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요시 요시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요시 요시쓰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미요시 나가요시의 조카이자 양자였다. 1563년 미요시 가문의 후계자가 되었으며, 1565년에는 미요시 삼인방과 함께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살해하는 에이로쿠의 변에 가담했다. 이후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손을 잡고 오다 노부나가에 대항했으나, 1573년 와카에 성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그는 아시카가 막부 해체와 미요시 가문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했으나, 실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와치국 사람 - 구스노키 마사시게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가마쿠라 막부 말기부터 겐무 신정기에 활약한 무장으로,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하여 막부에 맞섰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충절은 높이 평가받고 출신 배경과 생애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 가와치국 사람 - 미나모토노 요시이에
미나모토노 요시이에(源義家)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전9년의 역과 후3년의 역에서 공을 세우고 시라카와 천황의 신임을 얻었으나, 조정의 명령 없는 전투 수행, 가신 간 분쟁, 아들의 반란 등 혼란을 겪은 인물이다. - 미요시씨 - 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쓰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인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이자 양자로서 후계자로 지명되어 관백의 자리에 올랐으나, 히데요시와의 관계 악화로 모반 혐의를 받아 자결하고 일족이 몰살당했으며, 포악한 인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문무를 겸비한 유능한 인물이라는 재평가도 있다. - 미요시씨 - 미요시 모토나가
미요시 모토나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사카이 공방 수립에 기여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잇코잇키 군의 공격을 받아 자결하고 미요시 씨 몰락의 원인이 되었다. - 1573년 사망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 1573년 사망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미요시 요시쓰구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요시 요시쓰구 |
본명 | 소고 시게존 |
일본어 이름 | 미요시 요시쓰구 (三好 義継) |
로마자 표기 | Miyoshi Yoshitsugu |
출생 | 1549년 |
사망 | 1573년 12월 10일 |
사인 | 자살 |
묘소 | 오사카부야오시의 신칸지 |
가명 | 손로쿠로 |
이명 | 소고 시게요시, 미요시 요시존, 요시쓰구 |
관위 | 사쿄다이부 |
가문 | |
씨족 | 소고 씨 → 미요시 씨 |
가문 문양 | [[파일:Japanese crest Sanngai Hisi ni itutu Kuginuki.svg|15px]] 미요시 씨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소고 가즈마사 |
어머니 | 구조 다네미치의 딸 (혹은 양녀) |
양아버지 | 미요시 나가요시 |
형제자매 | 요시쓰구, 마쓰라 손파치로, 소고 마사야스 |
배우자 | 아시카가 요시하루의 딸 (정실) |
자녀 | 센치요, 딸 (가지 히젠의 아내), 요시카네, 요시시게 |
경력 | |
주군 | 아시카가 요시테루 → 요시에이 → 오다 노부나가 → 아시카가 요시아키 |
미요시 가문 당주 | 1564년 ~ 1573년 |
이전 당주 | 미요시 나가요시 |
영지 | 가와치 영주 |
이전 영주 | 소고 가즈마사 |
참여 전투 | |
주요 전투 | 혼코쿠지 사건 (1569년) |
2. 생애
1549년 미요시 나가요시의 동생 소고 가즈마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561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큰아버지인 미요시 나가요시의 양자가 되었다. 1563년 나가요시의 적자 미요시 요시오키가 요절하면서 미요시 가문의 후계자가 되었다.[4] 1564년 미요시 나가요시가 사망하자, 미요시 삼인방의 후견을 받으며 가독을 상속했다.
1564년 6월 22일, 요시쓰구는 미요시 나가야스와 마쓰나가 히사미치 등 4,000명을 거느리고 상락해,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알현하고 가독 상속을 허락받았다. 그해 7월 나가요시가 사망하자, 요시쓰구는 미요시 삼인방 (미요시 나가야스, 미요시 마사야스 (소이), 이와나리 도모미치)의 지지를 받고 미요시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삼인방은 미요시 가문을 이끌고 있었으나, 미요시 요시오키의 요절과 아타기 후유야스의 숙청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가독을 상속한 미요시 요시쓰구는 권력 기반이 약했다.
