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내악은 소수의 연주자가 실내에서 연주하는 음악으로, 원래는 독주 악기들로 구성되었다. 중세 시대부터 존재했으나, 16세기 기악 음악의 발전과 함께 부유한 가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독일, 이탈리아, 영국의 음악 단체들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하이든은 하프시코드를 제외하고 다양한 악기를 조합하여 실내악을 발전시켰다. 20세기에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규모 오케스트라에 대한 거부감으로 실내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관악기와 현악기의 혼합 합주, 타악기나 성악의 추가 등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다. 실내악은 2중주, 3중주, 4중주, 5중주 등 다양한 편성으로 연주되며, 20세기 이후에는 12음 기법, 민족주의 음악 등 다양한 경향을 반영했다. 한국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서양 음악의 수용과 함께 실내악이 발전했으며, 윤이상과 같은 작곡가들이 한국 전통 음악의 요소를 접목하려는 시도를 했다. 실내악 연주는 전문적인 기술을 요구하며, 앙상블, 밸런스, 음정 조율 등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내악 - 현악 사중주
현악 사중주는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이루어진 실내악으로, 하이든이 장르를 확립하고 베토벤에 의해 교향곡과 비견되는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았으며, 낭만주의와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작품을 남겼고, 전 세계적으로 상설 활동 단체가 많은 유일한 실내악 형태이다. - 실내악 - 피아노 소나타
피아노 소나타는 피아노 독주를 위한 소나타로, 고전주의 시대에 형식을 갖추었으며 베토벤의 32개 소나타가 정점으로 여겨지고 낭만주의와 근대에도 작곡되었다. - 클래식 음악 - 바로크 음악
바로크 음악은 1600년부터 1750년경 유럽에서 번성한 양식으로, 과도한 장식을 뜻하는 용어에서 유래, 이탈리아에서 시작하여 유럽 전역으로 확산, 바흐, 헨델, 비발디 등의 작곡가와 오페라, 협주곡 등의 새로운 형식 발전, 통주저음 사용이 특징이며 현대 음악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클래식 음악 - 낭만주의 음악
낭만주의 음악은 18세기 후반 유럽에서 시작되어 자연, 선율, 웅장한 오케스트라를 특징으로 하며, 베토벤, 쇼팽 등이 주요 작곡가이고, 민족주의 음악 발전에 영향을 주어 20세기 근대주의 음악으로 이어진다.
실내악 | |
---|---|
정의 및 특징 | |
정의 | 소규모 악기 그룹을 위해 작곡된 클래식 음악 형태 |
어원 | 이탈리아어 "musica da camera" (영어: chamber music, 독일어: Kammermusik, 프랑스어: musique de chambre) |
특징 | 앙상블 음악 중주 음악 |
같이 보기 |
2. 역사
실내악은 중세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 기술과 사회의 변화를 반영해왔다.[65]
2. 1. 서양 실내악의 역사
실내악은 원래 독주 악기들로 이루어진 작은 모임이 소수의 청중을 대상으로 하거나, 청중없이 실내에서 연주하는 음악이었다.[65] 관현악과 달리 실내악에서는 대개 하나의 악기가 각각의 파트를 연주한다.[65]중세 시대에는 작은 규모의 합주 음악이 많이 있었으나, 당시 궁정은 공공 장소였으며, 가정용 음악을 창작할 기회는 거의 없었다.[65] 그러나 16세기에 기악 음악이 늘어나고, 아마추어들이 성악곡과 기악곡을 만드는 데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악은 부유한 가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65] 17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왕자가 실내악 연주와 작곡을 전문으로 하는 음악가를 임명하기도 하였다.[65] 16세기와 17세기에 합주 음악이 많이 나타나면서, 17세기 소나타와 푸가의 발전과 관련된 리체르카레나 칸초네 형식이 등장하였으며, 느리고 안정된 파반과 빠른 갈리아드 등 새로운 춤곡이 나왔다.[65]
17세기와 18세기 실내악은 독일의 콜레기움 무지쿰, 이탈리아의 음악 아카데미, 영국의 음악 클럽이 등장하며 각각 발전하였다.[65] 18세기 실내악에서는 관악기를 받아들였으며, 특히 프랑스에서는 바이올린, 플루트, 오보에, 바순, 하프시코드 등 다양한 악기를 조화시킨 음악을 처음으로 내놓았다.[65] 요제프 하이든은 실내악단에서 하프시코드를 처음으로 제외했는데, 야외 연주를 하기 위해 하프시코드를 옮기기가 무척 힘들었기 때문이었다.[67]
귀족의 저택에서는 정기적으로 음악의 밤이 열렸는데, 소편성의 음악가들이 가족과 손님을 위하여 연주하였다.[66] 빈 주재 러시아 대사였던 라주모프스키 백작은 직업적인 라주모프스키 4중주단을 창설하여 급여도 지불하였는데, 루트비히 판 베토벤도 이들을 위해 현악 4중주곡을 작곡해주었다.[66]
20세기에는 19세기 낭만주의 음악 시대의 대규모 오케스트라에 대한 거부감으로 실내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67] 실내악은 피아노 3중주, 현악 4중주, 현악 5중주 등 과거의 실내악 형식 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리와 독특한 악기를 조합한 소규모 집단으로 관악기와 현악기의 혼합 합주가 중시되었고, 타악기나 성악이 더해질 때도 있었다.[67]
2. 1. 1.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중세 시대에는 악기가 주로 가수의 반주로 사용되었다.[4] 현악 연주자들은 가수가 부르는 멜로디 라인을 함께 연주했다. 또한 순수 기악 앙상블도 있었는데, 흔히 바이올린족의 현악기 전신인 콘소트라고 불렸다.
