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즈베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우즈베크"라는 명칭의 어원은 여러 설이 존재한다. 우즈베크인의 역사는 기원전 2천년기부터 시작되어, 고대에는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8세기 이슬람의 전파 이후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였다. 15세기에는 샤이바니 왕조가 티무르 제국을 멸망시키고 부하라 칸국을 건설했다.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여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다. 우즈베크인들은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우즈베키스탄 외에도 여러 국가에 거주한다. 우즈베크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주로 믿는다. 전통적인 복식과 문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도 우즈베크족 자치향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우즈베크인 - 엘리한 토레
    엘리한 토레는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의 정치 지도자로, 신장 해방 전선을 조직하여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을 선포하고 정부 주석에 취임했으나, 소련의 개입과 KGB에 의한 납치로 타슈켄트에서 가택 연금 생활을 하다 생을 마감했다.
  • 우즈베크인 - 실비아 나사르
    실비아 나사르는 독일 태생의 미국 경제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포춘》,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뉴욕 타임스》에서 활동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 최초의 존 S. 그리고 제임스 L. 나이트 비즈니스 저널리즘 석좌교수를 역임했고, 수학자 존 내쉬의 전기 《뷰티풀 마인드》와 경제학 역사서 《그랜드 퍼슈트》로 유명하며, 특히 《그랜드 퍼슈트》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도서상을 수상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 - 타지크인
    타지크인은 중앙아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란계 민족으로, 타지키스탄의 주된 민족이며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소그드인과 박트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우즈베크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민족명우즈베크인
현지어명
Oʻzbek/Ўзбек
O‘zbeklar/Ўзбеклар



로마자 표기Oʻzbeklar
단수Oʻzbek/Ўзбек
복수Oʻzbeklar/Ўзбеклар
총인구약 2700만 - 3300만 명
관련 민족위구르족
기타 튀르크족
분포 지역
우즈베키스탄2920만 명 (2021년 추정)
아프가니스탄430만 – 480만 명 (2023년)
타지키스탄120만 명 (2023년)
키르기스스탄100만 명 (2023년)
카자흐스탄643,363 명 (2023년)
러시아323,278 명 (2021년 인구 조사)
투르크메니스탄275,565 명 (2012년)
파키스탄283,000명 (2024년 추정)
사우디아라비아300,000명 (2009년)
미국52,304명 (2022년)
기타중국: 14,800명
우크라이나: 13,000명
튀르키예: 45,000명
호주: 80,000명 (출처 필요)
몽골: 560명
언어
사용 언어우즈베크어
다리어
타지크어
러시아어
종교
종교주로 수니파 이슬람교
문화
아프가니스탄의 우즈베크인
전통 의상을 입은 여성 (안디잔)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
튀르키예의 우즈베크인
잘랄라바드 유엔 구역 밖의 우즈베크인

2. 명칭

"우즈베크"라는 단어의 어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오구즈 카간(Oghuz Khagan) 또는 ''오구즈 베그''(Oghuz Beg)에서 유래하여 ''우즈벡''(Uzbeg) 또는 ''우즈벡''(Uzbek)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15] 다른 이론은 이 이름이 ''öz''(자기 자신)와 튀르크어 칭호인 ''bek/bey/beg''에서 유래하여 "독립적인", "진정한 사람", 또는 "스스로 주인"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이론은 이전에는 ''oğuz''였던 ''uğuz''라는 단어의 변형 ''Uz''가 ''bek''이라는 단어와 결합하여 ''Uğuz-bek'' > ''Uz-bek''을 형성했고, 이는 "오구즈의 지도자"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16]

"우즈벡"이라는 이름은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역사 기록에서 발견된다. 역사가 우스마 이븐 뮌키즈(Usama ibn Munqidh)는 셀주크 제국(Seljuk Empire) 통치하의 이란에서 일어난 사건을 묘사하면서, 1115~1116년 부르숙(Bursuk)의 군대 지도자 중 한 명이 모술(Mosul)의 통치자 우즈벡(Uzbek)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7] 라시드 알딘(Rashid ad-din)에 따르면, 타브리즈(Tabriz)를 통치했던 일데기지드(Ildegizids) 오구즈 왕조의 마지막 대표자는 1210년~1225년에 통치한 우즈벡 무자파르(Uzbek Muzaffar)였다.[18]

우즈벡이라는 이름은 오즈벡 칸(Ozbeg Khan)의 통치하에, 골든 호드(Golden Horde)가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민족명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19][20] 자칭은 '''O‘zbekuz'''이며, 드물게 '''오즈베크'''라고도 표기된다. 우즈베크(오즈베크)는 튀르크어로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오즈(Öz)와 "군주"를 의미하는 베그(beg)가 어원이며, "자신이 주인"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 이 이름이 민족명으로 사용된 것은 조치 울루스의 최성기를 건설하고, 지배하던 유목민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킨 우즈베크 칸에 기인한다는 설이 유력하며, 15세기경 중앙아시아 남부에 있던 차가타이인(티무르 제국 사람들)이 북쪽 동부의 유목민들을 "우즈베크들"(우즈베크족)이라고 불렀던 것이 알려져 있다.

3. 역사

기원전 2천년기 초, 중앙아시아 남부에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 유적이 존재했다.[41][42] 기원전 1천년기 경, 이란계 유목민들이 중앙아시아에 정착하여 강을 따라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기에 부하라, 사마르칸트와 같은 도시들이 성장했다. 기원전 5세기까지 박트리아, 코와르즘, 소그드, 토하라 국가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44]

카우나케스를 착용한 여성상. 녹색편암과 석회암, 박트리아, 기원전 2천년기 초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29년 소그디아나와 박트리아를 정복하고, 록사나와 결혼했다. 그러나 이 지역은 헬레니즘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수세기 동안 우즈베키스탄 지역은 파르티아 제국과 사산조 제국 등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그리스인들의 영향으로 그리스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문자가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 지역에 전파되었고, 그리스어 비문이 새겨진 토기 파편들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2세기, 실크로드 무역으로 부하라와 사마르칸트는 번영했다.

