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내스터 탈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내스터 탈턴은 1754년 리버풀에서 태어난 영국 육군 장교로,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뛰어난 기병 지휘 능력을 보여주었지만, 왁스호 학살 사건으로 잔혹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전쟁 후에는 정치에 입문하여 영국 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군사적 능력과 잔혹한 행적으로 인해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그는 대중문화에서 종종 악역으로 묘사되며, '탈턴 헬멧'으로 알려진 독특한 가죽 헬멧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독립 전쟁 관련자 - 토머스 페인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계 미국인 혁명가, 작가, 정치 사상가로서, 그의 팸플릿 『상식』은 미국 독립 여론 형성에 기여했고, 『미국의 위기』 시리즈는 미국인들의 사기를 진작시켰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인간의 권리』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옹호하고 『이성의 시대』를 통해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했으나, 그의 급진적 사상으로 인해 말년은 고독하게 보냈다.
  • 미국 독립 전쟁 관련자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배내스터 탈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ieutenant-Colonel Banastre Tarleton
"중령 배내스터 탈턴" by 조슈아 레이놀즈, 영국 군단의 군복을 입고 "탈턴 헬멧"을 착용함. 국립 미술관, 런던.
존칭 접두사
이름배내스터 탈턴
존칭 접미사Bt, GCB
출생일1754년 8월 21일
사망일1833년 1월 15일
출생지랭커셔 리버풀, 잉글랜드
사망지헤리퍼드셔 레인트워딘, 잉글랜드
거주지해당사항 없음
군사 정보
충성영국 (1775-1801)
충성영국 (1801-1812)
복무 기간1775–1812
최종 계급대장
군종영국 육군
지휘영국 군단
소속 부대제1 킹스 드라군 근위대
주요 전투미국 독립 전쟁
찰스턴 포위전
몽크스 코너 전투
레누드 페리 전투
왁스호 전투
피싱 크릭 전투
캠던 전투
블랙스톡 농장 전투
카우펜스 전투
코완스 포드 전투
토렌스 주막 전투
서머필드 전투
웨첼스 밀 전투
길포드 법원 전투
그린 스프링 전투
요크타운 포위전
수상바스 훈장 대십자 기사
수상준남작
개인 정보
친척메리 로빈슨

2. 생애

배내스터 탈턴은 리버풀에서 노예 무역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1771년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변호사를 준비했다. 1773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5000GBP를 상속받았으나, 1년도 되지 않아 런던에서 도박과 여자로 재산을 탕진했다. 1775년 제1 근위 용기병대에 기병 장교로 임관하여 군 생활을 시작, 뛰어난 기병으로서 능력을 발휘하여 중령까지 승진했다.

1775년 12월, 탈턴은 미국 독립 전쟁에 자원하여 코크에서 북아메리카로 항해했다. 찰스 콘월리스 경과 함께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 남부 도시를 점령하기 위한 원정대의 일원으로 참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윌리엄 하우 장군 휘하의 영국 본군에 합류했다.[4]

윌리엄 하코트 대령의 지휘 하에, 탈턴은 뉴저지에서 찰스 리 장군의 동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찰대의 일원이었다. 1776년 12월 13일, 탈턴은 배스킹 리지의 한 집을 포위하고 리 장군을 생포했다.

북미 식민지 전쟁 동안, 탈턴은 1776년 캠페인 참전으로 여단장 자리를 얻었고, 1778년 6월 13일에는 대위로 진급했다.[5] 브랜디와인 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 참전했으며,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 카운티 이스턴 타운십의 시그널 힐에 있는 통신 기지를 공격하기도 했다.

1780년 5월 29일에는 왁스호 크릭 전투에서 에이브러햄 뷰포드 대령이 이끄는 버지니아 대륙군 부대를 상대로 논란이 되는 학살을 벌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탈턴의 자비"(항복 후 사격)라는 구절은 "무자비함"을 의미하게 되었다.[6]

이후 탈턴은 캠든 전투에서 콘월리스의 승리에 기여했고, 피싱 크릭 전투에서 토머스 섬터를 격파했다. 1781년 1월 17일 카우펜스 전투에서는 다니엘 모건 준장에게 대패했으나, 길포드 코트하우스 전투에 참전한 후 버지니아로 이동했다. 버지니아에서는 샬러츠빌을 급습하여 토머스 제퍼슨 주지사와 의원들을 체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781년 10월,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글로스터 포인트를 지키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프랑스 로젱 군단과의 교전에서 패배하고 말에서 떨어졌다.[16][17][18] 결국 영국군은 요크타운과 함께 항복했고, 탈턴은 가석방되어 영국으로 돌아갔다.