일부 분석가들은 고전 기악 앙상블의 기원을 실내 소나타와 교회 소나타로 본다. 이들은 1개에서 5개 이상의 악기를 위한 곡이었다. 실내 소나타는 느리고 빠른 악장들로 구성된 모음곡으로 춤곡이 삽입되었고, 교회 소나타는 동일하지만 춤곡이 생략되었다. 이 형식들은 점차적으로 바로크 시대의 트리오 소나타로 발전했는데, 두 개의 고음 악기와 하나의 베이스 악기로 구성되었으며, 종종 화음을 채우기 위해 건반 악기 또는 다른 화음 악기(하프시코드, 오르간, 하프 또는 류트)가 사용되었다. 베이스 악기와 화음 악기는 모두 바소 콘티누오 파트를 연주했다.
16세기에 기악 음악이 늘어나고, 아마추어들이 성악곡과 기악곡을 만드는데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악은 부유한 가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65]
바로크 시대에는 실내악이 장르로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종종 작품들은 오케스트라 또는 실내악 앙상블에서 다양한 악기로 연주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푸가의 기법''은 건반 악기(하프시코드 또는 오르간)나 현악 사중주 또는 현악 오케스트라로 연주될 수 있다. 트리오 소나타의 악기 편성은 또한 종종 유연하게 지정되었다. 헨델의 소나타 중 일부는 "독일 플루트, 오보에 또는 바이올린"으로 악보가 쓰여졌다.[5] 베이스 라인은 비올로네, 첼로, 테오르보, 또는 바순으로 연주될 수 있었고, 때로는 3~4개의 악기가 유니슨으로 베이스 라인에 합류하기도 했다. 때로는 작곡가들이 실내악 앙상블을 위한 악장과 오케스트라 악장을 혼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텔레만의 'Tafelmusik'(1733)은 다양한 악기 조합을 위한 다섯 개의 악장 세트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오케스트라 섹션으로 끝을 맺는다.
바로크 시대의 실내악은 종종 대위법적이었다. 즉, 각 악기는 서로 다른 시간에 동일한 멜로디 소재를 연주하여 복잡하고 얽혀 있는 사운드 구조를 만들었다. 각 악기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멜로디를 연주했기 때문에 모든 악기는 동등했다. 트리오 소나타에는 종종 우세하거나 독주 악기가 없지만, 세 악기 모두 동등한 중요성을 공유한다.

건반 또는 다른 화음 악기가 연주하는 화성적 역할은 부차적이었고, 일반적으로 건반 파트는 심지어 적히지도 않았다. 오히려, 곡의 화음 구조는 통주 저음이라고 불리는 베이스 라인 위의 숫자 코드로 지정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취향이 바뀌기 시작했다. 많은 작곡가들이 대위법의 복잡성보다는 "더 얇은 질감과 명확하게 정의된 멜로디와 베이스"를 가진 새로운, 더 가벼운 갈랑트 양식을 선호했다. 이제 새로운 관습이 생겨나 실내악의 새로운 형태인 세레나데가 탄생했다. 후원자들은 저녁 콘서트를 위해 거리의 음악가들을 초대하여 집, 친구, 연인의 발코니 아래에서 연주하게 했다. 후원자들과 음악가들은 2~5, 6명의 연주자를 위한 춤곡과 멜로디의 모음곡을 작곡하도록 의뢰했다. 이 작품들은 세레나데, 녹턴, 디베르티멘토 또는 카사치온(gasse=거리에서 유래)이라고 불렸다. 젊은 요제프 하이든은 이 중 여러 곡을 작곡하도록 의뢰받았다.