서기 350~375년, 소그디아나와 타슈켄트 오아시스는 흉노 부족에 의해 점령당했다.[45] 초기 세기 동안, 현대 우즈베키스탄의 북부 지역은 강거 유목 국가의 일부였다.[43] 6세기부터 튀르크인들에 의해 사마르칸트, 부하라 등의 도시들이 생겨났다.

3. 1. 고대 역사

기원전 2천년기 초, 중앙아시아 남부에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 유적(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이 존재했다.[41][42] 기원전 1천년기 경, 이란계 유목민들이 중앙아시아에 정착하여 강을 따라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기에 부하라, 사마르칸트와 같은 도시들이 성장했다. 기원전 5세기까지 박트리아, 코와르즘, 소그드, 토하라 국가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44]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29년 소그디아나와 박트리아를 정복하고, 록사나와 결혼했다. 그러나 이 지역은 헬레니즘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수세기 동안 우즈베키스탄 지역은 파르티아 제국과 사산조 제국 등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그리스인들의 영향으로 그리스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문자가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 지역에 전파되었고, 그리스어 비문이 새겨진 토기 파편들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2세기, 실크로드 무역으로 부하라와 사마르칸트는 번영했다.

서기 350~375년, 소그디아나와 타슈켄트 오아시스는 흉노 부족에 의해 점령당했다.[45] 초기 세기 동안, 현대 우즈베키스탄의 북부 지역은 강거 유목 국가의 일부였다.[43] 6세기부터 튀르크인들에 의해 사마르칸트, 부하라 등의 도시들이 생겨났다.

3. 2. 이슬람 시대

8세기 초, 아랍인들이 중앙아시아를 정복하면서 이 지역에 새로운 종교인 이슬람이 전파되었고, 현재까지도 지배적인 종교로 남아있다.[54] 아랍인들은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의 지휘 아래 이슬람을 전파하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마웨라나흐르를 정복했다.[54] 750년 탈라스 강에서 탈라스 전투에서 중국군을 격파한 아랍인들의 승리로 중앙아시아는 이슬람 지역으로서의 운명을 확고히 하였다.[54]

짧은 아랍 지배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는 이란의 특징을 상당 부분 유지했으며, 이슬람을 받아들인 후 수세기 동안 중요한 문화 및 무역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54] 압바스 칼리파는 우마이야 칼리파에 맞선 투쟁에서 중앙아시아 지지자들의 큰 도움을 받아 건설되었다.[54] 8세기와 9세기 압바스 칼리파의 전성기 동안 중앙아시아와 마웨라나흐르는 황금기를 맞았다. 부하라는 이슬람 세계에서 선도적인 학문, 문화 및 예술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바그다드, 카이로, 코르도바와 같은 동시대 문화 중심지와 견줄 만했다.[54]

압바스 칼리파가 약해지기 시작하면서, 페르시아어는 문학과 정부의 언어로서 이 지역에서 그 중요성을 계속 유지했다.[54] 사마니드 왕조와 부이 왕조 아래에서 마웨라나흐르의 풍부한 페르소-이슬람 문화는 계속 번영했다.[54] 사마니드 왕조는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180년 동안 지배했던 페르시아 왕조였다.[55][56] 사마니드 왕조는 바흐람 초빈의 후손이었으며,[57][58] 미흐란 왕가의 후예였다. 사마니드 왕조는 압바스 왕조를 본떠 국가 조직을 구성하고 칼리프의 궁정과 조직을 모방했다.[59]

9세기에는 북쪽 스텝에서 유목민들이 계속 유입되면서 튀르크족이 중앙아시아로 들어왔다. 이들은 주로 사마니드 왕조의 노예 병사로 소개되었으며, 압바스 왕조군을 포함한 지역 모든 국가의 군대에서 복무했다. 10세기 후반, 사마니드 왕조가 트란스옥시아나와 이란 북동부에 대한 지배력을 잃기 시작하자, 이들 병사 중 일부가 지역 정부에서 권력을 잡게 되었고, 결국 높은 수준으로 페르시아화된 자신들의 국가를 세웠다.[62]

이 지역 최초의 튀르키예계 국가는 10세기 말에 건국된 페르시아화된 가즈나 제국이었다. 아무다리야 남쪽의 사마니드 영토를 점령한 가즈나 왕조는 술탄 마흐무드 통치 시대에 중앙아시아 외에도 이란, 아프가니스탄, 북부 인도의 광대한 지역을 정복했다. 가즈나 왕조는 튀르키예계 카라칸 왕조에 이어 999년에 사마니드의 수도 부하라를 함락하고 다음 두 세기 동안 트란스옥시아나를 지배했다. 사마르칸트는 서카라칸 왕조의 수도가 되었다.

피터 골든에 따르면, 카라칸 왕조는 최초의 튀르키예계 이슬람 국가 중 하나였다.[63] 카라칸 왕조와 그들의 튀르키예계 신민들의 이슬람화는 튀르키예 문화의 문화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에 이르러 튀르키예 민족 역사상 처음으로 타프시르(코란 주석)가 튀르키예어로 번역되었다.[64]

그러나 셀주크가 이 지역 서부로 진출하여 가즈나 왕조의 영토인 코라즘을 정복하면서 가즈나의 지배는 약화되었다.[62] 셀주크는 카라칸 왕조도 패배시켰지만, 그들의 영토를 완전히 합병하지는 않았다. 대신 카라칸 왕조를 봉신국으로 삼았다.[67] 셀주크는 11세기에 소아시아에서 트란스옥시아나 서부 지역까지 광범위한 지역을 지배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문화와 지적 생활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북쪽에서 온 튀르키예 부족들은 계속해서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62] 그러나 셀주크 술탄 아흐메드 산자르가 1141년 카트완 전투에서 카라키탄에게 패배하면서 셀주크의 권력은 약해졌다.

