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윌버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윌버포스는 1759년에 태어나 1833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이자 노예제 폐지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그는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21세에 킹스턴어폰헐의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780년대 중반 종교적 개종을 경험한 후, 그는 노예 무역의 비도덕성을 깨닫고 폐지 운동에 헌신했다. 윌버포스는 1807년 영국에서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노예제 완전 폐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1833년 영국에서 노예가 해방되는 것을 보았다. 그는 또한 사회 개혁과 기독교 부흥을 옹호했으며, 그의 유산은 인권과 정의를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초대 하원 의원 - 스펜서 퍼시벌
    스펜서 퍼시벌은 뛰어난 변론과 법조 경력을 바탕으로 하원의원에 당선되어 법무차관, 법무장관, 재무장관을 거쳐 영국 총리가 되었으나, 재임 중 암살당했다.
  • 영국의 초대 하원 의원 - 윌리엄 피트 (1759년)
    윌리엄 피트는 '소 피트'로 불리는 영국의 정치가로, 최연소 총리를 역임하며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영국을 이끌었고, 재정 개혁과 대 프랑스 동맹 결성을 통해 영국을 유럽의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 영국의 제2대 하원 의원 - 스펜서 퍼시벌
    스펜서 퍼시벌은 뛰어난 변론과 법조 경력을 바탕으로 하원의원에 당선되어 법무차관, 법무장관, 재무장관을 거쳐 영국 총리가 되었으나, 재임 중 암살당했다.
  • 영국의 제2대 하원 의원 - 윌리엄 피트 (1759년)
    윌리엄 피트는 '소 피트'로 불리는 영국의 정치가로, 최연소 총리를 역임하며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영국을 이끌었고, 재정 개혁과 대 프랑스 동맹 결성을 통해 영국을 유럽의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 영국의 제6대 하원 의원 - 제1대 러셀 백작 존 러셀
    존 러셀은 1792년에 태어나 1878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으로, 휘그당 출신으로 개혁법 제정을 주도하고 곡물법 폐지를 이끌었으며,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고 외무 장관을 지냈다.
  • 영국의 제6대 하원 의원 -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헨리 존 템플은 1784년에 태어나 1865년에 사망한 영국의 휘그당 정치가이자 외교관, 총리로, 자유 무역 제국주의를 주도하며 영국 국익을 증진하는 데 힘썼고 크림 전쟁, 아편 전쟁 등 주요 국제 분쟁에 깊이 관여하며 빅토리아 시대 영국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윌버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윌버포스, 카를 안톤 히켈 작품,
이름윌리엄 윌버포스
출생일1759년 8월 24일
출생지킹스턴어폰헐, 요크셔, 잉글랜드
사망일1833년 7월 29일
사망지벨그레이비아, 런던, 잉글랜드
안장 장소웨스트민스터 사원
학력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
정당무소속
배우자바버라 스푸너 (1797년 5월 30일 결혼)
자녀6명 (로버트, 새뮤얼, 헨리 포함)
서명Wilber.svg
성직자 정보
숭배성공회
축일7월 30일
의회 경력
직책국회의원
임기 시작1780년 10월 31일
임기 종료1825년 2월
이전 의원데이비드 하틀리
다음 의원아서 고프캘서프
선거구킹스턴어폰헐 (1780–1784)
요크셔 (1784–1812)
브램버 (1812–1825)

2. 어린 시절

윌리엄 윌버포스의 생가. 윌버포스 하우스라고 불리는 박물관이 되었으며, 앞에는 동상이 세워져 있다.


윌리엄 윌버포스는 1759년 8월 24일 영국 요크셔 에서 부유한 상인 로버트 윌버포스(1728~1768)와 엘리자베스 버드(1730~1798) 부부의 외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할아버지 윌리엄(1690~1774)은[2][3] 발트해 연안 국가들과의 해상 무역으로 가문의 재산을 일궜으며,[4] 두 차례 헐 시장을 역임했다.[5]

윌버포스는 어릴 때 시력이 좋지 않은 허약한 아이였다.[6] 1767년 헐 그래머 스쿨(Hull Grammar School)에 입학했는데,[7] 당시 교장은 평생 친구가 될 조셉 밀너(Joseph Milner)였다.[8] 1768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플레이스와 윔블던에 집이 있는 부유한 삼촌과 숙모에게 보내졌다. 퍼트니의 기숙학교에 2년 동안 다녔고, 방학에는 윔블던에서 지내며 친척들을 매우 좋아하게 되었다.[9] 그는 친척들, 특히 숙모 한나의 영향으로 복음주의 기독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한나는 부유한 상인이자 자선가였으며 주요 감리교 설교가 조지 화이트필드를 지지했던 존 손튼의 여동생이었다.[1]

윌버포스의 엄격한 영국 성공회 신자인 어머니와 할아버지는 이러한 비국교도적 영향과 그의 복음주의적 성향에 놀라 1771년 12살 된 윌버포스를 헐로 데려왔다. 윌버포스는 숙모, 삼촌과 헤어지는 것에 마음이 아팠다.[10] 그의 가족은 교장이 감리교도가 되었기 때문에 헐 그래머 스쿨로 돌아가는 것을 반대했고, 1771년부터 1776년까지 포클링턴 스쿨(Pocklington School)에서 교육을 계속했다.[11][12] 감리교의 영향으로 처음에는 헐의 활기찬 사교 생활을 거부했지만, 종교적 열정이 줄어들면서 연극 관람, 무도회 참석, 카드 게임을 즐기게 되었다.[13]

