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 포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스 포터는 작가 비아트릭스 포터의 생애를 다룬 2006년 영화이다. 비아트릭스 포터는 1902년 프레데릭 원 출판사에서 '피터 래빗 이야기'를 출판하며 작가로 성공했고, 편집자 노먼 원과 사랑에 빠졌으나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슬픔을 겪었다. 이후 레이크 디스트릭트로 이주하여 자연 보호에 힘썼다. 영화는 르네 젤위거가 포터 역을, 이완 맥그리거가 노먼 원 역을 맡았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역사적 사실과 다른 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카포티
베넷 밀러 감독의 영화 《카포티》는 트루먼 카포티가 소설 《냉혈》을 집필하며 겪는 고뇌와 갈등, 그리고 클러터 가족 살인 사건의 주범 페리 스미스와의 관계를 통해 1950년대 미국 사회와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전기 드라마이다. -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냉동어
냉동어 문서는 아직 줄거리에 대한 내용이 없으며, 위키문헌에서 관련 원문 자료를 확인하고 지만지 지식공유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작성되었다. - BBC 필름스 영화 - 하비와 밥이 만났을 때
하비와 밥이 만났을 때는 1985년 아프리카 기아를 돕기 위한 자선 콘서트를 기획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며, 밥 겔도프가 에티오피아 기근을 보고 팝 뮤지션들을 설득하여 자선 싱글을 녹음한 후 하비 골드스미스와 함께 대규모 콘서트를 준비하는 과정을 다루며, 2011년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어워드에서 최우수 단막극상을 수상했다. - BBC 필름스 영화 - 코드 46
코드 46은 마이클 윈터바텀 감독의 SF 멜로 드라마 영화로,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배경으로 보험 조사관 윌리엄이 파펠레스 위조 사건을 조사하던 중 유전자 복제와 관련된 금지된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통해 신분 통제 사회, 유전적 통제, 사랑과 윤리 등의 주제를 다룬다. - 와인스타인 컴퍼니 영화 - 설국열차
《설국열차》는 빙하기 이후 영구 기관 열차 내 계급 투쟁을 그린 봉준호 감독의 디스토피아 영화로, 원작 그래픽 노블에서 각색되었으며, 계급 갈등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질문을 던져 흥행과 논쟁을 동시에 일으켰고, 드라마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 와인스타인 컴퍼니 영화 - 파운더 (영화)
《파운더》는 레이 크록이 맥도날드 형제의 햄버거 가게를 프랜차이즈화하여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으로 성장시키는 과정을 그린 전기 드라마 영화로, 그의 사업 수완과 윤리적 문제, 맥도날드 형제와의 갈등을 묘사하며 자본주의의 냉혹한 면을 조명한다.
미스 포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크리스 누넌 |
제작자 | 데이비드 커슈너 |
각본가 | 리처드 몰트비 주니어 |
출연 | 러네이 젤위거 로이드 오웬 이완 맥그리거 빌 패터슨 에밀리 왓슨 |
음악 | 나이젤 웨스트레이크 |
촬영 감독 | 앤드루 던 |
편집 | 로빈 세일즈 |
제작사 | 피닉스 픽처스 UK 필름 카운슬 BBC 필름스 그로스베너 파크 미디어 아일 오브 맨 필름 |
배급사 | 골드윈-메이어]] |
개봉일 | 2006년 12월 3일 (런던) 2007년 1월 5일 (영국) 2007년 3월 9일 (미국) |
상영 시간 | 93분 |
제작 국가 | 영국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3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3580만 달러 |
일본 정보 | |
배급사 (일본) | 가도카와 영화 |
개봉일 (일본) | 2007년 9월 15일 |
흥행 수입 (일본) | 610만 파운드 |
한국 정보 | |
원제 | Miss Potter |
2. 생애
비아트릭스 포터는 1902년 ''피터 래빗 이야기''를 출간하며 작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출판 편집자 노먼 웜과 깊은 관계를 맺었으나,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슬픔을 겪었다. 이후 포터는 레이크 디스트릭트에 정착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가며 자연 보호에도 힘썼다.