2. 1. 2. 바로크 시대
실내 소나타와 교회 소나타는 1개에서 5개 이상의 악기를 위한 곡으로 발전하였다.[4] 실내 소나타는 느리고 빠른 악장들로 구성된 모음곡에 춤곡이 삽입되었고, 교회 소나타는 춤곡이 생략되었다. 이 형식들은 점차 바로크 시대의 트리오 소나타로 발전했는데, 트리오 소나타는 두 개의 고음 악기와 하나의 베이스 악기로 구성되었으며, 종종 화음을 채우기 위해 하프시코드, 오르간, 하프 또는 류트와 같은 건반 악기나 다른 화음 악기가 사용되었다.[65] 베이스 악기와 화음 악기는 모두 바소 콘티누오 파트를 연주했다.바로크 시대에는 실내악이 장르로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종종 작품들은 오케스트라 또는 실내악 앙상블 등 다양한 악기로 연주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푸가의 기법''은 건반 악기(하프시코드 또는 오르간), 현악 사중주 또는 현악 오케스트라로 연주될 수 있다. 트리오 소나타의 악기 편성은 종종 유연하게 지정되었다. 헨델의 소나타 중 일부는 "독일 플루트, 오보에 또는 바이올린"으로 악보가 쓰여졌다.[5] 베이스 라인은 비올로네, 첼로, 테오르보, 또는 바순으로 연주될 수 있었고, 때로는 3~4개의 악기가 유니슨으로 베이스 라인에 합류하기도 했다. 텔레만의 'Tafelmusik'(1733)처럼 작곡가들이 실내악 앙상블을 위한 악장과 오케스트라 악장을 혼합하기도 했다.
바로크 시대의 실내악은 종종 대위법적이었다. 즉, 각 악기는 서로 다른 시간에 동일한 멜로디 소재를 연주하여 복잡하고 얽혀 있는 사운드 구조를 만들었다. 각 악기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멜로디를 연주했기 때문에 모든 악기는 동등했다. 트리오 소나타에는 종종 우세하거나 독주 악기가 없지만, 세 악기 모두 동등한 중요성을 공유한다. 건반 또는 다른 화음 악기가 연주하는 화성적 역할은 부차적이었고, 일반적으로 건반 파트는 적히지도 않았다. 통주 저음이라고 불리는 베이스 라인 위의 숫자 코드로 곡의 화음 구조가 지정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취향이 바뀌기 시작했다. 많은 작곡가들이 대위법의 복잡성보다는 "더 얇은 질감과 명확하게 정의된 멜로디와 베이스"를 가진 새로운, 더 가벼운 갈랑트 양식을 선호했다. 새로운 관습으로 실내악의 새로운 형태인 세레나데가 탄생했다. 후원자들은 저녁 콘서트를 위해 거리의 음악가들을 초대하여 집, 친구, 연인의 발코니 아래에서 연주하게 했다. 후원자들과 음악가들은 2~6명의 연주자를 위한 춤곡과 멜로디의 모음곡을 작곡하도록 의뢰했다. 이 작품들은 세레나데, 녹턴, 디베르티멘토 또는 카사치온(gasse=거리에서 유래)이라고 불렸다. 젊은 요제프 하이든은 이 중 여러 곡을 작곡하도록 의뢰받았다.
