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의원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시기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구성된 국회이다. 법률안과 예산안을 먼저 심의하고 국무총리 인준권을 가졌으며, 국무원 불신임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국무원과 상호 견제 관계를 유지하며, 신익희, 이기붕, 곽상훈 등이 의장을 역임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하원 - 어퍼캐나다 하원
어퍼캐나다 하원은 1792년부터 1840년까지 어퍼캐나다의 입법 기구였으며, 패밀리 콤팩트의 통치에 반발한 개혁 운동과 1837년 어퍼캐나다 반란을 거쳐 1840년 연합법에 의해 폐지되었다. - 대한민국 제5대 국회 - 참의원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에 따라 설치된 참의원은 양원제 국회의 상원에 해당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해산되어 짧은 존속 기간을 가졌으며, 민의원보다 임기가 길고 피선거권 연령이 높았고 대선거구제와 제한 연기명 투표 방식으로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 제5대 국회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는 4·19 혁명 후 내각책임제 헌법에 따라 양원합동회의에서 실시되었으며, 민주당 구파와 신파의 분열 속에서 윤보선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장면이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제2공화국이 출범했다. - 대한민국의 국회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국회 - 대한민국의 국회사무총장
대한민국의 국회사무총장은 국회의장의 감독하에 국회의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국회의장의 제청과 본회의의 승인을 거쳐 임명되어 국회 운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민의원 - [의회]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민의원 (民議院) |
| 로마자 표기 | Minuiwon |
| 약칭 (RR) | RR |
| 약칭 (MR) | MR |
| 한글 | 민의원 |
| 한자 | 民議院 |
| 의회 정보 | |
| 유형 | 하원 |
| 소속 의회 | 대한민국 국회 |
| 구성 | 단원제 |
| 의원 수 | 210명 (1952–1954) |
| 의원 수2 | 203명 (1954–1958) |
| 의원 수3 | 233명 (1958–1961) |
| 선거 제도 | 소선거구제 |
| 최근 선거 | 1960년 7월 29일 |
| 역사 | |
| 설립 | 1952년 7월 7일 |
| 해산 | 1961년 5월 16일 |
| 이전 선거 | 1954년 5월 20일 |
| 후신 | 대한민국 제6대 국회 |
| 위치 | |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민의원의사당 |
| 지도자 | |
| 의장 | 곽상훈 |
| 부의장 | 이영준, 서민호 |
2. 구성 및 권한
민의원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시기 대한민국 국회의 하원으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었다. 양원제 국회 체제에서 참의원과 함께 입법권을 행사했으나, 실질적으로는 민의원이 입법 및 국정 운영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민의원의 운영은 선출된 의장단이 담당했으며, 주요 권한을 통해 행정부를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권한에는 법률안과 예산안의 우선 심의권(선점권), 국무총리 인준권, 국무원(내각)에 대한 불신임권 등이 포함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국무원도 민의원에 대한 해산권을 가져 상호 견제 구조를 이루었다.
2. 1. 의장단
민의원의 의장단은 대한민국 국회의 운영을 책임지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의장단은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대한민국 국회법에 따라 민의원 의원들의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다.의장은 민의원을 대표하고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 진행을 원활하게 하고, 국회 내 질서를 유지하며 국회 사무 전반을 감독하는 권한을 가졌다. 부의장은 의장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의장이 부재하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직무를 대행했다.
역대 민의원 의장 및 부의장의 명단과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 역대 의장
wikitext| 의장 | 정당 | 취임 | 퇴임 | 국회 | |
|---|---|---|---|---|---|
![]() | 신익희 (경기 광주, 1892–1956) | 민주국민당 | 1948년 8월 4일 | 1954년 5월 30일 | 제2대 국회 |
![]() | 이기붕 (서울 서대문구 을 (1958년까지) 경기 이천 (1958년부터), 1896–1960) | 자유당 | 1954년 6월 9일 | 1960년 4월 28일 | 제3대 국회 |
| 제4대 국회 | |||||
![]() | 곽상훈 (경기 인천시 을, 1896–1980) | 민주당 | 1960년 5월 2일 | 1961년 5월 16일 | 제4대 국회 |
| 제5대 국회 |
2. 1. 2. 역대 부의장
wikitext| 부의장 | 정당 | 취임일 | 퇴임일 | 국회 | ||
|---|---|---|---|---|---|---|
| 윤치영 윤치영 (尹致暎) (공주군 갑, 충청남도) (1898–1996) | 자유당 | 1952년 7월 10일 | 1954년 5월 30일 | 제2대 민의원 | ||
![]() | 조봉암 조봉암 (曺奉岩) (인천시 을, 경기도) (1899–1959) | 자유당 | 1952년 7월 10일 | 1954년 5월 30일 | ||
| 최순주 최순주 (崔淳周) (영동군, 충청북도) (1902–1956) | 자유당 | 1954년 6월 9일 | 1954년 12월 2일 | 제3대 민의원 | ||
| 곽상훈 곽상훈 (郭尙勳) (인천시 갑, 경기도) (1896–1980) | 무소속 | 1954년 6월 9일 | 1956년 6월 8일 | |||
| 조경규 조경규 (趙瓊奎) (함안군, 경상남도) (1904–1983) | 자유당 | 1955년 3월 2일 | 1958년 5월 30일 | |||
| 황성수 황성수 (黃聖秀) (용산구 을, 서울특별시) (1917–1997) | 자유당 | 1956년 6월 9일 | 1956년 11월 27일 | |||
| 이재학 이재학 (李在鶴) (홍천군, 강원도) (1904–1973) | 자유당 | 1956년 12월 5일 | 1958년 5월 30일 | |||
| 한희석 한희석 (천안시, 충청남도) | 자유당 | 1958년 6월 7일 | 1959년 9월 2일 | 제4대 민의원 | ||
| 이재학 이재학 (李在鶴) (홍천군, 강원도) (1904–1973) | 자유당 | 1958년 6월 7일 | 1960년 5월 26일 | |||
![]() | 임철호 임철호 (任哲鎬) (부여군 을, 충청남도) (1905–1990) | 자유당 | 1959년 10월 4일 | 1960년 5월 26일 | ||
![]() | 김도연 김도연 (金度演) (서대문구 갑, 서울특별시) (1894–1967) | 민주당 | 1960년 6월 10일 | 1960년 7월 28일 | ||
| 이재형 이재형 (李載灐) (시흥군, 경기도) (1914–1992) | 자유당 | 1960년 6월 10일 | 1960년 7월 28일 | |||
| 이영준 이영준 (李榮俊) (동대문구 갑, 서울특별시) (1896–1968) | 민주당 | 1960년 8월 8일 | 1961년 5월 16일 | 제5대 민의원 | ||
| 나용균 나용균 (羅容均) (정읍군 갑, 전라북도) (1896–1984) | 민주당 | 1960년 8월 8일 | 1961년 5월 16일 |
2. 2. 주요 권한
- 법률안과 예산안을 먼저 심의하고 의결할 권한을 가졌다.
- 국무총리의 인준권을 행사했다.
- 국무원(내각)에 대해 연대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었다.
- 국무원(내각)에 대한 불신임권을 가졌으며, 이에 대응하여 국무원은 민의원을 해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3. 역사
죄송합니다. 이전 요청에서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민의원'의 '역사'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대상 결과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먼저 '민의원'의 '역사' 섹션 내용을 작성하기 위한 원본 소스(`source`)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 그 이후에 생성된 결과물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을 요청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