2. 1. 작가로서의 성공과 사랑
1902년, 비아트릭스 포터는 프레데릭 원 출판사를 통해 ''피터 래빗 이야기''를 출간하며 작가로서 첫발을 내디뎠다.[15] 처음 출판사 경영진인 원 형제는 이 책의 성공 가능성을 낮게 보고, 막내 동생인 노먼 원에게 경험 삼아 맡긴 일이었으나[15], 노먼은 포터의 이야기에 깊이 공감하며 열정적으로 출판 작업에 임했다.[15]두 사람은 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서로의 생각과 비전을 공유하며 가까워졌다. 노먼은 포터를 자신의 어머니와 여동생 밀리에게 소개했고, 포터와 밀리는 곧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하지만 포터의 어머니 헬렌은 딸이 사회적 지위가 낮은 '상인' 집안과 어울리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피터 래빗 이야기''는 예상을 뛰어넘는 큰 성공을 거두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15], 포터의 아버지 루퍼트마저 리폼 클럽의 지인들을 통해 딸의 책이 얼마나 인기 있는지 듣고는 그녀의 작가 활동을 지지하게 되었다. 성공에 힘입어 책은 시리즈로 출간되기 시작했고, 포터는 최고의 파트너인 노먼과 함께 계속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나갔다.[15]
포터는 크리스마스 파티에 노먼과 밀리를 초대했고[15], 그 자리에서 노먼은 포터에게 청혼했다. 포터는 기쁘게 이를 받아들였다.[15] 그러나 포터의 부모는 "신분이 맞지 않는다", "장사꾼은 먼지를 들여온다"는 등의 이유로 결혼을 강하게 반대했다.[15] 포터는 자신의 할아버지들 역시 상인이었음을 상기시키고[15], 이미 인세 수입으로 경제적으로 자립했음을 주장하며 부모에게 맞섰다. 결국 포터의 아버지는 여름 동안 두 사람이 떨어져 지내며 서로에 대한 마음을 확인한 후, 가을에도 여전히 결혼 의사가 확고하다면 허락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15]
포터 가족은 레이크 디스트릭트에서 여름 휴가를 보냈고, 포터와 노먼은 애틋한 편지를 주고받으며 서로에 대한 사랑을 확인했다.[15] 하지만 어느 날부터 노먼의 편지가 끊겼고, 곧이어 밀리로부터 노먼이 병에 걸렸다는 편지를 받았다.[15] 포터는 급히 런던으로 돌아갔지만, 노먼은 이미 세상을 떠난 후였다.[15]
갑작스러운 연인의 죽음은 포터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깊은 슬픔에 잠긴 그녀는 방에 틀어박혀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15] 그림을 그리려 해도 그림 속 인물들이 사라지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였다. 이때 친구 밀리가 찾아와 그녀를 위로하며 슬픔을 극복하도록 도왔다.[15]
2. 2. 레이크 디스트릭트에서의 삶과 자연 보호
영화 속 묘사와 달리, 『제미마 푸들덕』(The Tale of Jemima Puddle-Duckeng)은 힐탑 농장에 실제로 살았던 오리에게서 영감을 받아 쓰여졌다. 이 오리는 자신의 알을 계속 숨기는 버릇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이 이야기는 노먼 워른이 사망한 이후에 집필되었다.3. 영화 "미스 포터"
(내용 없음)
3. 1. 제작 배경
이 영화는 크리스 누난 감독이 꼬마 돼지 베이브 이후 10년 만에 연출한 작품으로, 영감을 주는 각본을 찾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원래 누난 감독을 추천했던 케이트 블란쳇이 주연으로 거론되었으나, 다른 영화 제작이 먼저 확정되면서 하차하게 되었다.[4] 이후 러네이 젤위거가 비아트릭스 포터 역을 맡았으며, 각본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영화의 총괄 프로듀서로도 참여했다.[5]젤위거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서 함께 작업했던 이완 맥그리거에게 직접 연락하여 노먼 원 역할을 제안했다.[6] 맥그리거는 이 영화가 이전 작품과 비슷한 매력을 지녔다고 느꼈으며, 자녀들에게 비아트릭스 포터의 이야기를 읽어주어 익숙했다고 밝혔다.[6] 그는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노먼 원의 사진을 연구하고 실제 워네 출판사를 방문하기도 했다.[7] 젤위거 역시 비아트릭스 포터와 노먼 원, 그리고 그의 누이 밀리 사이에 오갔던 실제 편지를 읽으며 배역을 준비했지만, 브리짓 존스 시리즈와는 전혀 다른 포터의 억양을 연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7]
