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테 카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르테 카툰은 몽골 제국의 시조 칭기즈 칸의 정실 부인이다. 1161년경 콩기라트 부족에서 태어났으며, 테무진(칭기즈 칸)과 정략 결혼을 통해 몽골 제국 건국에 기여했다. 메르키트족에게 납치되었다가 구출된 후에도 칭기즈 칸의 존경을 받았으며, 차가타이, 우구데이, 툴루이 등 네 아들과 다섯 딸을 낳았다. 몽골 제국이 건국된 후 대황후로 존경받았으며, 칭기즈 칸 사후 1230년에 사망했다. 그녀는 몽골인들에게 존경받는 어머니이자, 칭기즈 칸의 조언자로서 몽골 제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36년 사망 - 대집성
최충헌에 의해 등용되어 최우의 측근으로 권세를 누린 대집성은 최우의 후처가 된 딸 덕분에 외척으로서의 지위를 얻었으나, 최우 사후 최항과의 권력 다툼으로 딸과 일족이 탄압받고 유배되는 비극을 맞이한 고려시대 무신이다. - 1236년 사망 - 사바 1세 네마니치
사바 1세 네마니치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초대 대주교로서 세르비아 정교회의 독립을 이끌고 교회 조직을 정비했으며, 세르비아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1161년 출생 - 다카쿠라 천황
다카쿠라 천황은 일본의 제80대 천황으로, 고시라카와 상황의 인세이와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영향력 아래 재위하다 안토쿠 천황에게 양위한 후 2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161년 출생 - 로노온카타
로노온카타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첩인 토키와고젠에게서 태어난 '천하제일의 미녀'로 칭송받던 인물로, 후지와라노 카네마사의 첩이 되어 와곤 연주와 서예에 능통했으나, 헤이케 멸망 후 겐지의 포로가 되었고 역사적 존재 여부에 논란이 있다. - 칭기즈 칸의 아내 - 예수이 카툰
예수이 카툰은 몽골 제국의 칭기즈 칸의 카툰(황후) 중 한 명이며,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 칭기즈 칸의 아내 - 쿨란 카툰
쿨란 카툰은 칭기즈 칸의 황후로, 메르키드 부족 출신이며 칭기즈 칸의 총애를 받아 호라즘 제국 원정에 동행했고, 켄티 산맥을 영토로 받았으며 칭기즈 칸과 함께 원정 중 사망했다.
보르테 카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몽골 제국 후비 |
다른 이름 | 광헌익성황후 (光獻翼聖皇后) |
씨족 | 옹기라트 |
생애 | |
출생 | 1161년경 |
사망 | 1230년경 |
매장지 | 부르칸 할둔, 헨티 주, 몽골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칭기스 칸 |
자녀 | 조치 차카타이 오고데이 툴루이 코첸 베키 알라카이 베키 투멜룬 알탈룬 체체이켄 |
아버지 | 데이 세첸 |
어머니 | 초탄 |
통치 정보 | |
재위 | 1189년–1230년 |
선임 | (신설) |
후임 | 토레게네 |
종교 | |
종교 | 텡그리 신앙 |
