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FT LCD)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사용하여 각 화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한 종류이다. 1960년대에 개발되어, 1990년대부터 한국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하여 고해상도 및 고품질 전자 시각 디스플레이의 주류 기술로 자리 잡았다. TFT LCD는 유리 기판, 컬러 필터, 드라이버 IC, 백라이트 유닛(BLU), 액정, 편광판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TN, IPS, MVA, PVA, AFFS, PLS, OCB 등 다양한 종류의 패널 방식이 존재한다. TFT LCD는 현재 OLED, 전자 종이 등과 경쟁하며, 아몰퍼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을 반도체 조성으로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삼성, LG디스플레이 등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며, VGA,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 등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액정은 독성 및 생태 독성 테스트를 거치며, CCFL 백라이트는 수은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
|---|
2. 역사
RCA의 존 월마크는 1957년에 박막 MOSFET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3] 1962년, RCA 소속의 폴 K. 바이머는 월마크의 아이디어를 구현하여 셀렌화 카드뮴과 황화 카드뮴 박막으로 만들어진 TFT를 개발했다.[3]
1968년, RCA 연구소의 버나드 레크너는 TFT 기반 액정 디스플레이 (LCD) 아이디어를 구상했다. 1973년, 웨스팅하우스 연구소의 T. 피터 브로디 등은 셀렌화 카드뮴(CdSe) TFT를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최초의 CdSe TFT LCD를 시연했다.[4][5] 1974년, 브로디와 팡첸 루오는 CdSe TFT를 사용하여 최초의 평판 능동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AM LCD)를 시연했으며,[3] 브로디는 1975년에 "능동형 매트릭스"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
3. 구조
TFT-LCD는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배치한다. 각 화소마다 트랜지스터가 있어, 전압을 조절하여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는 영상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여 전압이 다른 화소에 간섭받지 않고 하나의 화소에 적용될 수 있지만, 고화소 대형 디스플레이에서는 모든 화소의 세 가지 색(빨강, 녹색, 파랑)에 각각 위, 아래로 연결하는 많은 수의 커넥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현실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로와 세로로 주소화하여 커넥터 수를 줄인다. 각 화소는 위, 아래로 투명한 ITO 레이어와 그 사이에 절연 액정이 있어 하나의 작은 축전기를 가지고 있다.
회로 설계는 DRAM 컴퓨터 메모리의 레이아웃과 매우 비슷하지만, 실리콘 웨이퍼 대신 유리 기판 위에 모든 구조가 제조된다. TFT-LCD에서 실리콘 계층은 실란 가스로부터 아모퍼스나 폴리 실리콘 계층 생성으로 증착된다.[11]
3. 1. 핵심 부품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제조에는 다음과 같은 핵심 부품이 사용된다.
4. 종류
왼쪽은 인가 전압이 없는 상태
오른쪽은 인가 전압이 있는 상태
(액정층 전체를 엷은 황색으로 나타냈지만, 이 부분은 액정 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액으로 채워져 있다[34]。타원은 액정 분자를 옆에서 본 모습이며, 둥근 원은 액정 분자를 장축 방향에서 본 모습이다。)||180px||right]]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패널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있다.
- '''TN (Twisted Nematic)'''
TN 방식은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응답 속도가 빨라 소비자 시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시야각이 좁고 색 재현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 '''IPS (In-Plane Switching)'''
IPS 방식은 넓은 시야각과 우수한 색 재현성을 제공하지만, 초기에는 응답 속도가 느리고 명암비가 낮았다. 이후 기술 개발을 통해 이러한 단점들이 개선되었다.
- '''MV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VA 방식은 빠른 응답 속도, 넓은 시야각, 높은 명암비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TN과 IPS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다양한 파생 기술이 개발되었다.
- '''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방식은 삼성이 개발한 기술로, MVA와 유사하지만 더 높은 명암비를 제공한다.
