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르기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인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현재 키르기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와 중국, 아프가니스탄 등지에 분포한다. 기원은 튀르크 민족과 관련이 있으며, 고대에는 예니세이 강 상류에 거주하며 몽골계 유목 국가의 영향을 받았다. 9~10세기에는 톈산 지역으로 이동하여 민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3세기 몽골 제국에 복속되었고, 이후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거쳐 1991년 독립했다. 키르기스어와 이슬람교를 사용하며, 유목 생활과 농업을 병행한다. 유전적으로는 동유라시아와 서유라시아의 혼합된 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크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튀르크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키르기스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키르기스스탄의 민족 - 둥간족
    둥간족은 19세기 말 청나라 회민 반란 이후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에 종사하고 중국 문화와 이슬람 문화를 융합한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중앙아시아와 중국 간 문화, 경제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키르기스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민족명키르기스인
현지어명
로마자 표기Kyrgyz
발음 (IPA)
발음 (국제음성기호)
총 인구약 570만 명
관련 민족텔레우트족
텔렝기트족
알타이족
카자흐족
기타 튀르크족
거주 지역
국가









키르기스스탄490만 명
우즈베키스탄45만 명
중국20만 2500명
러시아13만 7780명
타지키스탄6만 5000명
카자흐스탄3만 8606명
튀르키예4000명
아프가니스탄1130명
우크라이나1128명
캐나다1055명
미국6607명
언어
주요 언어키르기스어
종교
주요 종교이슬람교 (주로 수니파)
소수 종교티베트 불교
기독교
기타텡그리즘과 이슬람교의 종교 혼합주의
관련 정보
키르기스스탄 인구 구성2009년 인구 조사에서 키르기스인은 키르기스스탄 인구의 약 71%를 차지함 (약 536만 명).
파미르 키르기스인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도 거주.
일본어 정보
민족명(일본어)キルギス人
총 인구 (일본어)약 4,855,000명
키르기스스탄(일본어)380.4만 명
우즈베키스탄(일본어)600,000명
중국(일본어)210,000명
아프가니스탄(일본어)10,000명
타지키스탄(일본어)81,000명
파키스탄(일본어)60,000명
러시아(일본어)32,000명
카자흐스탄(일본어)11,000명
우크라이나(일본어)3,000명
튀르키예(일본어)4,000명
사용 언어 (일본어)키르기스어
러시아어
종교 (일본어)이슬람교 수니파
불교
한국어 정보
민족명(한국어)키르기스인
총 인구(한국어)663만 여명
키르기스스탄(한국어)6,630,323명
우즈베키스탄(한국어)250,000명
중국(한국어)202,500명
러시아(한국어)103,422명
타지키스탄(한국어)62,000명
카자흐스탄(한국어)23,274명
튀르키예(한국어)1,600명
아프가니스탄(한국어)1,130명
우크라이나(한국어)1,128명
사용 언어 (한국어)키르기스어
러시아어
종교 (한국어)수니파 이슬람교
티베트 불교
기독교
러시아 정교회
민족 계통 (한국어)튀르크족
기원 발상 (한국어)철륵
근연 민족 (한국어)카자흐인

2. 역사

키르기스인들은 카자흐인과 기원이 같은 튀르크인들이며 철륵의 후예들이다.[87][88][89] 이들은 원래 현재의 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 지역이 아닌 예니세이 강 상류에 살았으며, 몽골계 유목 국가인 유연에 속해 있었다. 서쪽의 튀르크인들과 달리 외모에서 몽골로이드 성향이 나타나는 이유이다. 이후 중앙아시아 카스피 해 북부에서 나타난 유로피드 투라니드(Europid Turanid) 계통의 튀르크족 돌궐이 동쪽으로 진출하여 몽골 지역을 정복하고 유연을 멸망시키면서 키르기스인들은 튀르크화되었다.

철륵은 돌궐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인으로 나뉘어진다.[87][88][89] 중세에 이르러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부터 서쪽으로 이동하여, 키르기스인은 산이 많은 오늘날의 키르기스스탄 지역에 정착하였고, 카자흐인은 스텝 지역이 있는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지역에 정착하였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키르기스인들은 카자흐인들과 기원이 같은 튀르크인들이며 철륵의 후예들이다.[87][88][89] 고대와 중세에는 예니세이 강 상류에 살고 있었으며 몽골계 유목 국가인 유연에 속해있었다. 그래서 이들은 서쪽에 살고 있던 튀르크인들과 달리 외모적으로 몽골로이드 성향이 보인다. 중앙아시아 카스피해 북부에서 나타난 유로피드 투라니드(Europid Turanid) 계통의 튀르크족 돌궐이 동쪽으로 진출하여 몽골 지역을 정복하고 유연을 멸망시키면서 이들은 튀르크화된다.

철륵은 돌궐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인으로 나뉘어진다.[87][88][89]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부터 넓은 지역으로 유목과 농업을 병행 하던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인은 돌궐과 인도유럽어족 유목민들이 서진을 하자 중세에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부터 서쪽으로 이동하여 키르기스인은 산이 많은 오늘날의 키르기스스탄 지역에 정주하였고 카자흐인은 스텝 지역이 있는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지역에 정착하였다.

