밧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밧켄주는 1999년 오시주의 최서단 지역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키르기스스탄의 주이다. 타지키스탄에 기지를 둔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IMU)의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1999년과 2000년에 IMU의 납치 사건, 2021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분쟁 등 국경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를 겪었다. 밧켄주는 행정적으로 3개의 주 직할시와 3개의 구로 나뉘며, 소흐, 보루흐 등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월경지를 포함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인구는 548,247명이며, 키르기스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안전 문제로 관광이 제한적이었으나, 최근 관광 개발 노력으로 외국인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밧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위치 | 키르기스스탄 |
수도 | 바트켄 |
면적 | 17048 km² |
인구 (2023년 1월 1일 기준) | 570,898명 |
시간대 | 키르기스스탄 시간 (UTC+6) |
ISO 3166-2 코드 | KG-B |
차량 번호판 | A |
구글 지도 검색어 | 바트켄 |
행정 구역 | |
군 | 3개 |
시 | 6개 |
읍 | 1개 |
촌락 | 198개 |
정치 | |
주지사 | 마마트 아이발라예프 |
기타 | |
로마자 표기 | Batken oblusu |
2. 역사
밧켄주는 1999년 10월 15일 오시주의 최서단 지역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3][4] 이는 타지키스탄에 기지를 둔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IMU)의 활동에 대한 대응이었다. 1999년과 2000년에는 IMU에 의한 납치사건으로 키르기스 군인 49명이 사망했다. 2006년 5월에는 타지크 국경 초소에 대한 공격이 있었는데, 이는 마약 밀매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에는 수자원 권리를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하여 최소 55명이 사망하고 277명이 부상당했다.[5]
이 지역은 이슬람 탄압의 대상이 되어 왔다. 2023년 10월에는 정부에 의해 37개의 모스크와 학교가 폐쇄되었다.[6] 이는 오시주에서 60개의 모스크와 종교 학교가 급습으로 폐쇄된 직후에 일어난 일이다.
2. 1. 주 설립 배경
1999년 10월 15일, 오시주의 서부 지역을 분리하여 밧켄주를 신설하였다.[3][4] 이는 타지키스탄에 근거지를 둔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IMU)의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 같은 해 IMU는 일본 지질학자 그룹을 납치했고, 2000년에는 미국 등반가들을 납치했다. 이 2년 동안 키르기스 군인 49명이 사망했다.[5]2. 2.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와의 충돌
1999년,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IMU)은 일본 지질학자 그룹을 납치했고, 2000년에는 미국 등반가들을 납치했다.[3][4] 이 2년 동안 키르기스 군인 49명이 사망했다.2. 3. 타지키스탄과의 국경 분쟁
2006년 5월, 타지크 국경 초소에 대한 공격이 발생했는데, 이는 마약 밀매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021년 분쟁은 수자원 권리를 둘러싸고 발생하여 최소 55명이 사망하고 277명이 부상당했다.[5]
2022년 9월에는 키르기스 군과 타지키스탄 군 간의 교전이 발생하여, 같은 달 18일까지 키르기스 측에서 59명 이상이 사망·실종, 144명이 부상당했다.
2. 4. 종교 탄압
밧켄 주에서는 이슬람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다. 2023년 10월, 키르기스스탄 정부는 37개의 모스크와 학교를 폐쇄했다.[6] 이는 오시주에서 60개의 모스크와 종교 학교가 폐쇄된 직후 발생한 일이다.3. 지리
밧켄 주는 키르기스스탄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복잡한 지형과 국경선, 그리고 여러 월경지를 포함하고 있다.
밧켄 주 내에는 소련 시대에 설정된 6개의 월경지 및 비월경지가 존재한다. 이 중 2곳은 타지키스탄, 4곳은 우즈베키스탄 영토이다.
