셔 지수, 로 지수 등이 활용되며, 한국에서는 통계청이 소비자 물가 지수를, 한국은행이 생산자 및 수출입 물가 지수를 조사한다. 물가 변동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며,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을 통해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지표 -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역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 경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경제 지표 - 경제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는 헤리티지 재단이 법치, 정부 규모, 규제 효율성, 시장 개방성 기준으로 177개국의 경제적 자유 수준을 평가하여 0~100점 점수로 '자유'에서 '억압'까지 5단계로 분류하는 지표이며, 경제 성장과 번영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각국 정부의 경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거시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거시경제학 - 통화주의
통화주의는 어빙 피셔의 화폐수량설에 기반하여 화폐 공급과 중앙은행의 역할을 강조하며, 화폐 공급 과잉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보는 거시경제학 이론이다.
| 물가지수 | |
|---|---|
| 일반 정보 | |
| 유형 | 경제 지표 |
| 목적 | 물가 수준 측정 및 변동 추적 |
| 활용 | |
| 경제 분석 | 인플레이션 측정 디플레이션 측정 경제 동향 파악 |
| 정책 결정 | 통화 정책 결정 재정 정책 결정 물가 안정 목표 설정 |
| 소비자 | 구매력 평가 생활비 변동 파악 소비 계획 수립 |
| 주요 물가 지수 | |
| 소비자 물가지수(CPI) |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 측정 |
| 생산자 물가지수(PPI) |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 측정 |
| 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계산하며, 경제 전체의 물가 수준 변동 측정 |
| 생활 물가 지수 | 특정 계층의 소비 패턴을 반영한 물가 변동 측정 |
| 측정 방법 | |
| 품목 선정 | 가계 소비 지출 조사 시장 조사 |
| 가중치 부여 | 소비량 또는 생산량에 따라 품목별 중요도 반영 |
| 가격 조사 | 시장 가격 조사 또는 통계청 자료 활용 |
| 지수 산출 | 기준 시점 가격 대비 현재 시점 가격 비교 |
| 기타 고려 사항 | |
| 계절 조정 | 계절적 요인에 의한 가격 변동을 제거하여 정확성 향상 |
| 품질 변화 반영 | 상품 품질 변화에 따른 가격 조정 |
|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 반영 | 변화하는 소비 패턴에 맞춰 품목 구성 업데이트 |
| 장점 | |
| 경제 상황 파악 |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 |
| 정책 결정 지원 | 정부의 경제 정책 결정에 도움을 줌 |
| 소비자 의사 결정 지원 | 소비자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줌 |
| 단점 | |
| 측정의 어려움 |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수 있음 |
| 정보의 한계 | 모든 경제 상황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함 |
| 참고 | |
| 관련 통계 기관 | 대한민국 통계청 등 |
2. 물가지수의 개념과 의의
물가지수(price index|프라이스 인덱스영어)는 기준 시점과 비교 시점 간의 물가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경제학에서 "물가"는 일반적으로 "물가 수준"을 의미하며, 이는 통계적인 지수(다수의 재화 가격 평균)로 파악된다. 물가지수는 어떤 재화의 가격을 포함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소비자 물가 지수, 생산자 물가 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들은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사용된다.
물가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화폐에 대해 가지는 교환 가치를 나타내며, 화폐의 구매력과는 역수 관계에 있다. 즉, 물가가 상승하면 동일한 양의 화폐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은 줄어든다.
경제학자 스티븐 랜즈버그는 여러 물가 지표가 존재하며 각각 고유한 편향을 가지고 있어, 경제학자들이 목적에 맞는 지표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28]
2. 1. 물가 수준과 화폐 가치
물가는 문자 그대로 "물건의 가격"을 의미하지만, 경제학에서 "물가"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물가 수준"을 지칭한다."물가"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화폐에 대해 가지는 "교환 가치"이며, 화폐의 "구매력"과는 역수 관계에 있다. 즉, "물가"가 높아지면, 동일한 양의 화폐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은 줄어든다는 관계에 있다.[21] 이 설에 따르면 물가 수준은 화폐의 총량에 의해 결정된다.[21] 화폐수량설에는 일정한 정당성이 있다고 여겨지지만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21]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은 명목 가격('''일반 물가''')의 변동이 '''상대 가격'''의 변동과는 근본적으로 이질적인 현상임을 발견했다.[22]
2. 2. 물가지수의 역할
물가는 경기가 호전되면 상품 및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여 상승하고, 경제가 침체되면 하락하기 때문에 "경제의 체온계"라고 불린다.[23][24]'''물가지수'''(price index|프라이스 인덱스영어)는 물가의 변동을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가격 정보만을 바탕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재화·서비스의 양과 가격을 토대로 계산된다.