2. 1. 3. 고전주의 시대
갈랑트 양식의 영향으로 더 가벼운 세레나데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실내악이 탄생했다. 18세기 후반, 많은 작곡가들이 대위법의 복잡성보다는 "더 얇은 질감과 명확하게 정의된 멜로디와 베이스"를 가진 새로운 갈랑트 양식을 선호했다.[4] 새로운 관습에 따라 실내악의 새로운 형태인 세레나데가 탄생했다. 후원자들은 저녁 콘서트를 위해 거리의 음악가들을 초대하여 집, 친구, 연인의 발코니 아래에서 연주하게 했다. 후원자들과 음악가들은 2~5, 6명의 연주자를 위한 춤곡과 멜로디 모음곡을 작곡하도록 의뢰했다. 이 작품들은 세레나데, 녹턴, 디베르티멘토 또는 카사치온(gasse=거리에서 유래)이라고 불렸다. 젊은 요제프 하이든은 이 중 여러 곡을 작곡하도록 의뢰받았다.[4]요제프 하이든은 현악 사중주를 비롯한 현대적 형태의 실내악을 창시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이든은 처음으로 실내악단에서 하프시코드를 제외했으며, 야외 연주용 세레나데를 연주하기 위해 새로운 악기를 썼다.[67] 그 까닭은 야외 연주를 하기 위해 하프시코드를 옮기기가 무척 힘들었기 때문이었다.[67]
18세기 내내 작곡가는 일반적으로 귀족의 고용인이었으며, 그가 작곡한 실내악은 귀족 연주자와 청취자의 즐거움을 위한 것이었다.[10] 예를 들어 하이든은 음악 애호가이자 아마추어 바리톤 연주가인 니콜라우스 1세 에스테르하지의 고용인이었으며, 하이든은 그를 위해 많은 현악 3중주곡을 작곡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첼리스트였던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를 위해 세 개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많은 현악 4중주곡은 후원자인 안드레이 라주모프스키 백작이 제2 바이올린으로 초연했다. 루이지 보케리니는 스페인 국왕을 위해 작곡했다.
하이든과 모차르트는 실내악에서 대화의 원리를 발전시켰으며, 특히 모차르트는 피아노를 사용한 실내악에 대화 원리를 적용한 최초의 작품들을 작곡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클라리넷을 실내악에 도입하고, 다양한 악기 조합을 시도하는 등 혁신적인 앙상블을 선보였다. 루이지 보케리니는 첼로에 독주적인 역할을 부여하는 혁신적인 현악 5중주를 작곡했다. 카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와 요한 밥티스트 반할 등도 이 시대의 인기 있는 실내악 작곡가였다.
유럽 전역에서 귀족의 쇠퇴와 새로운 사회 질서의 부상으로 인해 작곡가들은 점차 작곡을 판매하고 콘서트를 개최하여 돈을 벌어야 했다. 그들은 종종 홀을 빌리고 공연 수입을 모으는 구독 콘서트를 열었다. 그들은 점점 더 부유한 후원자뿐만 아니라 유료 청중을 위해 연주하는 전문 음악가를 위해 실내악을 작곡했다.
2. 1. 4. 19세기 낭만주의 시대
19세기 초, 현악기 제작자들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의 음색, 음량, 울림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제작 방식을 개발하면서 실내악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11] 활 제작자들은 바이올린 활을 더 길게 만들고, 머리카락 리본을 더 두껍게 제작하여 소리의 울림을 향상시켰다.[11] 루이 슈포어는 1820년에 턱받침을 발명하여 바이올린 연주자들이 왼손을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11] 이러한 변화는 대규모 공연장에서의 연주 효과를 높이고, 실내악 작곡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의 범위를 넓혔다.바로크 시대에 실내악의 주요 악기 중 하나였던 하프시코드는 섬세한 소리를 냈지만, 연주자가 건반을 연주하는 강도나 무게에 따라 음량이나 음색을 변화시킬 수 없었다.[12] 1700년대 초에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에 의해 발명된 피아노포르테는 1750년경부터 1700년대 후반까지 하프시코드를 대체하며 더 인기를 얻게 되었다.[12] 피아노포르테는 연주자가 건반을 얼마나 세게 또는 부드럽게 연주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소리와 날카로운 스포르찬도를 낼 수 있었다.[12] 개선된 피아노포르테는 모차르트와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 채택되었고, 피아노는 19세기를 거치면서 프란츠 리스트와 프레데리크 쇼팽과 같은 많은 작곡가들이 피아노 독주곡을 작곡할 정도로 지배적인 악기가 되었다.