1776년 10월, 17세의 윌버포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입학했다.[14] 1774년과 1777년에 각각 할아버지와 삼촌이 사망하면서 그는 독립적으로 부유해졌고,[15] 그 결과 진지한 공부에 힘쓸 의향이나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대신 학생 생활의 사교 활동에 몰두했고,[14][15] 카드 게임, 도박, 늦은 밤 음주 등의 향락적인 생활 방식을 추구했지만, 일부 동료 학생들의 과도한 행동은 불쾌하게 생각했다.[16][17] 재치 있고 관대하며 뛰어난 대화가였던 윌버포스는 인기 있는 인물이었다. 그는 훗날 수상이 되는 윌리엄 피트를 포함하여 많은 친구들을 사귀었다.[17][18] 그는 1781년에 학사 학위를, 1788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1]

3. 초기 의회 경력

1780년, 윌버포스는 킹스턴어폰헐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당시 관례에 따라 필요한 표를 확보하기 위해 8000GBP가 넘는 돈을 썼다.[21][22] 그는 무소속 의원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양심에 따라 토리당과 휘그당 정부 모두를 지지했다.[24][25]

윌버포스는 의회에 정기적으로 출석하는 한편, 활발한 사교 생활도 유지했다. 그는 구스트리스와 부들스 같은 신사 도박 클럽의 단골이었다. 작가이자 사교계 명사인 드 스타엘 부인은 그를 "영국에서 가장 재치 있는 남자"라고 묘사했고,[26] 조지아나, 데번셔 공작 부인에 따르면, 웨일스 왕자(훗날 조지 4세)는 윌버포스의 노래를 듣기 위해 어디든 갈 것이라고 말했다.[27][28] 윌버포스는 정치 연설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는데, 작가 제임스 보스웰은 그의 웅변을 보고 "나는 마치 작은 새우가 테이블 위에 올라가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내가 경청하자 그는 자라나고 자라나, 마침내 그 새우는 고래가 되었다."고 묘사했다.[29]

1781년부터 1784년까지 잦은 정권 교체 동안, 윌버포스는 의회 토론에서 그의 친구 윌리엄 피트를 지지했다.[30] 1783년 가을, 피트, 윌버포스, 에드워드 엘리엇은 6주간의 휴가를 함께 보내기 위해 프랑스로 여행을 갔다.[1] 랭스에서 영국 스파이라는 의심을 받기도 했지만, 파리에서 벤자민 프랭클린, 라파예트 장군, 마리 앙투아네트, 루이 16세를 만났고, 퐁텐블로에 있는 프랑스 궁정에 합류했다.[31]

피트는 1783년 12월 총리가 되었고, 윌버포스는 그의 소수 정부의 핵심 지지자였다.[32] 윌버포스의 잦은 지각과 조직성 부족, 만성적인 눈 질환 등은 그가 장관직을 맡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된다.[33] 1784년 봄 의회가 해산되자, 윌버포스는 1784년 총선에서 요크셔 카운티의 후보로 출마하여,[1] 24세의 나이로 요크셔 의원에 당선되었다.[34]

4. 회심

1784년 10월, 윌버포스는 아이작 밀너(Isaac Milner)와 함께 유럽 여행을 시작했고, 이 여행중에 필립 도드리지(Philip Doddridge)의 "영혼 속의 종교의 부상과 발전(The Rise and Progress of Religion in the Soul)"을 읽었다.[36]

펜을 들고 있는 윌버포스의 유화 초상화
윌리엄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 존 라이징(John Rising) 작, 1790년, 30세 시절


이후 윌버포스는 복음주의적 개종을 경험하며, 일찍 일어나 성경을 읽고 기도하며 개인적인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37] 그는 과거의 삶을 후회하고 미래의 삶과 일을 하나님께 헌신하기로 결심했다.[1] 그의 개종은 그의 몇몇 습관을 바꾸었지만, 그의 성격은 바꾸지 못했다. 그는 여전히 외적으로 쾌활하고, 관심 있고, 존중하며, 재치 있게 다른 사람들에게 그의 새로운 신앙을 권유했다.[38]

당시 종교적 열정(enthusiasm)은 사회적 일탈로 여겨졌고, 윌버포스는 공직에 남아 있어야 하는지 고민했다. 그는 존 뉴턴(John Newton)에게 조언을 구했고, 존 뉴턴은 그에게 정치에 남아 있으라고 조언했다.[41][42] 그는 "더욱더 부지런하고 양심적으로" 정치에 남기로 결심했다.[1] 그의 정치적 견해는 그의 신앙과 사생활과 공공 생활에서 기독교와 기독교 윤리를 증진하려는 그의 열망에 의해 형성되었다.[43][44]

5. 노예제 폐지 운동

영국은 16세기부터 노예 무역에 관여했으며, 1783년에는 삼각 무역로를 통해 대외 수입의 약 80%를 얻었다.[49][50] 영국 선박은 노예 무역을 장악하여 절정기에는 매년 4만 명의 아프리카인들을 끔찍한 조건 속에 수송했다.[51] 약 1,100만 명이 노예로 강제 이송되었고, 그중 140만 명이 항해 중 사망했다.[52]

"나는 인간이 아니오?" 1787년 조시아 웨지우드가 노예제 반대 운동의 일환으로 만든 메달리온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은 1780년대 퀘이커교도의 반노예제 위원회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다.[53][54] 1786년, 찰스 미들턴 경의 편지로 윌리엄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되었고,[57][58] 미들턴은 윌버포스에게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제안할 것을 제안했다.[59] 1787년, 토마스 클락슨은 윌버포스에게 노예 무역에 대한 증거들을 제시했고,[61][62][63] 윌버포스는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제안하는 데 동의했다.[68]

노예선 브룩스호의 다이어그램. 노예들이 어떻게 수송되었는지 보여준다


1789년 5월 12일, 윌버포스는 하원에서 노예제 폐지에 관한 첫 연설을 했다. 그는 토마스 클락슨의 증거를 인용하여 노예들이 겪는 참혹한 환경을 설명하고, 노예 무역 폐지가 서인도 제도 노예들의 조건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노예 무역을 규탄하는 12개의 결의안을 제출했다.[78][79] 1791년,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 폐지 법안을 제출했으나 부결되었다.[88][89][90][91]