칭호 (몽골어) | |
몽골어 (로마자 표기) | Börte Üjin |
2. 생애
보르테는 셔츠에 보석을 소지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칭기즈 칸의 종증조부 안바가이 칸이 남긴 유품으로 칭기즈 칸이 그녀에게 준 것이었다.[2]
원사에는 보르테가 매우 덕이 있는 인물이라 한다. 몽골비사에는 위엄 있고 의롭고 지적이고 덕이 있는 여성이며, 징기스칸을 도와 몽골 제국의 기초를 세우는 것을 도운 아름답고 재능있는 여성이라 한다.[2]
카불 칸 이래 몽골 부족의 인척으로 알려진 콩기라트 (옹기라트, 훙기라트) 부족의 한 씨족 수장 데이 세첸의 딸로, 『원조비사』에서는 칭기스칸보다 1살 연상이었다고 한다. 『원사』 「특설선(데이 세첸)전」에 따르면, 아버지 데이 세첸의 성은 보스카울(孛速忽) 씨였으며, 콩기라트의 본가에서 분기된 일족으로 보인다. 『집사』 「콩기라트 부족지」에 따르면, 콩기라트 부족은 몽골 부족에서 키야트 씨족을 비롯한 니룬 부족 집단에 예속된 돌루르킨 부족 집단을 대표하는 부족이다. 전승에 따르면 콩기라트 부족은 "황금의 단지(Altan Quduq)"에서 파생된 3명의 시조를 기원으로 하지만, 데이 세첸의 일족은 이 콩기라트 부족 본가가 되는 삼시조의 장 주르크 메르겐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고원 북부의 유력 부족 메르키트의 수장 토크토아 베키가 산하 우아스, 카아트 각 씨족의 수장들과 군대를 이끌고 테무진(후의 칭기스칸)의 막영을 습격했고, 보르테는 도망치지 못하고 메르키트에 억류되었다. 『집사』 조치 칸기에 따르면, 보르테가 메르키트의 수중에 연행되었을 때, 이미 그녀는 임신한 상태였다고 한다. 케레이트의 옹 칸이 메르키트 측과 교섭하여 보르테를 되찾았고, 옹 칸은 테무진을 자신의 "아들"이라고 칭하며 존중했기 때문에, 그녀를 정중하게 보호하여 테무진에게 돌려보냈다. 그 여정 중에 보르테는 갑자기 산기가 들어 남자아이를 출산했다. 그래서 이 남자아이는 여정 중에 태어났기 때문에 "조치"라고 이름 붙여졌다.
『원조비사』에 따르면, 테무진이 자다란 씨족의 자무카와 동맹했을 때, 그들 일통과 테무진 일문이 같은 숙영지에 머물려고 하자, 보르테는 테무진에게 자무카의 발언에 그의 변심과 배반을 읽고, 자무카를 위험시하여 그를 피하도록 설득했고, 테무진 일문은 숙영지를 철수했다고 한다.
그 후, 주치의 세 동생 차가타이, 우구데이, 툴루이와 5명의 여자아이를 낳았고, 남자아이들은 칭기스칸의 후계자 후보로서 그 정복 사업을 돕고 활약했으며, 여자아이들은 모두 칭기스칸과 동맹한 유력한 부족의 수장에게 시집을 갔다.
칭기스칸이 세력을 확대하자, 여러 부족에서 맞이한 수십 명의 여성이 후비가 되었지만, 보르테는 정실 부인, 제1 후비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존중받았다. 칭기스칸의 후계자 후보로 인정받은 것은 보르테가 낳은 4명의 남자아이뿐이었다. 칭기스칸이 고원을 통일하고 몽골 제국을 세우자, 칭기스칸 직할의 궁전인 4대 오르도 중 제1 오르도(별명 대 오르도)의 관리권을 위임받아, 대 오르도에 부속된 영민을 다스리고 칭기스칸의 활발한 원정 동안 그 자리를 지켰다. 그녀는 칭기스칸의 본영인 대 오르도 Yeke Ordo의 수장으로서 『원사』에 따르면, 자신을 포함해 7명의 황후(하툰)와 1명의 비(에메)를 다스렸다.
