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안군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 시대에는 지반국,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과 흔량매현이었다. 신라 시대에는 부령현과 희안현으로, 고려 시대에는 보안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인 1416년에 부령현과 보안현을 통합하여 부안현이 되었다. 1895년 전주부 부안군으로, 1896년 전북 부안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고부군 일부를 편입했다. 2024년 1월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되었다. 부안군은 변산반도에 위치하며, 서해와 접하고, 위도를 포함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변산팔경, 내소사, 변산반도국립공원 등이 있으며, 부안마실축제, 곰소젓갈축제 등의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안군 - 부안마실축제
부안마실축제는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마실'이라는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의미를 살려 각 마을의 특색을 반영한 거리형 축제로, 2012년 시작되어 부안의 여러 장소를 거쳐 2024년부터는 부안해뜰마루 지방정원에서 주 행사가 진행되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관광지 연계 행사로 구성되어 전라북도 최우수 축제로 선정되기도 했다. - 부안군 - 변산반도
변산반도는 전라북도 부안군에 위치한 반도로, 변산이 솟아 있고 부안댐이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직소폭포, 적벽강, 변산해수욕장 등의 명소가 있으며, 지질은 중생대 화산암류와 격포리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무주군
무주군은 전라북도 동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서쪽의 산지가 많은 군으로, 금강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신라의 무풍과 백제의 주계를 합쳐 지명이 유래되었고, 태권도원, 덕유산 국립공원 등의 관광지와 축제가 열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순창군
순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군으로, 섬진강 유역의 순창분지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을 비롯한 장류가 유명하며, 강천산 군립공원과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부안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부안군 |
한글 표기 | 부안군 |
한자 표기 | 扶安郡 |
로마자 표기 | Buan-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Puan-gun |
지역 | 호남 |
방언 | 전라 |
면적 | 493.35 km² |
인구 | 48,299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103 명/km² |
행정 구역 | 1 읍, 12 면 |
읍면 | 부안읍 주산면 동진면 행안면 계화면 보안면 변산면 진서면 상서면 하서면 백산면 줄포면 |
상징 | |
![]() | |
![]() | |
군의 나무 | 은행나무 |
군의 꽃 | 진달래꽃 |
군의 새 | 비둘기 |
행정 | |
군수 | 권익현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을) |
군청 소재지 | 부안읍 당산로 91 (동중리)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부안군청 (한국어) 부안군청 (영어)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2. 역사
삼한 시대에는 마한(馬韓) 54개국 중 하나인 지반국(支半國)이었다.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皆火縣)과 '''흔량매현'''(欣良買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개화현은 '''부령현'''(扶寧縣)으로, 흔량매현은 '''희안현'''(喜安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부(古阜)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희안현을 '''보안현'''(保安縣)이라 하였으며, 별호(別號)를 낭주(浪州)라 하였다.
고려 말 부령현과 보안현에 각각 감무(監務)를 두었다.
1416년(조선 태종 16년) 10월: 부령현과 보안현을 '''부안현'''(扶安縣)이란 이름으로 합쳤다.
1417년 : 흥덕진(興德鎭)을 폐하여 부안에 귀속시켜 부안진(扶安鎭)이라 하였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전주부 '''부안군'''으로 개편하고, 위도면이 지도군에 편입되었다.[15]
1896년 8월 4일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으로 개편하였다.[16]
1914년 4월 1일 : 고부군(古阜郡)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을 편입하였다.[17] (10면)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부안군 | 동도면(東道面), 하동면(下東面) | 부령면(扶寧面) 일원 |
이도면(二道面), 일도면(一道面), 상동면(上東面) | 동진면 일원 | |
서도면(西道面), 남상면(南上面) | 행안면 일원 | |
남하면(南下面), 소산면(所山面) | 주산면 일원 | |
입상면(立上面), 입하면(立下面) | 보안면 일원 | |
좌산내면(左山內面), 우산내면(右山內面) | 산내면(山內面) 일원 | |
건선면(乾先面) | 건선면 일원 | |
상서면(上西面) | 상서면 일원 | |
하서면(下西面) | 하서면 일원 | |
고부군 | 백산면(白山面), 거마면(巨麻面), 덕림면(德林面) | 백산면 일원 |
1931년 7월 1일 : 건선면을 줄포면으로 개칭하였다.[18]
1943년 10월 1일 :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승격하였다.[19] (1읍 9면)
1963년 1월 1일 : 위도면이 전라남도 영광군으로부터 환원되었다. (1읍 10면)
1963년 7월 29일 : 산내면에 진서출장소가 설치되었다.[20]
1976년 9월 28일 : 행안면에 계화출장소가 설치되었다.[21]
1978년 : 계화도(界火島) 간척공사가 준공되어 39.68 km2의 면적이 늘어 났다.
