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영 (195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선영(1956년)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언론인, 정치인이다. MBC 기자, 대학교수를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선진당 대변인을 역임했다. 서울특별시교육감 선거에 두 차례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2024년 12월부터 제3대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진통일당의 정치인 - 심대평
심대평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국민중심당 대표,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7대 대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사퇴하고 정계 은퇴 후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선진통일당의 정치인 - 염홍철
염홍철은 경남대학교 교수, 청와대 정무비서관, 대전광역시장 3선, 한국공항공단 이사장, 한밭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수, 시인이며, 대전시장 재임 시절 대덕연구단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정책의 불균형성과 을지의과대학교 설립 청탁 관련 자금 수수 사건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헌법학자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헌법학자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문화방송의 기자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문화방송의 기자 - 정동영
언론인 출신 정치인 정동영은 MBC 기자와 앵커를 거쳐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 열린우리당 의장, 통일부 장관,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민주평화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2024년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박선영 (1956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선영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56년 4월 6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
정당 | 무소속 |
지역구 | (18) |
배우자 | 민일영 |
자녀 | 2남(민경호 변호사, 민경준 해군법무관)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8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매임 데레사) |
공식 홈페이지 | 공식홈페이지 |
경력 | |
경력 | 21세기교육포럼 대표 (사)물망초학교 이사장 제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자유선진당) |
2. 생애
박선영은 어릴 때 행정 착오로 박운희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이후 개명했다.[1] 민일영 전 대법관의 배우자이며, 김진태 강원도지사와 사촌 관계이다.[2] 1977년부터 1989년까지 MBC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재학 중 MBC에 입사하여 아나운서로 잠시 근무한 후 보도국으로 옮겼다.[1] 기자 생활 중 박선영으로 이름을 바꿨다.[1]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가톨릭대학교, 동국대학교에서 법학과 교수로 재직했다.[1] 2011년 1월 10일, 자유선진당 대변인으로 1,000일을 맞아 대한민국 정당 정치 사상 최장수 여성 대변인 기록을 세웠다.[3]
2. 1. 초기 활동
박선영은 집에서 불리던 이름은 박연희였는데, 어릴 때 행정 착오로 박운희가 되었다가 이후 개명했다고 밝혔다.[1] 남편은 판사 출신인 민일영 전 대법관이다.[2] 국민의힘 소속 김진태 강원도지사와 사촌 관계이다.2. 2. 기자 생활과 교수 생활
1977년부터 1989년 2월까지 13년간 MBC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이화여자대학교 4학년 때 MBC에 입사하여 처음에는 MBC 아나운서를 1년 6개월 정도 한 뒤 보도국으로 옮겨 근무했다고 밝혔다.[1] 기자 생활 중 이름을 박운희에서 박선영으로 고쳤다.[1]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가톨릭대학교, 동국대학교에서 법학과 교수로 재직했다.[1]
2. 3. 정치 활동
박선영 의원은 자유선진당 대변인으로 2011년 1월 10일, 1,000일을 맞아 대한민국 정당 정치 사상 최장수 여성 대변인 기록을 세웠다.[3]3. 학력
4. 경력
기간 | 경력 |
---|---|
1977년 ~ 1989년 | MBC 보도국 기자 |
2000년 ~ 2002년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BK21 계약교수 |
2000년 ~ 2003년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연구소 연구교수 |
2003년 ~ 2007년 | 가톨릭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2003년 ~ 2007년 |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위원 |
2006년 ~ 2008년 | 원자력 안전위원회 위원 |
2006년 ~ 2008년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 |
2006년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부회장 |
2007년 ~ 2008년 | 한국공법학회 부회장 |
2007년 ~ 2008년 | 한국헌법학회 부회장 |
2007년 10월 ~ 2018년 2월 |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조교수 |
2008년 4월 | 자유선진당 대변인 |
2008년 5월 ~ 2012년 5월 | 제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자유선진당) |
2009년 |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독도영토수호대책특별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
2010년 5월 ~ 2012년 5월 |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 |
2009년 | 유럽 헌법학회 부회장 |
2011년 4월 | 자유선진당 정책위원회 의장 |
2012년 ~ | 사단법인 물망초 이사장 |
새누리당 상임위원 | |
2016년 3월 ~ 2021년 8월 |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부교수 |
2016년 12월 29일 | 대한법률구조공단 비상임이사 |
2019년 9월 | 자유한국당 저스티스 리그 이사회 공동위원장 |
대한민국헌정회 홍보편찬위원회 편집위원 | |
2023년 4월 | 대한민국헌정회 이사 |
2024년 12월 ~ | 제3대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 |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직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8년 | 총선 | 국회의원 | 자유선진당 | 1,173,463표 | 6.84 | 비례대표 3번 | 당선 | 초선 |
2018년 | 지방 선거 | 교육감 | 무소속 | 1,762,658표 | 36.15 | 2위 | 낙선 | 민선 7기 |
2022년 | 지방 선거 | 교육감 | 무소속 | 978,935표 | 23.10 | 3위 | 낙선 | 민선 8기 |
참조
[1]
뉴스
선진당 박선영 의원 '20년간 셀프 이발'... "가난 덕에 '이사의 달인' 됐다"
http://www.sportsseo[...]
스포츠서울
2009-06-03
[2]
뉴스
박선영, 남편 청문회에 `조마조마`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09-09-14
[3]
뉴스
박선영 대변인 '촌철살인 논평' 1,000일
https://news.naver.c[...]
서울경제신문
2011-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