키르기스 여성


키르기스족은 튀르크계 민족이다. 최근 언어학적, 유전학적,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가장 초기의 튀르크계 민족은 기원전 3천년 후반 중국 동북부의 농경 공동체에서 서쪽으로 몽골로 이동하여 유목 생활을 채택한 것으로 나타난다. 기원전 1천년대 초, 이들은 기마 유목민이 되었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역 주민들은 몽골에서 이동한 동아시아계 소수 지배층에 의해 점진적으로 튀르키스화된 것으로 보인다.[30][31]

9~10세기에 톈산 지역으로 이동한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키르기스족 형성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32] 그들의 기원은 오늘날 몽골 서부 지역이며, 기록상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사마천의 사기(기원전 109-91년 편찬)의 중국 연대기에 ''격곤''(, ) 또는 ''견곤''()으로 기록되어 있다.[33]

키르기스 가족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예니세이 강 상류 계곡, 시베리아 중부에 살았다. 고대 후기에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티엘레족의 일부였다. 후에 중세 초기에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돌궐위구르 카간국 연합의 일부였다.[36]

840년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이 주도한 반란으로 위구르 카간국이 멸망하고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이 전 제2 돌궐 카간국을 지배하게 되었다. 권력이 커짐에 따라 키르기스 카간국의 중심지는 제티-수로 이동했고, 키르기스족이 남쪽으로 톈산과 신장으로 퍼져나가 현재 중국 서부, 특히 티베트 제국의 기존 주민들과 접촉하게 되었다.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국의 카간들은 한나라 장군 이릉의 후손임을 주장했는데, 이는 키르기스 카간과 당나라 황제 간의 외교 서신에서 언급되었으며, 당나라 황실인 이씨 가문은 이릉의 조부인 이광의 후손임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키르기스 카간은 당나라를 도와 위구르 카간국을 멸망시키고 태화공주를 위구르로부터 구출했다. 그 과정에서 위구르 카간을 죽이기도 했다.

그 후 키르기스족은 빠르게 톈산 산맥까지 이동하여 약 200년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 그러나 12세기에는 몽골의 확장으로 키르기스족의 지배는 알타이 산맥과 사얀 산맥으로 축소되었다. 13세기 몽골 제국이 부상하자 키르기스족은 남쪽으로 이주했다. 1207년, ''예케 몽골 울루스''(몽골 제국) 건립 후, 칭기즈칸의 장남 조치는 저항 없이 키르기스스탄을 점령했다. 키르기스스탄은 14세기 후반까지 몽골의 속국으로 남았다. 1685년 오이라트(준가르족)의 지배하에 들어가기 전까지 여러 튀르크계 민족이 그들을 지배했다. 준가르 지배는 1757년까지 지속되었다. 준가르족을 피해 도망쳤던 많은 키르기스족 부족들이 이때 현대 키르기스스탄으로 돌아왔다.[37]

키르기스 여성이 버터와 소금을 제공하는 모습


16세기에는 ''키르기스''라는 민족명을 가진 사람들이 남부 시베리아, 신장, 톈산, 파미르-알라이], 중앙아시아,

2. 2. 예니세이 키르기스와 톈산 키르기스

키르기스인들은 카자흐인들과 기원이 같은 튀르크인들이며 철륵의 후예들이다.[87][88][89] 이들은 예니세이 강 상류에 살고 있었으며, 몽골계 유목 국가인 유연에 속해있었다. 그래서 이들은 서쪽에 살고 있던 튀르크인들과 달리 외모적으로 몽골로이드 성향이 보인다. 중앙아시아 카스피해 북부에서 나타난 유로피드 투라니드(Europid Turanid) 계통의 튀르크족 돌궐이 동쪽으로 진출하여 몽골 지역을 정복하고 유연을 멸망시키면서 이들은 튀르크화된다.

철륵은 돌궐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인으로 나뉘어진다.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부터 넓은 지역으로 유목과 농업을 병행 하던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인은 돌궐과 인도유럽어족 유목민들이 서진을 하자 중세에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부터 서쪽으로 이동하여 키르기스인은 산이 많은 오늘날의 키르기스스탄 지역에 정주하였고 카자흐인은 스텝 지역이 있는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지역에 정착하였다.

9~10세기에 톈산 지역으로 이동한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키르기스족 형성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32]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예니세이 강 상류 계곡, 시베리아 중부에 살았다. 고대 후기에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티엘레족의 일부였다. 후에 중세 초기에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돌궐위구르 카간국 연합의 일부였다.[36]

840년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이 주도한 반란으로 위구르 카간국이 멸망하고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이 전 제2 돌궐 카간국을 지배하게 되었다. 권력이 커짐에 따라 키르기스 카간국의 중심지는 제티-수로 이동했고, 키르기스족이 남쪽으로 톈산과 신장으로 퍼져나가 현재 중국 서부, 특히 티베트 제국의 기존 주민들과 접촉하게 되었다.

그 후 키르기스족은 빠르게 톈산 산맥까지 이동하여 약 200년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 그러나 12세기에는 몽골의 확장으로 키르기스족의 지배는 알타이 산맥과 사얀 산맥으로 축소되었다. 13세기 몽골 제국이 부상하자 키르기스족은 남쪽으로 이주했다.

