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얀 후투그 카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얀 후투그 카툰은 원나라 순제의 황후로, 콩기라트 부족 출신이며 육덕왕 베이르 테무르의 딸이다. 1337년, 다나슈리 황후가 폐위된 후 황후로 책봉되었으며, 혜종은 기황후를 총애했지만 바얀의 반대로 바얀 후투그를 황후로 맞이했다. 바얀 후투그는 검소하고 질투심이 없는 성품으로, 혜종의 존경을 받았으나 기황후와의 관계에서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1365년 사망했으며, 드라마 《기황후》에서 임주은이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24년 출생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는 류리크 왕조 출신으로 수즈달과 니즈니노브고로드의 공작을 지내며 모스크바 대공국과 블라디미르 대공 자리를 놓고 경쟁했고, 타타르족과의 관계를 통해 영지를 유지하려 했다.
  • 1324년 출생 - 데이비드 2세
    데이비드 2세는 로버트 1세의 뒤를 이어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와의 갈등과 프랑스 망명, 포로 생활을 겪은 후 잉글랜드와 평화를 추구하다 자녀 없이 사망하여 브루스 가문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 1365년 사망 - 노국대장공주
    노국대장공주는 쿠빌라이 칸의 증손녀로 원나라 공주였으나 공민왕과 정략결혼 후 고려에 와서 공민왕의 반원 정책을 지지하며 헌신적으로 내조했으나 난산으로 사망하여 공민왕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고 사후 대장공주로 추증되었으며 현재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 1365년 사망 - 아카하시 나리코
    아카하시 나리코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부인이자 호조 씨 출신으로, 아시카가 요시아키라와 아시카가 모토우지를 낳았으며, 다카우지가 무로마치 막부를 수립한 후 미다이도코로로서 종2위에 서임된 정치적 수완과 모성애를 겸비한 인물이다.
  • 기황후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 기황후 - 기황후 (드라마)
    《기황후》는 고려 여인이 원나라 황후가 되는 과정을 그린 2013년 드라마로, 권력 투쟁, 사랑, 복수를 다루며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바얀 후투그 카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바얀 쿠투크
원어 표기; 바얀 후타그
한자 표기伯顏忽都 (백안홀도)
로마자 표기Bayan Khutugh
신분
칭호몽골 제국 카툰 (대원 정궁황후)
재위 기간1337년 - 1365년
선임자다나슈리
후임자솔롱고 올제이 쿠투크 카툰
생애
출생1324년
사망1365년
가족
씨족옹기라트
아버지보로트 테무르
배우자토곤 테무르
자녀친킴, 설산

2. 생애

바얀 후투그는 옹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원 무종의 황후였던 선자혜성황후 첸게의 질녀이자 계비 수케시리의 당질녀 혹은 재종질녀였다. 1335년 원 혜종의 정궁황후 다나슈리가 폐출, 사사된 후, 1337년 황후로 책봉되었다. 혜종은 기황후를 황후로 세우고 싶어 했으나, 승상 메르키트 바얀원 문종의 황후 부다시리 카툰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바얀 후투그는 혜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친킴과 설산을 낳았다. 친킴은 2세에 요절했고, 설산은 1364년 장군 불루테무르의 정변으로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1365년 불루테무르가 암살당하며 폐위되었다. 바얀 후투그는 1365년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는 검소하고 질투심이 적었으며 예법을 중시하는 성품이었다. 혜종이 샹두로 행차할 때 그녀에게 사람을 보냈으나 "밤이 늦었으니 폐하께서 행차하실 때가 아닙니다"라며 거절한 일화가 있다.[8] 또한 황궁 재산을 관리하라는 제안에도 자신이 감당하기 어렵다며 사양하였다. 기황후는 바얀 후투그가 남긴 검소한 의상을 보고 비웃었으나, 황태자 아유르시리다르는 그녀의 죽음을 슬퍼했다고 한다.[8]

2. 1. 가계와 혼인

바얀 후투그는 옹기라트(콩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육덕왕 베이르 테무르의 딸이었다. 무종의 황후였던 선자혜성황후 첸게의 질녀이자 계비인 수케시리의 당질녀 혹은 재종질녀였다.[8] 칭기즈 칸의 정비 보르테 카툰의 친정아버지 데이 세첸의 직계 후손이다.

관계이름
아버지육덕왕 베이르 테무르
고모첸게 (무종의 황후)
남편혜종
아들진금 황자
아들설산 황자



1335년 혜종 토곤 테무르의 정궁 황후였던 다나슈리가 형제들의 모반 사건으로 폐출, 사사된 후,[3] 1337년 3월에 황후로 책봉되었다.[8] 혜종은 총애하는 후비 기씨를 황후로 세우고 싶어 했으나, 조정의 실권자인 승상 바얀이 이를 반대하였다.[8] 원 문종의 황후 부다시리 카툰이 바얀 후투그를 지지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바얀 후투그는 혜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친킴을 낳았지만 2세에 요절했고,[8] 이후 아들 설산을 낳았다. 1364년 장군 불루테무르가 정변을 일으켜 아유르시리다르를 황태자에서 폐위하고 설산을 황태자로 세웠으나, 1365년 초 불루테무르는 암살당했다.