12세기 후반, 아랄해 남쪽 지역인 코라즘의 튀르키예계 지도자가 코라즘, 트란스옥시아나, 이란을 통일하여 통치했다. 코라즘 쿠트베딘 무함마드와 그의 아들 무함마드 2세의 통치하에 트란스옥시아나는 이 지역의 페르시아-이슬람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번영하고 부유했다. 그러나 북쪽에서 유목민들이 다시 침입하면서 이 상황은 바뀌었다. 이번 침입자는 그의 몽골 군대를 이끌고 온 칭기즈칸이었다.[62]

3. 3. 튀르크-몽골 시대

9세기부터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튀르키예계 군인들의 영향력이 강한 군사 시스템이 만들어지면서 튀르크화가 진행되었다.[61] 10세기 후반에는 가즈나 제국이 이 지역 최초의 튀르키예계 국가로 등장했으며,[62] 카라한 왕조는 999년에 부하라를 함락하고 트란스옥시아나를 지배했다. 사마르칸트는 서카라칸 왕조의 수도가 되었다. 카라한 왕조는 최초의 튀르키예계 이슬람 국가 중 하나였으며,[63] 이들의 이슬람화는 튀르키예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에는 튀르키예 민족 역사상 처음으로 타프시르(코란 주석)가 튀르키예어로 번역되었다.[64]



12세기 후반, 코라즘의 튀르키예계 지도자가 코라즘, 트란스옥시아나, 이란을 통일하여 통치했다.[62] 그러나 13세기 칭기즈칸의 몽골 군대가 중앙아시아를 침략하면서 이 지역 역사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62] 중앙아시아 몽골 정복은 1219년부터 1225년까지 일어났으며, 이 지역 인구에 전면적인 변화를 가져왔다.[69] 특히, 부하라와 호라즘 같은 도시들이 큰 피해를 입었고, 관개 시설이 파괴되었다.[69]

티무르가 사마르칸트에서 연회를 베푸는 모습


14세기 초, 차가타이 영토는 혼란에 빠졌으나, 1380년대 티무르(타메를란)가 등장하여 마웨라나흐르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70] 티무르는 사마르칸트를 수도로 삼아 서부 중앙아시아, 이란, 코카서스, 소아시아, 그리고 아랄해 북쪽의 남부 스텝 지역까지 정복했다.[70] 티무르는 학자와 예술가들을 후원하여 그의 제국에 풍부한 페르시아-이슬람 문화를 불어넣었다. 티무르 왕조 시대에는 차가타이어가 마웨라나흐르에서 독자적인 문학 언어가 되었으며,[70] 가장 위대한 차가타이 작가인 알리 시르 나와이는 15세기 후반 헤라트에서 활동했다.[70]

3. 4. 우즈베크 칸국 시대

15세기 말, 샤이바니 왕조는 티무르 제국을 멸망시키고 마웨라안나흐르를 중심으로 부하라 칸국을 건설했다.[74] 샤이바니 칸은 "시바니(Shibani)"라는 필명으로 시를 지었으며, 그의 시집은 현재 이스탄불의 토프카피 사본 수집품에 보관되어 있다.[75] 그의 조카 우바이둘라 칸은 코란을 암송하고 투르크어로 주석을 달 정도로 학식이 풍부했으며, 우바이디(Ubaydiy)라는 필명으로 투르크어, 페르시아어, 아랍어로 시를 지었다.[76]

샤이바니 칸, 1507


16세기,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코칸드 칸국 등 우즈베크 3칸국이 중앙아시아를 지배했다.[73][74] 이들은 사파비 왕조가 이끄는 이란과 경쟁했는데, 종교적 측면도 있었다. 우즈베크족은 수니파 무슬림이었던 반면 이란은 시아파였기 때문이다.[74] 1510년까지 우즈베크족은 현재 우즈베키스탄 영토를 포함한 중앙아시아 정복을 완료했다. 그들이 세운 국가 중 가장 강력했던 것은 부하라 칸국으로, 부하라를 중심으로 타슈켄트 지역과 페르가나 계곡, 아프가니스탄 북부를 지배했다. 두 번째 우즈베크 국가인 히바 칸국은 아무다리야 강 어귀에 있는 코라즘 오아시스에 세워졌다.

17세기 초, 샤이바니 왕조는 자니드 왕조(Janid dynasty)에 의해 대체되었다.[74]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우즈베크 칸국들은 서로와 페르시아인들과의 끝없는 전쟁, 칸들과 상속자들 사이의 왕위 경쟁, 북부 대초원의 카자흐 유목민과 몽골인들의 계속된 침략으로 인해 약화되었다.[74] 또한, 유럽에서 인도중국으로 가는 해상 무역로가 설립되면서 실크로드를 통한 무역이 감소하여 부하라, 메르브, 사마르칸트, 히바, 우르겐치와 같은 도시들이 쇠퇴하기 시작했다.[74] 18세기 초, 부하라 칸국은 페르가나 지역을 잃었고, 코칸드에 코칸드 칸국이라는 새로운 우즈베크 칸국이 형성되었다.[74]

마이마나에는 우즈베크 칸국이 존재했다.[79] 파슈툰족은 우즈베크족과 싸워 정복하고, 그들을 복속시키고 차별하는 상태에 몰아넣었다.[80]

3. 5. 러시아-소련 시대

19세기, 러시아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영국의 야심을 우려하고, 러시아 국민이 노예로 잡혀 있는 상황에 분노했으며, 지역 무역을 장악하고 안정적인 면화 공급원을 확보하려는 욕망으로 인해 이 지역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다.[83] 특히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의 주요 공급원이었던 미국 남부에서 면화 공급이 중단되자 중앙아시아 면화는 러시아에게 더욱 중요해졌다.[83]