전쟁 이후, 탈턴은 1790년부터 1812년까지 하원 의원을 역임하며 정치 경력을 쌓았다. 그는 군사 문제와 노예 무역 폐지에 반대하는 발언으로 알려졌다.[31] 1815년 준남작 작위를 받았고,[33] 1820년에는 바스 훈장의 사령관 대십자 훈장(GCB)을 받았다.

탈턴은 배우이자 작가인 메리 로빈슨과 15년간 관계를 유지했고, 1798년 제4대 앤캐스터 공작의 사생아 딸인 수잔 버티와 결혼했다. 탈턴은 1833년 1월 Herefordshire 레인트워딘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754년 리버풀에서 노예 무역 상인이자 선주였던 존 탈턴(1718–1773)의 일곱 자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61] 그의 아버지는 1764년 리버풀 시장을 역임했고, 미국 식민지와의 무역을 확장했다.[61] 탈턴 & 백하우스는 영국에서 가장 큰 수출입 회사 중 하나였으며,[2] 이 가족은 미국 전역에 걸쳐 무역 이익을 가지고 있었고, 노예를 포함한 많은 화물을 거래했다.[2]

탈턴은 런던의 미들 템플에서 교육을 받았고, 1771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변호사가 되기 위한 준비를 했다.[53] 1773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5000GBP을 상속받았지만,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런던의 코코아 트리 클럽에서 도박과 여성 편력으로 거의 모두 탕진했다.[53] 1775년 제1 근위 용기병대의 기병 장교(기수) 직을 구매했고(1775년 5월 2일부터 효력 발생),[3] 뛰어난 기마술과 군대 지휘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의 능력 덕분에 그는 더 이상의 지휘권을 구매하지 않고도 중령까지 진급했다.[3]

2. 2.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배내스터 탈턴은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자원했다. 그는 찰스 콘월리스 경과 함께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을 점령하기 위한 원정대를 따라 북아메리카로 파견되었다.[4] 이 원정은 실패했지만, 탈턴은 뉴욕에서 윌리엄 하우 장군 휘하의 영국군에 합류했다. 1776년에는 복무 중 기병대 참모장 지위를 얻었다.

윌리엄 하코트 대령의 지휘 아래, 탈턴은 뉴저지에서 찰스 리 장군의 동향을 파악하는 임무를 맡았다. 12월 13일 탈턴은 배스킹 리지에 있는 리 장군의 집을 포위하고, 그를 생포하는 데 성공했다. 리 장군은 뉴욕으로 이송되어 포로 생활을 하다가, 이후 포로 교환으로 풀려났다.

1780년 초, 탈턴은 영국 군단의 사령관이 되어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이동했다. 그는 헨리 클린턴 경을 도와 찰스턴 점령에 기여했다. 하지만, 탈턴은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프랜시스 매리언과 같은 미국 민병대 사령관들의 게릴라전에 고전했다. 매리언은 지역 주민들의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탈턴은 강제로 소와 식량을 징발하여 민심을 잃었다.[9]

2. 2. 1. 왁스호 학살 논란

1780년 5월 29일, 에이브러햄 뷰퍼드 대령이 이끄는 버지니아 대륙군 부대가 왁스호 전투에서 학살당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이 사건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가장 논쟁적인 사건 중 하나이며, "탈턴의 자비"라는 표현은 무자비함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6]

왁스호 전투(1780년 5월 29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랭커스터 군


뷰퍼드는 항복을 거부하고 행군을 계속하려 했다. 그러나 많은 사상자를 낸 후 뷰퍼드는 항복을 명령했다. 그 직후에 일어난 일은 아직도 논쟁의 대상이다. 미국 측 증언에 따르면, 탈턴은 백기를 무시하고 포로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했다. 113명의 대륙군 병사가 사망하고 203명이 포로가 되었으며, 이 중 150명은 중상을 입어 그 자리에 남겨졌다. 탈턴 부대의 손실은 5명이 전사하고 12명이 부상당했다.[55] 영국군은 이 사건을 "왁스호 크릭 전투"라고 불렀고, 미국 측은 "뷰퍼드 학살" 또는 "왁스호 학살"이라고 불렀다.