비아트릭스 포터의 실제 목소리 녹음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제작진은 당시 포터의 사회적 지위를 가진 여성이 사용했을 법한 높고 다소 절제된 톤의 목소리를 추정하여 현대 관객에게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다듬었다.[8] 젤위거는 어린 시절 포터의 동화책 몇 권을 읽었지만, 작가 자신에 대해서는 잘 몰랐다고 말했으며,[9] 누난 감독 역시 포터의 이야기를 직접 읽기보다는 "그녀의 캐릭터가 그려진 식기류 때문에 그녀를 알고 있었다"고 언급했다.[9]
영화는 실사 장면과 함께 비아트릭스 포터의 삽화를 애니메이션화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패션 픽처스 소속의 시각 효과(VFX) 슈퍼바이저 크리스 노트(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 참여)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포터의 원화를 직접 참고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10] 누난 감독은 셀 애니메이션 전문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포터의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진 앨리슨 해밀턴을 찾아 작업을 맡길 수 있었다.[11]
의상은 아카데미상 수상 경력의 앤서니 파월이 담당했으며, 음악은 나이젤 웨스트레이크(누난 감독과 ''꼬마 돼지 베이브''에서 협업)가 주로 작곡했고, 레이첼 포트먼이 일부 레이크 디스트릭트 장면의 음악 작업에 참여했다. 웨스트레이크는 촬영 중 누난 감독의 요청으로 왈츠 풍의 곡을 작곡했는데, 이 곡은 마이크 배트와 케이티 멜루아의 협력을 통해 영화 엔딩 크레딧에 사용된 팝송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12]
촬영은 세실 코트, 코벤트 가든, 맨 섬, 호수 지방 등에서 진행되었다. 영국에서는 2007년 아카데미상 후보 자격을 얻기 위해 2006년 12월 29일에 개봉되었다. 당초 일반 개봉은 2007년 1월 12일로 예정되었으나, 배급사 와인스타인 컴퍼니는 경쟁이 치열한 시상식 시즌을 피해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미국 개봉일을 2007년 3월 9일로 연기하는 전략을 택했다.[16]
3. 2. 주요 등장인물
배역 | 배우 | 비고 |
---|---|---|
비아트릭스 포터 | 러네이 젤위거 | 주인공 |
어린 비아트릭스 포터 | 루시 보인턴 | |
노먼 원 | 이완 맥그리거 | 프레데릭 원 출판사 편집자 |
밀리 원 | 에밀리 왓슨 | 노먼의 누이 |
헬렌 포터 | 바바라 플린 | 비아트릭스의 어머니 |
루퍼트 포터 | 빌 패터슨 | 비아트릭스의 아버지 |
윌리엄 힐리스 | 로이드 오언 | 변호사, 비아트릭스의 소꿉친구이자 후일 남편 |
어린 윌리엄 힐리스 | 저스틴 맥도날드 | |
해롤드 원 | 안톤 레서 | 노먼의 형 |
프루잉 원 | 데이비드 벰버 | 노먼의 형 |
루이자 원 부인 | 필리다 로 | 노먼의 어머니 |
미스 위긴 | 매터록 깁스 | 비아트릭스의 보호자 겸 시중 |
- '''비아트릭스 포터''' (러네이 젤위거 / 어린 시절: 루시 보인턴): 주인공. 동물을 사랑하고 그림 그리기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여성이다. 당시 여성에게 요구되던 사회적 역할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작품 활동을 추구한다. 프레데릭 웜 앤 코. 출판사와 계약하여 ''피터 래빗 이야기''를 출간하고 큰 성공을 거둔다. 노먼 원과 사랑에 빠지지만 부모의 반대에 부딪히고, 노먼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슬픔을 딛고 레이크 디스트릭트에 정착하여 창작 활동과 자연 보호에 힘쓴다.