2. 1. 5. 20세기 이후
20세기에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의 대규모 오케스트라에 대한 거부감으로 실내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67] 피아노 3중주, 현악 4중주, 현악 5중주 등 과거의 실내악 형식 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리와 독특한 악기를 조합한 소규모 집단의 관악기와 현악기의 혼합 합주가 중시되었고, 타악기나 성악이 더해지는 경우도 있었다.[67]12음 기법을 창시한 아르놀트 쇤베르크를 비롯하여 알반 베르크, 안톤 베베른 등은 조성 음악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실내악 작품들을 선보였다. 벨라 바르토크는 동유럽 및 중동 민속 음악을 연구하여 비대칭 리듬과 독특한 음계를 활용한 실내악 작품들을 작곡했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신고전주의 경향을 반영하여 바로크 시대와 초기 고전 시대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실내악 작품들을 남겼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는 15개의 현악 사중주를 비롯한 다양한 실내악 작품을 통해 20세기 사회의 불안과 개인의 고뇌를 표현했다. 존 케이지, 스티브 라이히 등은 테레민, 신시사이저와 같은 새로운 악기를 도입하거나, 연주 방식에 대한 새로운 지침을 제시하는 등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실내악의 영역을 확장했다.
2. 2. 한국 실내악의 역사
한국 전쟁 이후, 서양음악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들어오면서 실내악도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윤이상과 같은 작곡가들은 서양 악기를 사용하면서도 한국 전통 음악의 요소를 담아내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65]3. 일반적인 실내악 악기 편성
실내악은 연주자의 수에 따라 다양한 편성이 가능하다. 6중주 이상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연주자 수 | 악기 편성 예시 |
---|---|
6중주 (Sextet) | 펠릭스 멘델스존이 작곡한 피아노와 현을 위한 육중주곡이 있다. |
7중주 (Septet) | 다양한 악기 조합으로 연주 가능하다. |
8중주 (Octet) | 다양한 악기 조합으로 연주 가능하다. 펠릭스 멘델스존은 16세에 현악 팔중주, Op. 20을 작곡하여 주요 실내악 작품을 선보였다. |
9중주 (Nonet) | 다양한 악기 조합으로 연주 가능하다. |
10중주 (Dectet) | 다양한 악기 조합으로 연주 가능하다. |
3. 1. 2중주 (Duo, Duet)
3. 2. 3중주 (Trio)
피아노 트리오는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로 구성된다. 현악 3중주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된다. 플루트 3중주는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로, 목관 3중주는 플루트, 오보에, 바순으로 구성된다.[25] 현대 실내악 트리오3. 3. 4중주 (Quartet)
현악 4중주는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된다. 피아노 4중주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로 구성된다.[35]3. 4. 5중주 (Quintet)
현악 5중주는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로 구성된다. 피아노 5중주는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로 구성된다.[1] 목관 5중주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호른, 파곳으로 구성된다.[2]안토닌 드보르자크는 그의 실내악 작품에서 조국 보헤미아의 음악에 새로운 목소리를 불어넣었다. 그는 14개의 현악 사중주, 3개의 현악 5중주, 2개의 피아노 사중주, 1개의 현악 6중주, 4개의 피아노 3중주 및 수많은 다른 실내악 작품에서 민속 음악과 음계를 그의 작품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통합했다.[3] 예를 들어, 피아노 5중주 A장조, 작품 81의 느린 악장은 둠카로, 슬라브 민요 발라드로 느리고 표현적인 노래와 빠른 춤이 교차된다.[4]
3. 5. 6중주 이상
6중주(Sextet)는 펠릭스 멘델스존이 작곡한 피아노와 현을 위한 육중주곡이 있다. 7중주(Septet), 8중주(Octet), 9중주(Nonet), 10중주(Dectet) 등 다양한 악기 조합으로 연주가 가능하다. 멘델스존은 16세에 현악 팔중주, Op. 20을 작곡하여 주요 실내악 작품을 선보였다.4. 실내악 연주
실내악 연주는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분야이다. M. D. Herter Norton은 실내악 연주에서 "개인들은 ... 통일된 전체를 만들어야 하지만 개별적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독주자는 그 자체로 전체이며, 오케스트라에서는 개성이 숫자에 묻힌다..."라고 설명했다.[40]
4. 1. 연주 기법
실내악 연주는 전문적인 분야로, 교향악이나 독주 음악 연주에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많은 기술을 요구한다. M. D. Herter Norton은 실내악 연주에 대해 "개인들은 ... 통일된 전체를 만들어야 하지만 개별적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독주자는 그 자체로 전체이며, 오케스트라에서는 개성이 숫자에 묻힌다..."라고 썼다.[40]4. 2. 실내악 연주 단체
전문 실내악 연주 단체들은 정기적인 연주회를 통해 실내악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있다. 아마추어 실내악 동호회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주회, 워크숍, 캠프 등 다양한 형태로 실내악을 즐기고 있다.5. 실내악 관련 단체
한국페스티발앙상블, 서울바로크합주단, 클럽M 등 다양한 한국의 실내악 전문 연주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String Quartet and Society
[2]
서적
The Art of Teaching Music
Indiana University Press
[3]
문서
The String Quartet and Society
[4]
문서
[5]
간행물
Solos for a German Flute, a Hoboy or a Violin
John Walsh
[6]
공연
Trio sonata from The Musical Offering, BWV 1079
2001-06
[7]
문서
Haydn
[8]
서적
The String Quartet
Taylor & Francis
[9]
문서
Pianoforte and Strings
[10]
문서
[11]
서적
The Violin
2020-06
[12]
문서
The Pianoforte
[13]
문서
Beethoven: Beyond Classicism
[14]
문서
The Austro-Germanic quartet tradi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15]
문서
[16]
문서
Beethoven Quartet Audiences: Actual Potential, Ideal
[17]
문서
[18]
문서
[19]
음반
[20]
문서
Schubert
[21]
공연
Piano quintet Op. 44
http://traffic.libsy[...]