1850년대 후반 카프카스 정복이 완료되자 러시아 전쟁부는 중앙아시아 칸국에 군대를 파병하기 시작했다. 타슈켄트, 부하라, 사마르칸트 등 칸국들의 주요 3개 도시는 각각 1865년, 1867년, 1868년에 함락되었다. 1868년 부하라 칸국은 러시아와 조약을 체결하여 러시아의 보호령이 되었다. 히바 칸국은 1873년, 코칸드 칸국은 1876년에 러시아 제국의 보호령으로 편입되었다.[83] 1876년까지 러시아는 세 개의 칸국(현재 우즈베키스탄 전체)을 제국에 편입하여 칸국들에게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했다. 19세기 후반, 우즈베키스탄의 러시아 인구가 증가하고 일부 산업화가 일어났다.[84] 자디디즘은 중앙아시아 무슬림들 사이에서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1916년 러시아인들의 학살을 피해 우즈베크인들은 중국으로 탈출했다.[85]

1868년 사마르칸트 요새 방어. 러시아 삽화 잡지 "니바"(1872년)에서 발췌


코칸트 칸의 장남의 삼촌인 우즈베크 뮬라 잔 투르디 알리, 19세기


1940년대,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우즈베키스탄인을 포함한 많은 중앙아시아인들이 독일군과 싸우기 위해 스몰렌스크 지역으로 파병되었다. 그러나 하탐 카디로프와 자이르 무라토프를 포함한 일부는 포로로 잡혀 네덜란드로 이송되어 학대와 살해를 당했다.[86][87]

1970년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서기 샤라프 라시도프가 많은 측근과 친척들을 요직에 배치하면서 모스크바의 우즈베키스탄 장악력이 약해졌다. 1980년대 중반, 모스크바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지도부 전체를 다시 숙청하여 통제력을 되찾으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오랫동안 목화 단일 경작 강요와 이슬람 전통 억압과 같은 소련 정책에 반감을 가져왔던 를 증폭시켰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 하의 소련의 자유화된 분위기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정치적 반대 세력과 소련 정책에 대한 공개적인 반대를 촉진했다. 1989년, 우즈베키스탄인들이 연루된 일련의 격렬한 민족 갈등으로 인해 비우즈베키스탄 출신인 이슬람 카리모프가 공산당 서기로 임명되었다.

3. 6. 독립 이후

1991년 8월 31일,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9월 1일을 국경일로 지정했다.[88] 우즈베키스탄 최고 소비에트가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마지못해 승인했을 때, 카리모프는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84] 독립 이후, 우즈베키스탄은 민족 정체성 강화와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원로들

4. 산업

우즈베크인들은 전통적으로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한다.

5. 거주 국가

우즈베키스탄 외에도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러시아,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독립국가연합과, 에스토니아, 서유럽국가들, 미국, 중국, 중동,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에도 거주한다.[89][90][91]

반체제 이슬람주의자와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반대파들은 아프가니스탄, 영국령 인도, 사우디아라비아의 헤자즈로 망명하였다.[89][90][91] 마지막 부하라 에미르인 모하메드 알림 칸(Mohammed Alim Khan)도 아프가니스탄으로 망명하였다. 이슬람주의 우즈베크인 사이이드 카심 빈 아브드 알자바르 알안디자니(Sayyid Qāsim bin Abd al-Jabbaar Al-Andijaani)는 투르키스탄 페르가나 계곡의 안디잔에서 태어나 영국령 인도에서 교육을 받고 투르키스탄으로 돌아와 공산 러시아 지배에 맞서 설교하였다.[92][93] 그 후 아프가니스탄, 영국령 인도, 헤자즈로 망명하여 메카와 메디나에서 교육을 계속하고 소비에트 반대 활동을 벌였다.

소련 지배하 중앙아시아 출신 우즈베키스탄 망명자들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투르키스탄인"이라는 정체성을 채택하기도 했다.[98][99]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부하라인"으로 불리기도 한다.[100] 일부 사우디아라비아의 "우즈베크인"들은 자신을 우즈베크인으로 생각하지 않고 무슬림 투르키스탄인으로 여긴다.[101]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우즈베크인들은 부하라 출신은 알 부하리, 사마르칸트 출신은 알 사마르칸디와 같이 우즈베키스탄 고향 도시의 아랍식 니스바(Nisba)를 사용했다.[99][102]

샤미 도물라(Shami Domullah)는 소련 중앙아시아에 살라피즘을 소개했다.[104][105] 우즈베키스탄의 모스크는 사우디아라비아 거주 우즈베크인들에 의해 지원을 받는다.[106] 소련 붕괴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는 우즈베키스탄에 자국의 이슬람을 전파하려고 시도했다.[107][108][109][110] 1990년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부하라 형제들"은 누리딘 알 부하리(Nuriddin al-Bukhari)가 이끌었다.[111] 공식 통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에는 40만 명에서 80만 명 사이의 우즈베크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12]

최근에는 많은 우즈베크인들이 특히 러시아, 대한민국, UAE,[94] 독일,[95] 폴란드,[96] 사우디아라비아 등 여러 국가로 노동 이주민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97]

많은 우즈베크족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에서 파키스탄으로 이주했다.[113] 1981년, 많은 파키스탄의 우즈베크 난민들이 터키로 이주했다.[115]

6. 유전적 기원

우즈베크인들은 키르기스인, 위구르인, 카자흐인, 바시키르인 등 인근 투르크계 인구와 상당 부분의 조상을 공유한다.[32] 우즈베크인들의 서쪽 조상은 코카서스 계통(~35–40%)과 (북부) 유럽 계통(~5–20%)을 포함하며, 동쪽 조상은 동아시아 계통(~35%)과 (중앙 및 동) 시베리아 계통(~5–20%)을 포함한다. 그들의 서쪽 조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집단은 현대 압하스인이며, 동쪽 조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집단은 야쿠트인(또는 투바인)이다.[33]