16세기에는 '키르기스'라는 민족명을 가진 사람들이 남부 시베리아, 신장, 톈산, 파미르-알라이], 중앙아시아,

2. 3. 몽골 제국과 준가르 제국 시대

키르기스족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카자흐인과 기원이 같다.[87][88][89] 이들은 철륵의 후예이며, 고대와 중세에는 예니세이 강 상류에 살면서 몽골계 유목 국가인 유연에 속해 있었다. 이 때문에 서쪽의 튀르크인들과 달리 몽골로이드 외형적 특징이 나타난다. 이후 돌궐이 동쪽으로 진출하여 유연을 멸망시키면서 튀르크화되었다.

철륵은 돌궐의 문화를 받아들여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인으로 분리되었다.[87][88][89] 중세에 이르러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키르기스인은 산이 많은 키르기스스탄 지역에, 카자흐인은 스텝 지역인 카자흐스탄 지역에 정착하였다.

9~10세기에 톈산 지역으로 이동한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키르기스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2] 이들의 기원은 몽골 서부 지역이며, 최초의 기록은 사마천의 《사기》(기원전 109-91년 편찬)에 ''격곤''(鬲昆, 隔昆) 또는 ''견곤''(堅昆)으로 나타난다.[33] 11세기 신당서는 키르기스족(結骨)을 붉은 머리, 하얀 피부, 초록색 눈을 가진 민족으로 묘사했다.[34]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예니세이 강 상류 계곡, 시베리아 중부에 살았다. 고대 후기에 티엘레족의 일부였으며, 중세 초기에는 돌궐위구르 카간국 연합의 일부였다.[36] 840년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이 주도한 반란으로 위구르 카간국이 멸망하고, 이들은 전 제2 돌궐 카간국을 지배하게 되었다. 키르기스 카간국의 중심지는 제티-수로 이동했고, 남쪽으로 톈산과 신장으로 퍼져나가 중국 서부, 특히 티베트 제국의 주민들과 접촉했다.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국의 카간들은 한나라 장군 이릉의 후손임을 주장했는데, 이는 키르기스 카간과 당나라 황제 간의 외교 서신에서 언급되었다. 당나라 황실인 이씨 가문은 이릉의 조부인 이광의 후손임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키르기스 카간은 당나라를 도와 위구르 카간국을 멸망시키고 태화공주를 위구르로부터 구출했으며, 위구르 카간을 죽이기도 했다.

이후 키르기스족은 빠르게 톈산 산맥까지 이동하여 약 200년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 그러나 12세기에는 몽골의 확장으로 알타이 산맥과 사얀 산맥으로 축소되었다. 13세기 몽골 제국이 부상하자 키르기스족은 남쪽으로 이주했다. 1207년, ''예케 몽골 울루스''(몽골 제국) 건립 후, 칭기즈칸의 장남 조치는 저항 없이 키르기스스탄을 점령했다. 키르기스스탄은 14세기 후반까지 몽골의 속국으로 남았다. 1685년 오이라트(준가르족)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1757년까지 지속되었다. 준가르족을 피해 도망쳤던 많은 키르기스족 부족들이 이때 현대 키르기스스탄으로 돌아왔다.[37]

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인들은 17세기경 주변 민족의 영향을 받아 이슬람교로 개종했지만, 오이라트가 세운 준가르 제국에 복속되었다. 준가르 제국의 붕괴 후에는 최종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4.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키르기스인들은 독립적인 민족으로서 자치체를 건설하게 되었다. 1924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관할 하에 카라키르기스 자치주가 설치되었고, 1926년에는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36년에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소련의 구성국으로 설립되었다.[37]

2. 5. 독립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키르기스인들은 '''키르기스 공화국'''을 건국하고 CIS(독립국가연합)에 가입하였으며, 1992년 UN에도 가입하여 독립을 쟁취하였다. 1993년 현재의 키르기스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하였다.

3. 민족명

키르기스족(Kyrgyz)이라는 민족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흔히 투르크어(Turkic languages) 단어인 "kyrk"("40")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iz"는 고대 복수 접미사이므로, "키르기스"는 문자 그대로 "40개 부족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불멸의", "불멸할 수 없는", "불멸의", "정복할 수 없는", 또는 "무적의"를 의미하며, 마나스 서사시의 영웅과도 관련이 있는데, 건국 신화에 따르면 마나스는 40개 부족을 통합하여 거란에 맞섰다고 한다. 1370년에 『원사』에 기록된 다른 신화는 초원(steppe)의 고향에서 태어난 40명의 여성에 대한 이야기이다.[22]

키르기스스탄의 유목민


이 민족명에 대한 가장 초기 기록은 중국식 음역인 "Gekun"(鬲昆중국어, LH *kek-kuən* < 고대 중국어: *krêk-kûn*)과 "Jiankun"(, LH *ken-kuən* < OC: *kên-kûn*)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원래 민족명이 *kirkur ~ kirgur* 및/또는 *kirkün*이었음을 시사하며, 또 다른 음역인 "Jiegu"(, EMC: *kέt-kwət*)는 *kirkut / kirgut*를 시사한다. 유리 주예프는 이 민족명이 아마도 '들 사람, 들 훈족'을 의미할 것이라고 제안했다(cf. 티엘레 부족명 渾 ''Hún'' < MC *ɣuən*).[23] 피터 골든은 *Qïrğïz* < *Qïrqïz* < *Qïrqïŕ*을 재구성하고, 구 튀르크어 ''qır'' '회색'(말의 색깔)과 접미사 ''-q(X)r/ğ(X)r'' ~ ''k(X)z/g(X)z''의 결합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한다.[24][25]