윌버포스는 클랩험파의 지지를 받으며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계속했다.[92][93] 1792년, 헨리 던다스의 점진적 폐지 타협안이 통과되었지만, 윌버포스는 완전한 폐지를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97][98][99] 1793년, 프랑스와의 전쟁 발발로 논의가 중단되기도 했다.[100]

19세기 초, 폐지 여론이 높아지면서,[107] 1807년, 마침내 노예 무역 폐지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였다.[114][118]

5. 1. 영국의 노예 무역

영국은 16세기부터 노예 무역에 관여했다. 1783년에는 영국산 상품을 아프리카로 가져가 노예를 사고, 서인도 제도로 수송한 다음, 설탕, 담배, 목화와 같은 노예 생산품을 영국으로 가져오는 삼각 무역이 영국 대외 수입의 약 80%를 차지했다.[49][50] 영국 선박은 노예 무역을 장악하여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포르투갈 및 영국 식민지에 노예를 공급했으며, 절정기에는 대서양을 횡단하는 끔찍한 조건 속에서 매년 4만 명의 남녀와 어린이를 수송했다.[51] 약 1,100만 명의 아프리카인들이 노예로 강제 이송되었고, 약 140만 명이 항해 중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52]

17세기부터 영국은 본격적으로 노예 무역에 뛰어들었고, 18세기에 이르러 세계 최대의 노예 무역국이 되었다. 1750년에는 13개 아메리카 식민지 전체에서 노예제가 합법적인 제도였으며,[238][239] 삼각 무역서인도 대농장의 이익은 산업 혁명 당시 영국 경제의 5%를 차지했다.[240][241] 영국의 주요 항구에서는 노예 무역으로 수천 명의 고용 창출과 수백 척의 선박 건조 및 유지 수요가 발생하여 영국 경제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흑인 노예들은 비참하고 비인간적인 대우 속에 거래되었으며,[242] 이들의 실상이 알려지면서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 인간 존중, 평등 사상과 함께 노예 폐지론이 대두되었고, 18세기 후반에는 이러한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5. 2. 노예 무역 폐지

1786년 윌리엄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만든 찰스 미들턴 경의 편지를 받았다. 미들턴은 윌버포스에게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제안할 것을 제안했고, 윌버포스는 이 제안을 완전히 거절하지는 않겠다고 답했다.[57][58][59] 1787년 초, 토마스 클락슨은 윌버포스를 만나 자신이 쓴 노예 무역에 대한 논문을 전달했다.[61][62][63] 퀘이커교도들은 클락슨에게 하원에서 폐지 주장을 제기하기 위한 윌버포스의 약속을 받도록 촉구했고,[65][66] 1787년 3월 13일 윌버포스는 "더 적합한 사람이 없다면"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제안하겠다는 데 동의했다.[67][68] 1787년 5월 12일, 윌버포스는 윌리엄 피트, 윌리엄 그렌빌과 대화를 나누었고, 이때 다른 의원이 하기 전에 노예 무역에 관한 동의안을 제출할 것을 제안받았다.[1] 윌버포스는 이때 동의안을 제출하기로 결심했다고 훗날 밝혔다.[70]

1787년, 윌버포스는 그랜빌 샤프가 1786년에 설립한 노예 무역 폐지 촉진 협회에 참여했다. 이 협회는 샤프 등 노예 폐지론자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으며, 해방 노예들을 아프리카(시에라리온)로 이주시키는 계획을 추진했다.

1789년 5월 12일, 윌버포스는 하원에서 노예제 폐지에 관한 첫 번째 주요 연설을 했다. 그는 노예 무역이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만하며 자연 정의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토마스 클락슨의 증거를 인용하여 노예들이 아프리카에서 중간 항해를 통해 겪는 끔찍한 조건을 설명하고, 무역 폐지가 서인도 제도의 기존 노예들의 조건도 개선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노예 무역을 규탄하는 12개의 결의안을 제출했지만, 노예제 자체의 폐지에는 언급하지 않았다.[78][79] 노예제 폐지 반대자들은 하원이 자체 증거를 들어야 한다는 제안을 통해 투표를 지연시켰고, 윌버포스는 이에 동의했다.[80][81]

1790년 1월, 윌버포스는 축적된 증거를 검토하기 위해 더 작은 의회 특별 위원회에 대한 승인을 얻어 청문회를 가속화하는 데 성공했다.[83] 1791년 4월,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최초의 의회 법안을 제출했으나, 법안은 163대 88로 부결되었다.[88][89][90][91]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한 장기적인 의회 운동을 계속했고, 1792년 헨리 던다스는 점진적 폐지 방안을 제안하여 230대 85의 표결로 통과시켰다.[97][98][99] 1793년 2월 26일,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한 또 다른 투표가 8표 차이로 부결되었고, 같은 달 프랑스와의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 문제에 대한 논의는 중단되었다.[100] 1794년, 윌버포스는 영국 선박이 외국 식민지에 노예를 공급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했지만 실패했다.[109][101] 1790년대 내내 윌버포스는 폐지 법안을 계속 제출했다.[105][106]

19세기 초, 폐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했고,[107] 1804년 6월, 윌버포스의 노예 무역 폐지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지만, 의회 회기가 너무 늦어 상원을 통과하지 못했다. 1805년 회기에서 재심사되었지만 부결되었다.[108]

1806년 1월 핏(Pitt)이 사망한 후, 윌버포스는 휘그당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그는 그렌빌 폭스 내각을 지지했으며, 윌버포스와 찰스 폭스(Charles Fox)는 하원에서 캠페인을 이끌었다.[109][110] 제임스 스티븐(James Stephen)은 영국인이 프랑스 식민지에 대한 노예 무역을 돕거나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도입하는 것을 제안했고,[111] 이 법안은 1806년 5월 23일 왕실의 재가를 받았다.[114] 윌버포스는 1806년 후반에 노예 무역 폐지에 대한 편지를 썼고,[115] 1806년 영국 총선에서 요크셔의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다.[116]