[22]
문서
Schumann
[23]
문서
The Austro-Germanic quartet tradition of the nineteenth century
[24]
문서
[25]
웹사이트
A Guide to Arranging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Harmoniemusik in an Historical Style
https://digital.libr[...]
2015-08
[26]
문서
2020-07
[27]
논문
Audience and style in nineteenth-century chamber music, c. 1830 to 1880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28]
서적
Chamber music: An essential history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9]
학술지
Historiography and Invisible Musics: Domestic Chamber Music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2010
[30]
학술지
Historiography and Invisible Musics: Domestic Chamber Music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2010-06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From chamber to concert hall
[35]
웹사이트
Neue Bahnen
http://webarchive.lo[...]
1853-10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문서
Debussy himself denied that he was an impressionist.
[40]
논문
[41]
웹사이트
Composer's Notes
http://www.boosey.co[...]
[42]
간행물
Awake
Stockhausen-Verlag
[43]
뉴스
A New Look at a Major Minimali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0-05-06
[44]
웹사이트
Robert Davine Interview with Bruce Duffie . . . . .
http://www.kcstudio.[...]
[45]
간행물
Flight of Fantasy
The Strad
2008-03
[46]
뉴스
Amateurs Help Keep Chamber Music Alive
https://www.npr.org/[...]
NPR
2005-08-27
[47]
웹사이트
Music industry and music lovers, beyond Benjamin: The return of the amateur
http://www.icce.rug.[...]
Soundscapes
1999-07
[48]
웹사이트
Music For The Love of It
https://web.archive.[...]
2017-12-12
[49]
웹사이트
ACMP {{!}} The Chamber Music Network
https://acmp.net/
2017-12-12
[50]
웹사이트
Simple Measures
https://web.archive.[...]
Simple Measures
2012-05-12
[51]
웹사이트
Storefront Strings: How the Providence Quartet built an Inner City Residency
https://web.archive.[...]
2012-05-12
[52]
라디오
Classical Music Sans Stuffiness
https://web.archive.[...]
2008-12-28
[53]
논문
[54]
논문
Playing quartets: the view from inside
[55]
논문
For a detailed discussion of problems of blending in a string quartet
[56]
논문
[57]
논문
Chamber Music Life
[58]
웹사이트
Spotlight on Ottawa Chamberfest
http://app01.ottawa.[...]
City of Ottawa
2011-05-30
[59]
웹사이트
Earsense Chamberbase Statistics
http://www.earsense.[...]
2012-05-12
[60]
문서
Key: vln – violin; vla – viola; vc – cello; cb – double bass; pno – piano; fl – flute; ob – oboe; Eng hrn – English horn; cl – clarinet; s. sax – soprano saxophone; a. sax – alto saxophone; t. sax – tenor saxophone; b. sax – baritone saxophone; bsn – bassoon; hrn – horn; tr – trumpet; trm – trombone
[61]
웹사이트
室内楽しつないがく chamber music英語 Kammermusikドイツ語 musique de chambreフランス語 musica da cameraイタリア語
https://kotobank.jp/[...]
2018-07-17
[62]
웹사이트
しつないがく【室内楽】
https://kotobank.jp/[...]
2018-07-17
[63]
웹사이트
しつない‐がく【室内楽】
https://kotobank.jp/[...]
2018-07-17
[64]
웹사이트
室内楽【しつないがく】
https://kotobank.jp/[...]
2018-07-17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