- '''노먼 원''' (이완 맥그리거): 프레데릭 웜 앤 코. 출판사의 편집자이자 막내아들. 형들은 비아트릭스의 작품을 무시했지만, 그는 그녀의 재능과 작품 세계를 알아보고 ''피터 래빗 이야기'' 출간을 적극적으로 돕는다. 비아트릭스와 깊은 교감을 나누며 연인 관계로 발전하고 청혼하지만, 병으로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다.
- '''밀리 원''' (에밀리 왓슨): 노먼의 누이. 비아트릭스와 처음 만나 친구가 되어 따뜻한 우정을 나눈다. 노먼이 세상을 떠난 후 슬픔에 잠긴 비아트릭스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등 중요한 정신적 지지자 역할을 한다.
- '''헬렌 포터''' (바바라 플린): 비아트릭스의 어머니. 딸이 상인 집안인 원 가문과 어울리거나 작가로 활동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긴다. 사회적 지위와 체면을 중시하며, 신분 차이를 이유로 비아트릭스와 노먼의 결혼을 강하게 반대하는 보수적인 인물이다.
- '''루퍼트 포터''' (빌 패터슨): 비아트릭스의 아버지. 처음에는 아내와 마찬가지로 딸의 활동에 대해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딸의 책이 성공하고 재능을 인정받자 그녀의 작가 경력을 지지하게 된다. 노먼과의 결혼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딸의 확고한 의지를 보고 조건을 걸어 허락한다.
- '''윌리엄 힐리스''' (로이드 오언 / 어린 시절: 저스틴 맥도날드): 비아트릭스의 소꿉친구이자 변호사. 비아트릭스가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토지를 매입하여 자연을 보존하는 활동을 할 때 법률적인 도움을 준다. 노먼 사후 시간이 흘러 비아트릭스와 결혼한다.
3. 3. 한국판 성우진 (KBS)
- 서혜정 - 미스 포터(러네이 젤위거/루시 보인턴)
- 홍시호 - 노먼 원(이완 맥그리거)
- 김정미 - 어머니(바버라 플린)
- 온영삼 - 아버지(빌 페이터슨)
- 김정희 - 유모(주디스 바커)
- 임은정 - 밀리(에밀리 왓슨)
- 오인성 - 윌리엄(로이드 오언/저스틴 맥도날드)
- 김옥경 - 원 부인(필리다 로우)
- 김정호 - 해롤드(안톤 레서)
- 조동희 - 푸르윙(데이빗 밤버)
- 오세홍 - 경매 진행자(도미닉 켐프)
- 임채헌 - 마부(크리스 미들턴) / 해설
3. 4. 평가
영화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7] 로튼 토마토에서는 129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67%의 신선도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6.22점을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의 평론가 총평은 "슬픈 순간에도 달콤함을 유지하는 매력적인 전기 영화"이다.[13] 주연 러네이 젤위거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여섯 번째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그러나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몇 가지 논쟁도 있었다. 영국 문학의 중요한 인물인 비아트릭스 포터 역을 미국 배우 러네이 젤위거가 맡은 것에 대한 캐스팅 논란이 있었는데, 이는 젤위거가 영국 영화 브리짓 존스의 일기에 캐스팅되었을 때와 유사한 논쟁이었다.
또한 영화 내용이 실제 비아트릭스 포터의 삶과 다른 부분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영화에서는 워른 출판사가 처음부터 피터 래빗 이야기의 출판을 결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포터가 자비로 몇 권의 책을 인쇄하여 판매한 후에야 출판이 결정되었다. 또한 이 이야기는 원래 포터 집안 가정교사의 아들인 노엘이라는 소년을 위해 쓰여졌다.
- 『두 마리의 못된 쥐 이야기』는 노먼 워른이 조카에게 만들어준 인형 집에서 영감을 얻어 쓰여졌다.
- 『제미마 푸들덕 이야기』는 힐탑 농장의 실제 오리를 모델로 했으며, 노먼 워른이 사망한 후에 쓰여졌다.