그렌빌(Grenville) 경 총리는 상원에서 먼저 노예제 폐지 법안을 성공적으로 도입했고,[116] 1807년 2월 23일 하원에서 찰스 그레이(Charles Grey)는 2차 독회를 제안하여 283대 16표로 통과되었다.[114][118]

5. 3. 노예제 폐지

1772년 인도주의자 그랜빌 샤프는 의회에서 노예무역 금지법 제정을 강력히 요청했다. 1781년에는 존 뉴턴, 제임스 램지 등이 한나 모어 등과 함께 노예제 폐지 운동에 나섰다. 윌버포스도 1786년에 이 운동에 동참, 1787년 '노예무역 폐지 협회'를 창설했다.[243] 이들은 노예제 완전 폐지를 최종 목표로 삼았으나, 사회적 반발을 우려해 우선 노예무역 폐지를 1차 목표로 설정했다. 1788년 윌리엄 피트 총리가 노예무역 검토를 위한 자문위원회를 설치했으나,[244] 1791년 제출된 노예무역 폐지법안은 부결되었다.

1792년, 윌버포스는 점진적 폐지 방안으로 하원에서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1793년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무산되었다.[232] 이후 11차례나 좌절을 겪었고, 윌버포스는 생명의 위협과 건강 악화에도 불구하고 노력을 지속했다. 20년 가까운 노력 끝에 여론이 바뀌기 시작했고, 1807년 2월 23일 노예무역 폐지법안이 통과되었다.[232] 1802년 덴마크, 1807년 미국도 노예무역을 금지했고, 1814년 프랑스도 1819년부터 금지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도 노예무역을 금지했다.[245]

노예무역 폐지법 발효 후에도 편법적인 노예무역은 계속되었고, 서인도제도와 미국 남부의 노예제가 존속하는 한 완전 근절은 어려웠다. 1823년, 윌버포스는 '노예폐지협회'를 결성,[245] 노예제 완전 폐지를 위한 민중운동을 펼쳤다. 1824년부터 노예무역은 해적 행위로 간주되어 엄격히 처벌되었다. 플랜테이션 소유주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825년 의원직 사퇴 후에도 윌버포스는 노예제 폐지 운동을 계속했다. 1833년 7월 26일, 영국 노예 1년 내 해방법안이 의회를 통과했고, 윌버포스는 병상에서 이 소식을 듣고 사흘 뒤 사망했다.[232] 1834년 8월 1일, 영국 제국 내에서 노예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246]

1783년, 영국 상품을 아프리카로 가져가 노예를 사고, 그 노예들을 서인도 제도로 수송한 다음, 설탕, 담배, 목화와 같은 노예 생산품을 영국으로 가져오는 삼각 무역로가 영국 대외 수입의 약 80%를 차지했다.[49][50] 영국 선박은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포르투갈 및 영국 식민지에 노예를 공급하며 노예 무역을 장악했다. 절정기에는 매년 4만 명의 노예가 된 남녀 어린이들을 대서양 횡단의 끔찍한 조건 속에서 수송했다.[51] 약 1100만 명의 아프리카인들이 노예로 강제 이송되었고, 약 140만 명이 항해 중 사망했다.[52]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은 1780년대 퀘이커교도의 반노예제 위원회 설립과 1783년 의회에 제출된 최초의 노예 무역 탄원서로 시작되었다.[53][54] 1786년 11월, 찰스 미들턴 경의 편지로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되었고,[57][58] 미들턴은 윌버포스에게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제안할 것을 제안했다.[59] 1787년 초, 토마스 클락슨은 윌버포스를 만나 노예 무역에 대해 직접 얻은 증거들을 제시했다.[61][62][63] 1787년 3월 13일, 윌버포스는 "더 적합한 사람이 없다면"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제안하겠다는 데 동의했다.[68]

1787년 5월 12일, 윌버포스는 윌리엄 그렌빌과 대화를 나누었고, 홀우드 하우스에 있는 "윌버포스 오크"로 알려지게 된 나무 아래에서, 피트는 다른 의원이 하기 전에 노예 무역에 관한 동의안을 제출할 것을 제안했다.[1][69]

1789년 5월 12일, 윌버포스는 하원에서 노예제 폐지에 관한 첫 번째 주요 연설을 했다. 그는 토마스 클락슨의 증거를 인용, 아프리카에서 중간 항해를 통해 노예들이 여행했던 끔찍한 조건을 설명하고, 무역 폐지가 서인도 제도의 기존 노예들의 조건도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노예 무역을 규탄하는 12개의 결의안을 제출했지만, 노예제 자체의 폐지에는 언급하지 않았다.[78][79] 1790년 1월, 윌버포스는 축적된 증거를 검토하기 위해 더 작은 의회 특별 위원회에 대한 승인을 얻어 청문회를 가속화하는 데 성공했다.[83] 올드 팰리스 야드에 있는 윌버포스의 집은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운동 중심지가 되었다.[1]

1791년 4월,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최초의 의회 법안을 제출했으나,[88][89] 프랑스 혁명 이후 보수적인 방향으로 정치적 분위기가 바뀌면서 법안은 부결되었다.[90][91] 윌버포스는 클랩험파의 동료 회원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92][93]

1792년 4월 2일,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 폐지를 촉구하는 또 다른 법안을 제출했다.[97] 헨리 던다스는 점진적 폐지 타협안을 제안, 통과되었지만 윌버포스는 완전한 폐지를 무기한 연기하기 위한 책략이라고 믿었다.[98][99] 1793년 2월 26일,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한 또 다른 투표는 8표 차이로 부결되었다. 프랑스와의 전쟁 발발로 추가 논의는 중단되었다.[100] 1794년 12월 31일, 윌버포스는 정부가 프랑스와 평화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제출, 피트와의 우정에 일시적 균열을 초래했다.[103]