- '''기타 방식'''
샤프의 CPA(Continuous Pinwheel Alignment), ASV(Advanced Super View), 삼성의 슈퍼 PLS(Super PLS),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등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4. 1. TN (Twisted Nematic)
TN(Twisted Nematic영어)은 두 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네마틱 액정을 90도 틀어서 배열한 액정 셀이다. 구동 전압이 낮고 소비 전력이 적으며, 100 이상의 높은 콘트라스트비와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어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에 사용된다.[50] 낮은 생산 비용과 광범위한 개발 덕분에 가장 일반적인 소비자 디스플레이 형태이다.TN 디스플레이는 시야각이 좁고(특히 수직 방향), 현대 그래픽 카드에서 지원하는 1670만 색(24 비트 트루 컬러)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일부 TN 패널은 컬러 채널당 8비트 대신 6비트를 사용하고, 표현할 수 없는 색상은 디더링이나 프레임 속도 제어(FRC) 같은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24비트 색상에 가깝게 표현한다. 이러한 색상 시뮬레이션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이지만, 일부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을 줄 수 있다.[13]

최근 TN 패널의 화소 반응 속도는 응답 시간 보상(RTC, 오버드라이브) 기술을 통해 잔상이나 인공 흔적을 피할 수 있을 만큼 빨라졌다. 반응 속도는 G2G(Gray to Gray) 기준으로 측정되며, TN 필름 기반 모델에서는 최고 2ms 정도의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빠른 응답 속도와 높은 생산성 덕분에 TN 패널은 소비자 시장에서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색 영역(NTSC 1953 색상 범위)의 단점은 백라이트 기술로 극복할 수 있다. 냉음극 형광 램프(CCFL) 기반 백라이트는 NTSC 색상 범위의 40~76%를 표현할수 있지만, 흰색 발광 다이오드(LED) 백라이트는 100%에 가까운 NTSC 색상 범위를 표현할 수 있다.
TN 방식은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패널 중 하나로, 단순 매트릭스 구동과 조합하여 많이 사용된다.[35] 생산 기술이 확립되어 비교적 저렴하고, 특별한 기술 없이도 높은 개구율[36]을 얻을 수 있어 밝은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밝기라면 백라이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응답 속도는 8~15ms 정도로 빠르며, 2020년대에는 1ms 이하의 응답 속도를 가진 제품도 등장하여 게이밍 모니터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야각이 좁고 색도 변위가 크다는 단점이 있어, 주로 비용이나 저소비 전력을 중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2000년대까지는 저가형 노트북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2010년 이후 화질 향상으로 대부분의 노트북에 채택되고 있다. 또한, 좁은 시야각이 프라이버시 필터 효과를 제공하여 상위 기종에서도 적극적으로 채택되기도 한다.