현대 중앙아시아인들을 고대 역사적 표본과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우즈베크인들은 철기 시대 인도-이란인 48.8–65.1%와 몽골 고원 출신의 동쪽 스텝 흉노 34.9–51.2%로 모델링될 수 있다.[34] 우즈베키스탄은 과거 이란계 민족의 땅이었으며, 이후 튀르크계 민족, 몽골계 민족의 땅이 되었다. 우즈베크인의 유전자도 이러한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138] 어떤 유전자 분석에서는 우즈베크인이 이란계 민족과 몽골계 민족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한다.[138] 다른 연구에서는 우즈베크인의 유전자 구성은 이란계 민족과 달리 중앙아시아의 다른 튀르크계 민족과 가깝다고 한다.[139]

여러 연구에 따르면, 우즈베크인의 부계 혈통은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35] 해프로그룹 R1a1은 서유라시아 해프로그룹은 우즈베크 남성 중 17-32%의 비율로 나타나 우즈베크인의 주요 Y-DNA 혈통을 구성한다.[36] 해프로그룹 J는 서유라시아 해프로그룹은 우즈베크 남성 중 5.9–21.4%의 비율로 나타난다.[38] 해프로그룹 C2는 동유라시아 해프로그룹은 우즈베크 남성 중 4–18%의 비율로 나타난다.[38] 아프가니스탄의 한 표본에서는 우즈베크 남성의 41.2%가 이 해프로그룹을 가지고 있었다.[38] Y염색체는, 어떤 조사[140]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의 우즈베크인에게 해프로그룹 C2가 41%(7/17) 발견되었지만, 다른 우즈베크인 전체 분석[141]에서는 해프로그룹 C2는 11.5%이고, 해프로그룹 R1a가 25.1%로 가장 많다.

2010년 연구에 따르면, 타슈켄트 출신 우즈베크인의 50%가 조금 넘는 비율이 동유라시아 및 남아시아 모계 하플로그룹에 속하고, 거의 50%는 서유라시아 하플로그룹에 속한다.[40] 페르가나 출신 우즈베크인의 대다수는 동유라시아 및 남아시아 모계 하플로그룹에 속하며, 서유라시아 하플로그룹에 속하는 비율은 상당히 적다.[40] 호라즘과 카슈카다리야에서는 우즈베크인의 대다수가 서유라시아 모계 하플로그룹에 속하며, 동유라시아 및 남아시아 하플로그룹에 속하는 비율은 상당히 적다.[40]

7. 문화

7. 1. 언어

우즈베크어튀르크어족카를루크 계열에 속하는 언어이다.[120] 현대 우즈베크어는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120]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키릴 문자를 수정된 라틴 문자로 대체하기로 결정했다.[120] 역사적으로, 우즈베크 칸국 및 그 계승 국가들을 세운 유목민 우즈벡인들은 다양한 튀르크어 방언을 사용했다.[120]

7. 2. 종교

우즈베크인들은 대부분 수니파 무슬림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피 학파를 따른다.[121] 2009년 퓨리서치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인구의 96.3%가 무슬림이다.[122] 이슬람은 8세기 초 아랍인들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이전의 종교들을 대체하며 전파되었다.[124]소련 출신의 대다수 우즈베크인들은 자디디즘 운동으로 인해 더 자유로운 해석으로 종교를 실천하게 되었는데, 이 운동은 러시아 제국 통치 시기에 토착 개혁 운동으로 일어났다. 반면 아프가니스탄과 남쪽의 다른 국가들에 있는 우즈베크인들은 이슬람을 더 보수적으로 고수해 왔다. 1991년 우즈베키스탄의 독립과 함께 인구의 일부 계층에서 이슬람 부흥이 일어났다.

7. 3. 복식

전통적인 남성 복식은 차판(Chapan)이라고 불리는 헐렁한 면 코트와 벨보그(belbog)라는 띠, 그리고 피초크(pichoq)라고 불리는 칼 등으로 구성된다.[129][130] 차판은 보통 다양한 색상의 줄무늬 또는 다른 유형의 패턴으로 만들어지며, 무릎 길이이다.[129][130] 코트의 소매 아랫부분, 중앙 가장자리, 옷자락, 옷깃에는 "악령"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믿어지는 장식용 끈이 꿰매어져 있다. 과거에는 겨울과 여름 모두 동시에 두 벌 이상의 코트를 입는 것이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코트 또는 그 아래에 입는 셔츠는 벨보그로 묶는데, 이는 고급 직물과 실크로 만들어지고 정교한 은색 자수로 장식되며 담배와 열쇠를 위한 작은 주머니가 달려 있다. 전통적으로 쿠스트(Chust)산 피초크가 띠에 놓인다.[131][132][133][134][135] 셔츠는 면으로 만들어진 흰색의 넓은 셔츠이며, 소매와 옷깃에 지약(jiyak)이라고 불리는 무늬가 있기도 하다. 이시톤(ishton)으로도 알려진 바지는 헐렁하게 재단되지만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승마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뾰족한 발가락의 부드러운 가죽 부츠 안에 넣는다.

1840년경 전통 우즈베키스탄 의상


여성 복식은 전통적인 로브, 드레스, 로짐(lozim)이라고 불리는 바지, 그리고 도피(do'ppi) 또는 튜베테이카(Tyubeteika)라고 불리는 두건 등으로 구성된다. 로브는 손목까지 내려오는 넓은 소매를 가진 긴 튜닉 형태이다. 바지는 튜닉과 어울리도록 같은 천으로 만들거나 튜닉과 완전히 일치하는 천으로 만들며, 아랫단은 자수 끈으로 장식되어 있다. 코트는 남성이 입는 차판과 유사하며, 아틀라스(atlas), 칸-아틀라스(khan-atlas), 베카사마(bekasama), 알라차(alacha), 칼라미(kalami)와 같은 다양한 직물로 만들어진다. 직물 패턴은 밝은 색상이며, 다양한 꽃무늬 및/또는 기하학적 디자인에 여러 가지 색상을 포함한다. 과거에는 의상의 색깔이 그 사람의 나이 또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였다. 빨간색과 분홍색은 소녀와 젊은 여성에게 일반적이었던 반면, 중년 여성은 연한 파란색과 회색 음영을 입었다. 흰색은 모든 연령대에 적합했으며 오늘날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중앙아시아의 공산주의 체제 수립 이전에는 여성들이 공공장소에서 파란드가(parandga)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베일을 착용했다. 디자인은 다양했으며, 얼굴 가리개는 일반적으로 검은색 천으로 만들어졌다. 공산주의 체제 수립 후, 후줌(Hujum)으로 알려진 베일 착용이라는 관행에서 여성을 해방시키려는 운동이 추진되었고, 공개적으로 베일을 버리고 태우는 것이 장려되었다. 보수적인 반발이 있었지만, 여성의 직장 참여 증가와 점진적인 해방으로 베일은 전국 여성들의 일반적인 사용에서 단계적으로 사라졌다.