19세기 초, 폐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했다.[107] 1804년 6월, 윌버포스의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지만, 의회 회기가 늦어 상원을 통과하지 못했다. 1805년 회기에서 재심사되었지만 부결되었다.[108]

윌버포스 시대의 하원, 어거스터스 퍼긴(Augustus Pugin)과 토마스 로랜드슨(Thomas Rowlandson) 작(1808~1811)


1806년 1월 핏(Pitt)이 사망한 후, 윌버포스는 휘그당(Whigs)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제임스 스티븐(James Stephen)은 영국인이 프랑스 식민지에 대한 노예 무역을 돕거나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 도입을 제안했다.[111] 1806년 5월 23일, 해외 노예 무역 법안은 왕실의 재가를 받았다.[114] 윌버포스는 1806년 후반에 노예 무역 폐지에 대한 편지를 썼다.[115] 1806년 영국 총선에서 요크셔(Yorkshire)의 국회의원으로 재선된 후,[116] 400페이지 분량의 그의 편지를 완성, 출판했다.[117] 1807년 2월 23일, 하원에서 2차 독회가 제안되었고, 법안은 283대 16표로 통과되었다.[114][118]

윌버포스는 아프리카 기관 회원들과 협력, 노예 무역 폐지를 시행하고 다른 국가들과의 폐지론 협상을 증진시켰다.[211][165][166] 미국은 1808년 이후 노예 무역을 폐지했고, 윌버포스는 미국 정부에 자체 금지된 것을 더 강력하게 시행할 것을 로비했다.[167] 1816년부터 윌버포스는 노예의 출신국 정보를 포함, 노예들의 강제 등록을 요구하는 일련의 법안을 발의했다. 같은 해 후반, 점진적 변화가 폐지를 달성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믿으면서 노예 제도 자체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기 시작했다.[169]

1820년 건강 악화와 시력 저하로 윌버포스는 공적인 활동을 제한했지만,[170] 조지 4세와 그의 소원한 아내 브런즈윅의 캐롤라인 사이의 중재 시도에 실패했다.[1] 1821년 그는 국회의원 토마스 파웰 벅스턴에게 하원에서 이 운동의 지도를 맡아 줄 것을 요청했다.[170] 1823년 윌버포스의 "서인도 제도 흑인 노예들을 위해 영국 제국의 주민들의 종교, 정의, 인류애에 대한 호소"가 출판되었다.[175] 이 논문은 완전한 해방이 도덕적, 윤리적으로 필요하며 노예 제도는 점진적 폐지를 위한 의회 입법으로 종식되어야 하는 국가적 범죄라고 명시했다.[176] 1823년 5월 15일, 벅스턴은 의회에서 점진적 해방을 위한 또 다른 결의안을 제안했다.[178] 1824년 3월 16일과 6월 11일에 윌버포스가 하원에서 마지막 연설을 했다.[179][180]

6. 노예제 폐지 이후의 결과와 영향

노예제도 폐지령으로 대영제국 전역에서 노예제는 불법이 되었고 서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 영국을 잇는 삼각 무역은 끝났다. 지난 300여 년 동안 약 1,500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인들이 남미로 강제 이주당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아프리카 역사를 연구하는 한양대학교 HK연구소 이한구 교수는 유럽의 노예상인들이 아프리카 사람들을 강제로 미국, 영국, 남아프리카 등으로 데려와서 사고 판 노예무역이 아프리카의 산업 발전을 300년이나 지연시켰다고 평가한다. 일을 할 수 있는 아프리카 남성들이 모두 노예로 팔려갔기 때문이다.[247] 노예제도 폐지로 인해 카리브 연안에서 66만 8,000명의 노예가 해방되었고, 이들에게 총 2000만파운드가 배상금으로 주어졌다.

영국은 다른 유럽 여러 나라에 노예무역 및 노예제를 폐지할 것을 호소했으며, 이에 따라 노예제를 폐지하는 나라가 늘어갔다. 1834년, 프랑스에서 노예폐지협회가 결성되었고, 1848년에 노예 완전해방의 결의가 이루어졌다.[248] 미국에서도 1833년에 노예제도반대협회가 생겼고, 감리교회, 메노나이트 등의 소수 개신교 교파들은 노예제에 반대했으며, 1863년 링컨 대통령의 ‘노예해방 선언’으로 모든 흑인 노예가 해방되었다. 라틴아메리카 제국에서도 일찍이 노예를 해방시켰으나, 브라질만은 예외적으로 1888년에 와서야 해방령이 내려졌다. 영국의 노예해방운동은 이후 차티스트 운동, 여성 참정권 운동, 민권 운동 등 다른 운동들에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영국의 노예제 폐지는 세계 인권 운동의 출발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43]

7. 기타 활동

윌버포스는 1807년 이후에도 노예 제도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이어갔다. 서인도 제도 노예들의 처우 개선을 목표로 하는 아프리카 기관(African Institution) 설립에 참여했고, 서아프리카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시에라리온 프로젝트에도 기여했다.[228] 의회 내에서는 헨리 손튼, 에드워드 엘리엇 등과 함께 활동하며 선구자적 위치에 있었다.