대륙군 종군 의사 로버트 브라운필드는 뷰퍼드 대령이 항복의 백기를 들었고 "문명 사회의 전쟁에서 인정되는 통상적인 대우를 기대했다"고 기록했다. 뷰퍼드가 목숨을 구걸하는 동안 탈턴의 말이 머스킷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이로 인해 왕당파 기병들은 반란군이 목숨을 구걸하는 동안 자신들의 지휘관을 쐈다는 인상을 받았다. 분노한 왕당파는 버지니아 병사들을 공격하여 "가장 잔혹한 야만인들의 가장 무분별한 잔혹 행위에서도 그 전까지 없었던 무차별적인 대량 학살"을 감행했다.

탈턴의 병사들은 부상을 입고 누워 있는 대륙군 병사들을 찔러 죽였다. 탈턴 자신의 증언에서는 사실상 학살을 인정하며, 그의 기마가 첫 돌격 때 총탄을 맞아 그가 죽었다고 믿은 부하들이 "쉽게 멈출 수 없는 보복의 집념"에 빠졌다고 했다.

왁스호 학살은 대륙의 혁명가들 사이에서 큰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그전까지 중립적이었던 사람들까지 이 학살을 알고 난 후 혁명을 열렬히 지지하게 되었다.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탈턴의 자비" 또는 "무자비"라는 말은 영국군이나 왕당파 병사들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대륙 애국자들의 슬로건이 되었다. 특히 1780년 10월 7일의 킹스 마운틴 전투에서는 대륙군에 의한 왕당파 학살로 이어졌다.

2. 2. 2. 남부 전선에서의 활동

탈턴은 프랜시스 매리언과 같은 미국 민병대 사령관의 게릴라전에 고전했다. 매리언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들의 지지를 받았고, 탈턴은 주민들에게 식량 등을 압수하며 민심을 잃었다.[9]

1780년 8월, 탈턴은 캠든 전투에서 콘월리스의 승리에 기여했다.[10] 피싱 크릭 전투에서 토머스 섬터를 격파했지만, 블랙스톡 농장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781년 1월 17일, 카우펜스 전투에서 탈턴의 부대는 다니엘 모건 준장에게 대패했다. 탈턴은 200여 명의 병사와 함께 간신히 탈출했다.[11] 이 전투에서 윌리엄 워싱턴 중령이 이끄는 기병대와 교전 중, 탈턴은 워싱턴의 칼에 오른손을 다치고, 권총으로 워싱턴의 무릎과 말을 맞혔다.[13]

탈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버지니아주 아담스 그로브의 역사적 표지판


이후 토렌스 선술집에서 승리하고, 길포드 코트하우스 전투에 참전한 후 버지니아로 이동했다. 버지니아에서 샬러츠빌을 급습하여 토머스 제퍼슨 주지사와 의원들을 체포하려 했으나, 잭 조엣의 기마 행진으로 인해 실패했다.

1781년 10월,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탈턴은 글로스터 포인트를 지키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프랑스 로젱 군단과의 교전에서 패배하고 말에서 떨어졌다.[16][17][18] 결국 영국군은 요크타운과 함께 항복했고, 탈턴은 가석방되어 영국으로 돌아갔다.

2. 3. 전쟁 이후의 삶과 정치 경력

배내스터 탈턴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부상당한 영웅으로 영국에 돌아왔다. 1782년 리버풀에 도착했을 때, 그는 사람들의 환호를 받았다.[30]

1784년 총선에서 휘그당 후보로 리버풀에 출마했으나, 리처드 페넌트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31] 1790년 총선에서는 페넌트를 누르고 당선되었다.[31] 이후 1년을 제외하고 1812년까지 하원 의원을 역임했다.[31] 그는 의회에서 주로 야당과 함께 투표했으며, 찰스 제임스 폭스를 지지했다. 탈턴은 군사 문제와 노예 무역 폐지에 반대하는 발언으로 알려졌다. 특히 리버풀 항구가 노예 무역과 관련이 깊었기 때문에, 그의 형제 클레이턴과 토마스가 노예 무역에 관여하여 노예 무역 존속을 지지했고, 폐지론자들을 야유하고 냉소하는 것으로 유명했다.[31] 1807년부터 1808년까지는 포틀랜드 공작 윌리엄 헨리 캐번디시 벤팅크의 내각을 지지했고, 그 보상으로 버윅과 홀리 섬의 지사로 임명되었다.