두건을 쓴 우즈베키스탄 남성. 두건은 도파 또는 튜베테이카로도 알려져 있다
두건을 쓴 우즈베키스탄 남성. 두건은 도피(do'ppi) 또는 튜베테이카(Tyubeteika)로도 알려져 있다


도피 또는 튜베테이카라고 불리는 네모난 두건은 남성과 여성 모두 착용한다. 벨벳이나 모직으로 만들어지며, 실이나 은실로 수놓아진다. 남성용과 여성용 디자인은 다르다. 여성용은 더욱 화려하고 구슬로 장식되어 있는 반면, 남성용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악과 적"을 막아준다고 믿어지는 네 개의 후추 모양의 아치가 있다. 호라즘(Khorezm) 서부 지역과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Karakalpakstan)에서는 남성들이 주로 흰색과 검은색의 양가죽으로 만든 전통적인 모피 모자를 쓰기도 한다.

우즈베키스탄 어린이, 전통 의상 착용 (19~20세기)


사마르칸트 여학교 학생들, 2008년

8. 중국의 자치 지방

몰리 카자흐족 자치현 다난구 우즈베크족향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 지방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ermanent population by national and / Or ethnic group, urban / Rural place of residence https://data.egov.uz[...] 2024-02-28
[2] 웹사이트 Afghan Population: 34,940,837 (July 2018 est.) [Uzbeks = 11%]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19-04-13
[3] 웹사이트 Afghanistan people groups, languages and religions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2024-02-28
[4]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rosstat.gov.ru 2024-02-28
[5] 웹사이트 Tajikistan Population 2021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2021-08-09
[6] 웹사이트 Uzbek, Northern people group in all countries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2024-02-28
[7]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the Kyrgyz Republic – Publications Archive – Statistics of the Kyrgyz Republic" https://www.stat.gov[...] 2024-02-28
[8] 웹사이트 2023 жыл басына 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халқының саны https://stat.gov.kz/[...]
[9] 웹사이트 The results of census in Turkmenistan | Chronicles of Turkmenistan http://www.chrono-tm[...]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stat.gov[...] 2024-02-28
[11] 웹사이트 Uzbek in Pakistan https://joshuaprojec[...] 2024-02-28
[12] 웹사이트 ASIA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THER RACES, AND WITH ONE OR MORE ASIAN CATEGORIES FOR SELECTED GROUP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2024-07-28
[13] 간행물 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2-08-09
[14] 웹사이트 Uzbek Minority – Chinese Nationalities (Ozbek) http://www.paulnoll.[...] 2016-04-26
[15] 서적 Man: Past and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Uzbekistan: Golden Road to Samarkand 2013-09
[17] 서적 Kniga nazidaniya Moscow
[18] 서적 Sbornik letopisey Moscow
[19] 서적 Constructing the Uzbek State: Narratives of Post-Soviet Years Lexington Books
[20] 서적 Qazaqlïq, or Ambitious Brigandage, and the Formation of the Qazaqs: State and Identity in Post-Mongol Central Eurasia BRILL
[21] 간행물 Is there a „Nationality of the Hephtalites?"
[22]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23] 백과사전 Irano-Turkish Relations in the Late Sasanian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urkic Peoples
[25] 백과사전 Central Asia http://www.iranica.c[...]
[26] 간행물 Der Lautwandel von a > o and von a > ä in der özbekischen Schriftsprache
[27] 서적 Basic course in Uzbek Bloomington
[28] 서적 Özbekische Grammatik Leipzig and Vienna
[29] 간행물 Tajik Literature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Present
[30] 논문 Quellen der klassischen Musiktradition Mittelasiens: Die usbekisch-tadshikischen maqom-Zyklen und ihre Beziehung zu anderen regionalen maqam-Traditionen im Vorderen and Mittleren Orient
[31] 논문 The Music and Tradition of the Bukharan Shashmaqam in Soviet Uzbekistan
[32]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33] 학술지 Between Lake Baikal and the Baltic Sea: genomic history of the gateway to Europe
[34] 학술지 The Genetic Echo of the Tarim Mummies in Modern Central Asians https://doi.org/10.1[...]
[35] 학술지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https://brill.com/vi[...]
[36] 논문 See Wells et al. (2001: 10245, table 1: M17, M130, M46, M172, M175 and 122, and M48 correspond to haplogroups R1a1, C2, N1c1, J, O, and C2b1b1, respectively); Zerjal et al. (2002: 474, table 3: haplogroups 3, 9, 10, 13, 16, and 36 correspond to haplogroups R1a1, J, C2, O3, N1c1, and C2b1b1, respectively); Haber et al. (2012: table S4). According to another recent survey, the Uzbeks of Afghanistan exhibit R1a1 (29%), J (18%), Q (8.6%), C (4%), N (4%), R1b1a1a1 (3%), R2 (3%) and O (2.3%): see Di Cristofaro et al. (2013: figure S7).
[37] 논문 As to haplogroup R1a1 among the modern-day Uzbeks and Xinjiang Uighurs, the extent to which it originated from the Bronze Age Indo-European pastoralists and from the Turkic and Turkicized Inner Asian nomadic groups, respectively, remains open to speculation. The modern Uzbeks, who also descend from the ancient Indo-European (Iranic) populations and various Inner Asian nomadic peoples (Golden 1992: 407), including the Shibanid Uzbeks, exhibit a set of haplogroups similar to those of the Xinjiang Uighurs: R1a1 (17.6~32%), J (5.9~21.4%), C2 (7~18%, 41.2%), O3 (0~12%) and N (0~5.9%).
[38] 논문 Haplogroup J is a patrilineal lineage originating in the Middle East and probably reached Central Asia with Neolithic farmers from the Middle East. Haplogroups O3, C2, and N were in all likelihood brought to Transoxiana by various Turkic and Mongolic peoples.