4. 2. IPS (In-Plane Switching)
1996년 히타치 제작소는 TN 패널의 좁은 시야각과 낮은 색 표현력을 개선하기 위해 IPS (In-Plane Switching영어) 방식을 개발했다.[15][16] IPS는 액정 분자가 패널 평면에 평행하게 움직여 빛의 산란을 줄임으로써 넓은 시야각과 우수한 색 재현성을 제공한다.[17] 초기 IPS 기술은 느린 응답 속도와 낮은 명암비가 단점이었지만,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크게 개선되었다.대부분의 IPS 패널은 채널당 8비트 색상을 지원한다. 초기에는 약 50ms의 응답 속도로 인해 생산성이 낮아 가격이 비쌌다. 1998년 히타치 제작소는 픽셀 응답 속도를 개선한 S-IPS (Super-IPS영어)를 개발했다. S-IPS는 색 표현력이 CRT에 가까워졌지만, 명암비는 여전히 낮은 편이었다. S-IPS 기술은 20인치 이상 크기의 패널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LG 디스플레이가 주요 S-IPS 기반 패널 제조사 중 하나이다. 2002년에는 히타치 제작소가 S-IPS의 명암비를 더욱 향상시킨 AS-IPS (Advanced Super IPS영어)를 개발했다. AS-IPS는 NEC 디스플레이(예: NEC LCD20WGX2)에서 LG 디스플레이가 개발한 S-IPS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A-TW-IPS (Advanced True White IPS영어)는 NEC에서 흰색을 더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색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개발한 TW (True White영어) 색 필터를 사용하는 특정 S-IPS 패널에 적용하기 위해 LG 디스플레이에서 개발되었다. 주로 전문가나 사진작가를 위한 LCD에 사용된다.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패널에는 IPS 방식이 있다. IPS형(In-Plane Switching형)은 전극이 한쪽 기판의 면 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가 꼬이지 않고 기판 면에 대해 일정한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전압 인가 시에는 전계가 면 내 방향으로 가해져 액정 분자가 90도 수평으로 회전하여 전극을 따라 정렬된다. 무전압 인가 상태와 인가 상태에서 액정 분자가 면 내 방향으로 90도 회전함으로써, 2장의 편광 필름 사이에서 투과 및 차단을 생성한다. 액정 분자끼리 정렬된 채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이 빠르고 특히 중간 톤의 응답이 좋다. 보는 각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시야각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회전은 전극을 빗살 모양으로 배치함으로써 실현되기 때문에 반도체 기술을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에서만 사용된다. 액정 배향이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지 않기 때문에 시야각이 넓다[37]。시야각 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TV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개구율을 높이기 어렵고 표시가 어두워지기 쉽고, 정면 표시에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어렵다는 과제도 있다[38]。
Fringe Field Switching은 IPS 디스플레이에서 시야각과 투과율을 개선하는 데 이용하는 기술이다.[54]
;편광판의 방향
:TN형의 NW 모드의 경우의 편광 필름의 크로스 니콜 배치가 IPS형에서는 NB 모드로 사용되며, TN형의 NW 모드의 장점이 IPS형에서는 NB 모드의 장점에 거의 대응하며, IPS형에서는 대부분이 NB 모드로 사용된다.
4. 2. 1. IPS 파생 기술 (LG 디스플레이)
1996년 히타치 제작소가 개발한 IPS 기술은 이후 여러 개선을 거쳐 발전하였다.- H-IPS (Horizontal IPS): 2006년 말 출시. S-IPS 대비 빛샘 현상, 색조 현상, 시야각 등이 개선되었다. NEC LCD2490WUXI, LCD2690WUXi, 미쓰비시 RDT261W 26″ LCD, Planar PX2611W, 애플의 구형 알루미늄 24" 아이맥 등에 쓰였다.[51]
- UH-IPS: H-IPS 대비 개구율 18% 향상.[55]
- S-IPS II: UH-IPS 대비 개구율 11.6% 향상.[56]
- AH-IPS (Advanced High-Performance IPS): LCD 액정 분자의 수평 전계와 수직 전계를 동시에 이용하여 액정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기존 IPS처럼 시야각이 우수하고 터치 패널에도 안정적인 영상을 제공하며, 측면 시인성과 빠른 응답속도를 자랑한다. 또한, 투과율이 높아 밝기와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특히 스마트폰 디스플레이가 요구하는 소비전력, 정세도(ppi), 색 정확도, 안정적인 터치 구동에 장점이 있다.[52] 애플의 아이폰4에 처음 탑재되어 레티나 디스플레이로 알려졌다.[53]