소비자가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을 지수화한 '''소비자 물가 지수''', 기업 간 상품 거래 가격을 지수화한 '''기업 물가 지수''',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GDP 디플레이터'''가 있다.
3. 물가지수 계산 방법
상품 및 서비스 집합 가 주어졌을 때, 기간 에 에서 거래된 총 시장 가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 는 기간 에 의 지배적인 가격을 나타낸다.
- 는 기간 에 판매된 의 수량을 나타낸다.
만약 두 기간 와 에 걸쳐 각 상품이나 서비스의 동일한 수량이 판매되었지만, 다른 가격으로 판매되었다면,
:
그리고
:
는 다른 기간에 비해 한 기간의 집합 가격을 합리적으로 측정하는 척도가 되며, 판매 수량에 가중치를 둔 전반적인 상대 가격을 측정하는 지수를 제공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 기간 동안 구매 수량이 동일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위 공식은 실용적인 지수 공식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 공식을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도 있다.
:
그러나 이 새로운 지수는 판매 수량의 증가 또는 감소를 가격 변화와 구별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모든 가격이 두 배로 증가하고 수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와 모든 수량이 두 배로 증가하고 가격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 모두 는 두 배가 된다. 따라서 는 가격 지수인 만큼 수량 지수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물가지수 계산 방법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라스파이레스 지수, 파셰 지수, 피셔 지수 등이 있다.
3. 1. 라스파이레스 지수 (Laspeyres Index)
에티엔 라스파이레스가 만든 공식으로, 기준 시점의 수량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21]:
여기서 는 두 기간의 물가 수준의 상대 지수이고, 는 기준 기간(보통 첫 해)이며, 은 지수가 계산되는 기간이다.
개별 소비자의 묶음에 적용할 때, 라스파이레스 지수가 1이라는 것은 소득이 변하지 않았을 때 현재 기간의 소비자가 이전 기간에 소비한 것과 동일한 묶음을 구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재화·서비스의 각 구매 수량을 세트로 묶은 것을 '''바스켓'''이라고 부른다. 기준 연도의 재화·서비스 구매 수량 바스켓은 해가 지날수록 조금씩 변해가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라스파이레스 지수의 수치가 기준 연도에서 멀어질수록 물가지수로서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을 기준 연도로 정했을 경우, 50년 전에 사람들이 어떤 물건을 어느 정도의 수량으로 구매했는지, 즉 50년 전의 바스켓은 올해의 바스켓과는 크게 다를 것이다. 이러한 경우 최근 2~3년의 라스파이레스 지수의 수치는 물가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지수라고 할 수 없게 된다.[21]
라스파이레스 지수는 재화·서비스의 올해 구매 수량을 몰라도 계산할 수 있으므로 파셰 지수보다 속보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비교 시점의 실제 거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도 존재한다.
라스파이레스 지수는 인플레이션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지수가 소비자가 가격 변화에 반응하여 구매하는 수량을 변경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해당 재화의 수요량은 감소해야 한다.
계산 방법으로 라스파이레스 지수가 채택되는 물가지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소비자 물가 지수
- 생산자 물가 지수
3. 2. 파셰 지수 (Paasche Index)
'''파셰 지수'''(Paasche Index)는 헤르만 파셰가 만든 공식으로, 비교 시점의 거래량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방식이다.파셰 지수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두 기간의 물가 수준의 상대 지수이고, 는 기준 기간(보통 첫 해)이며, 은 지수가 계산되는 기간이다.
파셰 지수는 비교 시점의 거래 상황을 반영한다. 그러나 재화·서비스의 올해 구매량을 알 수 없으면 계산할 수 없으므로, 라스파이레스 지수보다 속보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계산 방법으로 파셰 지수가 채택되는 물가 지수의 예로는 GDP 디플레이터 등이 있다.
3. 3. 피셔 지수 (Fisher Index)
어빙 피셔가 만든 공식으로, 파셰 지수와 라스파이레스 지수의 기하 평균이다. 피셔 이상 지수라고도 한다.[9]:
피셔 지수는 파셰 지수와 라스파이레스 지수를 곱한 값의 제곱근을 구하여 계산한다.
