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호 (195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인호는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연세대학교와 독일 에센 국립음대를 졸업했으며, 창원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0년 ACL Tokyo-Sendai Asian Music Festival 입선을 시작으로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한국음악상 본상, 대원음악상 작곡상 등을 수상했으며, 2022년 옥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작품 세계는 수리적 어휘를 음악에 결합하는 특징을 보이며, 관현악, 실내악, 국악기 편성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안 박씨 - 박준병 (1933년)
박준병은 육군 장성 출신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에 참여한 뒤 민주정의당 국회의원과 자유민주연합 부총재를 지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 백병동
대한민국의 작곡가이자 교육자인 백병동은 서울대학교와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이화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및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며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과 음악 교육에 기여했다. - 창원대학교 교수 - 백운규
백운규는 한양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표준기술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역임했고, 탈원전 정책 추진과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 폐쇄와 관련하여 논란과 재판이 진행 중이다. - 창원대학교 교수 - 박성호 (1957년)
박성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학자로, 창원대학교 교수와 총장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 국립 창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인호 (195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인호 |
출생 | 1956년 10월 13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작곡가 |
2. 생애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사사: 나인용)와 독일 Essen 국립음대 대학원 작곡과 (사사: Nicolaus A. Huber)를 졸업하였다. 국립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를 역임(1990~1994)하였고,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1994~2022)하고 정년퇴직하였다. 2022년 3월 1일 이후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종신 명예교수로 재직하고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였다. 독일 에센 국립음악대학교 대학원 작곡과를 졸업하였다.2. 2. 교수 활동
박인호는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994년부터 2022년까지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22년부터는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명예교수로 있다.2003년부터 2006년까지 PAN Music Festival 음악감독을 역임했다. 같은 기간 ACL 아시아작곡가연맹 한국위원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국제현대음악협회 한국지부 (ISCM Korean Section) 회장을 역임했고,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작곡가협회 부이사장을 역임했다.
1990년 ACL Tokyo-Sendai Asian Music Festival, 2001년 ISCM Yokohama 세계음악제, 2002년 Seoul Asian Music Festival, 2004년 ISCM Swiss 세계음악제 등에서 입선했다. 1994년 제13회 대한민국작곡상 우수상, 2001년 제20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2008년 제27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06년 한국음악상 본상, 2008년 제3회 대원음악상 작곡상을 수상했다. 2022년에는 옥조근정훈장(제 117375 호)을 수여받았다.
2. 3. 주요 경력
1990년부터 1994년까지 국립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994년부터 2022년까지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22년부터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명예교수로 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PAN Music Festival 음악감독 및 ACL 아시아작곡가연맹 한국위원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국제현대음악협회 한국지부 (ISCM Korean Section)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사단법인 한국작곡가협회 부이사장을 역임했다.1990년 ACL Tokyo-Sendai Asian Music Festival 입선을 시작으로, 1994년 제13회 대한민국작곡상 우수상, 2001년 ISCM Yokohama 세계음악제 입선 및 제20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02년 Seoul Asian Music Festival, 2004년 ISCM Swiss 세계음악제에 입선했다. 2006년 한국음악상 본상, 2008년 제27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및 제3회 대원음악상 작곡상을 수상했다. 2022년에는 옥조근정훈장(제 117375 호)을 수여받았다.
