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제5군단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제5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냉전 이후의 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이다. 1918년 창설되어 1922년 해산되었다가, 1940년 재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의 북아프리카 및 유럽 전역에 투입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독일 주둔하며 제7군단과 함께 미 육군의 주요 전력이 되었고, 이후 코소보 전쟁, 이라크 전쟁에도 참여했다. 2013년 해산되었다가 2020년 폴란드에 재창설되어 유럽 지역의 안보 및 동맹국 지원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목록 - 미국 제82공수사단의 전투 서열
미국 제82공수사단의 전투 서열은 사단의 조직 구조와 예하 부대 편성을 나타내며, 시대적 요구와 작전 수행 능력에 따라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쳐 다양한 편제를 갖추어 왔습니다. - 미국 육군의 목록 - 미국 제2보병사단의 전투 서열
미국 제2보병사단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고, 여단, 사단 특수병력, 지원부대 등으로 구성되어 시대와 상황에 따라 편제가 변화해 왔다. - 미국 육군의 군단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 미국 육군의 군단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미국 육군 장교 - 마이크 폼페이오
마이크 폼페이오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장관과 CIA 국장을 역임했으며, 이전에는 캔자스주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공화당 내 강경 보수파이자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이다. - 미국 육군 장교 - 루이스 잠페리니
루이스 잠페리니는 미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으로, 올림픽 국가대표 출전 후 전쟁 중 일본군 포로로 억류되었으며, 전후에는 복음주의자로 용서와 화해를 전파하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미국의 제5군단장 | |
---|---|
군단 정보 | |
명칭 | 제5(V)군단 |
원어 명칭 | Commanding General of V Corps (영어) |
개요 | |
국가 | 대한민국 |
역할 | 군단장 |
임기 | 2~3년 |
역사 | |
성립일 | 1918년 7월 12일 |
지휘관 | |
초대 군단장 | 윌리엄 W. 라이트 소장 |
마지막 군단장 | 프레데릭 조지프 브라운 주니어 중장 |
기타 | |
웹사이트 | 제5군단 웹사이트 |
2. 역사
제5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8년 7월 12일 프랑스에서 미국 원정군의 일부로 창설되었으며, 윌리엄 W. 라이트 소장이 초대 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1] 전후 미국 본토로 귀환했다가 1922년 10월 3일에 해산되었으나,[1] 18년 뒤인 1940년 10월 20일에 다시 소집되었다.[1]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북아프리카 전역과 유럽 전구에서 활동했다.[1] 종전 이후에는 독일에 주둔하며 냉전 기간 동안 제7군단과 함께 미국 유럽 육군의 핵심 전력으로 자리 잡았다.[1]
2. 1. 창설과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에 도착한 미국 원정군이 부대를 조직하면서, 1918년 7월 12일에 제5군단이 창설되었다. 초대 군단장으로는 윌리엄 W. 라이트 소장이 임명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제5군단은 미국 본토로 귀환하였다. 4번째 군단장인 조지 W. 리드 소장이 지휘하던 중 1922년 10월 3일에 해산되었다.2. 2.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2년 해산되었던 제5군단은 18년간의 공백기를 거쳐 1940년 10월 20일에 다시 소집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에 따른 조치로, 캠벨 하지스 소장이 다섯 번째 군단장으로 임명되면서 제5군단의 역사가 다시 시작되었다. 이후 제5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북아프리카 전역과 유럽 전구 등 주요 전선에 투입되었다.2. 3. 냉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제5군단은 독일에 주둔하였다. 냉전 기간 동안에는 제7군단과 함께 미국 유럽 육군의 주요 전력이 되었다.2. 4. 해산 및 재창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미국 본토로 귀환한 제5군단은 4대 군단장 조지 W. 리드 소장의 지휘 아래 있다가 1922년 10월 3일에 해산하였다. 18년 뒤인 1940년 10월 20일, 제5군단은 다시 소집되었고 캠벨 하지스 소장이 5대 군단장으로 임명되면서 그 역사를 이어가게 되었다.3. 역대 군단장
# | 사진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 | 소장 윌리엄 W. 라이트 | 1918년 7월 12일 | 1918년 8월 20일 | 군단 창설 |
2 | ![]() | 소장 조지 H. 카메론 | 1918년 8월 21일 | 1918년 10월 11일 | |
