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견은 과학, 교육, 탐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과학에서 발견은 새로운 현상, 행위 또는 사건의 관찰을 통해 이루어지며, 입자 물리학 분야에서는 5 시그마 수준의 확실성을 발견의 기준으로 삼는다.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 및 교사 관찰을 통해 학생의 학습 발달과 교사의 교육 방식을 평가하고 개선한다. 탐험과 관련하여, '발견'이라는 용어는 서구 문화에서 토지와 사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탐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토착민들에게는 거부감을 주며 식민주의를 영속화하는 개념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재발견은 이미 알려진 것에서 새로운 측면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하며, 발견은 인정과 재해석을 거쳐 사회적으로 의미를 갖게 된다.

2. 과학에서의 발견

과학상의 발견은 일반적으로 해당 내용을 기술한 논문의 공개를 통해 공식적으로 성립한다. 중요한 발견은 발견자의 주요 업적으로 인정되기에, 때로는 선취권을 둘러싼 경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혁신적인 발견의 경우, 다른 연구자들의 검증과 추인을 거쳐야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는 경우가 많다.

2. 1. 과학적 발견의 과정

과학 분야에서 발견은 이전에 얻은 과학적 증거를 통해 수집된 지식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현상, 행위 또는 사건의 관찰이다. 발견은 관찰적 증거를 제공하고 어떤 현상에 대한 초기적이고 대략적인 이해를 개발하려는 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입자 물리학 분야에서는 발견을 정의하기 위한 엄격한 기준이 있는데, 바로 표준 편차 5 시그마 수준의 확실성이다.[1] 이 수준은 통계적으로 실험 결과가 우연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낮은지를 나타낸다. 5 시그마 수준의 확실성과 다른 실험에 의한 독립적인 확인이 이루어져야 비로소 받아들여지는 발견이 된다.[1]

사람이 발견할 때는 "왜?" 또는 "어째서?"와 같은 질문에서 비롯되는 호기심이나 지적 흥분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무엇을 발견으로 간주할지는 그 대상과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물의 경우, 예를 들어 명왕성처럼 이전에는 아무도 인지하지 못했던 것을 찾아내는 것이 발견이다. 그러나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이미 그곳에 살고 있던 원주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유럽 문명의 관점에서 '발견'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특정 문명 중심의 시각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오래되어 잊힌 유적의 발굴 등은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된다.

생물학에서의 신종 발견은 또 다른 측면을 가진다. 단순히 새로운 종을 찾아내는 것만으로는 학술적인 발견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발견된 생물이 기존에 알려진 종들과 어떻게 관련되고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지 분류학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신종 기재 논문이 발표되어야 공식적으로 신종으로 인정받는다. 발견자가 반드시 이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발견자의 이름이 남지 않을 수도 있지만, 발견자의 공로를 기려 헌명되는 경우도 많다.

2. 2. 과학적 발견의 윤리적 문제

과학적 발견은 인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유전자 조작 기술이나 인공지능 기술 등은 생명 윤리나 사회적 형평성과 같은 문제들과 관련하여 깊은 사회적 논의를 필요로 한다.

과학기술의 발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기술 발전의 혜택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3. 교육에서의 발견

교육 분야에서 발견은 주로 관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찰은 교사가 학생을 관찰하는 경우와 다른 전문가가 교사를 관찰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학생 관찰은 교사가 학생의 학습 및 인지 발달 수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교사 관찰은 관리자가 교사의 교수 방법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된다.[2] 관찰은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더 나은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교육 당국은 교사들이 따라야 할 기준을 설정하고, 교사 관찰을 통해 긍정적인 교실 환경 조성을 지원한다.[3][4]

3. 1. 학생 관찰

교육 분야에서 발견은 주로 관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교사는 학생이 학습 과정에서 발달적으로나 인지 발달적으로 어느 단계에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학생을 관찰한다.