- 영화에서는 노먼 워른이 기침으로 인한 병으로 사망한 것처럼 묘사되지만, 실제 사인은 백혈병(림프구성 백혈병)이었다.[18]
- 윌리엄 힐리스는 포터의 토지 관리인이나 어린 시절 친구가 아니었으며, 실제로는 포터보다 연하였다.
- 영화에 등장하는 책들의 출판 순서가 실제와 다르다.
- 영화가 시작되는 1902년에 포터는 "32세 미혼"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나이는 35세 또는 36세였다.
- 영화에서는 포터가 전통적인 방식으로 크리스마스를 축하하지만, 실제 유니테리언 신자였던 포터는 그렇게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포터가 언제부터 독실한 유니테리언이 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4. 유산
비아트릭스 포터의 작품, 특히 『피터 래빗 이야기』는 출판과 동시에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15], 오늘날까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어린이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그녀의 이야기는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어린이 책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포터는 작품 활동을 통해 얻은 인세 수입으로 상당한 부를 축적하며 경제적 자립을 이루었다. 이는 당시 사회적 제약 속에서 여성이 자신의 능력으로 독립적인 삶을 개척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약혼자였던 노먼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깊은 슬픔을 겪었으나, 이를 극복하고 런던을 떠나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힐 톱 농장을 구입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창작 활동을 재개한 포터는 단순한 작가에 머무르지 않고 환경 보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녀는 개발로부터 지역의 자연 경관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사재를 털어 주변의 농장과 토지를 꾸준히 매입했다. 포터가 사들인 4000acre에 달하는 광대한 토지는 훗날 내셔널 트러스트에 기증되어 레이크 디스트릭트 국립공원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1913년, 포터는 토지 매입 과정에서 도움을 준 변호사 윌리엄 힐리스와 결혼하여 레이크 디스트릭트에 정착했다. 이후 농장을 직접 운영하고 지역 사회 활동에 참여하며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이어갔다. 보수적인 시대 분위기 속에서도 예술가로서의 성공, 경제적 자립, 그리고 환경 보존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 비아트릭스 포터의 삶과 업적은 후대에 큰 영감을 주는 유산으로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iss Potter (2007)
https://web.archive.[...]
2021-07-22
[2]
웹사이트
Miss Potter
2023-12-02
[3]
웹사이트
TWC moves 'Potter' after Oscars
https://variety.com/[...]
2007-01-31
[4]
웹사이트
Exclusive Interview: Chris Noonan for "Miss Potter"
https://web.archive.[...]
Dark Horizons
2006-12-11
[5]
웹사이트
Renee Zellweger Interview
https://archive.toda[...]
The Cinema Source
2008-12-16
[6]
웹사이트
Ewan Mcgregor Interview
https://web.archive.[...]
The Cinema Source
2008-12-16
[7]
웹사이트
Miss Potter – Ewan McGregor interview
https://web.archive.[...]
2008-12-16
[8]
웹사이트
Miss Potter: Renee Zellweger Interviewed
http://www.50connect[...]
Fifty Connect
2008-12-16
[9]
웹사이트
MISS POTTER Press Conference interviews with Renee Zellweger, Ewan McGregor, Emily Watson, and Director Chris Noonan
http://www.blackfilm[...]
blackfilm.com
2007-01-02
[10]
웹사이트
Miss Potter: Drawing on the Imagination of Beatrix
https://archive.toda[...]
CGSociety
2007-01-30
[11]
웹사이트
Interview: 'Miss Potter' Director Chris Noonan
https://web.archive.[...]
2007-01-05
[12]
웹사이트
Nigel Westlake – an Interview
http://www.mfiles.co[...]
2007-01-04
[13]
웹사이트
Miss Potter
https://www.rottento[...]
2020-06-06
[14]
웹사이트
Miss Potter (2006)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4-06
[15]
문서
대사
[16]
웹사이트
TWC moves 'Potter' after Oscars
http://www.variety.c[...]
Variety.com
2007-01-31
[17]
웹사이트
Review: Miss Potter
http://www.rottentom[...]
Rotten Tomatoes
2007-01-21
[18]
웹사이트
Frederick Warne and Co. website
http://www.peterrabb[...]
Frederick Warne and Co. website
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