3. 4. 기타 물가지수
대부분의 물가지수는 '''로 지수'''(Lowe Index) 절차를 통해 계산된다. 로 가격 지수에서 각 품목과 관련된 지출 또는 수량 가중치는 각 지수 기간에서 도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지출 가중치는 이전 기간에서 상속되며, 가격은 지수가 요약해야 하는 기간에서 가져온다.[3][4] 로 지수는 경제학자 조셉 로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캐나다 통계청, 미국 노동 통계청 및 기타 여러 국가 통계청의 대부분의 CPI와 고용 비용 지수는 로 지수이다.[5][6][7][8] 로 지수는 때때로 "수정된 라스파이레스 지수"라고도 하며, 여기서 주요 수정 사항은 수량 가중치를 매 기간보다 덜 자주 도출하는 것이다. 소비자 물가 지수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지출에 대한 가중치는 일반적으로 가계의 예산에 대해 질문하는 설문 조사를 통해 계산되며, 이러한 설문 조사는 가격 데이터 수집보다 덜 자주 수행된다.[3]국가 간의 생산량 비교는 로 수량 지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은행의 국제 비교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기어리-카미스 달러 방법이 이러한 유형이다. 여기서 수량 데이터는 여러 국가 각각에서 매 기간 업데이트되는 반면, 통합된 가격은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된다.[3]
'''마셜-엣지워스 지수'''는 경제학자 알프레드 마셜과 프랜시스 이시드로 엣지워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수량의 산술 평균을 사용하여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셰 지수에 의한 과대평가 및 과소평가의 문제를 극복하려 한다.
'''피셔 지수'''는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피셔 이상 지수'''라고도 하며, 파셰 지수와 라스파이레스 지수의 기하 평균으로 계산된다.[9]
이러한 모든 지수는 기간 또는 위치 간의 상대 가격에 대한 전반적인 측정을 제공한다.
4. 주요 물가지수
주요 물가지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소비자 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가계가 소비를 위해 구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 생산자 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 기업 간 거래되는 상품(원자재, 중간재, 최종재)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 GDP 디플레이터: 국민 경제 전체의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지표이다.
- 수출입물가지수: 수출 물가 지수는 해외로 수출되는 상품의 가격 변동을, 수입 물가 지수는 해외에서 수입되는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영어) 물가지수: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이 발표하는 물가지수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아닌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대상으로 한다.[35]
4. 1. 소비자 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 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가계가 소비를 위해 구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통계청이 매월 작성하여 발표하며, 가계 소비 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자 물가 안정을 주요 경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한다.소비자 물가 지수의 항목, 구성비, 산출 방법에는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24]
4. 2. 생산자 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 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는 기업 간 거래되는 상품(원자재, 중간재, 최종재)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한국은행이 매월 작성하며, 기업의 생산 비용 변화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28] 국내 기업 간 거래 가격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기업 물가지수(CGPI), 해외로 수출되는 가격을 대상으로 하는 수출 물가 지수(EPI), 해외에서 수입되는 가격을 대상으로 하는 수입 물가지수(IPI)로 나뉜다.4. 3. GDP 디플레이터 (GDP Deflator)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계산하는 값으로, 국민 경제 전체의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지표이다.[28] 생산자 물가, 소비자 물가, 수출입 물가를 모두 포함한다.4. 4. 수출입물가지수
수출물가지수는 해외로 수출되는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고, 수입물가지수는 해외에서 수입되는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이 지수들은 한국은행이 매월 작성하며, 환율 변동과 함께 수출입 기업의 채산성 변화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1]4. 5.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영어) 물가지수는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이 발표하고,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이 발표한다.[33] 미국에서 소비자물가지수는 라스파이레스 지수인 반면,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셰 지수의 기하 평균으로,[34]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에는 국내총생산 등도 영향을 미친다.: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 = 명목PCE ÷ 실질PCE[32]
미국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아닌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35] 특히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를 중시하고 있다.
5. 한국의 물가지수 조사 방법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물가지수 조사 방법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일본의 물가지수 조사 방법에 대한 내용만 있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소비자 물가지수
일본 총무성은 1946년 8월부터 소비자 물가 지수 조사를 시작했다.[24]소매물가통계조사(총무성 조사)의 소매 가격 평균으로 개별 지수를 작성하고, 가계 조사(총무성 조사)를 바탕으로 이 개별 지수를 통합하여 전체 지수를 작성한다.
- 소매 가격 조사: 전국 167개 시정촌을 선정하여, 그 안에서 대표적인 소매점 및 서비스 사업소 약 30,000개 점포, 약 25,000 가구(집세), 약 530개 사업자(숙박료)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가격은 실제로 판매하고 있는 소매 가격(특별 세일 판매 등은 제외)이다.