3. 작품 세계
3. 1. 작품 경향
1982년 이후 만들어진 작곡가 박인호의 작품들에서는 수리적 어휘를 음악에 결합하는 방법들을 탐구하게 되고, 음형적 수법과 비음형적 수법에 동등한 가치를 부여한다. 그 결과 그는 수의 조합들과 그것들의 변형 그리고 소수들의 연속적 사용을 통하여 작품을 만드는 형태의 의지를 구체화 해 매번 새로운 형상이 들어나는 작품들을 완성하고 있다. 또한 그는 자신이 생각하는 상이한 음악적 논쟁의 영역도 매개변수의 미세한 조정을 통하여 작품에서 소통적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성찰한 음악과 자신의 작품 속에서 인식한 미적 음악개념들을 탐구해 작품 속에서 결과물로 구현한다.3. 2. 주요 작품
- 관현악, 챔버오케스트라, 현악합주 작품
- * 남한강 für gr. Orch., Sop.-, Bar.-Solo und/Sprechchor (oder Solistische Besetzung mit Mikrophonverstärkung) (1983,1984)
- * Gestalten I für Streichorchester (1992)
- * Annäherung für Gr. Orchester, 대편성관현악을 위한 접근 (1999)
- * Gestalten VII für Gr. Orchester, 대편성관현악을 위한 형상 (2006, 2007)
- * Musik für Klarinette Solo und Kammerorchester (2010)
- 실내악 작품
- * 농무 für Klavier (1970)
- * Eclogue für Kammerensemble (1979)
- * Musik Für 5 Spieler (1980)
- * Trio für Kla., Vc. u. Klavier (1980)
- * Musik für Bläserquintett (1981)
- * Interpenatration 1 für Blaeserquintett (1981)
- * Suite für Bläserquintett (1981)
- * Interpenatration 2 für Bläserquintett (1981,1982)
- * Interpenatration 3 für Sop, Bar. Hrn, 2Pos. u. Klavier (1981,1982)
- * 소리 für Oboe Solo (1983)
- * 강신 für 3 Violoncelli (1983,1984)
- * Sphäre (kubisch 2πr) für 2 Flöten (1983,1984)
- * Betrachtung über Ichbewusstsein für 13 Solostimmen mit eine Sprecherin/ (oder Sprechchor). Schlagzeug, Harfe, Klavier und Tonband (konkrete-Klänge mit elektronische Sinustöne) (1984,1985)
- * 정식 für Stimme u. Klavier (1986)
- * Versuch über Zahl 9 für Streichquartett Nr.1 (1989)
- * Gestalt von Zahl 7 für klavier (1990)
- * Versuch über Zahl 7 für Streichquartett Nr.2 (1991)
- * Krieg? Nein Danke! für Baßklarinette, Kontrabass, Schlagzeug und Fernsehapparat (1992)
- * Gestalten III fuer Schlagzengensemble (1993)
- * Gestalten II für Flöte, Klarinette und Klavier (1993)
- * über die Angst I Trio für Bariton, Oboe und Posaune (1994)
- * über die Angst II Musik für 1 Schlagzeuger (1995)
- * Gestalten IV’ Trio für Violine, Klarinette und Klavier (1995)
- * 소리 für Solo Violine (1995)
- * Gestalten V von Zahl 7" für Klavier (1996)
- * über die Angst III Musik für Soprano, Alto, Tenor, Bass mit Mikrophonverstärkung und eletronische Klänge (2000)
- * 무제
Musik für 5 Spieler und elektronieche Kläge (2002) - * 3 Bagatellen für 3 Schlagzeuger (2002)
- * Gestalten VI für Kammerensemble (2006, 2007)
- * 7 Bagatellen für Klarinette und Klavier (2010)
- * 4 Bagatellen für Blaeserquintett (2013)
3. 2. 1. 서양 악기 편성 작품
- 관현악, 챔버오케스트라, 현악합주 작품
- * 남한강 für gr. Orch., Sop.-, Bar.-Solo und/Sprechchor (oder Solistische Besetzung mit Mikrophonverstärkung) (1983,1984)
- * Gestalten I für Streichorchester (1992)
- * Annäherung für Gr. Orchester, 대편성관현악을 위한 접근 (1999)