1794년 소장, 1801년 중장, 1812년 대장으로 진급했다.[25][26][29] 반도 전쟁에서 영국군을 지휘하는 자리에 임명되기를 희망했지만, 그 자리는 웰링턴에게 돌아갔다. 대신 아일랜드와 잉글랜드에서 군 지휘관직을 맡았다.

1815년 준남작 작위를 받았고,[33] 1820년에는 바스 훈장의 사령관 대십자 훈장(GCB)을 받았다.

탈턴은 배우이자 작가인 메리 로빈슨과 15년간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웨일스 공(훗날의 조지 4세 국왕)의 전 정부였다. 탈턴과 로빈슨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고, 1783년 로빈슨은 유산했다.

1798년 제4대 앤캐스터 공작의 사생아 딸인 수잔 버티와 결혼했다. 탈턴은 버티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않았다. 그러나 탈턴은 결혼 전인 1797년에 사생아 딸 바니나 조지나(1797–1818)를 두었다.

배내스터 탈턴은 1833년 1월, Herefordshire 레인트워딘에서 사망했다.

3. 유산 및 평가

배내스터 탈턴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왁스호 학살 등에서 보인 잔혹 행위로 "피의 탈턴(Bloody Tarleton)"이라는 부정적인 별명을 얻었지만,[51] 뛰어난 기병 지휘관으로서 초기 전투에서 보여준 군사적 능력은 긍정적으로 평가받기도 한다.[10][11][13]

조슈아 레이놀즈를 비롯한 당대 유명 화가들이 그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그가 착용한 독특한 헬멧은 "탈턴 헬멧"으로 불릴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21][36] 이러한 인기를 반영하듯, 탈턴은 여러 소설, 영화 등 대중 매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46]

3. 1. 부정적 평가: 잔혹성과 전쟁 범죄 논란

왁스호 학살을 비롯한 잔혹 행위로 인해 배내스터 탈턴은 "피의 탈턴(Bloody Tarleton)"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명칭은 1950년대 로버트 배스의 책 ''The Green Dragoon''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51]

1780년 5월 29일, 탈턴이 이끄는 영국 군단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왁스호에서 에이브러햄 뷰퍼드 대령이 지휘하는 버지니아 대륙군 부대를 공격했다. 뷰퍼드 대령이 항복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탈턴의 군대는 항복한 병사들을 학살했다는 비난을 받았다.[6] 이 사건은 "왁스호 학살" 또는 "뷰퍼드 학살"로 불리며, 113명의 미군이 사망하고 203명이 포로로 잡혔으며, 150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55] 반면 영국군의 사상자는 5명 사망, 12명 부상에 불과했다.[55]

당시 대륙군 종군 의사였던 로버트 브라운필드는 뷰퍼드 대령이 백기를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탈턴의 말이 총에 맞아 쓰러지자 분노한 왕당파 군대가 무차별적인 학살을 자행했다고 기록했다. 탈턴은 자신의 저서에서 부하들이 자신이 죽었다고 생각하여 "쉽게 억제할 수 없는 복수심"에 불탔다고 주장했다.

왁스호 학살 사건은 미국 독립 혁명을 지지하는 여론을 확산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7] "탈턴의 자비(Tarleton's Quarter)"는 "무자비함"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으며, 킹스 마운틴 전투에서 대륙군이 항복한 왕당파들을 학살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8]

3. 2. 긍정적 평가: 군사적 능력

탈턴은 뛰어난 기병 지휘관으로 초기에는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며 영국군의 남부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80년 캠든 전투에서 콘월리스가 승리하는 데 기여했고, 피싱 크릭 전투에서 토마스 섬터를 격파했다.[10] 비록 블랙스톡 농장 전투에서는 섬터에게 고전했지만, 코펜스 전투에서 패배하기 전까지 그의 전술적 능력은 돋보였다.[11] 토렌스 선술집 전투에서 승리하고, 길포드 코트하우스 전투에 참여하는 등 군사적 능력을 보여주었다.[13] 일부 역사가들은 그의 전술적 능력을 인정하고 있다.