5. 2. 생산자 물가지수 및 수출입물가지수
일본은행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 이후 생산자 단계에서 헤도닉 접근법이 적용되면서 물가지수 변화의 정확도가 높아졌다.[29]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을 대상으로 가격 조사를 실시하여 작성하며, 생산자 단계의 가격을 채택한다.[29] 기술 발전으로 인한 품질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헤도닉 접근법을 사용하기도 한다.[30]6. 물가지수의 역사
물가지수를 누가 최초로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웨일스 출신 라이스 본과 영국인 윌리엄 플리트우드가 이 분야의 선구자로 여겨진다.[1][2]
6. 1. 초기 물가지수 연구
웨일스 출신 라이스 본은 1675년에 저술한 ''동전과 주조에 관한 논고''에서 이 분야에 대한 초기 연구를 진행했다.[1] 본은 스페인이 신대륙에서 가져온 귀금속 유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과 통화 절하로 인한 영향을 구분하고자 했다. 그는 1351년 노동자 법규와 같은 에드워드 3세 시대의 노동 법규와 자신의 시대의 노동 법규를 비교했다. 이 법규들은 특정 작업에 대한 임금을 정해 놓았으며, 임금 수준 변화에 대한 기록을 제공했다. 본은 기본적인 노동 시장은 시간에 따라 크게 변동하지 않으며, 기본적인 노동자의 임금은 다른 시대에도 같은 양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잉글랜드의 물가 수준은 지난 세기 동안 6~8배 상승했다.[1]
본을 물가지수 연구의 선구자로 볼 수 있지만, 그의 분석은 실제로 지수를 계산하지는 않았다.[1] 1707년, 영국인 윌리엄 플리트우드가 최초의 진정한 물가지수를 만들었다. 한 옥스퍼드 학생이 플리트우드에게 물가 변화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그 학생은 15세기 규정 때문에 연간 소득이 5GBP를 초과하면 장학금을 받을 수 없어 장학금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 플리트우드는 평균 물가 상대치를 포함하는 지수를 제안했고, 자신의 방법을 사용하여 5GBP의 가치가 260년 동안 크게 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옥스퍼드 학생들을 옹호하며 연구 결과를 'Chronicon Preciosum'이라는 책에 익명으로 출판했다.[2]
6. 2. 근대 물가지수 이론 발전
19세기 후반, 에티엔 라스파이레스와 헤르만 파셰는 각각 기준 시점과 비교 시점의 거래량을 가중치로 사용하는 물가지수 계산 방법을 제시했다. 20세기 초, 어빙 피셔는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셰 지수의 기하평균을 이용한 피셔 지수를 제안했다.[1]7. 물가 변동과 경제
물가는 경기가 좋아지면 상품 및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 상승하고, 경제가 나빠지면 하락하기 때문에 "경제의 체온계"라고 불린다.[23][24]
물가 상승 요인으로는 경기 확대, 금융 완화, 임금 상승, 수요 증가, 공급 부족, 인구 증가, 원자재 및 광열비 상승, 전쟁 및 분쟁 등이 있다.[24]
물가 하락 요인으로는 기술 진보에 따른 생산성 향상, 규제 완화에 따른 신규 진입, 수입품 증가 등이 있다.[25]
7. 1.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물가는 경기가 호전되면 상품 및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여 상승하고, 경제가 침체되면 하락하기 때문에 "경제의 체온계"라고 불린다.[23][24]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인플레이션(인플레),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태를 디플레이션(디플레)이라고 한다.[24]
물가 상승 요인으로는 경기 확대, 금융 완화, 임금 상승, 수요 증가, 공급 부족, 인구 증가, 원자재 비용 및 광열비 상승, 전쟁 및 분쟁 등이 있다.[24]
물가 하락 요인으로는 기술 진보에 따른 생산성 향상, 규제 완화에 따른 신규 진입, 수입품 증가 등이 있다.[25]
또한,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7. 2. 중앙은행의 역할
일본 은행은 일반인을 위한 사이트 등에서 물가 안정이 경제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기반이며, 중앙 은행은 이를 통해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히고, 중앙 은행의 금융 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데 있다고 밝힌다.[26] 한편, 자산 가격의 금융 정책 운영상 위치를 고려할 때, 자산 가격의 안정 그 자체는 금융 정책의 최종 목표가 될 수 없다는 것이 각국 당국과 학계의 거의 일치된 견해이다.[27]참조
[1]
문서
Chance
[2]
문서
Chance
[3]
서적
"Lowe Indices", chapter 9, pp. 197-216 in W.E. Diewert, B.M. Balk, D. Fixler, K.J. Fox, and A.O. Nakamura's Price and Productivity Measurement: Volume 6 -- Index Number Theory
http://www.indexmeas[...]