교사는 교실에서 하루 종일 학생들을 관찰하며, 이는 비공식적이거나 공식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학생 관찰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관찰 방법
체크리스트
일화 기록
비디오 녹화
인터뷰
서면 과제
평가



이러한 관찰을 통해 교사는 학생이 수업 내용을 어느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관찰 결과는 교사가 교실 상황에 맞게 필요한 조정을 하고 각 학생에게 더 적합한 교육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관찰은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기초가 되기도 한다. 학생들이 교사와 좋은 관계를 맺으면 교실에서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느끼며, 배우려는 의지와 열망이 커진다.[2] 결과적으로 학생 관찰은 더 나은 학습 스타일과 긍정적인 교실 분위기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3. 2. 교사 관찰

교육 시스템에서 정부 관료들은 교사들이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지침으로 따라야 할 다양한 학업 기준을 설정한다. 교사들은 또한 긍정적인 교실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관리자들로부터 관찰을 받는다. 교사 관찰은 관리자가 교사가 가르치는 방식과 학생을 대하는 방식 측면에서 목표를 잘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는 교실 평가 채점 시스템(CLASS,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도구이다. 이 도구 사용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50개 이상의 연구에서 CLASS 점수가 높은 교실의 학생들이 더 나은 학업 및 사회적 결과를 얻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3][4] 이 도구는 긍정적인 교실 환경 조성, 학생들의 관점 존중, 행동 관리 기술, 피드백의 질, 언어 모델링에 중점을 둔다. 관리자는 10개의 각 범주를 1점에서 7점 척도로 평가하며, 1점은 가장 낮은 점수이고 7점은 교사가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점수이다.

4. 탐험과 발견

역사적으로 '탐험'과 '발견'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행위를 넘어, 특정 문화권의 관점과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서구 문화는 자국의 역사 서술에서 "발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발견 교리와 같은 논리로 다른 민족의 땅과 자원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탐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5][6][7][8] 이는 대항해 시대나 신세계 탐험, 나아가 우주 탐사를 "뉴 프론티어"로 칭하는 등 여러 개척주의적 시도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발견'이라는 표현은 해당 지역에 이미 살고 있던 토착민들에게는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들의 입장에서는 외부인의 도래가 일방적인 '발견'이 아니라 상호적인 최초 접촉이었으며, '발견'이라는 용어 자체가 식민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9] 이러한 배경에서 '발견'이나 '대항해 시대' 대신 '접촉', '접촉 시대'[10] 또는 '접촉기'[11]와 같은 대안적인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무엇을 '발견'으로 간주할지는 그 대상에 따라 다소 다르게 적용된다.


  • 사물: 지금까지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던 것을 처음으로 찾아내는 경우, 비교적 명확하게 발견으로 인정된다. 예를 들어 천문학에서의 명왕성 발견이 이에 해당한다.
  • 지역: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처럼, 특정 문명(여기서는 유럽 문명)의 입장에서 처음으로 인지하게 된 경우를 '발견'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비록 그곳에 이미 원주민이 살고 있었거나 다른 문명권에 알려져 있었다 하더라도, 특정 문명의 관점에서 '발견'으로 기록되는 것이다. 이는 종종 특정 문명 중심의 주관적인 판단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오래되어 잊힌 유적의 발굴 등은 다소 예외적인 경우로 볼 수 있다.
  • 생물: 생물학에서의 신종 발견은 또 다른 양상을 띤다. 단순히 새로운 종을 처음 보았다는 사실만으로는 공식적인 '발견'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발견된 생물이 기존에 알려진 종들과 어떻게 다르고 어떤 분류학적 위치를 차지하는지에 대한 분류학자의 연구와 신종 기재 논문 발표를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생물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반드시 신종의 공식적인 '발견자'로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연구에 기여한 학자나 다른 인물의 이름이 헌명되는 경우도 많다.

4. 1. 발견과 관련된 용어

서구 문화는 역사적으로 "발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발견 교리를 통해 토지와 사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세계사에서 탐험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5][6][7][8] 예를 들어,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럽인들이 새로운 항로와 대륙을 탐험한 시기를 일컫는 "대항해 시대", 아메리카 대륙 등을 지칭하는 신세계, 그리고 우주 탐사 등 새로운 영역이나 미개척 분야를 의미하는 "뉴 프론티어"와 같은 개척주의적 노력에서 이러한 용어 사용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견'이라는 용어는 많은 토착민들에게 거부되어 왔다. 그들의 관점에서 이는 일방적인 발견이 아니라 상호적인 최초 접촉이었으며, "발견"이라는 용어 자체가 식민주의를 정당화하고 영속화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발견 교리[9]나 특정 국가의 주권이 미치지 않는 지역을 의미하는 '무주지' (주인 없는 땅)와 같은 개념은 서구 열강이 식민지 확장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때문에 '발견'이나 '대항해 시대' 대신, 지역적 맥락이나 대안적 관점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권이 처음 만나 교류하기 시작한 시기를 가리키는 '접촉', '접촉 시대'[10] 또는 '접촉기'[11]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4. 2. 발견의 재해석