- '''타지키스탄 월경지'''
- 보루흐: 이스파라에서 남쪽으로 45킬로미터, 밧켄에서 남서쪽으로 24킬로미터 떨어진 카라브신 강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면적은 약 96.7km2이며, 17개 마을에 23,000명에서 29,000명 사이의 인구가 분포한다. 인구의 95%는 타지크인, 5%는 키르기스인이다.[9]
- 롤라조르(서부 칼라차): 카이라가치 키르기스 마을 근처에 위치한 매우 작은 비월경지이다. 밧켄에서 서쪽으로 약 130킬로미터 떨어진 '스탄치야 카이라가치' 기차역 근처 지역의 북서쪽 구석에 위치한다.[9]
- '''우즈베키스탄 월경지'''
- 소흐(Soʻx): 밧켄에서 동쪽으로 약 24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가장 큰 월경지이다. 면적은 약 234km2이며, 동서로 3~13킬로미터, 남북으로 약 35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다. 밧켄에서 오쉬로 가는 주요 고속도로가 이곳을 통과한다. 1993년 기준 인구는 42,800명이었으며, 인구의 99%가 타지크인이다.[9]
- 촌-코라와 칼라차: 소흐 강에 위치한 매우 작은 월경지이다. 길이는 2킬로미터, 너비는 1킬로미터로, 면적은 약 3km2이다. 페르가나 주 소흐 구에 속한다. 촌-코라(키르기스어로 ''총가라'') 마을과 칼라차 마을이 양 끝에 위치해 있다. 키르기스 마을 ''총''-카라(우즈베키스탄어 ''촌-카라'')는 북서쪽으로 2km 떨어져 있다.[10][11][12]
- 자니-아일 (또한 ''드장가일'', ''장기-아일 또는 할미온''): 밧켄에서 동쪽으로 약 60킬로미터, 우즈베키스탄 본 경계에서 1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한 작은 월경지이다. 폭은 2~3킬로미터에 불과하다.[9]
- 쇼히마르돈 (샤히마르단): 밧켄에서 동쪽으로 약 80킬로미터, 우즈베키스탄 국경에서 남쪽으로 19킬로미터 떨어진 월경지이다. 면적은 약 38.2km2이며, 1993년 기준 인구는 5,100명이었다. 인구의 91%가 우즈베크인이다.[9]
3. 1. 행정 구역
밧켄 주는 3개의 주 직할시(바트켄, 키질키야, 쉴류크튀)와 3개의 구로 구성된다.[7] 바트켄, 이스파나, 키질키야, 술류크타는 시(市)이며, 차우바이, 하이달칸, 소베츠키, 카담자이, 보스토치니는 읍(邑)이다.3. 1. 1. 주 직할시
바트켄 주에는 바트켄, 키질키야, 쉴류크튀 3개의 주 직할시가 있다.[7]3. 1. 2. 구
구 | 소재지 | 지도 | 위치 |
---|---|---|---|
바트켄 구 | 바트켄 | ![]() | 중앙 |
카담자이 구 | 풀곤 | ![]() | 동부 |
레이렉 구 | 이스파나 | ![]() | 서부 |
아이다르켄, 이스파나, 카담자이는 구 직할시이다. 이 지역에는 도시형 정착지가 하나 있는데, 이는 보스토치니 (쉴류크튀시의 일부)이다.[7]
3. 1. 3. 기타
아이다르켄, 이스파나, 카담자이는 구 직할시이다. 이 지역에는 도시형 정착지가 하나 있는데, 보스토치니(쉴류크튀시의 일부)이다.[7]3. 2. 월경지
소련 시대에 밧켄 지역에는 6개의 월경지와 비월경지가 설정되었다. 이 중 두 곳은 타지키스탄, 네 곳은 우즈베키스탄 영토이다.
- '''롤라조르''' (서부 칼라차): 카이라가치 키르기스 마을 근처에 있는 타지키스탄의 매우 작은 비월경지이다. 밧켄에서 서쪽으로 약 130킬로미터 떨어진 '스탄치야 카이라가치' 기차역 근처 지역의 북서쪽 구석에 위치한다.[9]
- '''보루흐''': 타지키스탄의 비월경지로, 면적은 약 96.7제곱킬로미터이다. 이스파라에서 남쪽으로 45킬로미터, 밧켄에서 남서쪽으로 24킬로미터 떨어진 카라브신 강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17개 마을에 23,000명에서 29,000명 사이의 인구가 분포하며, 인구의 95%는 타지크인, 5%는 키르기스인이다.[9]
3. 2. 1. 우즈베키스탄 월경지
소련 시대에 밧켄 지역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월경지 4곳이 설정되었다.