중국 학자들은 키르기스족을 위해 여러 다른 음역을 사용했는데, 여기에는 ''Gegu'' (紇骨), ''Jiegu'' (結骨), ''Hegu'' (紇骨), ''Hegusi'' (紇扢斯), ''Hejiasi'' (紇戛斯), ''Hugu'' (護骨), ''Qigu'' (契骨), 또는 ''Juwu'' (居勿), 그리고 욱종제 통치 기간에는 "Xiajiasi" (黠戛斯)가 있는데, "붉은 얼굴"을 의미한다고 한다.[33][26]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붉은 얼굴"이 아마도 통역사가 투르크 ''qïzïl'' ~ ''qizqil''(붉은색을 의미)에 기반하여 민족명을 설명한 속설적 어원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유럽 작가들은 당시 러시아어 киргизыru에서 유래한 초기 로마자 표기인 ''Kirghiz''를 사용하여 현대 키르기스족뿐만 아니라 그들과 더 가까운 북쪽 친척인 카자흐족을 가리켰다. 구별이 필요할 때는 보다 구체적인 용어가 사용되었다. 키르기스족 자체는 ''카라키르기스''("검은 키르기스", 천막의 색깔에서 유래)라고 불렸고,[29] 카자흐족은 Қырғыз-қайсақkk 또는 "Kirghiz-Kazak"으로 불렸다.[27][28][29]

일반적으로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민족명 키르기스(キルギス)는 러시아어(ロシア語)의 민족명 Киргизru(Kirgiz)에서 유래한다. 반면 키르기스어(キルギス語) 자칭은 크르그즈(Кыргызky, Kyrgyz)이다. 제정시대 러시아인(ロシア人)은 카자흐인(カザフ人)을 잘못하여 키르기스(キルギス)라고 불렀기 때문에, 원래의 키르기스족은 '''카라 키르기스'''(「黒いキルギス人」- 검은 키르기스인이라는 뜻)라고 불렸다.

소련 시대에 키르기스(キルギス)라는 타칭으로 불리게 되어, 국제적으로는 “Kirghiz”로 표기되었다. 1990년(1990年)에 키르기스 공화국(キルギス共和国)이 주권을 선포한 후, 키르기스어(キルギス語)에 준한 “Kyrgyz” 표기가 국제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일본 학계에서도 「키르기스(キルギス)」는 타칭 또는 오칭이며, 「크르그즈(クルグズ)」로 표기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여겨진다.

중국에서는 「키르기스(キルギス)」를 음역한 '''吉爾吉斯'''를 키르기스 공화국의 키르기스족을 가리키는 데 사용하고, 「크르그즈(クルグズ)」를 음역한 '''柯爾克孜'''를 중국의 소수민족으로서의 키르기스족을 가리키는 민족명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4. 문화

키르기스인들은 현재 도시화되어 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이 많지만, 여전히 유목 생활을 하며 소, 양 등 가축들을 키우기도 한다.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며, 대부분 무슬림(수니파)이지만, 이슬람화 시기가 늦어 샤머니즘 등 자연 신앙 요소도 남아 있다. 본래 유목 생활을 하였으나, 1930년대 소련에 의해 정착화 정책이 추진되어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농업 등에 종사하고 있다.

서사시 마나스는 키르기스 민족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75] 키르기스 사람들 사이에서는 "옛날 옛날에 키르기스인과 일본인이 형제였는데,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키르기스인이 되고, 생선을 좋아하는 사람은 동쪽으로 건너가 일본인이 되었다."라는 전설이 전해지며, 키르기스인과 일본인은 얼굴이 매우 닮았다는 이야기가 있다.[75] --

4. 1. 언어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며, 대부분 무슬림 (수니파)이다. 이슬람화 시기가 늦었기 때문에 샤머니즘 등의 자연신앙 요소도 남아 있다.[75] 중국 헤이룽장성 푸위현의 키르기스인들은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고 있으나, 이 집단은 러시아 연방의 민족인 하카스인에 가까운 민족 집단이다. 언어(푸위 키르기스어)와 풍습 모두 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인보다 오히려 하카스인에 가깝다.