1983년 2월 15일 : 행안면 계화출장소가 계화면으로, 산내면 진서출장소가 진서면으로 승격하였다. 동시에, 행안면사무소 본청 관할이던 궁안리와, 동진면 창북리·양산리, 하서면 의복리가 계화면에 편입되었다.(1읍 12면)
1987년 1월 1일 : 산내면을 변산면으로 개칭하였다.
2009년 1월 1일 : 진서면 진서리에서 곰소리를 분리하였다.[22]
2015년 11월 13일 : 새만금 1호 방조제의 행정구역이 부안군으로 결정 공고 되었다.[23]
2016년 6월 : 새만금 1호 방조제 890,731.3m2(28필지)를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편입하였다.[24][25]
2024년 1월 18일: 전라북도가 폐지되고 전북특별자치도가 설치되어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되었다.
2. 1. 삼한 시대 이전
삼한 시대에는 마한 54개국 중 하나인 지반국(支半國)이었다.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皆火縣)과 '''흔량매현'''(欣良買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개화현은 '''부령현'''(扶寧縣)으로, 흔량매현은 '''희안현'''(喜安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부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희안현을 '''보안현'''(保安縣)이라 하고 별호(別號)를 낭주(浪州)라 하였다. 고려 말 부령현과 보안현에 각각 감무(監務)를 두었다. 1416년(조선 태종 16년) 10월 부령현과 보안현을 합쳐 '''부안현'''(扶安縣)이라 하였다. 1417년 흥덕진(興德鎭)을 폐하여 부안에 귀속시켜 부안진(扶安鎭)이라 하였다.2. 2. 삼국 시대
삼한 시대에 부안군 지역은 마한(馬韓) 54개국 중 지반국(支半國)이었다.[15][16]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皆火縣)과 '''흔량매현'''(欣良買縣)이 있었다.[15][16]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개화현은 '''부령현'''(扶寧縣)으로, 흔량매현은 '''희안현'''(喜安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부(古阜)의 속현이 되었다.[15][16]2. 3. 고려 시대
삼한 시대 마한(馬韓) 54개국 중 지반국(支半國)이,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皆火縣)과 '''흔량매현'''(欣良買縣)이 위치했다.[15]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개화현은 '''부령현'''(扶寧縣)으로, 흔량매현은 '''희안현'''(喜安縣)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부(古阜)의 속현이 되었다.[15][16]고려 시대에는 희안현이 '''보안현'''(保安縣)으로 바뀌고 별호(別號)를 낭주(浪州)라 하였다. 고려 말에는 부령현과 보안현에 각각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17]
2. 4. 조선 시대
삼한 시대 마한(馬韓) 54개국 중 지반국(支半國)이었다.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皆火縣)과 '''흔량매현'''(欣良買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개화현을 '''부령현'''(扶寧縣), 흔량매현을 '''희안현'''(喜安縣)으로 고치고 고부(古阜)의 속현으로 삼았다. 고려 시대에는 희안현을 '''보안현'''(保安縣)이라 하고 별호(別號)를 낭주(浪州)라 하였다. 고려 말 부령현과 보안현에 각각 감무(監務)를 두었다.1416년(조선 태종 16년) 10월 부령현과 보안현을 '''부안현'''(扶安縣)으로 합쳤다. 1417년 흥덕진(興德鎭)을 폐하여 부안에 귀속시켜 부안진(扶安鎭)이라 하였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조선 세종 5년(1423년)에는 치소를 첨절제사에서 현감으로 바꾸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부안군'''으로 개편하고, 위도면이 지도군에 편입되었다.[15] 1896년 8월 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으로 개편하였다.[16]
:
※ 대동여지도상의 부안군 |