서구 문화는 역사적으로 "발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발견 교리를 통해 특정 토지와 사람들에 대한 권리를 주장해왔다. 이는 대항해 시대, 신세계 탐험, 심지어 "뉴 프론티어"와 같은 우주 탐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개척주의적 시도에서 나타나며, 세계사에서 탐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5][6][7][8]

이러한 맥락에서 '발견'은 한 문화권의 사람들이 다른 문화권의 지리적, 문화적 환경에 처음으로 도달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 사용은 해당 지역에 이미 거주하고 있던 많은 토착민들에게 비판받아 왔다. 토착민들의 관점에서 이는 '발견'이 아니라 최초 접촉이었으며, '발견'이라는 용어 자체가 식민주의를 정당화하고 영속화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이는 발견 교리[9]나 ''무주지''(주인 없는 땅)와 같은 개척주의적 사상과 연결된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이 대표적인 예시다. 이는 유럽 문명의 관점에서의 '발견'일 뿐, 이미 원주민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다른 문명권에 알려져 있었을 수도 있는 장소였다. 이처럼 특정 문명, 특히 서구 문명이 어떤 장소나 사실을 인지하게 된 시점을 '발견'으로 규정하는 것은 서구 중심적인 주관적 판단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발견'이나 '대항해 시대' 대신 '접촉', '접촉 시대'[10] 또는 '접촉기'[11]와 같은 보다 중립적이거나 상호적인 관점을 반영하는 용어들이 대안적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이는 과거의 일방적인 '발견' 서사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문화 간의 만남과 그 영향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5. 발견과 인정

과학 분야에서 발견이란 이전에 얻은 과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새로운 현상, 행위, 사건 등을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견은 주로 관찰을 통해 증거를 확보하고, 어떤 현상에 대한 초기 이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입자 물리학과 같은 분야에서는 발견으로 인정받기 위한 엄격한 기준이 있는데, 바로 5 시그마 수준의 확실성이다.[1] 이 기준은 실험 결과가 통계적으로 우연히 발생했을 가능성이 얼마나 낮은지를 나타낸다. 5 시그마 수준의 확실성과 함께 다른 연구자들의 독립적인 확인이 이루어져야 비로소 공식적인 발견으로 인정받게 된다.[1]

일반적으로 과학적 발견은 해당 내용을 상세히 기술한 논문의 발표를 통해 공식적으로 성립된다. 중요한 발견은 발견자의 중요한 업적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때로는 누가 먼저 발견했는지를 두고 선취권 다툼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새로운 발견의 경우,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그 가치가 확인되고 인정받는 과정이 중요하다. 다른 연구자들의 지지와 검증 없이는 발견으로 온전히 인정받기 어려울 수 있다.

6. 재발견

발견이 '''새로운''' 사물이나 현상을 처음 찾아내는 것이라면, 재발견은 이미 알려져 있던 것들 속에서 이전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새로운 측면을 '''다시'''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발견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단지 같은 것을 다시 발견한''" 경우도 존재한다. 과학사에서 멘델의 법칙 재발견이 이러한 예외적인 사례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참조

[1] 뉴스 Higgs boson: Excitement builds over 'glimpses' at LHC https://www.bbc.co.u[...] 2011-12-12
[2] 간행물 Taking it all in: Observation in the classroom https://www.isbe.net[...] 2009
[3] 서적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 manual, toddler https://trove.nla.go[...]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12
[4] 문서 Exploring the promise of the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 https://info.teachst[...] Teachstone 2018
[5] 웹사이트 The racist language of space exploration https://theoutline.c[...] 2018-08-14
[6] 웹사이트 When discussing Humanity's next move to space, the language we use matters. https://blogs.scient[...] 2015-03-26
[7] 웹사이트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talk about space exploration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8-11-09
[8] 논문 Development and imperialism in space https://www.research[...] 1995-02
[9] 문서 “Preliminary Study of the Impact on Indigenous Peoples of the International Legal Construct Known as the Doctrine of Discovery.” https://undocs.org/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2010
[10] 웹사이트 Age of Contact https://texasourtexa[...] PBS
[11]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Archaeology Springer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