3. 3. 대중문화

조슈아 레이놀즈, 토마스 게인즈버러, 리처드 코스웨이 등 당대 런던의 유명 화가들은 배내스터 탈턴의 초상화를 그렸다. 특히 레이놀즈가 그린 "탈턴 대령"은 그의 대표작이자 초상화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21] 이 그림에서 탈턴은 전장을 배경으로 영국 군단의 제복을 입고 칼을 든 역동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길퍼드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잃은 두 손가락을 교묘하게 가리고 있다.[22]

탈턴은 대중의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그의 초상화는 조각, 삽화, 도자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널리 퍼졌다.

타턴 헬멧을 착용한 존 앙드레 소령


미국 독립 전쟁 당시 탈턴이 착용한 독특한 가죽 헬멧은 "탈턴 헬멧"으로 불리며 유명해졌다. 이 헬멧은 유럽 대륙식 용기병 헬멧을 기반으로, 앞면에 튀어나온 털 장식이 특징이다.[36] 탈턴의 초상화에도 등장하는 이 헬멧은 영국군단 전체에서 착용했으며, 왕립 기마 포병 부대는 나폴레옹 전쟁 때까지, 경용기병 연대는 1796년경부터 1812년까지 사용했다.[37]

탈턴은 여러 대중 매체에서 잔혹한 영국군 지휘관으로 묘사되곤 한다.