2. 5.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고부군(古阜郡)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을 편입하고, 옥구군으로 비안도를 이관하여 부안군을 설치하였다.(10면)[17] 이때 부령면, 주산면, 동진면, 행안면, 보안면, 산내면, 백산면, 상서면, 하서면, 건선면이 설치되었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부안군 | 동도면(東道面), 하동면(下東面) | 부령면(扶寧面) 일원 |
이도면(二道面), 일도면(一道面), 상동면(上東面) | 동진면 일원 | |
서도면(西道面), 남상면(南上面) | 행안면 일원 | |
남하면(南下面), 소산면(所山面) | 주산면 일원 | |
입상면(立上面), 입하면(立下面) | 보안면 일원 | |
좌산내면(左山內面), 우산내면(右山內面) | 산내면(山內面) 일원 | |
건선면(乾先面) | 건선면 일원 | |
상서면(上西面) | 상서면 일원 | |
하서면(下西面) | 하서면 일원 | |
고부군 | 백산면(白山面), 거마면(巨麻面), 덕림면(德林面) | 백산면 일원 |
1931년 7월 1일 건선면을 줄포면으로 개칭하였고,[18] 1943년 10월 1일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승격하였다.[19]
2. 6. 대한민국
삼한 시대에 마한(馬韓) 54개국 중 지반국(支半國)이었다.[15] 백제 시대에는 '''개화현'''(皆火縣)과 '''흔량매현'''(欣良買縣)이었다.[15][16]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개화현을 '''부령현'''(扶寧縣), 흔량매현을 '''희안현'''(喜安縣)으로 고치고 고부(古阜)의 속현이 되었다.[15][16] 고려 시대에는 희안현을 '''보안현'''(保安縣)이라 하고 별호(別號)를 낭주(浪州)라 하였다.[15][16] 고려 말 부령현과 보안현에 각각 감무(監務)를 두었다.[15][16]1416년(조선 태종 16년) 10월 부령현과 보안현을 '''부안현'''(扶安縣)으로 합쳤다.[15][16] 1417년 흥덕진(興德鎭)을 폐하여 부안에 귀속시켜 부안진(扶安鎭)이라 하였다.[15][16]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부안군'''으로 개편하고, 위도면이 지도군에 편입되었다.[15] 1896년 8월 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으로 개편하였다.[16]
1914년 4월 1일 고부군(古阜郡)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을 편입하였다.[17]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부안군 | 동도면(東道面), 하동면(下東面) | 부령면(扶寧面) 일원 |
이도면(二道面), 일도면(一道面), 상동면(上東面) | 동진면 일원 | |
서도면(西道面), 남상면(南上面) | 행안면 일원 | |
남하면(南下面), 소산면(所山面) | 주산면 일원 | |
입상면(立上面), 입하면(立下面) | 보안면 일원 | |
좌산내면(左山內面), 우산내면(右山內面) | 산내면(山內面) 일원 | |
건선면(乾先面) | 건선면 일원 | |
상서면(上西面) | 상서면 일원 | |
하서면(下西面) | 하서면 일원 | |
고부군 | 백산면(白山面), 거마면(巨麻面), 덕림면(德林面) | 백산면 일원 |
1931년 7월 1일 건선면을 줄포면으로 개칭하였다.[18] 1943년 10월 1일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승격하였다.[19] 1963년 1월 1일 전라남도 영광군으로부터 위도면이 환원되었다.[5][20] 1976년 9월 28일 행안면에 계화출장소가 설치되었다.[21] 1978년 계화도(界火島) 간척공사가 준공되어 39.68 km2의 면적이 늘어났다.
1983년 2월 15일 행안면 계화출장소가 계화면으로, 산내면 진서출장소가 진서면으로 승격하였다. 동시에, 행안면사무소 본청 관할이던 궁안리와, 동진면 창북리·양산리, 하서면 의복리가 계화면에 편입되었다.[20] 1987년 1월 1일 산내면을 변산면으로 개칭하였다.[20] 2009년 1월 1일 진서면 진서리에서 곰소리를 분리하였다.[22] 2015년 11월 13일 새만금 1호 방조제의 행정구역이 부안군으로 결정 공고 되었다.[23] 2016년 6월 새만금 1호 방조제 890,731.3m2(28필지)를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편입하였다.[24][25] 2024년 1월 18일 전라북도가 폐지되고 전북특별자치도가 설치되어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되었다.
3. 지리
부안군은 전북특별자치도의 중서부 변산반도에 위치하는 군이다.