- * Gestalten VII für Gr. Orchester, 대편성관현악을 위한 형상 (2006, 2007)
- * Musik für Klarinette Solo und Kammerorchester (2010)
- 실내악 작품
- * 농무 für Klavier (1970)
- * Eclogue für Kammerensemble (1979)
- * Musik Für 5 Spieler (1980)
- * Trio für Kla., Vc. u. Klavier (1980)
- * Musik für Bläserquintett (1981)
- * Interpenatration 1 für Blaeserquintett (1981)
- * Suite für Bläserquintett (1981)
- * Interpenatration 2 für Bläserquintett (1981,1982)
- * Interpenatration 3 für Sop, Bar. Hrn, 2Pos. u. Klavier (1981,1982)
- * 소리 für Oboe Solo (1983)
- * 강신 für 3 Violoncelli (1983,1984)
- * Sphäre (kubisch 2πr) für 2 Flöten (1983,1984)
- * Betrachtung über Ichbewusstsein für 13 Solostimmen mit eine Sprecherin/ (oder Sprechchor). Schlagzeug, Harfe, Klavier und Tonband (konkrete-Klänge mit elektronische Sinustöne) (1984,1985)
- * 정식 für Stimme u. Klavier (1986)
- * Versuch über Zahl 9 für Streichquartett Nr.1 (1989)
- * Gestalt von Zahl 7 für klavier (1990)
- * Versuch über Zahl 7 für Streichquartett Nr.2 (1991)
- * Krieg? Nein Danke! für Baßklarinette, Kontrabass, Schlagzeug und Fernsehapparat (1992)
- * Gestalten III fuer Schlagzengensemble (1993)
- * Gestalten II für Flöte, Klarinette und Klavier (1993)
- * über die Angst I Trio für Bariton, Oboe und Posaune (1994)
- * über die Angst II Musik für 1 Schlagzeuger (1995)
- * Gestalten IV’ Trio für Violine, Klarinette und Klavier (1995)
- * 소리 für Solo Violine (1995)
- * Gestalten V von Zahl 7" für Klavier (1996)
- * über die Angst III Musik für Soprano, Alto, Tenor, Bass mit Mikrophonverstärkung und eletronische Klänge (2000)
- * 무제
Musik für 5 Spieler und elektronieche Kläge (2002) - * 3 Bagatellen für 3 Schlagzeuger (2002)
- * Gestalten VI für Kammerensemble (2006, 2007)
- * 7 Bagatellen für Klarinette und Klavier (2010)
- * 4 Bagatellen für Blaeserquintett (2013)
3. 2. 2. 국악기 편성 작품
- * 피리 독주를 위한 ‘소리’ (1999)
- * 1대의 소금과 3대의 대금을 위한 ‘전설’ (2000)
- * 국악합주와 전자음향을 위한 '구름:낮잠을 깨니 흰구름 둥둥(2001)
- * 25현 가야금 독주를 위한 ‘수리’ (2002)
- * 피리(고음,중음,저음) 독주외 타악기를 위한 ‘가락 I’ (2002)
- * 남창과 국악합주를 위한 신가악 ‘우공이산’, ‘과부 추일’ (2004)
- * 25현 가야금을 위한 3개의 모음곡 (2005)
- * 바리톤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춘설’,’춘한’ (2006, 2007)
- * 25현 가야금 독주를 위한 ‘다정무심’ (2006)
- * 고금독주를 위한 '소리'(2009)
- * 18현 가야금과 타악기를 위한 ‘신장춘불로지곡’ (2010)
- * 국악관현악과 악장소리를 위한 ‘오우가’ (2010)
4. 수상
- 1990년 ACL Tokyo-Sendai Asian Music Festival 입선
- 1994년 제13회 대한민국작곡상 우수상
- 2001년 ISCM Yokohama 세계음악제 입선
- 2001년 제20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 2002년 Seoul Asian Music Festival 입선
- 2004년 ISCM Swiss 세계음악제 입선
- 2006년 한국음악상 본상
- 2008년 제27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 2008년 제3회 대원음악상 작곡상 수상
• 2022년 옥조근정훈장(제 117375 호) 수여 받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