1820년, 질병으로 공적 활동에 제약을 받았지만, 윌버포스는 모든 노예의 완전한 해방을 위한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228] 1821년에는 토마스 파웰 벅스턴에게 하원에서의 활동 리더십을 넘겨주었다.[228] 1823년 초, 윌버포스는 「서인도 제도 흑인 노예를 위한, 영국 제국 주민의 종교·정의·인도에 대한 호소」를 발표하며 노예 해방의 도덕적, 윤리적 정당성을 주장했다.[228]

같은 해, 노예제 완화·단계적 폐지 협회(후의 반노예제 협회)가 설립되었고, 벅스턴은 노예제 반대 결의안을 의회에 제안했다.[228] 윌버포스는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1823년 6월 11일 하원에서 마지막 연설을 했다.[228]

1824년, 윌버포스는 중병으로 이듬해 의원직을 사퇴했다.[228] 1826년에는 런던 북쪽의 밀 힐(Mill Hill)로 이주했으나, 노예제 반대 운동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았다.[228]

1833년, 건강 악화와 인플루엔자를 겪었지만, 7월 26일 노예제 폐지 법안이 하원 3독회를 통과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했다.[228] 다음 날 그는 더욱 쇠약해졌고, 7월 29일 새벽에 사망했다.[228] 한 달 후, 그레이 백작 정부는 영국 제국 내 모든 노예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노예제 폐지법을 제정했다.[228]

윌버포스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으며, 장례식에는 많은 일반인과 의회 양원 의원들이 참석했다.[228] 1840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흉상이, 1834년에는 헐(Hull)에 기념비가 세워졌다.[228]

7. 1. 정치 및 사회 개혁

윌버포스는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다양한 사회 개혁 운동을 지지했다. 그는 노동자들의 권리 신장에는 반대했지만,[211][126] 굴뚝 청소부와 섬유 노동자의 근무 조건 개선을 위한 법률 제정을 주장했다.[135][161] 또한 감옥 개혁을 지지하고,[135][161] 사형과 사냥법에 따른 가혹한 처벌을 제한하는 캠페인에 참여했다.[135][161]

윌버포스는 한나 무어(Hannah More)가 서머싯(Somerset)과 멘딥힐스(Mendip Hills)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일요학교를 설립했을 때 재정적, 도덕적으로 지원하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36][137] 그는 동물 복지에도 관심을 가져, 다른 사람들과 함께 세계 최초의 동물 복지 단체인 동물 학대 방지 협회(후에 왕립 동물 학대 방지 협회(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가 됨)를 설립했다.[139] 또한 "기독교 사회의 수치"라며 결투에 반대했다.[140][141]

윌버포스는 빈곤층에 대한 기부를 꾸준히 실천했으며,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데 시간과 돈을 아끼지 않았다.[142][143] 그는 "매일 더욱 빠르게 확산되는 신성 모독의 급류"에 맞서 악 억압 협회(Society for the Suppression of Vice)를 설립하는 등 도덕 개혁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56][160][162]

7. 2. 복음주의 기독교 활동

윌리엄 윌버포스는 로버트 레이크스와 존 벤 신부와 함께 18세기 영국 성공회 복음주의 운동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32] 1784년 경 회심한 후, 그는 모범적인 신앙인의 삶을 살기 시작했다.[232] 그의 노예제도 반대 운동은 기독교 정치 운동의 모델로 여겨진다.[232]

윌버포스는 유럽 여행 중 필립 도드리지(Philip Doddridge)의 저서를 읽고 영적인 변화를 경험했다.[36] 그는 일찍 일어나 성경을 읽고 기도하며 개인적인 일기를 쓰는 등 복음주의적 개종을 경험했다.[37] 그는 과거의 삶을 후회하고 하나님께 헌신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1]

당시 종교적 열정(enthusiasm)은 사회적 일탈로 여겨졌지만,[40] 윌버포스는 존 뉴턴(John Newton)의 조언에 따라 정치에 남아 "더욱더 부지런하고 양심적으로" 활동하기로 결심했다.[1] 그의 정치적 견해는 신앙과 기독교 윤리를 증진하려는 열망에 의해 형성되었다.[43][44]

윌버포스는 영국 성공회 복음주의 진영의 지지자로서, 교회의 부흥과 개인의 기독교적 실천이 조화롭고 도덕적인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믿었다.[211] 그는 1797년에 『실천적 기독교관』(A Practical View of the Prevailing Religious System of Professed Christians in the Higher and Middle Classes of This Country Contrasted With Real Christianity)을 출판하여, 신약 성경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기독교 부흥을 촉구했다.[145] 이 책은 6개월 만에 7,500부가 판매되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145][146]

윌버포스는 선교회(이후 선교회로 개명됨)[147][148], 유대인 선교회(후에 유대인 선교회가 됨) 등 여러 복음주의 및 자선 단체에 참여했다.[149][150][151] 그는 인도에서의 기독교 복음주의 부족에 경악하여, 영국 동인도 회사의 헌장 갱신을 통해 인도인들의 "종교적 개선"을 위한 조항을 추가하려 노력했다.[152][153] 1813년, 그는 헌장 변경을 위해 성공적으로 운동하여 1813년 헌장법 통과에 기여했다.[211][154] 그는 동인도 회사와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 영아 살해, 일부다처제, 사티 등을 비판했다.[154][155]

7. 3. 도덕성 개혁

윌리엄 윌버포스는 영국 사회의 타락을 크게 우려하여 도덕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매일 더욱 빠르게 확산되는 신성 모독의 급류"에 맞서 싸웠으며, 이를 노예 무역 폐지와 동등하게 중요한 목표로 여겼다.[156] 윌버포스는 조지 3세에게 경건과 미덕 장려 선언을 발표하도록 건의했고,[157][158][161] 1787년 국왕은 "과도한 음주, 신성 모독, ... 음란, 주일 성수의 훼손, 그리고 기타 방탕하고, 부도덕하거나, 무질서한 행위"에 대한 기소를 명령했다.[159][161]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윌버포스는 악 억압 협회(Society for the Suppression of Vice)를 설립하여[160][162] 매음굴 업주, 외설물 배포자,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자들을 기소하는 데 힘썼다.[211]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가난한 사람들의 죄악에 더 관심이 많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58][163]