- '''소흐(Soʻx)''' (또는 소크): 밧켄에서 동쪽으로 약 24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가장 큰 월경지이다. 면적은 약 234㎢이며, 동서로 3~13킬로미터, 남북으로 약 35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다. 밧켄에서 오쉬로 가는 주요 고속도로가 이곳을 통과한다. 1993년 기준 인구는 42,800명이었으며, 인구의 99%가 타지크인이다.[9]
- '''촌-코라'''와 '''칼라차''': 소흐 강에 위치한 매우 작은 월경지이다. 길이는 2킬로미터, 너비는 1킬로미터로, 면적은 약 3㎢이다. 페르가나 주 소흐 구에 속한다. 촌-코라(키르기스어로 ''총가라'') 마을과 칼라차 마을이 양 끝에 위치해 있다. 키르기스 마을 ''총''-카라(우즈베키스탄어 ''촌-카라'')는 북서쪽으로 2km 떨어져 있다.[10][11][12]
- '''자니-아일''' (또한 ''드장가일'', ''장기-아일 또는 할미온''): 밧켄에서 동쪽으로 약 60킬로미터, 우즈베키스탄 본 경계에서 1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한 작은 월경지이다. 폭은 2~3킬로미터에 불과하다.[9]
- '''쇼히마르돈''' (샤히마르단): 밧켄에서 동쪽으로 약 80킬로미터, 우즈베키스탄 국경에서 남쪽으로 19킬로미터 떨어진 월경지이다. 면적은 약 38.2㎢이며, 1993년 기준 인구는 5,100명이었다. 인구의 91%가 우즈베크인이다.[9]
- '''총구 카라''': 우즈베키스탄의 월경지이며, 수흐 바로 위에 있다. 크기는 약 2km × 1km이다.[27]
- '''샤히마르단''': 우즈베키스탄의 월경지이며, 바트켄에서 약 80km 동쪽, 우즈베키스탄과의 국경에서 약 19km 남쪽에 있다. 면적은 약 90km2이며, 1993년 시점 인구는 5,100명이다. 우즈베크인이 지구 전체 민족 구성의 약 91%를 차지한다.[27]
- '''수흐''': 우즈베키스탄의 월경지이며 바트켄에서 약 24km 동쪽에 있다. 바트켄 주 내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월경지이며, 전체 면적은 약 325km2이다. 동서 거리는 3~13km, 남북 거리는 약 35km이며, 바트켄에서 오시로 이어지는 길이 이 월경지 내를 지나간다. 1993년 시점 인구는 42,800명으로, 타지크인이 99%를 차지한다.[27]
3. 2. 2. 타지키스탄 월경지
타지키스탄의 월경지로는 보루흐와 롤라조르(서부 칼라차)가 있다.4. 인구
바트켄주ky의 인구는 2009년 인구 및 주택 조사에 따르면 380,300명(사실상 인구) 또는 428,600명(법적 인구)이었다.[1] 2021년 1월 공식 인구 추정치는 548,247명이었다.[2] 2009년에는 인구의 24.2%가 이 지역의 도시와 읍에 살았고, 75.8%는 농촌 지역에 살았다.[1] 2009년 시점에서 바트켄주에는 4개의 시와 5개의 읍, 198개의 마을이 있다.
4. 1. 민족 구성 (2009년 기준)
200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밧켄 주(법적 인구)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민족 | 인구 | 밧켄 주 인구 비율 |
---|---|---|
키르기스인 | 327,739 | 76.5% |
우즈베크인 | 63,048 | 14.7% |
타지크인 | 29,569 | 6.9% |
러시아인 | 3,560 | 0.8% |
타타르인 | 1,910 | 0.4% |
튀르크인 | 888 | 0.2% |
위구르족 | 264 | 0.1% |
기타 | 1,295 | 0.3% |
5. 사회 경제
2009년 밧켄주의 경제 활동 인구는 188,808명이었으며, 이 중 176,611명이 고용되었고 12,197명(6.5%)이 실업 상태였다.[1] 2008년 기준 밧켄주의 수출액은 1470만달러였고, 수입액은 5360만달러였다.[8]
구분 | 2008년 기준 |
---|---|
고용 인구 | 157,300명 |
비고용 인구 | 5,499명 |
6. 관광
최근까지 이 지역은 안전 문제로 인해 외국인들이 관광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곳으로 꼽혔다. 오시에서 바트켄으로 가는 도로를 이용할 경우 우즈베키스탄의 월경지인 소흐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때 키르기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양국의 비자가 모두 필요하며 월경지 주변의 비포장 도로를 지나야 했다.[14] 남부 산악 지대는 경관이 훌륭하지만, 가파른 암벽이 많아 등반이 매우 어렵다. 대표적인 봉우리로는 피라미드 봉우리(5,509m)와 스칼리스티 봉우리(5,621m)가 있다.