[39] 논문 This high frequency of C2 is found among an Uzbek group residing in Afghanistan. We are inclined to think that this group is descended from the nomadic Uzbeks from the Qipchaq Steppe (Haber et al. 2012: table S4).
[40] 학술지 The mtDNA composition of Uzbekistan: a microcosm of Central Asian patterns https://link.springe[...] 2010-05-01
[41] 서적 Questioning the Oxus Civilization or Bactria- Margiana Archaeological Culture (BMAC): an overview https://www.routledg[...] Routledge
[42] 서적 Introduction https://www.amazon.c[...] Routledge
[43] 서적 The Nomads of Northern Central Asia After The Invasion of Alexander UNESCO
[44] 서적 Early history
[45] 서적 Regional interaction in Central Asia and northwest India in the Kidarite and Hephtalites periods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1-17
[47] 학술지 Maracanda/Samarkand, une métropole pré-mongole https://www.cairn.in[...] 2004
[48] 서적 Bactrian documents from Northern Afghanistan. I. Legal and economic docu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49] 서적 Legends, tales and fables in the art of Sogdiana Bibliotheca persica press
[50] 서적 Drevnetyurkskiye monety Sredney Azii VI-IX vv. (tipologiya, ikonografiya, istoricheskaya interpretatsiya). Avtoref. diss. kand. ist. nauk. Tashkent
[51] 서적 Svodnyy katalog sogdiyskikh monet Moscow
[52] 서적 Raboty po istoricheskoy geografii Vostochnaya literatura
[53] 서적 Metallicheskiye izdeliya rannesrednevekovogo Sogda Leningrad
[54] 서적 Early Islamic period
[55] 서적 Tabaḳāt-i-nāsiri: a general history of the Muhammadan dynastics of Asia
[56] 서적 The historical, social and economic setting
[57] 서적 Iran and America: Re-Kind[l]ing a Love Lost
[58] 서적 History of Bukhara
[59] 서적 The Monumental Inscriptions from Early Islamic Iran and Transoxiana
[60] 서적 The book of government, or, Rules for kings: the Siyar al-Muluk, or, Siyasat-nama of Nizam al-Mulk
[61] 서적 Turko-Mongol influences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Turkification of Mawarannahr
[6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64] 서적 Leksika sredneaziatskogo tefsira: XII—XIII vv. Moscow
[65] 서적 Introduction to The Jawami u'l-hikayat wa Lawami'ur-riwayat of Sadidu'u-din Muhammad al-Awfi Luzac & Co
[66] 학술지 Un cycle de peintures murales d'époque qarakhanide (XIIe-XIIIe siècles) à la citadelle de Samarkand: le souverain et le peintre
[67] 서적 The Karakhanids and Early Isl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학술지 Vostochno-tyurkskiy yazyk XI veka i leksika bukharskogo govora
[69] 서적 Mongol period
[70] 서적 Rule of Timur
[71] 논문 A Turkic-Persian Decree of Timurid Mīrān Šāh of 800 AH/1398 CE 2015
[72]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1-02-15
[73] 서적 Emperors Of The Peacock Throne: The Saga of the Great Moghul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07-09-17
[74] 논문 Uzbek period
[75] 논문 Muhammad Shaybanî's Bahru'l-huda : An Early Sixteenth Century Didactic Qasida in Chagatay 1982
[76] 서적 Rol shibanidskikh praviteley v literaturnoy zhizni Maverannakhra XVI v. Rakhmat-name 2008
[77] 논문 92 Uzbek Tribes 2020
[78] 논문 The New Uzbek States: Bukhara, Khiva and Khoqand: c. 1750–1886 2009
[79] 서적 A Journey Through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0] 서적 Afghanistan Declassified: A Guide to America's Longest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9-22
[81] 웹사이트 From 'Slavers' to 'Warlords': Descriptions of Afghanistan's Uzbeks in western writing https://www.afghanis[...] 2014-10-17
[82] 뉴스 Jogies Leading Impoverished Life in Balkh https://web.archive.[...] 2015-07-17
[83] 논문 Russian conquest
[84] 간행물 Country Profile: Uzbekistan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2007-02
[85] 잡지 Commemorating the 1916 Massacres in Kyrgyzstan? Russia Sees a Western Plot http://www.cacianaly[...] 2016-01-20
[86] 웹사이트 Soviet Field of Glory http://www.soldat.ru[...]
[87] 뉴스 Why were 101 Uzbeks killed in the Netherlands in 1942? https://www.bbc.co.u[...] BBC 2017-05-09
[88] 웹사이트 Independence Day https://web.archive.[...] 2023-03-23
[89] 웹사이트 CP 77 http://carnegieendow[...] 2021-01
[90] 웹사이트 Olcoot roots http://carnegieendow[...]
[91] 웹사이트 Repoirt on Central Asian extremisim https://www.worldwat[...]
[92] 웹사이트 قاسم بن عبد الجبار الأنديجاني http://islamhouse.co[...]
[93] 웹사이트 (منبع العرفان) تفسير كبير باللغة الأوزبكية (القديمة) بالحرف العربي http://vb.tafsir.net[...]
[94] 웹사이트 Uzbekistan Looks to Diversify Labour Migration https://iwpr.net/glo[...]
[95] 웹사이트 Germany and Uzbekistan sign migration deal https://www.infomigr[...] 2023-05-03
[96] 웹사이트 Uzbekistan, Poland to expand relations in field of labor migration https://kun.uz/en/ne[...]
[97] 웹사이트 CPC | Central Asian Labor Migration: Exploring New Destinations Amid Geopolitical Tensions https://www.caspianp[...]
[98] 서적 Prospects for Democracy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9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100] 서적 Saudi Arabia and the Gulf Arab States Today: An Encyclopedia of Life in the Arab Sta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9-02
[101] 서적 Prospects for Democracy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102] 웹사이트 The Complexity of Central Eurasia https://www.academia[...]
[103] 서적 The Soviet Legacy in Central Asia