8. 개인적인 삶

윌버포스는 30대 후반, 친구 토머스 배빙턴(Thomas Babington)의 추천으로 바버라 앤 스푸너(1771~1847)를 소개받았다.[120][121] 1797년 4월 15일, 그녀를 만난 윌버포스는 즉시 사랑에 빠졌다.[1] 8일간의 열애 후, 그는 청혼했다.[122] 친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둘은 1797년 5월 30일 서머싯주 바스에 있는 세인트 스위신 교회에서 결혼했다.[1] 이들은 서로에게 헌신적이었으며, 바버라는 윌버포스의 건강이 나빠질 때 그를 지극정성으로 보살폈지만, 그의 정치 활동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 10년이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윌리엄(1798년생), 바버라(1799년생), 엘리자베스(1801년생), 로버트(1802년생), 새뮤얼(1805년생), 헨리(1807년생)의 여섯 자녀를 두었다.[1] 윌버포스는 자녀들과 집에서 함께 놀이하는 시간을 즐기는 자상한 아버지였다.[123]

9. 유산

윌리엄 윌버포스는 노예 무역과 노예제 폐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헌신적인 노력은 인권과 정의를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여겨진다.[215] 웨스트민스터 사원에는 1840년에 새뮤얼 조셉이 제작한 윌버포스의 앉은 자세 동상이 세워졌으며, 그의 기독교적 성격과 노예 무역 및 노예 제도 폐지를 위한 오랜 노력을 칭찬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215]

캡션 참조
헐(Kingston upon Hull)의 헐 칼리지(Hull College) 부지에 세워진 윌버포스 기념비(Wilberforce Monument)(1834년)


에서는 1834년에 일반인들의 모금으로 윌버포스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념비는 높이 약 31m의 그리스 도리아 양식 기둥 위에 윌버포스 동상이 놓여 있으며, 퀸스 가든 근처 헐 칼리지 부지에 있다.[216] 1833년에는 요크에 윌버포스 맹인 기념학교가 설립되었다.[217] 그의 생가는 1903년 시 당국에 의해 인수되었고, 보수 공사 후 헐의 윌버포스 하우스(Wilberforce House)는 영국 최초의 노예제 박물관으로 개관했다.[218] 2006년에는 헐 대학교가 윌버포스 하우스 옆 건물에 노예제와 해방 연구를 위한 윌버포스 연구소를 설립했다.[219][220]

앵글리칸 공동체 내 여러 교회에서는 윌버포스를 기념하기 위해 전례력에 그의 이름을 올리고 있다.[221] 1856년에 설립된 미국 오하이오 주의 윌버포스 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대학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소유한 최초의 대학교이며, 역사적으로 흑인 대학(HBCUs) 중 하나이다.[222][223]

그의 생애와 업적은 영화를 통해서도 널리 알려졌다.

  • 어메이징 그레이스: 영국 의회의 노예 무역 반대 법안 200주년을 기념하여 2007년에 개봉되었다.[225][226]
  • ''그레이스 빅토리어스: 윌리엄 윌버포스의 이야기'': 포커스 온 더 패밀리가 제작한 오디오 드라마 (2007년).[227]

10. 저작

A Practical View of the Prevailing Religious System of Professed Christians in the Higher and Middle Classes of this Country Contrasted with Real Christianity영어 (1797년)는 윌리엄 윌버포스가 1793년부터 집필한 책으로, 신약 성서의 교리를 설명하고 기독교의 부흥을 가르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윌버포스의 개인적인 신앙 고백과 그를 움직인 견해를 잘 보여주는 영향력 있는 저서이다.[1]

A Letter on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영어 (1807년)는 윌버포스와 클락슨이 20년 동안 수집한 노예 무역 반대 운동에 대한 증거를 요약한 운동 지지 에세이이다. 이 책은 1807년 1월 31일에 출판되어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의 최종 단계의 기반이 되었다.[2]

Appeal to the Religion, Justice and Humanity of the Inhabitants of the British Empire in Behalf of the Negro Slaves in the West Indies영어 (1823년)에서 윌버포스는 노예의 도덕과 정신 상태는 노예 신분에서 비롯된 것이며, 완전한 해방만이 도덕적·윤리적으로 정당하고 신 앞에서 국가의 의무라고 주장했다.[3]

제목출판 연도내용
A Practical View of the Prevailing Religious System of Professed Christians in the Higher and Middle Classes of this Country Contrasted with Real Christianity영어1797년신약 성서 교리 설명, 기독교 부흥 촉구, 윌버포스의 신앙 고백
A Letter on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영어1807년노예 무역 반대 증거 요약, 노예 무역 폐지 운동 지지
Appeal to the Religion, Justice and Humanity of the Inhabitants of the British Empire in Behalf of the Negro Slaves in the West Indies영어1823년노예 해방의 도덕적, 윤리적 정당성 주장, 국가의 의무 강조