1565년 5월 19일, 미요시 요시쓰구는 삼인방, 마쓰나가 히사미치(마쓰나가 히사히데의 아들)과 함께 니조 성을 습격하여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살해했다. (에이로쿠의 변)[10] 이 사건은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주범인 것처럼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야마토 국에 있었고, 미요시 요시쓰구와 미요시 삼인방의 미요시 나가야스, 마쓰나가 히사미치가 군대를 지휘했다. 역사학자 아마노 다다유키는 미요시 요시쓰구를 "요시테루 살해 사건의 지휘자 중 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다.
요시테루 살해 직후, 요시시게에서 '''요시쓰구'''(義継)로 개명했다. 아마노 다다유키는 이 개명을 통해 미요시 요시쓰구가 아시카가 쇼군가가 필요 없는 정치 체제를 목표했다고 추론한다.
그러나 삼인방과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불화하게 되었고, 1565년 11월 16일 삼인방은 미요시 요시쓰구를 옹립하여 이모리야마 성에 침입, 미요시 요시쓰구의 봉행을 살해하고 다카야 성으로 요시쓰구를 옮겨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대립하게 하였다. 1567년 2월 16일 미요시 요시쓰구는 측근의 조언을 받아들여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손을 잡고 삼인방에게서 벗어났다.
미요시 요시쓰구는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함께 야마토 국에서 쓰쓰이 준케이와 손잡고 삼인방과 싸웠으며, 1567년 10월 10일 도다이지 대불전 전투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 측이 승리하는데 기여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상경하자,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손을 잡은 미요시 요시쓰구는 노부나가의 상경에 협력했다. 아마노 다다유키는 노부나가의 상경은 히사히데와 요시쓰구가 불러들인 결과이며, 이후 그들의 말로를 고려하면 이 판단이 잘못되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고 지적한다.[1]
요시쓰구는 히사히데와 함께 항복하여 가와치 반국과 와카에 성의 영유를 보장받았다. 1569년 1월, 삼인방이 요시아키를 습격하자, 노부나가 파와 함께 삼인방을 격퇴했다. (혼코쿠지의 변) 같은 해 3월에는 노부나가의 중매로 요시아키의 여동생과 결혼했다.
이후 한동안 노부나가의 가신으로서 삼인방 등 반 노부나가 세력과 싸웠지만, 1571년경부터 히사히데와 손잡고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들어, 노부나가 포위망의 일각에 참가했다. 1572년에는 오다 측의 하타케야마 아키타카와 호소카와 아키모토와 가와치·셋쓰 방면에서 싸워 승리했다.
그러나 1573년 4월, 다케다 신겐이 병사하면서 오다 군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매형인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되어 무로마치 막부는 멸망했다.[2]
1573년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비호했다는 이유로 오다 노부나가의 공격을 받았다. 와카에 성 전투에서 와카에 삼인방이라 불리는 중신들의 배신으로 성이 함락되자, 처자를 살해하고 자신도 할복하여 생을 마감했다.[1][2] 오타 우시카즈는 그의 최후를 '비교할 수 없는 활약, 애달픈(감동적인) 일이다'라고 칭찬했다.[2] 그의 죽음으로 미요시 가문은 사실상 멸망했다.
2. 1. 가독 상속
1549년 미요시 나가요시의 동생 소고 가즈마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561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큰아버지인 미요시 나가요시의 양자가 되었다. 1563년 나가요시의 적자 미요시 요시오키가 요절하면서 미요시 가문의 후계자가 되었다.[4] 1564년 미요시 나가요시가 사망하자, 미요시 삼인방의 후견을 받으며 가독을 상속했다.당시 나가요시의 후계자 후보로는 둘째 동생 아타기 후유야스의 아들 노부야스, 큰 동생 미요시 짓큐의 세 아들들이 있었다. 나가요시는 아들이 셋이 있는 짓큐가 아니라, 아들이 1명밖에 없는 가즈마사에게서 양자를 들였는데, 이는 구조 가와의 관계 때문으로 보인다. 구조 가는 아시카가 요시하루, 아시카가 요시테루 2대에 걸쳐 무로마치 막부 쇼군의 정실을 낸 고노에 가와 대립하였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 구조 다네미치가 가즈마사에게 딸(혹은 양녀)을 시집보냈다. 이러한 구조 가와 미요시 가문의 긴밀한 관계가 요시쓰구를 후계자로 올린 것으로 생각된다.