4. 3. MV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V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영어)는 1998년 후지쯔가 TN과 IPS의 절충형으로 개발한 기술이다.[41][42][31][43] 빠른 화소 응답 속도, 넓은 시야각, 높은 명암비를 가지고 있다. 현대 MVA 패널은 넓은 시야각, 좋은 검은색 깊이, 좋은 색 표현력과 깊이,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한다. AU 옵트로닉스의 P-MVA, A-MVA, 치메이 옵트로닉스의 S-MVA 등 다양한 파생 기술이 있다.MVA는 VA형의 파생형으로, 더 넓은 시야각을 위해 화면 구획마다 배향을 변경하는 "분할 배향"을 사용한다. MVA형은 1개의 화소나 서브 화소 내에서 서로 다른 배향의 영역을 여러 개 갖는 멀티 도메인 방식을 채택하여 시야각을 넓힌다. 멀티 도메인은 투명 전극 위에 "리브"라고 불리는 미세한 수지 돌출물을 간격을 두고 구축함으로써 실현된다. 주로 TV용 디스플레이에 많이 사용된다.[41][42][31][43]
4. 4. 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영어)와 '''S-PVA'''(Super Patterned Vertical Alignment영어)는 MVA 기술의 대안으로 삼성이 개발하였다. PVA는 MVA와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3000:1 같은 매우 높은 명암비를 자랑했다. 저렴한 PVA 패널은 디더링과 프레임율 제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모든 S-PVA 패널은 채널 당 8비트 색상을 지원하며, 색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PVA와 S-PVA는 좋은 검은색 깊이, 넓은 시야각, 그리고 현대의 응답 속도 오버드라이버 기술 덕분에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한다.[25]4. 5. 기타 방식
샤프가 개발한 CPA(Continuous Pinwheel Alignment) 방식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한다. ASV(Advanced Super View)는 샤프가 개발한 또 다른 기술로, 축 대칭 수직 정렬이라고도 불리며 VA(수직 배향) 모드의 일종이다.[23] 전계가 켜지면 액정 분자가 서브 픽셀 중앙을 향해 기울어져 연속적인 풍차 정렬(CPA)을 형성하여 360도 연속 회전으로 탁월한 시야각을 제공한다.[24]삼성이 개발한 슈퍼 PLS(Super PLS)는 IPS 패널과 유사하며, 더 넓은 시야각, 더 나은 화질, 향상된 밝기 및 더 낮은 생산 비용을 특징으로 한다.[25]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광학 보상 벤드)형은 3-8ms의 고속 응답성을 가지며, 광학 보상 필름이 필요하다.[44] 시야각이 넓고 저온에서도 응답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지만 비용 문제가 있어 주로 방송 장비나 차량 탑재용으로 사용된다.[45][46][47][31] EIZO는 OCB 액정을 탑재한 컬러 텔레비전 "FORIS.TV" 23인치 제품을 판매한 사례가 있다.[48][49]
5. 반도체 종류
TFT를 구성하는 반도체로는 비정질 실리콘(a-Si)과 폴리 실리콘(p-Si)이 주로 사용된다. 비정질 실리콘은 생산 비용이 낮아 널리 쓰이며, 폴리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 보다 성능이 우수하지만 생산 비용이 더 높다.[12]
5. 1. 비정질 실리콘 (a-Si)
비정질 실리콘(a-Si)은 대형 유리 기판에 쉽게 증착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다. 전자 이동도는 0.5-1.0cm2/Vs 정도이다.[30] 비록 전자 이동도는 낮지만, 디스플레이 구동에는 충분한 성능을 제공한다.5. 2. 폴리 실리콘 (p-Si)
폴리 실리콘(poly-crystalline Si)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아몰퍼스 실리콘에 비해 전자 이동도가 높다(30-300cm2/Vs, LTPS 기준).[31] 이는 단결정 실리콘(MOS-FET)의 전자 이동도(600-700cm2/Vs)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화소 표시 용도로는 충분한 성능을 보인다. 폴리 실리콘 TFT는 제조 공정 온도에 따라 고온 폴리 실리콘(HTPS)과 저온 폴리 실리콘(LTPS)으로 나뉜다.[31] 폴리 실리콘을 사용하면 유리 기판 위에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 2. 1. 고온 폴리 실리콘 (HTPS)
고온 폴리 실리콘(High-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HTPS)은 1,000℃ 정도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석영 유리 기판 위에 증착된 아몰퍼스 실리콘을 열처리하여 결정화한 것이다. (일본어로는 폴리 실리콘이지만, 영어 표기에서는 polycrystalline이 된다는 점에 주의)[32] 사파이어 기판 위에 아몰퍼스 실리콘을 결정화시킨 SOS(Silicon On Sapphire)는 프로젝터 등의 액정 라이트 밸브와 같이 비교적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32]5. 2. 2. 저온 폴리 실리콘 (LTPS)