서쪽이 황해에 접해 있으며, 동쪽은 정읍시와 북쪽은 동진강 하구를 경계로 김제시와 남쪽은 곰소만을 경계로 고창군과 인접한다. 서쪽 끝은 황해로 위도, 식도, 정금도, 거륜도, 상왕등도, 하왕등도 등의 섬이 있다.[27]
황해에 면해 있으며, 황해에 떠 있는 위도도 군 지역에 포함된다. 남부는 황해로 돌출된 반도(변산반도)이며, 산이 많다. 북부에는 간척지를 포함한 넓은 평야가 펼쳐진다. 연안 일대의 갯벌은 2010년 남쪽 이웃인 고창군의 갯벌과 함께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0]
또한, 군 북서부에 접한 해역에서는 한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간척 사업인 새만금 간척 사업이 진행 중이다.
3. 1. 기후
부안군의 기후는 온화하며, 연평균 기온은 12.9℃이다.[28][29]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이 25.9℃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이 -0.2℃이다.[28][29] 연간 강수량은 1238.0mm이며, 7월에 275.5mm로 가장 많은 비가 내린다.[28][29] 1월에는 31.7mm로 강수량이 가장 적다.[28][29]
역대 최고 기온은 1994년 8월 13일에 기록된 38.0℃[11][12]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81년 1월 27일에 기록된 -22.6℃이다.[11][12]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 | 4.5 | 6.7 | 11.8 | 17.9 | 23.2 | 26.6 | 29.7 | 30.6 | 26.6 | 21.1 | 14.1 | 7.0 | 18.3 |
평균 기온 (℃) | -0.2 | 1.6 | 5.9 | 11.5 | 17.1 | 21.5 | 25.3 | 25.9 | 21.2 | 14.9 | 8.5 | 2.1 | 12.9 |
평균 최저 기온 (℃) | -4.5 | -2.9 | 0.7 | 6.0 | 12.0 | 17.6 | 22.0 | 22.3 | 16.7 | 9.4 | 3.5 | -2.4 | 8.4 |
강수량 (mm) | 31.7 | 36.4 | 47.3 | 80.0 | 84.9 | 131.8 | 275.5 | 260.3 | 139.4 | 56.0 | 52.3 | 42.4 | 1238.0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9.9 | 7.1 | 7.7 | 8.0 | 7.9 | 8.8 | 14.0 | 12.7 | 8.3 | 6.5 | 8.5 | 10.7 | 110.1 |
평균 상대 습도 (%) | 74.3 | 70.9 | 68.9 | 67.9 | 70.4 | 75.8 | 80.4 | 79.0 | 76.8 | 73.0 | 71.9 | 74.2 | 73.6 |
월간 일조시간 | 150.2 | 167.5 | 210.5 | 225.9 | 241.0 | 198.4 | 172.1 | 200.2 | 196.3 | 202.7 | 156.5 | 138.3 | 2259.6 |
4. 행정 구역
부안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안군의 면적은 493.35 km2이고,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6086 명, 2만7628 가구이다. 군의 전체 주민 중 38%가 부안읍에 거주한다.[26]
읍면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부안읍 | 扶安邑 | 24.79 | 21,688 | 9,247 |
주산면 | 舟山面 | 24.73 | 2,250 | 1,189 |
동진면 | 東津面 | 39.35 | 3,278 | 1,757 |
행안면 | 幸安面 | 20.12 | 2,503 | 1,254 |
계화면 | 界火面 | 49.09 | 3,920 | 2,006 |
보안면 | 保安面 | 41.45 | 2,690 | 1,509 |
변산면 | 邊山面 | 85.16 | 4,803 | 2,431 |
진서면 | 鎭西面 | 39.72 | 2,590 | 1,389 |
백산면 | 白山面 | 36.48 | 2,792 | 1,596 |
상서면 | 上西面 | 51.49 | 2,422 | 1,298 |
하서면 | 下西面 | 43.22 | 2,977 | 1,588 |
줄포면 | 茁浦面 | 23.16 | 2,904 | 1,580 |
위도면 | 蝟島面 | 14.28 | 1,269 | 784 |
부안군 | 扶安郡 | 493.04 | 56,086 | 27,628 |
각 읍면의 법정리 정보는 부안군청 홈페이지의 세부 정보를 참고하기 바란다.
5. 지질
부안군은 경기육괴와 옥천대의 경계 남서단에 위치한다.
이 지역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변성된 편마암, 중생대 쥐라기 관입된 화강암, 그리고 중생대 백악기의 변산반도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리 신송림 마을 지역에서는 블록형의 흑운모 편마암이 습곡된 양상을 보인다. 이 지역에서는 쥐라기 반상화강암(Jpgr), 흑운모 화강암(Jbgr), 그리고 백악기 백련리 유문암(Kbbr)이 흑운모 편마암에 관입하며, 장신리 서쪽에서는 백악기 장신리층(Kj)과 단층을 통해 접촉한다. 장신리와 귀복면 의복리 사이의 석불산 북쪽 숲길을 따라서는 소규모의 흑운모 편마암이 반상화강암체 내에 포획되어 있다.