1564년 6월 22일, 요시쓰구는 미요시 나가야스와 마쓰나가 히사미치 등 4,000명을 거느리고 상락해,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알현하고 가독 상속을 허락받았다. 이후 나가요시가 중병에 들어 교토를 떠나 가와치 이모리야마 성으로 돌아왔다. 7월 나가요시가 사망하자, 요시쓰구는 미요시 삼인방(미요시 나가야스·미요시 마사야스 (소이)·이와나리 도모미치)의 지지를 받고 가독을 이어 명실상부한 미요시의 당주가 되었다.
2. 2. 미요시 삼인방, [[마쓰나가 히사히데]]와의 관계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삼인방은 미요시 가문을 이끌고 있었다. 그러나 미요시 요시오키의 요절과 아타기 후유야스의 숙청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가독을 상속한 미요시 요시쓰구는 권력 기반이 약했다.1565년 5월 19일, 미요시 요시쓰구는 삼인방, 마쓰나가 히사미치(마쓰나가 히사히데의 아들)과 함께 니조성을 습격하여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살해했다. (에이로쿠의 변)[10] 이 사건은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주범인 것처럼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야마토국에 있었고, 미요시 요시쓰구와 미요시 삼인방의 미요시 나가야스, 마쓰나가 히사미치가 군대를 지휘했다. 역사학자 아마노 다다유키는 미요시 요시쓰구를 "요시테루 살해 사건의 지휘자 중 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다.
요시테루 살해 직후, 요시시게에서 '''요시쓰구'''(義継)로 개명했다. 아마노 다다유키는 이 개명을 통해 미요시 요시쓰구가 아시카가 쇼군가가 필요 없는 정치 체제를 목표했다고 추론한다.
그러나 삼인방과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불화하게 되었고, 1565년 11월 16일 삼인방은 미요시 요시쓰구를 옹립하여 이모리야마 성에 침입, 미요시 요시쓰구의 봉행을 살해하고 다카야 성으로 요시쓰구를 옮겨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대립하게 하였다. 미요시 정권 수뇌부는 아시카가 요시히데를 다음 쇼군으로 높이는 한편 미요시 요시쓰구를 소홀히 했다. 1567년 2월 16일 미요시 요시쓰구는 측근의 조언을 받아들여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손을 잡고 삼인방에게서 벗어났다.
미요시 요시쓰구는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함께 야마토국에서 쓰쓰이 준케이와 손잡고 삼인방과 싸웠으며, 1567년 10월 10일 도다이지 대불전 전투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 측이 승리하는데 기여했다.
2. 3. [[오다 노부나가]]와의 대립
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상경하자,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손을 잡은 미요시 요시쓰구는 노부나가의 상경에 협력했다. 아마노 다다유키는 노부나가의 상경은 히사히데와 요시쓰구가 불러들인 결과이며, 이후 그들의 말로를 고려하면 이 판단이 잘못되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고 지적한다.[1]요시쓰구는 히사히데와 함께 항복하여 가와치 반국과 와카에성의 영유를 보장받았다. 1569년 1월, 아와에서 기나이에 상륙한 삼인방이 요시아키를 습격하자, 기나이의 노부나가 파와 함께 삼인방을 격퇴했다(혼코쿠지의 변). 같은 해 3월에는 노부나가의 중매로 요시아키의 여동생과 결혼했다.
이후 한동안 노부나가의 가신으로서 삼인방 등 기나이의 반 노부나가 세력과 싸웠지만(노다성·후쿠시마성 전투), 1571년경부터 히사히데와 손잡고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들어, 노부나가 포위망의 일각에 참가했다. 1572년에는 오다 측의 하타케야마 아키타카와 호소카와 아키모토(모두 노부나가의 매부)와 가와치·셋쓰 방면에서 싸워 승리했다.