4. 2. 종교

키르기스인은 주로 이슬람교를 믿으며 수니파가 많다.[50] 대부분 수니파 이슬람의 하나피 학파를 따르는 무슬림이다.[50] 이슬람은 7세기와 8세기에 실크로드를 따라 여행하던 아랍 상인들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51] 8세기에 정통 이슬람교는 우즈베크인들과 함께 페르가나 계곡에 전파되었다.[51] 그러나 10세기 페르시아의 문헌인 ''후두드 알-알람''에서는 키르기스족을 여전히 "불을 숭배하고 죽은 자를 불태우는" 민족으로 묘사하고 있다.[51]

키르기스족은 17세기 중반부터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시작했다. 수피 선교사들이 개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까지 키르기스족은 독실한 무슬림으로 여겨졌고 일부는 하지를 지냈다.[52]

러시아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은 북부 지역에서는 무신론이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키르기스스탄 중앙부에서는 샤머니즘의 일부 문화적 의례가 오늘날까지 행해지고 있다. 2007년 7월 인터뷰에서 키르기스스탄 전 대통령 아스카르 아카예프의 딸인 베르메트 아카예바는 공산주의 영향을 받았던 북부 지역에서조차 이슬람이 점점 뿌리내리고 있다고 말했다.[53] 그녀는 많은 모스크가 건설되었고 키르기스스탄 사람들이 "점점 더 이슬람에 헌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54]

샤머니즘토테미즘을 포함한 많은 고대 원주민 신앙과 관습은 이슬람과 융합되어 공존했다. 대부분 여성인 샤먼들은 여전히 장례식, 추모식 및 기타 의식과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슬림 관행에 대한 종교적 준수에 있어 북부와 남부 키르기스스탄 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피 이슬람 수도원은 1세기 이상 키르기스스탄에서 가장 활동적인 무슬림 단체 중 하나였다.[55]

키르기스스탄 토크막의 모스크


한편, 중국 흑룡강성 부유현의 키르기스인들은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고 있다. 하지만 이 집단은 엄밀히 말하면 러시아 연방의 민족으로 말하는 하카스인에 가까운 민족 집단이다. 언어(푸위 키르기스어), 풍습 모두 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인보다 오히려 하카스인에 가깝다.

4. 3. 문화유산

서사시 마나스가 키르기스 민족의 문화유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75]

4. 4. 유목 생활

현재는 도시화되어 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이 많으나, 여전히 유목 생활을 하며 소, 양 등 가축들을 키우기도 한다.

5. 유전적 계통

키르기스인의 유전적 구성은 여러 부족의 혼합으로 나타난다.[40][41] R1a1 하플로그룹은 현대 키르기스인 남성의 63%에게서 나타나며, 줌갈 지역[42]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다.[43] 역사적으로 창시자 효과가 발생하여 키르기스인 R1a1의 다양성은 낮다.[43] 키르기스 남서부 집단은 R 하플로그룹 빈도가 낮고, N 하플로그룹은 거의 없다.[44] (파미르[45] 출신 키르기스인은 제외)

키르기스인의 서유라시아 mtDNA 하플로그룹 계보는 샘플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27%에서 42.6%를 차지한다.[47] 이 중 mtDNA H 하플로그룹이 약 14.2% (탈라스 8.3% ~ 사리타시 21.3%)로 가장 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키르기스인은 동유라시아 mtDNA 하플로그룹에 속하며, mtDNA D 하플로그룹 (약 20.2%,[47][46] 탈라스 14.6% ~ 사리타시 25.5%[47]) 중 D4 (약 18.5%[47][46])가 가장 빈번하다.[47]

현대 및 고대 유라시아인의 유라시아 전역 주성분 분석. 총 1,372명의 고대 개인이 현대 유라시아 인구에 의해 정의된 처음 두 주성분으로 투영됩니다. (A) 중석기 시대부터 에네올리틱 시대, (B) 청동기 이전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 (C) 철기 시대 및 (D) 역사 시대 개인이 표시되었습니다. 키르기스인은 동유라시아와 서유라시아 군집 사이 중앙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2011년 상염색체 조상 연구에 따르면 키르기스스탄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키르기스인은 동유라시아 조상이 우세하다. 동유라시아 조상은 약 3분의 2를 차지하지만,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키르기스인은 절반에 불과하다.[48]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중국 키르기스인은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인보다 서유라시아 조상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키르기스인은 유럽인과 남아시아인에 더 가깝게 군집한다.[49] 키르기스인은 몽골로이드가 기본이지만, 코카소이드 특징도 일부 보이며,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코카소이드 기원인 R1a(Y染色体)가 63.5%로 높게 나타난다.[76]

중국 내 북서부 키르기스족의 Y염색체 유전자 조사 결과, 하플로그룹 R1a(Y染色体)가 48.13%, 하플로그룹 C2(Y染色体)가 26.56%, 하플로그룹 J(Y染色体)가 7.47% 등으로 나타났다.[77]

6. 키르기스인의 분포

19세기 러시아 정착민들이 전통적인 키르기스족 거주지에 진출하면서 많은 키르기스족이 중국아프가니스탄으로 이동하였다.[64] 러시아 지배 지역과 비교하여 중국 지배 지역에 있는 무슬림 키르기스족에게 더 많은 혜택이 주어졌으며, 무슬림 키르기스족은 다가올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를 물리칠 것이라고 확신했다.[65]

6. 1. 중국

1914년 키르기스족의 텐트(유르트)


키르기스족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56개 민족 중 하나이다. 중국에는 14만 5천 명이 넘는 키르기스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어로는 ''Kē'ěrkèzī zú'' ()로 알려져 있다.[63]