참조

[1] ODNB Wilberforce, William (1759–1833)
[2] Harvnb
[3] 뉴스 William Wilberforce 1774-11-29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서적 William Pitt the Younger Harper Perennial 2005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뉴스 Sickly shrimp of a man who sank the slave ships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07-11-27
[30] Harvnb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서적 Out of Slavery: Abolition and After Frank Cass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서적 The Slave Trade Debate: Contemporary Writings For and Against Bodleian Library, University of Oxford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웹사이트 Clarkson, Thomas (1760–1846) 2011-05-19
[62] 논문
[63] 논문
[64] 서적 The History of the Rise, Progress and Accomplishment of the Abolition of the African Slave-Trade https://books.google[...] John W. Parker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서적 The Parliamentary history of England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year 1803 https://books.google[...] Printed by T.C. Hansard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웹사이트 Clapham Sect (act. 1792–1815) 2005-09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학술지 The limits of abolition: Government, Saints and the 'African Question' c. 1780–1820 Oxford University Press 1997-04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학술지 People and Parliament: The Rhetoric of the British Slave Trade MIT Press 1990-03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서적 Wilberforce: Family and Friends Oxford University Press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서적 The spirit of the age https://books.google[...] C. Templeton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서적 Hannah More: The First Victoria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학술지 Evangelical Anglican missionaries and the London Jews Society: Palestine Place at Bethnal Green and related developments, 1813–1895 2019-04-16
[150] 학술지 English Missions to the Jews: Conversion in the Age of Emancipation 1973
[151] 학술지 The London Jews' Society and Patterns of Jewish Conversion in England, 1801–1859 1981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서적 India: A History Grove Press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학술지 Inexperienced Humanitarians? William Wilberforce, William Pitt, and the Execution Crisis of the 1780s https://web.archive.[...] 2015-04-16
[162] 논문
[163] 논문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논문
[172] 논문
[173] 논문
[174] 논문
[175] 논문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서적 Collections and Recollections https://openlibrary.[...] Harper and Brothers
[182] 논문
[183]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County of Middlesex: Volume 5, Hendon, Kingsbury, Great Stanmore, Little Stanmore, Edmonton Enfield, Monken Hadley, South Mimms, Tottenham https://www.british-[...] 2023-12-17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논문
[192] 서적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John Murray 1882
[193] 논문
[194] 논문
[195] 논문
[196] 뉴스 Funeral of the Late Mr. Wilberforce 1833-08-05
[197] 논문
[198] 서적 Strictures on a Life of William Wilberforce by the Rev. W. Wilberforce, and the Rev. S. Wilberforce https://books.google[...] Longman & Company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논문
[203] 뉴스 William Wilberforce https://query.nytime[...] 2008-03-24
[204] 논문
[205] 서적 The Faithful Citizen: Popular Christian Media and Gendered Civic Identities https://archive.org/[...] Baylor University Press 2010
[206] 서적 The changing voice of the anti-abortion movement: the rise of "pro-woman" rhetoric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
[207] 웹사이트 Why Republicans love comparing abortion to slavery https://www.vox.com/[...] 2016-04-24
[208] 웹사이트 Meet the American Peddling Abortion Pictures Abroad https://www.nbcnews.[...] 2016-04-27
[209] 서적 The changing voice of the anti-abortion movement: the rise of "pro-woman" rhetoric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
[210] 웹사이트 How Canada's growing anti-abortion movement plans to swing the next federal election https://macleans.ca/[...] 2018-09-12
[211] 논문 William Wilberforce and the Perceptions of the British People
[212] 서적 Capitalism and Slave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13] Harvnb
[214] 웹사이트 St Clements' INN of COURT for Trans-African Law and Development https://wilberforcel[...] 2024-11-15
[215] 웹사이트 William Wilberforce http://www.westminst[...] Westminster Abbey 2008-03-21
[216] 웹사이트 The Wilberforce Monument http://www.bbc.co.uk[...] BBC 2008-03-21
[217] Harvnb
[218] Harvnb
[219] 뉴스 Slavery research centre opens at Hull https://www.theguard[...] 2023-06-19
[220] 뉴스 Centre for slavery research opens http://news.bbc.co.u[...] BBC News 2011-10-30
[221] 서적 The New SCM Dictionary of Liturgy and Worship https://books.google[...] SCM-Canterbury Press Ltd
[222] Harvnb
[223] 서적 Wilberforce University in "Cradles of Conscience: Ohio's Independent Colleges and Universities" Eds. John William. Oliver Jr., James A. Hodges, and James H. O'Donnell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24] 서적 Freedom's prophet: Bishop Richard Allen, the AME Church, and the Black founding fathers https://books.google[...] NYU Press
[225] 뉴스 Slave film turns Wilberforce into a US hero https://www.telegrap[...] 2008-04-16
[226] 뉴스 Abolition of slavery is still an unfinished story http://www.iht.com/a[...] 2008-04-16
[227] 웹사이트 The Focus Store https://store.focuso[...] 2024-07-31
[228] 서적 ウォールデン森の生活 上 小学館
[229] 웹사이트 윌버포스 [William Wilberforce] (두산백과 두피디아) https://terms.naver.[...]
[230] 웹사이트 인간 매매를 금하다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 8. 20., 마이클 우드, 피터 퍼타도, 박누리, 김희진) https://terms.naver.[...]
[231] 서적 교회밖에서 만나는 재미있는 교회사이야기 호산
[232] 웹사이트 윌리엄 윌버포스 [William Wilberforce] - 노예제 폐지와 도덕성 회복 운동에 헌신한 영국의 정치가 (인물세계사, 함규진) https://terms.naver.[...]
[233] 웹사이트 Historical survey > Slave societies http://www.britannic[...]
[234] 서적 A Long and Uncertain Journey: The 27,000 Mile Voyage of Vasco Da Gama http://books.google.[...] Mikaya Press
[235] 서적 History of Portugal Columbia University Press
[236]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237] 웹사이트 노예무역 (세상의 모든 지식, 2007. 6. 25., 김흥식) https://terms.naver.[...]
[238] 서적 Cornerstones of Georgia history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5-07
[239] 웹인용 Thurmond: Why Georgia's founder fought slavery http://savannahnow.c[...] 2009-10-04
[240] 웹인용 Was slavery the engine of economic growth? http://www.digitalhi[...] Digitalhistory.uh.edu 2009-04-18
[241]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archive.org/[...] Basic Civitas Books
[242] 웹사이트 윌리엄 윌버포스 [William Wilberforce] - 노예제 폐지와 도덕성 회복 운동에 헌신한 영국의 정치가 (인물세계사, 함규진)
[243] 웹사이트 인간 매매를 금하다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 8. 20., 마이클 우드, 피터 퍼타도, 박누리, 김희진) https://terms.naver.[...]
[244] 웹사이트 노예폐지협회 [Anti-Slavery Society, 奴隸廢止協會] (두산백과 두피디아) https://terms.naver.[...]
[245] 웹사이트 노예폐지협회 [Anti-Slavery Society, 奴隸廢止協會]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종합) https://terms.naver.[...]
[246] 서적 역사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
[247] 서적 아프리카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48] 웹사이트 노예폐지운동 [Abolition Movement, 奴隸廢止運動]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