그러나 1573년 4월, 노부나가 최대의 강적이었던 다케다 신겐이 병사하면서 오다 군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매형인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되어 무로마치 막부는 멸망했다.[2]
2. 4. 최후
1573년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비호했다는 이유로 오다 노부나가의 공격을 받았다. 와카에 성 전투에서 와카에 삼인방이라 불리는 중신들의 배신으로 성이 함락되자, 처자를 살해하고 자신도 할복하여 생을 마감했다.[1][2] 오타 우시카즈는 그의 최후를 '비교할 수 없는 활약, 애달픈(감동적인) 일이다'라고 칭찬했다.[2] 그의 죽음으로 미요시 가문은 사실상 멸망했다.3. 평가
이마타니 아키라는 미요시 요시쓰구가 "전대 쇼케이와는 전혀 닮지 않은 부족한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1] 또한, 기나이 사람들은 미요시 정권에 실망하여 "멸망의 서막이다"라고 소문냈다고 한다.[2]
반면 나카니시 히로키는 요시쓰구에 대한 현대인의 평가가 대부분 오류이며, 최근에는 재평가가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한다.[3]
스도 시게키는 요시쓰구를 "끝까지 장식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존재감을 보여줄 수 없었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4] 그러나 요시쓰구의 최후에 대해서는 "미요시 가문의 종언을 장식하는 마지막 당주로서, 또 무사로서, 훌륭한 최후였다"고 격찬했다.[4] 『신장공기』에서 요시쓰구의 마지막 전투 모습을 "비할 데 없다"라고 평가했는데, 이는 명장 바바 노부하루의 나가시노 전투에서의 전사와 동등한 평가이다.
아마노 타다유키는 요시쓰구가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장례식을 주도한 행동을 통해, 아시카가 막부에 의한 기존 질서를 해체하고 미요시 가문에 의한 새로운 시대를 열려고 했던 인물로 평가했다.[5] 그러나 현실에서 요시쓰구의 힘은 그 사상을 실현할 정도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5]
4. 기타
가가와현 이부키섬에는 요시쓰구의 아들들의 후손이라는 전승이 남아있다.[3] 그의 여동생은 와카에 삼인방 중 한 명인 다라오 쓰나토모와 결혼했다. 요시쓰구의 가신 중 일부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기도 했다. 상산기담에는 미요시 가문의 요리사가 오다 노부나가 밑에서 일하게 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요시쓰구의 장남 미요시 요시카네(三好義兼)와 차남 미요시 요시시게(三好義茂)는 이부키섬으로 도망쳐 그곳에서 후손을 남겼다는 계보가 전해진다.[3] 요시시게는 소가와 손포의 도움으로, 요시카네는 토지가와 전투에서 손포가 전사한 후 이부키섬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요시카네는 이부키섬 토착 호족과의 세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요시카네의 후손들은 이코마씨로부터 정소(政所)의 인가를 받고 대대로 사쿠에몬(作右衛門)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부키하치만 신사에는 요시카네 주종이 이부키섬에 도착하여 신궁에 서약을 바치는 모습을 그린 에마(絵馬)가 남아 있다.
요시쓰구의 셋째 아들로는 미요시 나가모토가 있다.
요시쓰구의 여동생은 다라오 쓰나토모의 아내였고, 그 아들 손구로(孫九郎)는 미요시 소이에게 양육되어 미요시 나가카츠라는 이름으로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다.[9] 나가카츠는 이시야마 홍난사 전투에서 공을 세워 노부나가로부터 감장 등을 받았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는 구로다 나가마사의 가신이 되었다. 오사카의 진에서는 구로다군의 선진을 맡았다. 나가카츠의 후손들은 히로시마 번에서 중직을 역임했다.
『상산기담』에는 미요시 가문의 요리사였던 츠보우치(坪内)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등용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츠보우치는 미요시 가문의 풍미를 변호하며, 미요시 가문이 5대에 걸쳐 쇼군가의 일을 맡아 일본의 정무를 처리했으므로, 그들이 좋아하는 것은 최고 수준의 음식이라고 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三好義継」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2-15
[2]
문서
阿州将裔記
[3]
문서
伊吹島三好氏系図
[4]
논문
信長上洛前夜の畿内情勢―九条稙通と三好一族の関係を中心に―
[5]
서적
戦国武将列伝8 畿内編 下
戎光祥出版
[6]
서적
織田信長家臣人名辞典 第2版
吉川弘文館
[7]
문서
伊勢貞助記・足利季世記・続応仁後記
[8]
문서
戰國遺文 三好氏編 第二巻
[9]
문서
広島藩士 三好家文書
[10]
문서
역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