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인의 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인의 짐"은 1899년 러디어드 키플링이 발표한 시로, 미국이 필리핀을 식민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제국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다. 이 시는 백인이 비백인들을 문명화해야 한다는 '문명화 사명'을 내세우며 백인 우월주의를 정당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발표 당시부터 비판을 받았다. 마크 트웨인은 풍자 에세이를 통해 키플링의 주장을 비판했으며, 이후 "백인의 짐"은 서구의 신식민주의를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백인의 짐
개요
루디야드 키플링의 사진
루디야드 키플링
제목백인의 짐
원제The White Man's Burden
작가루디야드 키플링
국가영국
발표일1899년
발표 매체맥클루어 매거진
내용
주제미국의 필리핀 식민지배 옹호
어조훈계적, 설교적, 명령적
운율ABCB
특징제국주의적 사상 고취
배경
집필 계기미국-필리핀 전쟁 당시 미국의 필리핀 식민지배를 옹호하기 위해
발표 시기미국의 필리핀 식민지배가 시작된 직후
영향
반응논란을 일으키며 제국주의 옹호 및 인종차별 비판을 받음
비판흑인의 짐 등 다양한 패러디 및 비판 작품 등장
제국주의적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
기타
참고미국 상원에 의해 필리핀 점령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됨

2. 역사적 배경

1899년 2월 ''맥클루어스 매거진''에 "백인의 짐"이 게재되었다.


"백인의 짐"은 1899년 2월 1일 ''뉴욕 선''에 처음 게재되었고, 1899년 2월 4일에는 런던의 ''타임스''에도 게재되었다.[7]

1899년 2월 7일, 미국이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정복한 1천만 명의 필리핀인과 필리핀 제도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할지 결정하기 위한 상원 토론에서, 벤자민 틸먼 상원 의원은 파리 조약 비준에 반대하는 주장의 일환으로 키플링의 시 중 일부를 낭독하며 미국이 필리핀 제도에 대한 권한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틸먼 상원 의원은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에게 이 시가 "우리의 위험과 의무를 그토록 분명하게 묘사"한다고 언급했다.[9]

틸먼은 필리핀 사람들이 미국의 제도에 적합하지 않으며, 그들이 이해하는 자유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그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문명을 강요하는 것을 비판했다.[9]

틸먼 상원 의원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었고, 미국 의회는 1899년 2월 11일 파리 조약을 비준하여 미국-스페인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했다. 1899년 4월 11일, 스페인 왕국에 2000만달러의 종전 배상금을 지불한 후, 미국은 태평양의 필리핀 제도와 ,[10][7] 그리고 대서양의 쿠바와 푸에르토 리코에 대한 패권을 확립했다.

3. 시의 내용과 해석

"백인의 짐"은 1899년 2월 1일 ''뉴욕 선''에 처음 게재되었고, 같은 달 4일에는 ''타임스'' (런던)에도 실렸다.[7] 당시 미국 상원에서는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얻은 필리핀 제도에 대한 지배권 유지 여부를 두고 토론이 벌어지고 있었다. 벤자민 틸먼 상원 의원은 파리 조약 비준에 반대하며 키플링의 시 7절 중 첫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연을 낭독, 미국이 필리핀에 대한 권한 주장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틸먼은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에게 이 시가 조약이 상원에 도착하기 직전에 발표되어 예언과 같다고 언급하며, "인류 역사에서 어떤 시인도 우리의 위험과 의무를 그토록 분명하게 묘사하도록 영감을 받았다고 상상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9] 그는 시의 일부를 인용하며 필리핀인들이 미국의 제도와 자유에 준비되지 않았으며, 미국이 문명을 강요하는 것은 굴욕과 자존심 상실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9]

그러나 틸먼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미국 의회는 1899년 2월 11일 파리 조약을 비준, 미국-스페인 전쟁을 종결했다. 미국은 스페인에 2천만 달러(2000만달러)를 지불하고 필리핀 제도, ,[10][7] 쿠바, 푸에르토 리코에 대한 패권을 확립했다.[11]

"백인의 짐"은 다양한 서방 국가의 식민지적 노동 착취를 보여준다. (윌리엄 헨리 워커, ''라이프'' 지, 1899년 3월 16일)


키플링의 시 "백인의 짐"은 백인이 비백인을 문명화하고 식민주의를 통해 진보를 장려할 의무가 있다는 제국주의적 관점을 담고 있다.[13][14] 시에서 필리핀 사람들은 "새로 잡힌, 침울한 사람들, 반은 악마, 반은 아이"로 표상되며,[15] 제국주의는 야만적인 세계를 "문명화"해야 하는 백인의 도덕적 짐으로 묘사된다.