2. 1. 초기 생애와 결혼
보르테는 년 곤기라트족의 올크누트 씨족장 데이세첸(特薛禪, 德薛禪)과 수탄(搠坛)의 딸로 태어났다. 테무진이 태어난 보르지긴 부족과는 우호적인 관계였다. 보르테의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고, 부모의 이름과 다라이타이라는 이름의 숙부가 있었다는 사실만 전해진다. 다라이타이는 칭기즈 칸의 숙부이자 예수게이의 넷째 동생인 다라이타이와는 동명이인이다.몽골비사에 따르면, 예수게이는 아들 테무진의 며느리를 옹기라트부족 올크누트 씨족에서 찾으려다 옹기라트부의 또 다른 씨족인 보스쿠르 씨 집안의 데이 세첸을 만났다. 카마그 몽골의 족장 예수게이는 곤기라트족 올크누트 부족장 데이세첸을 찾아가 아들과 데이세첸의 딸 보르테 간의 약혼을 성사시켰으나, 돌아오는 길에 타타르족에게 독살되었다.[2]
예수게이 독살 이후 카마그 몽골은 해체되었고, 키야트 가문 내에서도 예수게이가 타이치우드 가문과 연대하려 한 것을 미워한 이들에 의해 테무진과 그 가족들은 버림받고 유랑생활을 했다. 칭기스 칸은 성년이 되어 옹 칸 등의 도움으로 세력을 회복한 후, 데이세첸을 찾아가 아버지 예수게이가 정혼해준 보르테를 되찾았다. 데이 세첸은 테무진을 환대했고, 보르테 역시 그때까지 결혼하지 않고 테무진을 기다렸다. 몽골비사는 칭기즈 칸의 가장 어려운 시기, 결코 포기하지 않고 칭기즈 칸과 결혼하고 그를 따랐다고 평하였다.
1178년, 테무친은 보르테와 재회하기 위해 떠났다. 이전과 같은 마을에서 그녀를 찾은 후 결혼했고, 둘은 귈렐구 산맥의 센구르 강가에 새 집을 마련했다.
2. 2. 메르키트족 납치와 구출
몽골비사에 따르면 메르키트족은 테무진의 아버지 예수게이가 그들에게 빼앗은 여자인 호엘룬을 아내로 삼았기 때문에 테무진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2] 이러한 이유로 메르키트족은 테무진의 아내인 보르테를 납치했다.테무진은 아내의 납치에 괴로워하며 자신의 침대가 "텅 비었다"고 말했고, 가슴이 "찢어졌다"고 말했다.[2]
테무진이 보르테를 되찾아온 과정에 관해 《집사》와 《몽골비사》 설명이 엇갈린다. 《몽골비사》에는 테무진이 케레이트 부의 옹 칸, 자다란 부의 자무카와 연합하여 메르키트 부를 공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집사》에는 메르키트 부가 옹 칸에게 보르테를 위탁했고, 옹 칸이 그녀를 다시 테무진에게 돌려줬다고 기록되어 있다.
보르테를 구출한 이후 메르키트족에게 겁탈당한 일이 있었으나 칭기즈 칸은 그녀를 정실 부인으로 대하고 존중하였다. 그녀는 메르키트족에 납치되었을 때 칠레두 동생인 칠게르에게 강간당해 주치를 가졌다고 의심받는다.[2]
8개월 후, 테무진과 옹칸은 바르쿠진 영토로 돌격했고, 도착하자 메르키트족은 셀렝가 강으로 도망쳤다. 보르테와 테무진은 마침내 재회했다.[2]
ᠨᠢᠭᠤᠴᠠ ᠲᠣᠪᠴᠢᠶᠠᠨ|니구차 톱치얀|비밀스러운 역사mn에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 약탈과 약탈이 계속되는 동안 테무진은 급히 도망치는 사람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보르테, 보르테!'라고 외쳤다. 그리하여 그는 그녀를 만났으니, 보르테 부인이 도망치는 사람들 속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테무진의 목소리를 듣고 알아차리고 수레에서 내려 그에게 달려갔다. 아직 밤이었지만 보르테 부인과 코아친은 모두 테무진의 고삐와 굴레를 알아보고 잡았다. 달빛이 비추었고, 그는 그들을 바라보며 보르테 부인을 알아보고 서로의 품에 안겼다.
나중에 칸이 된 테무진은 메르키트족을 몰살시키고 그들의 여성들을 노예로 만들었다.[2]
2. 3. 몽골 제국 건국과 보르테의 역할
몽골 제국의 시조 칭기즈 칸의 정실 부인인 보르테는 몽골 제국의 건국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몽골비사에 따르면, 보르테는 위엄 있고, 의롭고, 지적이며, 덕이 있는 여성이었고, 칭기즈 칸을 도와 몽골 제국의 기초를 세우는 것을 도운 아름답고 재능있는 여성이었다고 한다.보르테는 콩기라트족 출신으로, 아버지 데이 세첸과 칭기즈 칸의 아버지 예수게이 사이의 약속으로 칭기즈 칸과 정혼하였다. 칭기즈 칸이 성년이 되어 세력을 회복한 후, 데이 세첸을 찾아가 보르테와 혼인하였다. 몽골비사는 칭기즈 칸의 가장 어려운 시기, 결코 포기하지 않고 칭기즈 칸과 결혼하고, 그를 따랐다고 평하였다.
