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동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운동천은 1925년 복개 공사가 시작되어 새문안로3길과 자하문로 등으로 변모한 하천이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복개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과거 신교, 자수궁교, 금천교, 종침교, 송기교 등의 다리가 존재했다. 백운동천 상류의 계곡부는 백운동 계곡으로 불리며, 인왕산 백운동 계곡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었다.
백운동천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백운동 계곡은 백운동천 상류의 계곡부를 의미한다.
2. 연혁
시기 내용 1925년 도렴동~내자동~신교동 간 1,395m 백운동천 복개 착공. 도렴동~내자동 간 약 290m의 복개도로(현 새문안로3길) 개통.[4][5] 1926년~1929년 내자동~신교동 간 약 970m의 복개도로(현 자하문로) 건설. 당시에는 현재의 자하문로 서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였음.[6] 1978년 12월 27일 내자동~청운국민학교앞 1.6km 4차선 확장 개통. 백운동천 복개도로와, 현재의 자하문로 동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 사이에 있던 집들을 철거하여 확장함.[7][6]
2. 1. 일제강점기
2. 2. 해방 이후
해방 이후 백운동천은 복개 및 도로 확장 공사가 계속 진행되었다. 1978년 12월 27일, 내자동에서 청운국민학교 앞까지 1.6km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는데[7][6], 이는 백운동천 복개도로와 기존 도로 사이에 있던 집들을 철거하여 이루어졌다.[7][6]
3. 백운동 계곡
3. 1. 인왕산 백운동 계곡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0호)
백운동 계곡은 백운동천 상류의 계곡을 의미한다.
4. 과거의 다리
조선 시대 백운동천의 다리 목록이다. 송기교 이후부터 영도교까지의 다리는 해당 문서를 참고한다.
- 신교(新橋)
- 자수궁교(慈壽宮橋)
- 금천교(禁川橋)
- 종침교(琮沈橋)
- 송기교(松杞橋)
4. 1. 신교(新橋)
신교동 70번지 신교119안전센터와 궁정동 9번지 사이에 있었다.[8] 서울청운초등학교에 난간석이 남아 있다.[9]4. 2. 자수궁교(慈壽宮橋)
옥인동 21번지 자수궁 앞에 있었으며[10], 지금의 자하문로-자하문로16길-17길 사거리 부근에 있었다. 자수교(慈壽橋) 또는 자교(慈橋)라고도 불렸으며[11], 승정원일기에는 자시궁교(慈始宮橋)로도 기록되어 있다. 1927년에 백운동천에 암거 공사를 진행하면서 소멸되었다.[12]4. 3. 금천교(禁川橋)
지금의 금천교시장 앞에 있었으며, 고려 충숙왕 때 지어졌다고 한다.[13] 물이 흘러나가는 곳은 마치 세 개의 구멍이 있는 수문과 같은 모양으로 되었는데, 돌 위에는 귀면과 연꽃 등의 문양이 양각되어 궁궐에 온 듯한 느낌을 들게 하였다.[14] 1928년 백운동천을 복개하여 지금의 자하문로를 만들면서 철거되었다.[15] 금청교(禁淸橋)[16]나 금충교(禁忠橋)[17]로도 불렸으며, 궁궐의 금천과는 관계없다.4. 4. 종침교(琮沈橋)
내자동 종교교회 앞에 있던 돌다리로, 종침다리 또는 종교(宗橋)라고도 불렀다.[18] 1908년 종침교 건너편 한옥의 예배당을 ‘종교교회’라고 부르게 된 유래가 되었다.[19] 성종 때 윤씨 폐비를 논하기 위해 입궐하던 허종, 허침 형제가 일부러 다리 밑으로 떨어져 이후 연산군의 갑자사화 때 화를 면했다고 해서 형제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종침교라 불리기 시작했다고 하며, 그 이전에는 송첨교(松籤橋)라 불렸다.[20] 1925년 백운동천 복개 과정에서 철거되었다고 한다.[21]4. 5. 송기교(松杞橋)
신문로1가 23번지에 있었으며, 송기전교(松肌廛橋)라고도 불렀다.[18] 송기교를 기준으로 백운동천이 청계천으로 바뀐다.[18]5. 사진
참조
[1]
서적
서울시 실개천의 기능향상과 관리방안
https://www.si.re.kr[...]
서울연구원
2015
[2]
서적
청계천복원사업 백서 1
서울특별시
2006
[3]
뉴스
청계천 옛 물길 2050년까지 완전 복원
https://news.naver.c[...]
2014-02-09
[4]
서적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여성신문사
2005
[5]
뉴스
북부의신작로 황토현네거리로부터 내자동신교동사이길
http://newslibrary.n[...]
2016-11-20
[6]
뉴스
[건축가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을 찾아서] 청계천 물길 끊긴 자리 시장이 아파트를 낳았네
http://www.seoul.co.[...]
2016-11-20
[7]
뉴스
내자동~청운국교 도로1.6km확장 준공
http://newslibrary.n[...]
2016-11-20
[8]
웹인용
청운효자동주민센터 동명유래 신교동
https://health.jongn[...]
2016-11-27
[9]
서적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사진
서울역사박물관
2014
[10]
서적
서울의 하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11]
뉴스
경복궁 옆 '자수궁'에 머문 조선의 슬픈 여인들
http://www.ohmynews.[...]
2016-11-27
[12]
잡지
淸溪川の暗渠工事と滅び行く新將の面影
https://nl.go.kr/NL/[...]
京城土木建築協會
2020-11-09
[13]
뉴스
경복궁역 2번출구에는 역사적인 다리가 있었다
http://www.ohmynews.[...]
2016-11-27
[14]
서적
서울의 하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15]
뉴스
춘풍추우누백성상 최고의 홍예교
http://newslibrary.n[...]
2012-11-27
[16]
뉴스
지금은『복청교』 혜정교의내력 (三)
http://newslibrary.n[...]
2016-11-27
[17]
서적
흑두건
삼문사
[18]
서적
서울의 하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19]
웹인용
종교교회 » 역사 1 – 복음을 심다 (조선후기 ~ 1910년)
http://chongkyo.cafe[...]
2016-11-27
[20]
뉴스
횡설수설
http://newslibrary.n[...]
2016-11-27
[21]
웹사이트
종침교 - 서울지명사전(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