키플링은 시어도어 루스벨트에게 이 시를 보내 미국인들이 필리핀 섬 병합을 수용하도록 설득하려 했다.[17][18][19][20] 그는 루스벨트에게 "미국이 썩은 집의 기초에 쇠지렛대를 박았고, 도덕적으로 그 집을 다시 기초부터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1] 루스벨트는 헨리 캐벗 로지 상원 의원과 이 시가 미국 제국에 "좋은 의미"를 갖는다는 데 동의했다.[26]

3. 1. 비판과 반박

키플링의 시 "백인의 짐"은 발표 당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마크 트웨인은 이 시에 담긴 제국주의인종주의를 비판하는 작품을 발표했다.[16] 트웨인은 자신의 풍자 에세이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1901)를 통해, 서구 열강이 중국에서 일으킨 의화단 운동(1899-1901)에 대한 보복 행위의 잔혹성을 기록하며 키플링의 주장에 반박했다.[16]

헨리 라부셰르의 "갈색인의 짐"(1899),[28] H. T. 존슨의 "흑인의 짐: 키플링에게 보내는 응답"(1899),[29] J. 댈러스 바우저의 "흑인의 짐을 져라"[30] 등은 키플링의 시에 대한 패러디 작품들이다.

미국에서는 흑인의 짐 협회가 필리핀에서 벌어지는 식민지배의 실상이 미국 내 짐 크로우 법에 의한 흑인 차별과 다르지 않음을 폭로했다.[29] 이러한 비판 여론은 미국 반제국주의 동맹 결성(1899)으로 이어졌다.

하워드 S. 테일러 박사는 《가난한 사람의 짐》(1899)에서 제국주의가 노동 계급 사람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지적했고,[31][32] 어니스트 크로스비는 "진정한 백인의 짐"(1902)에서 제국주의로 인한 도덕적 타락을 비판했으며,[33] E. D. 모렐은 "흑인의 짐"(1903)에서 벨기에가 콩고 자유국에서 저지른 잔혹 행위를 고발했다.[34]

E. D. 모렐은 《흑인의 짐: 15세기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아프리카의 백인》(1920)에서 식민 지배 권력 관계가 문화적 헤게모니를 통해 확립된다고 지적했다.[35][36] 허버트 해리슨은 "흑인의 짐 [러디어드 키플링에게의 답변]"(1920)에서 식민지배가 흑인과 백인 모두에게 도덕적 타락을 가져온다고 비판했다.[37]

현대에 들어 "백인의 짐"은 서구 중심주의와 신식민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다는 비판을 받는다.[27][38] 1974년, 우간다 대통령 이디 아민은 백인 사업가들에게 자신을 가마에 태우게 하고 "새로운 백인의 짐"이라고 농담하며 이러한 인식을 풍자했다.

4. 현대적 의미와 영향

'백인의 짐'은 제국주의 시대의 유산으로,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세기 초, 마크 트웨인은 문명화 사명에 대한 풍자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1901)를 발표했고, 키플링의 애국심에 대한 반대 여론은 백인 우월주의와 인종차별을 비판하며 반제국주의적 패러디를 낳았다.[27] 여기에는 헨리 라부셰르의 "갈색인의 짐"(1899년 2월),[28] H. T. 존슨의 "흑인의 짐: 키플링에게 보내는 응답"(1899년 4월),[29] J. 댈러스 바우저의 "흑인의 짐을 져라" 등이 있다.[30]

미국에서는 흑인의 짐 협회가 필리핀의 식민지배와 짐 크로우 법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미국 제국주의에 반대했고,[29] 이는 미국 반제국주의 동맹 설립(1899년 6월 15일)으로 이어졌다. 하워드 S. 테일러는 《가난한 사람의 짐》(1899)에서 제국주의가 노동 계급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31][32] 어니스트 크로스비는 "진정한 백인의 짐"(1902)에서 도덕적 타락을 다루었다.[33] E. D. 모렐은 "흑인의 짐"(1903)에서 레오폴드 2세의 콩고 자유국 잔혹 행위를 고발했다.[34]

E. D. 모렐은 흑인의 짐: 15세기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아프리카의 백인 (1920)에서 문화적 헤게모니를 통한 식민지-본국 간 권력 관계를 분석했고,[35][36] 허버트 해리슨은 "흑인의 짐 [러디어드 키플링에게의 답변]"(1920)에서 식민지배의 도덕적 타락을 묘사했다.[37]

이 용어는 서구 국가들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우월 의식과 간섭을 비판하고, '백인 구원자' 서사 등 문화, 예술 분야에 나타나는 변형된 형태를 지적하는 데 사용된다. 1974년 이디 아민은 우간다에서 영국 사업가들을 강제로 태운 왕좌에 앉아 "새로운 백인의 짐"이라고 농담하기도 했다.