2000년 8월,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과 관련된 우즈베크 반군 그룹이 카라-수우 계곡 원정 중이던 토미 콜드웰을 포함한 등반가 그룹을 인질로 잡으면서 바트켄 지역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콜드웰은 카라-수우의 풍경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다"라고 묘사했다.[14]
바트켄 지역의 관광은 키르기스스탄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개발되지 않았다.[15]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정부는 이 지역 개발에 관심을 보였으며,[16] 많은 외국인들이 지역 당국의 도움을 받아 방문할 수 있었다.[17] 근처의 투르케스탄 산맥은 현지 트레킹 운영자들에 의해 "아시아 파타고니아"라고 불리며, 화강암 타워와 때묻지 않은 자연경관으로 트레킹 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7. 주요 인물
참조
[1]
간행물
Kyrgyzstan census 2009
[2]
간행물
Kyrgyzstan population 2021
[3]
웹사이트
Закон КР от 13 октября 1999 года №110 "Об образовании Баткенской области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cbd.minjust.g[...]
[4]
웹사이트
Баткенская область - Регионы - О Кыргызстане - Добро пожаловать в Кыргызстан!
http://www.welcome.k[...]
[5]
뉴스
Deadly fighting on Kyrgyzstan-Tajikistan border kills at least 31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4-30
[6]
뉴스
37 mosques and religious institutions closed in Batken
https://24.kg/englis[...]
24.kg News
2023-10-10
[7]
웹사이트
Classification system of territorial units of the Kyrgyz Republic
https://stat.gov.kg/[...]
National Statistics Committee of the Kyrgyz Republic
2021-05
[8]
웹사이트
Basic indicators foreign economic activities
National Committee on Statistics
[9]
문서
Map of Batken and Osh Regions
Goskartografiya
2002
[10]
웹사이트
Complete Files of Geographic Names for Geopolitical Areas from GNS
https://web.archive.[...]
2013-02-20
[11]
웹사이트
GeoNames WMS Viewer
https://web.archive.[...]
2013-02-20
[12]
웹사이트
GeoHack – Batken Province
http://toolserver.or[...]
2013-02-20
[13]
웹사이트
Romanization Systems and Policies
https://web.archive.[...]
2013-03-02
[14]
AV media
The Dawn Wall
https://www.netflix.[...]
2018-10-25
[15]
학술지
Tourism Sector in Kyrgyzstan: Trends and Challenges
https://ucentralasia[...]
2017
[16]
웹사이트
OSCE supports improvements to tourism infrastructure in Kyrgyzstan's Batken province
https://www.osce.org[...]
2014-04-17
[17]
웹사이트
Trekking in Kyrgyzstan – Tips, Tricks, and Where to Start
https://www.thebroke[...]
2019-11
[18]
간행물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9. Book 3 (in tables). Provinces of Kyrgyzstan: Batken Province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и жилищного фонда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2009. Книга 3 (в таблицах). Регионы Кыргызстана: Баткенская область
http://212.42.101.10[...]
National Committee on Statistics
[19]
웹사이트
キルギスの危険情報【危険レベルの継続】(内容の更新)
https://www.anzen.mo[...]
日本国外務省ホームページ
2022
[20]
웹사이트
Баткенская область
http://www.welcome.k[...]
[21]
웹사이트
キルギスとタジク、軍衝突 国境地帯の水争い、死者31人: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2021-04-30
[22]
웹사이트
タジク・キルギス国境で衝突、94人死亡
https://www.afpbb.co[...]
AFP
2022-09-19
[23]
웹사이트
National Committee on Statistics (in Kyrgyz/Russian)
http://www.stat.kg/s[...]
[24]
웹사이트
National Committee on Statistics (in Kyrgyz/Russian)
http://www.stat.kg/s[...]
[25]
웹사이트
National Committee on Statistics (in Kyrgyz/Russian)
http://www.stat.kg/s[...]
[26]
웹사이트
Kyrgyzstan - Джалал-Абадская область
http://enrin.grida.n[...]
[27]
문서
Map of Batken and Osh Provinces
Goskartografiya
2002
[28]
간행물
Kyrgyzstan census 2009
[29]
간행물
Kyrgyzstan population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