Trafford Press
2010
[4]
웹사이트
https://www.bls.gov/[...]
[5]
웹사이트
Consumer Price Index
http://www.statcan.g[...]
2014-12-19
[6]
웹사이트
Different ways of measuring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http://www.statistic[...]
[7]
논문
Post-Laspeyres: The Case for a New Formula for Compiling Consumer Price Indexes
http://www.imf.org/e[...]
IMF
[8]
논문
Lowe and Cobb-Douglas Consumer Price Indices and their Substitution Bias
https://www.jstor.or[...]
2010-12
[9]
서적
Dictionary of Physics and Mathematics
https://archive.org/[...]
McGrow–Hill
[10]
웹사이트
Glossary of Common Terms, Paasche Index
http://www2.stats.go[...]
Statistics New Zealand
[11]
웹사이트
Glossary of Common Terms, Laspeyres Index
http://www2.stats.go[...]
Statistics New Zealand
[12]
문서
Diewert
1993
[13]
웹사이트
Commercial Knowledge Delivers This
http://www.techmatt.[...]
[14]
문서
Triplett
2004
[15]
문서
Triplett
2004
[16]
문서
Triplett
2004
[17]
문서
Triplett
2004
[18]
문서
世界大百科事典第二版「物価」
[19]
문서
日本大百科全書「物価」
[20]
서적
歴史が教えるマネーの理論
ダイヤモンド社
[21]
간행물
貨幣理論の基礎認識
https://doi.org/10.1[...]
成蹊大学経済学部学会
2016-07
[22]
서적
経済学の巨人 危機と闘う-達人が読み解く先人の知恵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
[23]
서적
基本用語からはじめ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
[24]
웹사이트
投資に役立つ経済ワードvol.6 インフレ
https://www.nomura-a[...]
野村アセットマネジメント
2020-06-27
[25]
웹사이트
最近の経済動向
https://www.dbj.jp/r[...]
日本政策投資銀行
2020-06-27
[26]
웹사이트
教えて!にちぎん
https://www.boj.or.j[...]
日本銀行
[27]
웹사이트
資産価格と金融政策運営
https://www.boj.or.j[...]
日本銀行
[28]
서적
ランチタイムの経済学-日常生活の謎をやさしく解き明かす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
[29]
문서
調査価格が外貨建ての場合には、調査対象月における銀行の対顧客電信直物相場により円換算する
[30]
웹사이트
消費者物価指数の精度について-日本銀行の要望について
https://www.stat.go.[...]
総務省統計局
[31]
웹사이트
消費者物価指数を巡って
http://www.imes.boj.[...]
[32]
웹사이트
わかりやすい用語集 解説:PCEデフレーター(ぴーしーいーでふれーたー) | 三井住友DSアセットマネジメント
https://www.smd-am.c[...]
[33]
웹사이트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rice Index |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
https://www.bea.gov/[...]
[34]
웹사이트
米国の個人消費支出価格指数について - 今月の注目指標 No.047(2003年7月17日) - 日本政策投資銀行調査部
https://www.dbj.jp/r[...]
[35]
웹사이트
Federal Reserve Board - 2020 Statement on Longer-Run Goals and Monetary Policy Strategy
https://www.federalr[...]
[36]
웹사이트
日経CPINow|金融政策・経済分析に必須のビッグデータ
https://lp.nowcast.c[...]
[37]
웹사이트
株式会社ナウキャストについて | 株式会社ナウキャスト
https://www.wantedly[...]
[38]
뉴스
日経・東大日次物価指数とは: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39]
뉴스
東大・日経の物価指数 脱デフレ検証の一助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07-08
[40]
웹사이트
株式会社ナウキャスト - INITIAL
https://initial.inc/[...]
[41]
웹사이트
オルタナティブデータ活用サービス | 日経オルタナティブデータ
https://nkbb.nikkei.[...]
[42]
웹사이트
SRI一橋大学消費者購買指数・単価指数
http://www.srihito.c[...]
[43]
뉴스
消費者物価指数より「動学的価格指数」の導入を
https://business.nik[...]
日経ビジネス
2018-08-23
[44]
간행물
動学的均衡価格指数の理論と応用-資産価格とインフレーション」、『金融研究』、第10巻第4号、1991年
http://www.imes.boj.[...]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