3 | ![]() | 소장 찰스 P. 서머올 | 1918년 10월 12일 | 1919년 5월 2일 | |
4 | ![]() | 소장 조지 W. 리드 | 1919년 5월 3일 | 1922년 10월 3일 | 군단 해산 |
5 | 소장 캠벨 하지스 | 1940년 10월 20일 | 1941년 3월 16일 | 군단 재소집 | |
6 | 소장 에드문드 달리 | 1941년 3월 17일 | 1942년 1월 19일 | ||
7 | 소장 윌리엄 키 | 1942년 1월 10일 | 1942년 5월 19일 | ||
7 | ![]() | 소장 러셀 하틀 | 1942년 5월 20일 | 1943년 7월 14일 | |
8 | ![]() | 소장 레너드 T. 게로 | 1943년 7월 15일 | 1944년 9월 17일 | |
9 | ![]() | 소장 에드워드 브룩스 | 1944년 9월 18일 | 1944년 10월 4일 | |
10 | 소장 레너드 T. 게로 | 1944년 10월 5일 | 1945년 1월 14일 | ||
11 | ![]() | 소장 클레렌스 R. 휴브너 | 1945년 1월 15일 | 1945년 11월 11일 | |
12 | ![]() | 소장 프랭크 W. 밀번 | 1945년 11월 12일 | 1946년 6월 6일 | |
13 | 소장 올랜도 워드 | 1946년 6월 7일 | 1946년 11월 15일 | ||
14 | ![]() | 소장 스테포드 L. 어윈 | 1946년 11월 16일 | 1948년 10월 31일 | |
15 | ![]() | 중장 존 하지 | 1948년 11월 1일 | 1950년 8월 31일 | 주한미군 사령관 역임. 재임 기간 중 제주 4·3 사건, 여수·순천 사건 등이 발생하여 남한 내 좌우 갈등 심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있다. |
16 | 중장 존 레너드 | 1950년 9월 1일 | 1951년 6월 18일 | ||
17 | 준장 보니페이스 캠벨 | 1951년 6월 19일 | 1951년 8월 | ||
18 | ![]() | 소장 존 E. 달퀴스트 | 1951년 8월 | 1953년 3월 | |
17 | 소장 아이라 P. 스위프트 | 1953년 3월 | 1954년 6월 | ||
18 | 중장 찰스 E. 하트 | 1954년 6월 | 1956년 3월 | ||
19 | ![]() | 중장 레뮤얼 메튜슨 | 1956년 3월 | 1957년 8월 | |
20 | ![]() | 중장 프랜시스 윌리엄 파렐 | 1957년 8월 | 1959년 3월 | |
21 | ![]() | 중장 폴 D. 애덤스 | 1959년 4월 | 1960년 10월 | |
22 | 중장 프레데릭 브라운 | 1960년 10월 | 1961년 8월 | ||
23 | ![]() | 중장 존 K. 워터스 | 1961년 8월 | 1962년 5월 | |
24 | ![]() | 중장 존 H. 마이켈리스 | 1962년 | 1963년 7월 | |
25 | 중장 크레이턴 W. 에이브럼스 | 1963년 7월 | 1964년 8월 | ||
26 | ![]() | 중장 제임스 H. 폴크 | 1964년 9월 | 1966년 2월 | |
27 | ![]() | 중장 조지 R. 마터 | 1966년 2월 | 1967년 5월 | |
28 | 중장 앤드류 J. 보일 | 1967년 7월 | 1969년 7월 | ||
29 | ![]() | 중장 클레어 E. 후친, Jr. | 1969년 9월 | 1971년 1월 | |
30 | 중장 윌라드 T. 피어슨 | 1971년 2월 | 1973년 5월 | ||
31 | ![]() | 중장 윌리엄 R. 디소브리 | 1973년 6월 | 1975년 8월 | |
32 | ![]() | 중장 로버트 L. 페어 | 1975년 8월 | 1976년 1월 | |
33 | 중장 돈 A. 스타리 | 1976년 2월 | 1977년 6월 | ||
34 | 중장 시드니 B. 베리 | 1977년 7월 | 1980년 2월 | ||
35 | ![]() | 중장 윌라드 W. 스콧 Jr. | 1980년 2월 | 1981년 7월 | |
36 | 중장 폴 S. 윌리엄스, Jr. | 1981년 7월 | 1984년 5월 | ||
37 | 중장 로버트 L. 웨첼 | 1984년 5월 | 1986년 6월 | ||
38 | 중장 콜린 파월 | 1986년 6월 | 1987년 1월 | 훗날 미국 최초의 흑인 국무장관 역임. | |
39 | 소장 링컨 존스 3세 | 1987년 1월 | 1987년 3월 | ||
40 | 중장 존 W. 우드멘세, Jr. | 1987년 3월 | 1989년 7월 | ||
41 | 중장 조지 A. 조울완 | 1989년 8월 | 1990년 11월 | ||
42 | ![]() | 중장 데이비드 M. 매드독스 | 1990년 11월 9일 | 1992년 6월 17일 | |
43 | ![]() | 중장 제리 R. 루터포드 | 1992년 6월 17일 | 1995년 4월 6일 | |
44 | 중장 존 N. 에이브람스 | 1995년 4월 6일 | 1997년 7월 31일 | ||
45 | 중장 존 W. 헨드릭스 | 1997년 7월 31일 | 1999년 11월 16일 | ||
46 | 중장 제임스 라일리 | 1999년 11월 16일 | 2001년 7월 18일 | ||
47 | ![]() | 중장 윌리엄 S. 윌라스 | 2001년 7월 18일 | 2003년 6월 14일 | |
48 | ![]() | 중장 리카르도 S. 산체스 | 2003년 6월 14일 | 2006년 9월 6일 | |
49 | 소장 프레드 로빈슨 | 2006년 9월 6일 | 2007년 1월 19일 | ||
50 | ![]() | 중장 제임스 D. 서먼 | 2007년 1월 19일 | 2007년 8월 8일 | |
51 | 중장 케네스 W. 훈젠커 | 2007년 8월 8일 | 2009년 7월 31일 | ||
대행 | ![]() | 준장 마이클 A. 라이언 | 2009년 8월 8일 | 2010년 11월 3일 | |
대행 | 준장 앨런 바췌레트 | 2010년 11월 3일 | 2011년 6월 | ||
대행 | 준장 리키 깁스 | 2011년 6월 | 2012년 1월 10일 | ||
52 | ![]() | 중장 제임스 L. 테리 | 2012년 1월 10일 | 2013년 9월 15일 | 군단 해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