19세기에 러시아 정착민들이 전통적인 키르기스족 거주지에 진출하면서 많은 키르기스족이 국경 너머 중국으로 이동하여 중국의 키르기스족 인구가 증가하게 되었다.[64] 러시아 지배 지역과 비교하여 중국 지배 지역에 있는 무슬림 키르기스족에게는 더 많은 혜택이 주어졌다. 러시아 정착민들은 유목민인 무슬림 키르기스족과 싸웠고, 이로 인해 러시아는 키르기스족이 중국과의 분쟁에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무슬림 키르기스족은 다가올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를 물리칠 것이라고 확신했다.[65]

신장의 키르기스족은 1932년 키르기스 반란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카슈가르 전투 (1933년)과 1934년 카슈가르 전투에도 참여했다.[66]

키르기스족은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서부의 키질수 키르기스족 자치주에 거주하며, 인근 우쉬(우크투르판), 아크수, 샤처(야르칸트), 잉기사르, 타슈쿠르간 및 피샨(구마)과 신장 북부의 테커스, 자오수(몽골쿠레), 에민(도르빌진), 볼레(보르탈라), 징허(징허) 및 꽁류 등에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악토 현에서는 과거 키르기스족 부족이었던 악토 투르크멘족이 현재 위구르어를 사용한다.[67]

중국 정부의 공식 분류에 따라 "키르기스족"에 포함되는 특이한 집단으로 "후유 키르기스족"이 있다. 이들은 17세기에 융허 칸국에 의해 예니세이 강 지역에서 准噶尔(주웅가얼)로 이주한 후, 청나라에 의해 융허가 패배한 후 18세기에 准噶尔(주웅가얼)에서 만주로 이주한 수백 명의 예니세이 키르기스족(하카스족) 사람들의 후손들로, 현재 헤이룽장성 후유 현의 우지아즈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의 언어인 후유 키르기스 방언은 하카스어와 관련이 있다.[68]

중국의 키르기스족 중 일부는 티베트 불교를 따른다.[69]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키르기스족 거주 지역은 다음과 같다.

자치주/현
크즐수 키르기스 자치주
온숙현(阿克蘇地区)보자둔 키르기스족향(博孜墩柯爾克孜族鄉)
우슈 투르판현(烏什縣)아만소 키르기스족향(阿曼蘇柯爾克孜族鄉)
타슈쿠르간 타지크족 자치현(塔什庫爾干塔吉克自治縣)커커얼 키르기스족향(科克亞爾柯爾克孜族鄉)
구마현(庫車縣)강커얼 키르기스족향(康克爾柯爾克孜族鄉)
몽골쿠례현(蒙古庫勒縣)하터 키르기스족향(夏特柯爾克孜族鄉)
터커스현(特克斯縣)괄커철력 키르기스족향(闊克鐵熱克柯爾克孜族鄉)
부유현(富裕縣)우의 다우르족 만주족 키르기스족향(友誼達斡爾族滿族柯爾克孜族鄉)


6. 2.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의 키르기스스탄인 인구는 2003년 당시 1,130명이었으며, 모두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바다흐샨 주의 와칸 지역 동부 출신이었다.[56] 그들은 여전히 유목 생활을 하고 있으며, 칸(Khan)이나 테킨(Tegin)이 이끌고 있다.

1916년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 지배에 대한 반란이 진압되면서 많은 키르기스스탄인들이 나중에 중국과 아프가니스탄으로 이주했다. 아프가니스탄의 키르기스스탄인 난민 대부분은 와칸 지역에 정착했다. 1978년까지 와칸의 북동부에는 약 3,000~5,000명의 키르기스스탄인이 살고 있었다.[57][58]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대부분의 키르기스스탄인 주민들은 파키스탄으로 피신했다. 그들은 미국 영사관에 미국 알래스카주에 정착하기 위한 비자 5,000장을 요청했는데, 와칸 회랑과 비슷한 기후와 기온을 가졌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의 요청은 거절되었다. 한편, 난민 수용소의 열악한 환경과 비위생적인 조건으로 키르기스스탄인 난민들이 놀라운 속도로 사망하고 있었다. 케난 에브렌 장군의 군사 쿠데타 통치하에 있던 터키가 개입하여 1982년에 모든 그룹을 터키 반 호수 지역에 재정착시켰다. 반주 에르치시에 있는 울루파미르(키르기스어로 "대 파미르") 마을이 이들에게 주어졌으며, 오늘날에도 5,000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 "죽은 양의 37가지 용도 - 파미르 키르기스족 이야기"는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이 키르기스스탄인들의 삶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59][60]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일부 키르기스스탄인들은 1979년 10월 와칸으로 돌아왔다.[61] 그들은 소파미르 주변에서 발견된다.[62]

6. 3. 파키스탄

키르기스인은 파키스탄에 거주하는 유일한 투르크계 민족이다. 파키스탄의 키르기스인들은 주로 북부, 특히 치트랄 지역에 거주하며, 키르기스어는 파키스탄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투르크어이다.[70] 현재는 수천 명에 불과하며, 많은 사람들이 파슈툰족이나 호족과 동화되었다.[71] 과거에는 길기트-발티스탄 지역을 지배했었다. 또한 파키스탄에는 키르기스계 아프가니스탄 난민도 있다.[72]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일부가 파키스탄으로 망명하여 정착한 키르기스인들도 있다. 파키스탄에서 일하는 키르기스 국적의 사람들도 있다.