부안군 동부의 평야 지역에는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이 넓게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익산, 김제, 정읍, 고창 지역까지 뻗어 있다. 대보 화강암은 하서면 석불산 북서쪽, 동진면, 행안면, 부안읍, 백산면, 주산면, 줄포면의 거의 모든 지역, 그리고 보안면 동부에 분포한다.
부안군 위도면의 대섬, 소섬, 임수도, 생달여와 같은 무인도 지역에서는 편마상 토날라이트(Oft)가 독립적인 암체로 분포한다. 암석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노두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다. 지르콘의 206Pb/238U 연령은 451.6±4.7 Ma이며, 이는 후기 오르도비스기(카티안절)의 형성 시기를 나타낸다.
부안군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인 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PPrbgn)은 해서면 장신리와 청호리 남동부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익산 지역에서 같은 암석에 관입한 다른 암석의 저어콘을 분석한 결과 약 18억 년의 연령이 밝혀져, 이 암석의 지질 시대는 고원생대로 추정된다.
변산면 격포리 격포항 북쪽 해안에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 천매암의 노두(암석이나 지층이 지표에 드러나 있는 부분)가 잘 드러난다. 편마암은 화강암이 변성 작용을 받은 정편마암에 백색 화강암질 물질이 관입하는 변성 작용을 거친 것이며, 천매암은 진흙과 모래 성분이 섞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 지역에는 혼성암화 및 화강암화 작용을 받은 준편마암도 함께 나타난다. 편마암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은 석영, 정장석, 이암, 사장석, 흑운모, 백운모 등이다.
부안읍 남포리와 우동리 동부(망월봉과 감투봉 사이)에는 고원생대 편마암이 소량 분포한다. 편마암 분포 지역 동쪽에는 부안 화산암류인 천마산 응회암이 부정합으로 놓여 있으며, 서쪽에는 단열된 각력암이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석포 응회암과 우동재 응회암은 단층을 통해 편마암과 접촉한다.
5. 1. 선캄브리아기
부안군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인 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PPrbgn)은 해서면 장신리와 청호리 남동부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익산 지역에서 같은 암석에 관입한 다른 암석의 저어콘을 분석한 결과 약 18억 년의 연령이 밝혀져, 이 암석의 지질 시대는 고원생대로 추정된다.변산면 격포리 격포항 북쪽 해안에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 천매암의 노두(암석이나 지층이 지표에 드러나 있는 부분)가 잘 드러난다. 편마암은 화강암이 변성 작용을 받은 정편마암에 백색 화강암질 물질이 관입하는 변성 작용을 거친 것이며, 천매암은 진흙과 모래 성분이 섞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 지역에는 혼성암화 및 화강암화 작용을 받은 준편마암도 함께 나타난다. 편마암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은 석영, 정장석, 이암, 사장석, 흑운모, 백운모 등이다.
부안면 남포리와 우동리 동부(망월봉과 감투봉 사이)에는 고원생대 편마암이 소량 분포한다. 편마암 분포 지역 동쪽에는 부안 화산암류인 천마산 응회암이 부정합으로 놓여 있으며, 서쪽에는 단열된 각력암이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석포 응회암과 우동재 응회암은 단층을 통해 편마암과 접촉한다.
5. 2.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부안군 위도면의 대섬, 소섬, 임수도, 생달여와 같은 무인도 지역에서는 편마상 토날라이트(Oft)가 독립적인 암체로 분포한다. 암석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노두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다. 지르콘의 206Pb/238U 연령은 451.6±4.7 Ma이며, 이는 후기 오르도비스기(카티안절)의 형성 시기를 나타낸다.5. 3. 중생대 쥐라기
부안군 동부의 평야 지역에는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이 넓게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익산, 김제, 정읍, 고창 지역까지 뻗어 있다. 대보 화강암은 하서면 석불산 북서쪽, 동진면, 행안면, 부안읍, 백산면, 주산면, 줄포면의 거의 모든 지역, 그리고 보안면 동부에 분포한다.6. 교통
부안 버스터미널은 서울, 대전, 광주로 가는 직행 노선과 전라북도 내 전주, 김제, 익산, 군산, 정읍, 고창 등으로 가는 노선을 제공한다. 가장 가까운 기차역은 호남선의 김제역이다.