저온 폴리 실리콘(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LTPS)은 무알칼리 유리 기판 위에 증착된 비정질 실리콘을 레이저 어닐링 등을 통해 600℃ 이하의 저온에서 다결정화한 것이다. 저온 폴리 실리콘은 결정 입계 때문에 전류가 방해받는 비율이 높아 고온 폴리 실리콘보다 전자 이동도가 낮지만,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수백 배 빠른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33] 특히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드라이버 회로까지 유리 기판에 집적하여 연결점을 줄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지만, 액자 부분은 약간 넓어진다.[33] 외부 IC는 3.3-5V의 구동 전압이 필요한데 비해, 저온 폴리 실리콘을 이용한 구동 회로에서는 8-12V 정도가 필요하여 휴대 기기가 요구하는 저전력화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고온 폴리 실리콘(HTPS)보다 특성은 떨어지지만 저렴하기 때문에 이용이 늘고 있다.; 연속 입계 실리콘
연속 입계 실리콘(Continuous grain silicon, CG-Silicon)은 입계를 실질적으로 없애 전자 이동도를 더욱 높인 것이다. 샤프와 반도체 에너지 연구소가 공동 개발하였다.
6. 디스플레이 산업
TFT LCD 산업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이며, 소수의 주요 패널 제조사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삼성, LG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세계 TFT LCD 시장을 선도해왔으나, 최근 중국 업체들의 급부상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2006년 4월 LG필립스와 삼성은 각각 22%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고, AU 옵트로닉스는 19%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26]
주요 패널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LCD 유리 패널 공급업체는 다음과 같다.[27]
| 패널 유형 | 회사 | 비고 | 주요 TV 제조사 |
|---|---|---|---|
| IPS-Pro | 파나소닉(Panasonic) | LCD TV 시장 전용, IPS 알파 테크놀로지(IPS Alpha Technology Ltd.)로 알려짐 | 파나소닉, 히타치(Hitachi), 도시바(Toshiba) |
| H-IPS & P-IPS | LG디스플레이(LG Display) | 모바일, 모니터, 자동차, 휴대용 AV 및 산업용 패널과 같은 OEM 시장을 위해 TN과 같은 다른 유형의 TFT 패널도 생산한다. | LG, 필립스(Philips), 벤큐(BenQ) |
| S-IPS | 한스타 디스플레이(HannStar Display Corporation) | ||
| 중화 현상관(Chunghwa Picture Tubes, Ltd.) | |||
| A-MVA | AU 옵트로닉스(AU Optronics) | ||
| A-HVA | AU 옵트로닉스(AU Optronics) | ||
| S-MVA | 치메이(Chi Mei Corporation) 옵트로닉스 | ||
| AAS | 이노룩스(InnoLux Corporation) | ||
| S-PVA | 삼성, 소니(Sony) | ||
| AFFS | 소형 및 중형 특수 프로젝트용. | ||
| ASV | 샤프(Sharp Corporation) | LCD TV 및 모바일 시장 | 샤프, 소니 |
| MVA | 샤프(Sharp Corporation) | LED LCD TV 시장 전용 | 샤프 |
| HVA | TCL(TCL Corporation)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China Star Optoelectionics Technology) | HVA 및 AMOLED | TCL(TCL Corporation) |
7. 전기적 인터페이스
외부 소비자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날로그 VGA,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노트북에서는 그래픽 칩이 내장된 TFT 디스플레이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직접 생성한다. LVDS는 제어 및 RGB 비트를 픽셀 속도와 동일한 속도의 클럭에 동기화된 여러 직렬 전송 라인에 넣어 병렬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내용을 전송한다. 패널 제조업체는 LVDS를 내부 디스플레이포트 및 임베디드 디스플레이포트로 천천히 대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동 쌍 수를 줄일 수 있다.