그러나 메르키트족이 보르테를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칭기즈 칸이 옹 칸, 자무카와 연합하여 메르키트족을 공격하는 계기가 되었고, 보르테는 구출되었다. 보르테를 구출한 이후 메르키트족에게 겁탈당한 일이 있었으나, 칭기즈 칸은 그녀를 정실 부인으로 대하고 존중하였다. 징기스 칸은 아내를 매우 소중하게 여기며 종종 그녀의 조언을 구했다 한다.
보르테는 칭기즈 칸과의 사이에서 주치, 차가타이, 우구데이, 툴루이 등 네 아들과 다섯 딸을 낳았다. 이들은 몽골 제국의 확장과 통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보르테는 남편의 정치적 결정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칭기즈 칸은 보르테의 조언을 존중했으며, 그녀의 의견에 따라 군사 지도자 자무카와의 관계를 끊기도 했다. 또한 샤먼 테브 텡게리가 막내 동생 테무게 오치긴을 모욕한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것을 주장하여, 칭기즈 칸이 그대로 따랐다.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한 후, 보르테는 대황후로서 제1 오르도의 관리권을 위임받아 제국 경영의 한 축을 담당했다. 칭기즈 칸의 원정 동안 몽골 본토를 통치하며 제국의 안정을 유지했다. 케룰렌 강 유역의 광대한 영지를 다스렸으며, 여러 고아들을 입양하여 키우는 등 어머니로서의 역할도 훌륭히 수행했다.
보르테는 칭기즈 칸의 아내로서, 몽골 제국의 건국 동반자로서, 그리고 정치가로서 몽골 제국의 역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3. 가족 관계
이름 | 배우자 | 비고 |
---|---|---|
주치 | 장남 | |
차가타이 | 차남 | |
우구데이 | 삼남 | |
툴루이 | 사남 | |
코아진 베키 | 부투 큐레겐 | 콩기라트부 이키레스 씨족의 수장 |
체체겐 | 토렐치 | 오이라트 부마가의 수장 쿠드카 베키의 아들 |
아라가이 베키 | 보요카 | 옹구트 부마 왕가의 수장 아라크시 디기토 크리의 손자 |
토마룬 | 치구 큐레겐 | 오르크누우트 씨족, 알치 노얀의 장남 |
알타룬 | 타이추 큐레겐 | 오랄 큐레겐의 아들 |
보르테와 테무진(칭기즈 칸)은 자녀들에게 큰 신뢰를 주었으며, 상당한 부와 상속받을 지위를 제공했다.[1] 후계자 문제로 가족 간의 갈등이 있었는데, 보르테가 납치되었을 때 강간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어 주치의 아버지가 그녀를 납치한 사람 중 한 명일 수 있다는 의혹 때문이었다.[1] 주치의 형제 차가타이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종종 주치를 비난했고, 이로 인해 두 형제 사이에 다툼이 일어났다.[1] 테무진은 이 비난을 부인하며, 주치를 자신의 아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1] 이러한 내분으로 인해 칭기즈 칸은 주치도 차가타이도 아닌 오고타이를 통치자로 선택했다.[1] 오고타이와 툴루이는 부모의 유산을 물려받았고, 그들의 자녀들은 이후 여러 대에 걸쳐 칸으로 통치를 계속했다.[1] 주치와 차가타이 모두 영토 분할의 통치자가 되었지만, 제국 전체를 통치하지는 않았다.[1] 예를 들어 주치의 후손들은 서쪽에서 킵차크 칸국을 세우고 통치했다.[1]
4. 평가 및 유산
몽골비사는 칭기즈 칸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도 굴하지 않고 그와 결혼하여 그를 따랐다고 평가했다.[3] 메르키트족에게 납치되어 겁탈당한 일이 있었으나, 칭기즈 칸은 보르테를 정실 부인으로 존중하였다. 징기스 칸은 아내를 매우 소중하게 여기며 종종 그녀의 조언을 구했다.