6. 4. 기타 국가

키르기스-미국 재단(KAF)은 미국에 등록된 비영리 단체로, 문화 간 이해와 협력을 증진함으로써 키르기스스탄과 미국 간의 시민, 인도주의, 문화 및 사업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AF는 키르기스스탄의 다문화 유산을 보존하면서 미국에 거주하는 키르기스계 미국인들의 강한 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해 문화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73]

키르기스-워싱턴 자매 지역 기구는 2019년에 설립되었다. 이 기구는 워싱턴주 웬애치의 기업, 정부 및 지역 사회 지도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로 구성된 이사회에 의해 운영된다. 이 기구는 키르기스스탄과 워싱턴주 간의 상호 문화 이해와 전문성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지역 간의 대표단 교류와 농업 개발, 야외 레크리에이션 관광, 수자원 관리 분야에서 키르기스스탄과 워싱턴주의 전문적인 분석 및 발전을 추진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한다.[74]

7. 저명한 인물


  • 이스하크 바이크 무농 아지(1902-1949) - 1944년 6월 민족군을 창설하고 총사령관을 역임하였다.
  • 주수푸 마마이 - 가수
  • 칭기즈 아이트마토프 - 작가
  • 라자브알리 셰이두라예프 - 종합격투기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Atlas of Humanity https://www.atlasofh[...]
[2] 웹사이트 Kyrgyz: Our Languages: About: Central Eurasian Studies: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https://ceus.indiana[...]
[3] 웹사이트 2009 Census preliminary results http://24.kg/communi[...] 2011-07-24
[4]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in Kyrgyzstan 1999–2014 http://www.stat.kg/s[...] National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Kyrgyz Republic 2014-04-14
[5] 간행물 5.01.00.03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5.01.00.03 Total population by nationality] Bureau of Statistics of Kyrgyzstan 2019
[6] 웹사이트 新疆维吾尔自治区统计局 http://www.xjtj.gov.[...] Xinjiang Bureau of Statistics 2017-09-03
[7]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8] 웹사이트 https://eurasianet.o[...]
[9] 웹사이트 Kazakhstan population by ethnic groups https://stat.gov.kz/[...]
[10] 웹사이트 https://novastan.org[...]
[11] 웹사이트 Wak.p65 http://postconflict.[...] 2013-02-28
[12] 웹사이트 Ukrainian population census 2001 http://ukrcensus.gov[...] 2009-04-23
[13] 웹사이트 Ethnic Origin (279),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12)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6 Census - 25%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2017-10-25
[14] 웹사이트 Kyrgyzstan - International emigrant stock 2019 https://countryecono[...]
[15] 뉴스 Kyrgyz Religious Hatred Trial Throws Spotlight On Ancient Creed https://www.rferl.or[...] 2012-02
[16] 웹사이트 Kyrgyz https://dictionary.c[...] 2024-03-31
[17] 웹사이트 Kyrgyz https://www.oed.com/[...] OED 2024-03-31
[18] 웹사이트 Report: Mapping of Kyrgyz Diaspora Compatriots and Migrants Abroad 2021 https://kyrgyzstan.u[...] 2024-05-17
[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Eerdmans and Brill 2003
[20] 서적 Central Asia: Aspects of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12-08
[21] 서적 Indigenous Peoples: An Encyclopedia of Culture, History, and Threats to Survival [4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02-24
[22] 서적 Horse Tamgas from Vassal Princedoms (Translation of Chinese composition "Tanghuyao" of 8–10th centuries) Kazakh SSR Academy of Sciences 1960
[23] 서적 Horse Tamgas from Vassal Princedoms Kazakh SSR Academy of Sciences 1960
[24] 논문 The Turkic World in Mahmûd al-Kâshgarî https://www.turkolog[...] 2017
[25] 논문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2018-08
[26] 웹사이트 Xiajiasi 黠戛斯, Qirqiz http://www.chinaknow[...] 2012
[27] 서적 The Russians in Central Asia: their occupation of the Kirghiz steppe and the line of the Syr-Daria : their political relations with Khiva, Bokhara, and Kokan: also descriptions of Chinese Turkestan and Dzungaria https://archive.org/[...] Edward Stanford 1865
[28] 서적 The Kyrgyz: an historical outline http://www.kyrgyz.ru[...] 1963
[29] 백과사전 Kirghiz
[30] 논문 2018
[31] 논문 2017
[32] 논문 On the Origins of the Kyrgyz People 1955
[33] 서적 Interpreters in Early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1
[34] 논문 Dual origins of the Northwest Chinese Kyrgyz: the admixture of Bronze age Siberian and Medieval Niru'un Mongolian Y chromosomes https://www.research[...] 2021-09
[35]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
[36] 웹사이트 About the Kyrgyz https://www.worldnom[...] 2024-05-17
[37] 논문 Heroes, Chieftains, and the Roots of Kirghiz Nationalism 2006-09-00
[38] 서적 Writing Travel in Central Asian Histor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39] 논문 Dual origins of the Northwest Chinese Kyrgyz: the admixture of Bronze age Siberian and Medieval Niru'un Mongolian Y chromosomes https://www.research[...] 2024-03-16
[40] 논문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41] 서적 Indo-european origins: The anthropological evidence Inst for the Study of Man