백라이트 밝기는 일반적으로 DC 전압 변경, PWM 신호 생성, 가변 저항 조정, 또는 단순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8. 안전성
액정은 유해 가능성에 대한 독성 및 생태 독성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받는다.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수생 생물에 급성 독성을 나타낸다.[28]
- 드문 경우에 자극, 부식 또는 민감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혼합물에 제한된 농도를 사용하면 이러한 모든 영향을 피할 수 있다.
- 세균(Ames test)이나 포유류 세포(마우스 림프종 검사 또는 염색체 이상 검사)에서 돌연변이 유발성이 없다.
- 발암성이 의심되지 않는다.[29]
- 수생 생물(세균, 조류, 물벼룩, 물고기)에 유해하다.[28]
- 상당한 생물 축적 가능성이 없다.
- 쉽게 생분해되지 않는다.[29]
이러한 결과는 머크 KGaA뿐만 아니라 경쟁사인 JNC Corporation(구 지소 Corporation)과 DIC(구 다이닛폰 잉크 앤 케미컬)에도 적용된다. 세 제조업체는 급성 독성 또는 돌연변이 유발 액정을 시장에 출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전 세계 액정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주로 중국에서 생산되는 나머지 액정 시장 점유율은 세계 3대 선두 제조업체의 오래되고 특허가 만료된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미 이들 제조업체에 의해 독성 검사를 받았기 때문에 무독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체 보고서는 머크 KGaA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29]
많은 LCD 모니터에 사용되는 CCFL 백라이트는 독성 물질인 수은을 포함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FT Display Technology
https://e3displays.c[...]
2020
[2]
웹사이트
LCD Panel Technology Explained
http://www.pchardwar[...]
Pchardwarehelp.com
2013-07-21
[3]
논문
The Inventors of TFT Active-Matrix LCD Receive the 2011 IEEE Nishizawa Medal
2012
[4]
논문
Thin Film Transistor Technology—Past, Present, and Future
https://www.electroc[...]
2013-01-01
[5]
논문
A 6 × 6 inch 20 lines-per-inch liquid-crystal display panel
1973-11
[6]
서적
Introduction to Thin Film Transistors: Physics and Technology of TF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3
[7]
논문
The TFT A New Thin-Film Transistor
1962
[8]
서적
Physics and Technology of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CAAC-IGZO: Fundament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
[9]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7
[10]
논문
Industrial Research in Microcircuitry at RCA: The Early Years, 1953–1963
IEEE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11]
웹사이트
TFT LCD - Fabricating TFT LCD
http://www.plasma.co[...]
Plasma.com
2013-07-21
[12]
웹사이트
TFT LCD - Electronic Aspects of LCD TVs and LCD Monitors
http://www.plasma.co[...]
Plasma.com
2013-07-21
[13]
웹사이트
X-bit's Guide: Contemporary LCD Monitor Parameters and Characteristics (page 11)
http://www.xbitlabs.[...]
Xbitlabs.com
2004-10-26
[14]
웹사이트
Liquid crystals in displays
http://www.mc2.chalm[...]
Chalmers University Sweden
2000
[15]
웹사이트
TN Film, MVA, PVA and IPS - Panel Technologies
http://www.tftcentra[...]
TFT Central
2009-09-09
[16]
웹사이트
IPS or TN panel?
https://www.esportso[...]
eSport Source
2016-05-23
[17]
웹사이트
Enhanced Super IPS - Next Generation Image Quality
http://www.tftcentra[...]