4. 1.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백인의 짐은 식민주의의 문명화 사명으로 식민지 사람들에게 비누, 물, 개인 위생에 대해 가르치는 것을 포함한다. (1890년대 광고)


한국은 과거 일본 제국주의의 피해자였으며, 동시에 현재는 경제적으로 발전하여 다른 개발도상국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다. '백인의 짐'이라는 개념은 한국 사회가 국제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던져준다.

과거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서 상호 존중과 평등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특히,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에서 인종, 문화, 종교 등에 대한 차별 없이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탈식민지화가 진행되는 개발도상국에서 "백인의 짐"이라는 구절은 서구 신식민주의가 세계의 비백인들에게 가지는 선의의 허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 지배 이론과 동의어로 사용된다.[27][38]

참조

[1] 서적 Blood, Class, and Empire: The Enduring Anglo–American Relationship
[2] 서적 Anti-Imperialism in the United States, 1898–1935 http://www.boondocks[...] 2005-12-16
[3] 서적 Benevolent Assimilation: The American Conquest of the Philippines, 1899–1903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Leopard's Spots: A Romance of the White Man's Burden—1865–1900 https://books.google[...] 1999-02-04
[5] 뉴스 The Philippines' 'Liberator' Was Really a Colonizer: Bush's Revisionist History https://www.sfgate.c[...] 2003-10-26
[6] 잡지 Kipling's "The White Man's Burden" and Its Afterlives https://muse.jhu.edu[...] 2007
[7] 웹사이트 "The White Man's Burden" (1899): Notes by Mary Hamer http://www.kiplingso[...] 2019-02-03
[8] 서적 Shadowing the White Man's Burden https://books.google[...]
[9] 웹사이트 Address to the U.S. Senate, 7 February 1899 http://nationalhuman[...] National Humanities Center 2020-01-20
[10] 서적 The Treaty Making Power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The Banks Law Publishing Company 2011-04-09
[11]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pain; December 10, 1898 http://avalon.law.ya[...] Yale 2009-05-01
[12] 서적 Rudyard Kipling's Verse https://archive.org/[...] Doubleday 1940
[1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14] 웹사이트 The growth of the British Empire http://www.victorian[...]
[15] 서적 Benét's Reader's Encyclopedia
[16] 서적 The Costs of War: America's Pyrrhic Victorie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7] 잡지 Diamonds Are Forever: Kipling's Imperialism; poems of Rudyard Kipling 1997-06
[18] 서적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New York
[19] 서적
[20] 잡지 Kipling's 'The White Man's Burden' and its Afterlives 2007
[21] 서적 The Letters of Rudyard Kipling London, Macmillan
[22] 서적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New York
[23] 뉴스 What Will Happen In Afghanistan? http://www.isteve.co[...]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01-09-26
[24] 서적 A Critique of Imperialism http://www.bilderbe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c.
[25] 서적 Manifest destiny–Lecture notes http://www.let.rug.n[...] Delaware County Community College
[26] 잡지 Kipling's "The White Man's Burden" and Its Afterlives https://muse.jhu.edu[...] 2007-01-30
[27] 서적 Benét's Reader's Encyclopedia
[28] 웹사이트 The Brown Man's Burden http://www.swans.com[...]
[29] 웹사이트 'The Black Man's Burden': A Response to Kipling http://historymatter[...] American Social History Productions 2016-04-12
[30] 서적 Taming Cannibals: Race and the Victorians Cornell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The Poor Man's Burden" (Excerpt) https://herb.ashp.cu[...] 2017-12-19
[32] 서적 Standing at Armageddon: A Grassroots History of the Progressive Era W. W. Norton & Company
[33] 웹사이트 The Real White Man's Burden http://historymatter[...] Funk and Wagnalls Company
[34] 웹사이트 The Black Man's Burden http://www.fordham.e[...] 2017-12-16
[35] 웹사이트 E. D. Morel, The Black Man's Burden (1920) http://wadsworth.com[...] 2017-12-16
[36] 웹사이트 The Black Man's Burden http://www.fordham.e[...]
[37] 웹사이트 The Black Man's Burden [A Reply to Rudyard Kipling] http://www.expo98.ms[...] 2017-12-16
[38] 서적 Eurocentrism,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