원사는 보르테를 매우 덕이 있는 인물이라 평가한다. 몽골비사는 위엄 있고 의롭고 지적이고 덕이 있는 여성이며, 징기스칸을 도와 몽골 제국의 기초를 세우는 것을 도운 아름답고 재능있는 여성이라 묘사한다. 보르테는 남편이 사망한 후인 1230년에 사망했다.[3] 보르테는 평생 동안 몽골인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며, 제국 전체의 존경받는 어머니였다. 이는 친자녀와 입양 자녀 모두와의 관계를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딸들을 위한 정략 결혼을 통해 외교 관계를 굳건히 했다.[3] 옹기아르드족은 대대로 정략 결혼을 통해 우호적인 관계를 보장했으며, 딸들은 "중재자" 역할을 했다. 보르테는 남편의 조언자이자 딸들의 교육자로서, 그들이 "대표자, 외교관, 그리고 국가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으로서의 사명을 믿도록 양성했다.[3]
징기스칸의 삶에서 보르테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에, 그녀는 남편의 삶과 정복을 바탕으로 한 많은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중요한 인물로 등장했다. 영화 ''정복자''에서 수잔 헤이워드가, 영화 ''징기스칸''에서 프랑수아즈 도를레악이, 2007년 오스카 후보에 오른 러시아 영화 ''몽골''에서 추루니 훌란이 보르테를 연기했다.[4] 아이언 메이든의 비디오 게임 ''Iron Maiden: Legacy of the Beast''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하기도 했다.[5]
5. 콩기라트 부족 데이 세첸 가문
콩기라트족의 올크누트 씨족장 데이 세첸(特薛禪, 德薛禪)과 수탄(搠坛)의 딸로, 보르테의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아버지 데이 세첸의 성은 보스카울(孛速忽) 씨였으며, 콩기라트의 본가에서 분기된 일족으로 보인다. 카불 칸 이래 몽골 부족의 인척으로 알려진 콩기라트 (옹기라트, 훙기라트) 부족의 한 씨족 수장이었다.
몽골비사에 의하면 예수게이는 아들 테무진에게 어머니의 씨족인 옹기라트부족 올크누트 씨족의 딸 중에서 며느리를 점지해 주러 가다가, 옹기라트부의 또다른 씨족인 보스쿠르 씨 집안인 데이 세첸을 만났다 한다. 카마그 몽골의 족장 예수게이는 곤기라트족 올크누트 부족장 데이세첸을 찾아가, 자신의 아들과 데이세첸의 딸 보르테 간의 약혼을 성사시키고 돌아가던 길에 타타르족에게 독살되었다.[2]
데이 세첸은 테무진을 환대했고, 보르테 역시 그때까지 개가하지 않고 테무진을 기다렸다. 몽골비사는 칭기즈 칸의 가장 어려운 시기, 결코 포기하지 않고 칭기즈 칸과 결혼하고, 그를 따랐다고 평하였다.
전승에 따르면 콩기라트 부족은 "황금의 단지(Altan Quduq)"에서 파생된 3명의 시조를 기원으로 하지만, 데이 세첸의 일족은 이 콩기라트 부족 본가가 되는 삼시조의 장 주르크 메르겐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https://books.google[...]
M.E. Sharpe
[2]
웹사이트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 Mongolian Epic Chronicle of the Thirteenth Century
https://cedar.wwu.ed[...]
2015-12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ongol world empire
http://worldcat.org/[...]
Rowman & Littlefield
2018
[4]
간행물
Mongol: The Rise of Genghis Khan
http://www.imdb.com/[...]
2007-09-20
[5]
웹사이트
Iron Maiden Twitter
https://twitter.com/[...]
2023-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