[42] 논문 A Genetic Landscape Reshaped by Recent Events: Y-Chromosomal Insights into Central Asia
[43] 논문 A Genetic Landscape Reshaped by Recent Events: Y-Chromosomal Insights into Central Asia
[44] 서적 Genomic diversity: Applications in human population genetics Springer
[45] 논문 ПОЛИМОРФИЗМ Y Хромосомы У Тюркоязычного Населения Алтая, Саян, Тянь-Шаня И Памира В Контексте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Генофондов Западной И Восточной Евразии http://med-gen.ru/ar[...] 2013-05-24
[46] 논문 Joint Genetic Analyses of Mitochondrial and Y-Chromosome Molecular Markers for a Population from Northwest China 2020
[47] 논문 Different Matrilineal Contributions to Genetic Structure of Ethnic Groups in the Silk Road Region in China
[48] 논문 In the heartland of Eurasia: the multilocus genetic landscape of Central Asian populations
[49] 논문 The Genetic Echo of the Tarim Mummies in Modern Central Asians https://academic.oup[...] 2022-09-01
[50] 웹사이트 Kyrgyz Republic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51]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Indiana University Press
[52]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53] 웹사이트 Eurasianet Civil Society – Kyrgyzstan: Time to Ponder a Federal System http://www.eurasiane[...] 2007-08-03
[54] 웹사이트 Kyrgyzstan: An interview with Bermet Akayeva, daughter of ex-president Askar Akayev {{!}} Women Reclaiming and Redefining Cultures http://www.wluml.org[...] 2017-03-18
[55] 웹사이트 Tradition and Changing Ideals Collide in Post-Soviet Kyrgyzstan https://thediplomat.[...] 2024-03-24
[56] 뉴스 A Hard Life on the 'Roof of the World' http://lens.blogs.ny[...] 2013-02-04
[57] 뉴스 FACTBOX-Key facts about the Wakhan Corridor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6-12
[58] 웹사이트 Mock and O'Neil, Expedition Report (2004) http://www.mockandon[...] Mockandoneil.com 2012-09-27
[59] 웹사이트 Turkey: Kyrgyz Nomads Struggle To Make Peace With Settled Existence http://www.eurasiare[...] Eurasiareview.com 2012-09-27
[60] 웹사이트 37 USES FOR A DEAD SHEEP TRAILER http://www.tigerlily[...] 2017-03-18
[61] 웹사이트 Hermann Kreutzmann (2003) ''Ethnic minorities and marginality in the Pamirian Knot'' http://www.juldu.com[...] 2012-09-27
[62] 서적 Afghanistan. Ediz. Ingles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63] 웹사이트 LibGuides: Chinese Ethnic Groups: Overview Statistics http://guides.lib.un[...] 2017-03-18
[64] 서적 Unknown Mongolia: a record of travel and exploration in north-west Mongolia and Dzungaria, Volume 2 https://books.google[...] Lippincott 2011-05-29
[65]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11-22
[66] 서적 Warlords and Muslims in Chinese Central Asia: A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an Sinkiang 1911-1949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6-10-09
[67] 웹사이트 Into Their World…The Akto Turkmen of China | Lausanne World Pulse Archives https://lausanneworl[...]
[68] 서적 The Caucasus -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10-16
[69] 웹사이트 http://www.china.com[...] 2007-02-18
[70] 웹사이트 The last Kirghiz khan in Gilgit https://www.thenews.[...] 2019-12-01
[71] 논문 The Kyrgyz of the Afghan Pamir Ride on
[72] 잡지 Resettlement Pattern: The Afghan Refugees in Pakistan https://www.cultural[...] 1988-12-01
[73] 웹사이트 Kyrgyz American Foundation https://www.kyrgyzam[...]
[74] 웹사이트 Kyrgyz-Washington Sister Region Organization https://www.kyrgyz-w[...]
[75] 웹사이트 在京キルギス大使館の開館 https://www.mofa.go.[...] 외務省ホームページ
[76] 서적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77] 논문 Joint Genetic Analyses of Mitochondrial and Y-Chromosome Molecular Markers for a Population from Northwest China
[78] 웹사이트 2009 Census preliminary results http://24.kg/communi[...]
[79] 웹인용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in Kyrgyzstan 1999–2014 http://www.stat.kg/s[...] National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Kyrgyz Republic 2014-04-14
[80] 웹사이트 Ethnic Atlas of Uzbekistan http://www.library.c[...]
[81] 웹인용 zh:新疆维吾尔自治区统计局 http://www.xjtj.gov.[...] Xinjiang Bureau of Statistics 2019-04-14
[82]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perepis20[...] 2009-12-24
[83] 웹사이트 http://92.46.60.130/[...]
[84] 웹인용 Kyrgyz in Turkey https://joshuaprojec[...]
[85] 웹인용 Wak.p65 http://postconflict.[...] 2013-02-28
[86] 웹사이트 Ukrainian population census 2001 http://ukrcensus.gov[...] 2009-04-23
[87] 서적 튀르크의 종족적 원류 위키미디어 커먼즈 2007-09-12
[88] 서적 투르크족의 발상지 위키미디어 커먼즈 2007-09-12
[89] 서적 실크로드 사전 201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