  • 존 펜들턴 케네디의 1835년 소설 ''호스슈 로빈슨''에서 탈턴은 명예와 기사도를 중시하는 강인한 군인으로 그려진다.
  • 버나드 콘웰의 소설 ''샤프의 독수리''에서는 주인공의 적대자인 헨리 심머슨 경 대령이 탈턴의 사촌으로, 그의 정치적 연줄에 의존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 1986년 영화 ''스위트 리버티''에서 마이클 케인이 연기한 탈턴은 낭만적이고 멋진 영웅으로 그려진다.
  • 2000년 영화 ''패트리어트''에서 탈턴을 모델로 한 가상의 윌리엄 태빙턴 대령(제이슨 아이삭스 분)은 잔혹하고 가학적인 인물로 묘사된다.[46]
  • 2006년 영화 ''어메이징 그레이스''에서 키아란 힌즈가 연기한 탈턴은 윌리엄 윌버포스의 노예 폐지 법안에 반대하는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2005년, 탈턴이 노획한 4개의 군기가 2006년 소더비 경매에 출품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군기들은 미국 독립 기념일에 낙찰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anastre Tarleton http://www.his.jrshe[...] 2014-01-27
[2] 웹사이트 Banastre Tarleton; Biography, Part 1 http://home.golden.n[...]
[3] 간행물 London Gazette 1775-04-29
[4] 문서 Wilson p. 243
[5] 간행물 London Gazette 1778-06-13
[6] 서적 Cassell's Biographical Dictionary
[7] 웹사이트 The Rhetoric of Revenge: Atrocity and Identity in the Revolutionary Carolinas http://libjournal.un[...] Journal of Backcountry Studies 2010-11-07
[8] 문서 Steel Wills (2014), pp. 7–8
[9]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100: The People, Battles, and Events of the American War for Independence, Ranked by Their Significance https://archive.org/[...] Sourcebooks, Inc.
[10] 간행물 London Gazette 1780-08-19
[11] 문서 "70th Congress, 1st Session House Document No. 328: Historical Statements Concerning the Battle of King's Mountain and the Battle of the Cowpens," page 53. Washington: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8). Retrieved on 10 December 2007.
[12] 웹사이트 William Washington https://www.battlefi[...] 2024-02-20
[13] 웹사이트 Historical Record of the Seventeenth Regiment of Light Dragoons; Lancers: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Formation of the Regiment in 1759, and of its Subsequent Services to 1841. http://www.replicati[...] John W Parker, West Strand. London. 1841
[14] 논문 Adam Goudylock (ca. 1726–1796), Planter, of Albemarle County, Virginia, and Union County, South Carolina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781-06-23
[16] 웹사이트 Lauzun's Legion's History – Short http://www.lauzunsle[...]
[17] 서적 Victory at Yorktown: The Campaign That Won th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4
[18] 웹사이트 Battle of the Hook – battle gaming http://www.battleoft[...] 2015-05-09
[19] 서적 Histoire d'un régiment de cavalerie légère, le 5e hussards de 1783 à 1815 Paris, Editions Archives & Cultures
[20] 간행물 Extracts from the Journal of Lieutenant John Bell Tilden https://books.google[...]
[21] 웹사이트 Colonel Tarleton by Sir Joshua Reynolds (Bequeathed by Mrs Henrietta Charlotte Tarleton,1951) https://www.national[...] National Gallery 1782
[22] 웹사이트 Tarleton http://www.his.jrshe[...]
[23] 웹사이트 Miniature Portrait of Lt. Colonel Banastre Tarleton https://www.bridgema[...] 2023-10-07
[24] 간행물 London Gazette 1790-11-20
[25] 간행물 London Gazette 1794-10-04
[26] 간행물 London Gazette 1801-01-06
[27] 뉴스 The Earl of Darlington 1799-06-15
[28] 간행물 London Gazette 1802-07-20
[29] 간행물 London Gazette 1811-12-28
[30] 웹사이트 TARLETON, Banastre (1754–1833), of St. James's Place, Mdx. http://www.histparl.[...]
[31] 서적 The History of Parliament: the House of Commons 1754-1790 Oxford University Press
[32] 간행물 London Gazette 1808-02-23
[33] 웹사이트 Tarleton, Sir Banastre, baronet (1754–1833)
[34] 뉴스 The Illegitimate child of Major General Banastre Tarleton https://georgianera.[...] 2014-07-08
[35] 문서 Old Church in Saint Pancras
[36] 웹사이트 Top 10 Banastre Tarleton Myths – Journal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allthingslib[...] 2016-08-18
[37] 웹사이트 British Artillery : Napoleonic Wars : Horse : Foot : Rockets : Uniforms http://www.napolun.c[...]
[38] 웹사이트 Four Battleflags Of The Revolution: Captured By Lt.-Col. Banastre Tarleton In 1779 And 1780, The Property Of Capt. Christopher Tarleton Fagan https://www.sothebys[...] Sotheby’s Inc. 2023-12-05
[39] 웹사이트 "FOUR BATTLEFLAGS OF THE REVOLUTION: CAPTURED BY LT.-COL. BANASTRE TARLETON" https://allthingslib[...] Westholme 2023-12-05
[40] 웹사이트 American Revolution flags sell for $17.4 million https://www.nbcnews.[...] 2006-06-15
[41] 웹사이트 Lot 1 An American Revolutionary War Battleflag, 1776-1779 https://www.sothebys[...] Sotheby’s Inc. 2023-12-05
[42] 웹사이트 Lot 2 Three American Revolutionary War Battleflags, 1778–1780 https://www.sothebys[...] Sotheby’s Inc. 2023-12-05
[43] 웹사이트 Second Continental Light Dragoons http://www.dragoons.[...]
[44] 웹사이트 Township History http://www.easttown.[...] 2014-01-16
[45] 웹사이트 The General Tarleton Inn, Knaresborough http://www.britainsf[...]
[46] 뉴스 Older Americans uncomfortable with Mel Gibson's playing of patriot game http://www.irishtime[...] 2016-01-03
[47] 웹사이트 Legacies of British Slavery https://www.ucl.ac.u[...] Centre for the Study of the Legacies of British Slavery 2023-09-04
[48] 웹사이트 Enslavers database https://www.slavevoy[...] SlaveVoyages Consortium 2023-09-04
[49] 서적 Extracts from the Journal of Lieutenant John Bell Tilden https://books.google[...] Historical Society of Pennsylvania
[50] 웹사이트 Top 10 Banastre Tarleton Myths – Journal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allthingslib[...] 2016-08-18
[51] 문서 Knight10
[52] 웹사이트 Burke Davis (1913–2006) https://encyclopedia[...] 2024-02-20
[53] 문서 Scotti
[54] 문서 Wilson
[55] 서적 Cassell's Biographical Dictionary
[56] 간행물 Historical Statements Concerning the Battle of King’s Mountain and the Battle of the Cowpens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8
[57] 웹사이트 Sir Banastre Tarleton http://www.nndb.com/[...]
[58] 문서 オラドゥール=シュル=グラヌ
[59] 웹사이트 http://dir.salon.com[...]
[60] 웹사이트 http://film.guardian[...]
[61] 문서 Scotti
[62] 문서 Wil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