2. 2. 황후 시절

1335년(원통 3년), 혜종 토곤 테무르의 정궁황후(正宮皇后)였던 다나슈리 황후가 형제들의 모반 사건으로 폐출, 사사된 후 1337년(지원 3년) 3월에 황후(皇后) 책보(冊寶)를 받았다.[8] 애당초 혜종은 총애하는 후비 기씨(기황후)에게 황후 자리를 주고 싶어 했으나, 조정의 실권자인 승상 바얀이 기씨의 황후 책봉을 반대하였다.[8] 원 문종의 황후 부다시리 카툰이 바얀 후투그를 지지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혜종은 정궁 황후 자리를 옹기라트 부족 출신의 바얀 후투그에게 줄 수 밖에 없었다.[8]

바얀 후투그는 성품이 어질고 질투심이 적어 황후가 된 후에도 앞에 나서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그는 검소하고 시기하는 것을 기피했으며 예법을 중시했다. 혜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친킴(眞金) 황자를 낳았지만 2세로 요절했고,[8] 이후 원 혜종은 그의 처소에 출입하지 않고 기황후의 처소를 자주 찾았으며, 아들 아유르시리다르는 기황후에게서 보았다.

바얀 후투그는 다시 아들 설산(雪山)을 낳았다. 1364년 장군 불루테무르(孛羅帖木兒, ᠪᠤᠯᠤᠲᠡᠮᠦᠷ)가 정변을 일으켜 아유르시리다르를 황태자에서 폐위하고 그녀의 둘째 아들 설산을 황태자로 세웠다. 그러나 1365년 초 불루테무르는 암살당했다. 바얀 후투그 본인은 1365년(지정 2년) 9월 7일에 4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바얀 후투그 카툰은 수수하고 검소한 생활 방식으로 알려졌으며, 토곤 테무르가 그녀에게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은둔적인 삶을 선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샹두로 가는 길, 대도(베이징) 북쪽에 위치한 곳에서 토곤 테무르는 황후를 방문하고 싶어했다. 그는 환관을 사자로 보내 이 소망을 전했다. 엄격한 황후는 "저녁은 전하께서 왔다 갔다 하실 시간이 아닙니다."라고 답했다. 환관은 그의 주군에게 돌아가 황후의 말을 전했다. 토곤 테무르는 그를 두 번 더 보냈지만, 매번 거절당했다. 이 일로 황제는 바얀 후투그의 덕을 더욱 높이 평가하게 되었다.[4]

어느 시점에서 황후는 아들을 낳았다. 이는 토곤 테무르가 가장 총애하는 후궁인 기 씨(Lady Ki)가 이미 원하던 후계자 아유르시리다르(Biligtü Khan Ayushiridara)를 낳았기 때문에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황후의 아들은 두 살도 안 되어 죽었고, 이로 인해 기 씨의 미래와 그녀의 아들의 계승이 확정되었다.[5]

2. 3. 성격 및 일화

바얀 후투그는 성품이 어질고 질투심이 적었으며, 검소하고 예법을 중시했다. 황후가 된 후에도 앞에 나서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4]

하루는 황후가 혜종의 순시를 따라 샹두로 가는 길에 혜종이 환관을 시켜 황후에게 행차할 뜻을 전했는데, 황후는 "밤이 깊었으니 지존(至尊)께서 왕래(往来)할 시간이 아닙니다."라고 답하며 거절하였다. 환관이 여러 차례 뜻을 전했으나 황후는 끝내 거절하였고, 혜종은 이후로 그녀를 더욱 존중했다고 한다.[4]

또 하루는 혜종이 "중정원에서 관리하는 재산을 모두 그대에게 줄 뜻이 있는데, 그대는 이번에도 거절할 것인가?"라고 묻자, 황후는 "첩(妾, 본인)이 쓸 일이 있으면 쓰겠습니다.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관리할 때, 필시 제가 사람을 뽑아야 하는데 첩이 어찌 그 일을 잘 해낼 수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기황후는 바얀 후투그가 남긴 검소한 의상을 보고 "정궁 황후(바얀 후투그)는 왜 이런 옷을 입고 있었는지"라며 쌀쌀맞은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7]

3. 가계


  • 아버지 : 육덕왕 베이르 테무르
  • 고모 : 첸게 - 무종의 황후
  • 남편 : 혜종
  • 아들 : 진금 황자
  • 아들 : 설산 황자

4. 기타

2013년 MBC TV 드라마 《기황후》에서 임주은이 바얀 후투그를 연기했다.

4. 1. 미디어에서의 등장

伯顏忽都|바얀 후투그중국어2013년 MBC TV 드라마 《기황후》에서 임주은이 연기했다. 드라마에서 그녀는 냉혹하고 교활한 인물로 묘사된다. 또한 메르키드의 바얀의 조카이자 바얀의 조카인 토크토아의 누이로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3]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1644 Routledge
[6]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8] 서적 新元史
[9] 서적 元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