[104] 웹사이트 Special: Dangerous Preaching: The Role of Religious Leaders in the Rise of Radical Islam in Central Asia. By Nurbek Bekmurzaev. https://web.archive.[...]
[105] 서적 Islamic Education in the Soviet Union and Its Successor Stat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9-11
[106] 웹사이트 The Myth of Militant Islam: Uzbekistan – Transitions Online http://www.tol.org/c[...] 1995-12-29
[107] 웹사이트 CA&CC Press® AB http://www.ca-c.org/[...]
[108] 웹사이트 Islamic Revivalism and Political Attitudes in Uzbekistan https://www.ucis.pit[...]
[109] 논문 Hidden Linkages: The Republic of Uzbekistan and the Gulf Region in Changing World Order https://www.academia[...]
[110] 서적 Muslim-Christian Relations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6-05
[111] 서적 Central Asia File: Newsletter of the Central Asian Studies Association https://books.googl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12] 서적 Russian and CIS Relations with the Gulf Region: Current Trends in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cs Gulf Research Center 2009
[113] 서적 Long Years of Exile: Central Asian Refugee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14] 서적 Long Years of Exile: Central Asian Refugee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15] 서적 Espace populations sociétés https://books.google[...] Université des sciences et techniques de Lille, U.E.R. de géographie
[116] 간행물 Кочевые племена Приаралья в XV—XVII вв. Вопросы этнической и социальной истории. М.
[117] 서적 The modern Uzbek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a cultural history Hoover Press
[118] 서적 Firdaws al-iqbal. History of Khorezm by Shir Muhammad Mirab Munis and Muhammad Riza Mirab Aghahi. Brill
[119] 논문 "92 Uzbek Tribes" in Official Discourses and the Oral Traditions from the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120] 간행물 Oʻzbek xalqining shakllanish jarayoni Toshkent
[121] 백과사전 Ozbek Koninklijke Brill NV
[1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ewforum.org/[...]
[123] 웹사이트 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2-08-09
[124] 서적 Uzbekistan https://archive.org/[...] Mason Crest Publishers
[125] 논문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15
[126] 웹사이트 Итоги национальн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0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вероисповедание и владения языками в Республике Казахстан http://www.stat.kz/p[...] 2017-11
[127] 서적 Russia's Islam and Orthodoxy beyond the Institutions: Languages of Conversion, Competition and Convergence Routledge
[128] 웹사이트 Uzbakestan Zoroastrians at Gatha Class http://vcn.bc.ca/osh[...]
[129] 웹사이트 Unique Uzbek Knives http://englishrussia[...] 2013-12-12
[130] 웹사이트 Fergana Knives Breed http://sambuh.com/en[...]
[131] 뉴스 An Uzbek Knife And Hat, Made In China http://www.rferl.org[...] 2015-11-07
[132] 웹사이트 Chust knives http://www.tourstouz[...]
[133] 웹사이트 Heritage of Fergana armourers http://www.travelcen[...]
[134] 웹사이트 Pchak "Uzbek" http://www.mezhov.in[...]
[135] 웹사이트 Stock Photos, Royalty-Free Images and Vectors – Shutterstock http://www.shutterst[...]
[136]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山川出版社
[137] 서적 中央アジ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138] 논문 A Genetic Landscape Reshaped by Recent Events: Y-Chromosomal Insights into Central Asia
[139]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the emergence of ethnic groups in Central Asia 2009-09-01
[140] 논문 Afghanistan's Ethnic Groups Share a Y-Chromosomal Heritage Structured by Historical Events http://journals.plos[...]
[141] 논문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https://www.ncbi.nlm[...] 2001
[142] 웹사이트 Population: 28,661,637 (July 2013 est.) [Uzbeks = 80%] https://web.archive.[...] The World Factbook 2013-06-10
[143] 웹사이트 Afghan Population: 31,108,077 (July 2013 est.) [Uzbeks = 9%] https://web.archive.[...] The World Factbook 2013-06-10
[144] 웹사이트 Population: 7,910,041 (July 2013 est.) [Uzbeks = 15.3%] https://web.archive.[...] The World Factbook 2013-06-10
[145] 웹사이트 Kyrgyzstan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7-07-28
[146] 웹사이트 Russia Census 2002 http://www.perepis20[...] 2018-09-06
[147] 웹사이트 Ethnic groups in Kazakhstan, official estimation 2010-01-01 based on National Census 2009 http://www.stat.kz/n[...] 2010-02-08
[148]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eb.archive.[...] 2016-04-26
[149] 보고서 Afghan Refuge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7-01-26
[150] 웹사이트 PLACE OF BIRTH FOR THE FOREIGN-BOR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Universe: Foreign-born population excluding population born at sea, 2014 American Community Survey 5-Year Estimate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4-11
[151] 웹사이트 Evrenpaşa Köyü | Güney Türkistan'dan Anadoluya Urfa Ceylanpınar Özbek Türkleri http://evrenpasakoyu[...] 2013-07-12
[152]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by nationality and mother tongue http://www.ukrcensus[...] 2008-12-01
[153] 웹사이트 Uzbek Minority – Chinese Nationalities (Ozbek) http://www.paulnoll.[...] 2016-04-26
[154]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Report on Survey on methods for 2010 Census round.doc http://www.toollogo2[...] 2018-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