서해안고속도로의 군산 나들목과 부안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23호선과 국도 제30호선이 부안군을 지난다.
6. 1. 도로
서해안고속도로의 군산 나들목과 부안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23호선과 국도 제30호선이 부안군을 지난다.6. 2. 대중교통
7. 문화·관광
'''변산팔경'''
- 웅연조대
- 직소폭포
- 소사모종
- 월명무애
- 서해낙조
- 채석범주
- 지포신경
- 개암고적
'''박물관'''
- 석정문학관
- 휘목미술관
'''사찰'''
- 내소사
- 개암사
- 변산반도국립공원
'''축제'''
부안마실축제가 열린다. 곰소젓갈축제와 개암동벗꽃축제도 열린다. 부안노을아트페스티벌도 개최된다.
'''관광지'''
변산반도는 전북특별자치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변산반도 격포항에서 서쪽으로 14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변산팔경(邊山八景)으로는 웅연조대, 직소폭포, 소사모종, 월명무애, 서해낙조, 채석범주, 지포신경, 개암고적이 있다.
석정문학관, 휘목미술관등의 박물관이 있다.
내소사, 개암사등의 사찰과 변산반도국립공원이 있다.
'''관내 어항'''
부안군에는 국가어항, 지방어항, 어촌정주어항이 있다. 국가어항으로는 격포항, 위도항이 있다. 지방어항으로는 상왕등도항, 궁항항, 식도항, 송포항, 성천항이 있다. 어촌정주어항으로는 도청항, 모항항, 왕포항, 대리항, 벌금항이 있다.
7. 1. 축제
부안마실축제가 열린다. 곰소젓갈축제와 개암동벗꽃축제도 열린다. 부안노을아트페스티벌도 개최된다.7. 2. 관광지
변산반도는 전북특별자치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변산반도 격포항에서 서쪽으로 14km 거리에 위치해 있다.변산팔경(邊山八景)으로는 웅연조대, 직소폭포, 소사모종, 월명무애, 서해낙조, 채석범주, 지포신경, 개암고적이 있다.
석정문학관, 휘목미술관등의 박물관이 있다.
내소사, 개암사등의 사찰과 변산반도국립공원이 있다.
7. 3. 관내 어항
부안군에는 국가어항, 지방어항, 어촌정주어항이 있다. 국가어항으로는 격포항, 위도항이 있다. 지방어항으로는 상왕등도항, 궁항항, 식도항, 송포항, 성천항이 있다. 어촌정주어항으로는 도청항, 모항항, 왕포항, 대리항, 벌금항이 있다.8. 출신 인물
부안군 출신 인물로는 박병호가 있다.
9. 자매 도시·우호 도시
부안군은 대한민국 내 여러 도시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와 자매결연 및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우호 도시는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동대문구와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9. 1. 자매 도시
부안군은 대한민국 내 여러 도시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와 자매결연 및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우호 도시는 다음과 같다.
9. 2. 우호 도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동대문구와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INTRODUCTION > Status{{!}} BuanGUN
http://www.buan.go.k[...]
[3]
웹사이트
부안군
http://encykorea.aks[...]
[4]
서적
Edict No.98 地方制度改正件 The Annals of King Gojong
1895-05-26
[5]
웹사이트
위도(蝟島)
http://encykorea.aks[...]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웹사이트
Gochang and Buan Tidal Flat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0-12-13
[11]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안(243)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1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안(243)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기타
[15]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16]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령
도령 제22호
1931-06-13
[1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20]
법령
부안군 조례 제58호
[21]
법령
부안군 조례 제384호
[22]
법령
군조례 제1877호 리의하부조직운영에관한조례
2008-11-26
[23]
공고
행정자치부 공고 제2015-319호 매립지 등이 속할 지방자치단체 결정 공고
http://www.mois.go.k[...]
2015-11-13
[24]
뉴스
새만금방조제 전 구간 지적등록 완료
http://www.domin.co.[...]
[25]
웹인용
새만금방조제 지번 부여 논란…군산 반발, 김제시는 환영
http://www.hani.co.k[...]
2016-06-21
[2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www.mois.go.k[...]
행정안전부
2018-07-07
[27]
간행물
부안군 통계연보, 2009 토지 및 기후
[28]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안(24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9]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안(24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