LG Display
2009-09-09
[18]
웹사이트
IPS-Pro (Evolving IPS technology)
http://www.ips-alpha[...]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arco.be/[...]
2013-11-24
[20]
웹사이트
LG Announces Super High Resolution AH-IPS Displays
http://tech2.in.com/[...]
Tech2.in.com
2013-07-21
[21]
웹사이트
AFFS & AFFS+
http://vertexlcd.com[...]
Vertex LCD
2010-08-12
[22]
논문
A Novel Outdoor Readability of Portable TFT-LCD with AFFS Technology
AIP
2006-06
[23]
웹사이트
Sharp Advanced Super View (ASV) - Sharp
https://www.sharpsma[...]
2019-06-12
[24]
웹사이트
The World of Liquid Crystal Displays
http://www.personal.[...]
personal.kent.edu/%7Emgu
[25]
웹사이트
Samsung SyncMaster SA850: World's First Monitor on PLS Matrix
http://www.xbitlabs.[...]
X-bit labs
2013-07-21
[26]
웹사이트
IPS Alpha Technology Ltd
http://www.ips-alpha[...]
[27]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szcsot.co[...]
2019-06-05
[28]
논문
Identification of multi-level toxic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wastewater toward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2012-08-15
[29]
웹사이트
Display solutions Merck KGaA, Darmstadt, Germany
http://www.merck-per[...]
2018-02-17
[30]
서적
液晶ディスプレイ用語集
日刊工業新聞社
2008-10-28
[31]
문서
[32]
서적
液晶、その不思議な世界へ
オーム社
2007-11-30
[33]
서적
カラーTFT液晶ディスプレイ
共立出版
2005-10-30
[34]
서적
液晶、その不思議な世界へ
オーム社
2007-11-30
[35]
문서
[36]
문서
액정 패널의 서브 화소 투과율
[37]
문서
IPS 패널의 시야각과 색 변화
[38]
문서
IPS 형태의 종류
[39]
뉴스
샤프의 UV²A 액정 표시 모드 개발
[40]
서적
"30년의 꿈" 광배향 액정을 실용화 - 샤프가 사카이 신공장에 전면 도입
日経エレクトロニクス
2009-10-05
[41]
서적
대화면·박형 디스플레이의 의문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2009-03-24
[42]
문서
MVA 방식의 종류와 특징
[43]
서적
얇은 디스플레이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秀和システム
2006-06-01
[44]
문서
Π셀 OCB 액정 분자의 배향
[45]
문서
2009년 7월 현재 OCB형의 민생품 현황
[46]
문서
OCB형의 고속 응답성을 이용한 FSC 방식 액정 디스플레이
[47]
뉴스
日経エレクトロニクス 2009년 7월 27일호
日経エレクトロニクス
2009-07-27
[48]
웹사이트
나나오, OCB 방식을 채용한 광시야각 액정 TV 등 2종류 발표
https://japan.cnet.c[...]
2004-09-30
[49]
웹사이트
나나오, 응답 속도 5.5m초의 OCB 액정 패널을 채용한 디지털 하이비전 액정 TV
https://www.rbbtoday[...]
2022-07-08
[50]
웹인용
용어 아하! TN형 액정
http://www.dt.co.kr/[...]
2007-07-22
[51]
이미지
H-IPS up close
http://www.toastyx.n[...]
[52]
뉴스
모바일 디스플레이 AMOLED와 AH-IPS
http://www.dt.co.kr/[...]
디지털 타임스
2011-08-17
[53]
뉴스
스마트폰 4인치대 화면 전쟁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8-16
[54]
특허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CD - Patent 6678027
http://www.freepaten[...]
[55]
웹사이트
UH-IPS 설명 일본어 기사
https://ascii.jp/ele[...]
[56]
웹사이트
S-IPS II 설명 일본어 기사
https://ascii.jp/e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