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인은 필리핀 제도의 원주민과 그 후손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명칭은 스페인 국왕 필리프 2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필리핀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민족의 이주와 교류를 거쳤다. 필리핀은 오스트로네시아인, 네그리토, 동아시아인 등 다양한 유전적 구성을 보이며, 언어와 문화 또한 다채롭다. 필리핀어와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며, 기독교가 주된 종교를 이루지만 이슬람교와 토착 신앙도 존재한다. 현재 전 세계에 1천만 명 이상의 필리핀인이 거주하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중요한 소수 민족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 사람 - 믈라카의 엔리케
믈라카의 엔리케는 16세기 초 마젤란 탐험대의 통역관으로, 믈라카 또는 수마트라 출신으로 추정되며, 마젤란의 노예가 된 후 세계 일주 항해에 동행했지만 마젤란 사후 행적이 묘연하여 세계 일주 완수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고, 다양한 대중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며 민족성과 정체성에 대한 여러 주장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필리핀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인구 | 약 1억 1,500만 명 |
국내 인구 | 약 1억 명 |
해외 거주 인구 | 약 1,100만 ~ 1,200만 명 (필리핀 디아스포라) |
주요 거주 지역 | 필리핀 (약 1억 명) 미국 (4,466,918명) 캐나다 (957,355명) 사우디아라비아 (938,490명) 아랍에미리트 (679,819명) 오스트레일리아 (408,842명) 일본 (332,293명) 말레이시아 (325,089명) 쿠웨이트 (241,999명) 카타르 (236,000명) 스페인 (200,000명) 싱가포르 (200,000명) 영국 (164,000명) 타이완 (152,529명) 홍콩 (130,810명) 뉴질랜드 (108,297명) 이탈리아 (100,859명) 대한민국 (63,464명) 독일 (60,000명) 프랑스 (50,000명) 바레인 (40,000명) 이스라엘 (31,000명) 브라질 (30,368명) 네덜란드 (25,365명) 파푸아뉴기니 (25,000명) 벨기에 (19,772명) 마카오 (14,544명) 스웨덴 (13,000명) 아일랜드 (12,791명) 오스트리아 (12,474명) 노르웨이 (12,262명) 중국 (12,254명) 스위스 (10,000명) 케이맨 제도 (7,600명) 인도네시아 (7,400명) 카자흐스탄 (7,000명) 팔라우 (7,000명) 그리스 (6,500명) 핀란드 (5,665명) 튀르키예 (5,500명) 러시아 (5,000명) 나이지리아 (4,500명) 모로코 (3,000명) 아이슬란드 (2,900명) 아루바 (800명) |
언어 | 영어 필리핀어 토착 언어 |
종교 | 주요: 로마 가톨릭교 소수: 개신교, 이슬람교, 여호와의 증인, Iglesia ni Cristo, Members Church of God International,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토착 신앙, 무신론 |
관련 민족 | 타이완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 |
기타 | |
표기 | 영어: Filipino people, Filipinos 스페인어: Islas Filipinas |
참고 문헌 | 1987년 필리핀 헌법 2022년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 - 필리핀 필리핀 사람들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가? |
2. 명칭
'필리핀인'이라는 명칭은 스페인 국왕 필리프 2세의 이름에서 유래한 '필리핀 제도'라는 지명에서 비롯되었다.[53][54] 1543년 스페인 탐험가이자 도미니코 수도회 사제인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가 이 군도에 이 이름을 붙였다.[54]
대항해시대 이전에는 바랑가이라 불리는 지역 공동체 단위로 생활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 말기까지 타갈로그어, 이로카노어, 세부아노어 등 지역·언어 그룹에 속해 생활했으며, '필리피노(Filipino)'라는 명칭은 필리핀 제도 출신의 스페인인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필리핀 제도 토착 주민들은 '인디오(Indio)'라고 불렸다.[252]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필리핀 원주민을 '인디오'라고 불렀고,[55] 필리핀에서 태어난 스페인인은 '필리피노'라고 불렀다.[56][57] 19세기 후반, 필리핀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면서 '필리핀인'이라는 용어는 필리핀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64][65] 특히 필리핀 혁명과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법에 의한 시민권 국적으로 지리적 지정에서 국가적 지정으로 용어가 변화했다.[64][60]
현대에는 필리핀 국적을 가진 사람을 '필리핀인'이라고 부른다.[54] 많은 필리핀인들은 자신을 구어적으로 "피노이"(여성형: "피네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필리핀인"의 마지막 네 글자에 소유격 접미사 "-y"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속어이다.
3. 역사
19세기에 마닐라 갈레온 무역이 종식되고 스페인이 필리핀을 본격적으로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와 같은 '필리핀인'으로서의 민족 의식이 싹텄다.[252]
3. 1. 선사 시대
필리핀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7년 북부 루손의 칼라오 동굴에서 발견된 "칼라오인" 표본은 우라늄 계열 연대 측정을 통해 약 6만 7천 년 전의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고대 인류 화석으로 밝혀졌다. 이 유해는 처음에 현생 인류로 분류되었으나, 2019년 더 많은 표본이 발견되면서 ''호모 루손넨시스''라는 새로운 종으로 재분류되었다.[84][85]
1960년대 국립 박물관의 인류학자 로버트 B. 폭스가 타본 동굴에서 발견한 "타본인" 화석은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현생 인류(''호모 사피엔스'') 유해이다. 이 화석은 구석기 시대(약 2만 6천년~2만 4천년 전)로 연대 측정되었다. 타본 동굴 단지는 최소 4만 7천 년 ± 1만 1천 년 전부터 약 9천 년 전까지 인류가 지속적으로 거주했음을 보여준다.[86][87]
타본 동굴 유해는 "최초의 순다랜드 사람들"의 일부로, 해수면이 낮았던 순다랜드 시대에 육로로 이동이 가능했던 시기에 섬 동남아시아에 도착한 초기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이다. 이들은 약 5만 년에서 4만 년 전에 보르네오에서 팔라완을 거쳐 필리핀으로 들어왔다. 그들의 후손들은 네그리토족으로 알려져 있으며, 루손의 아에타, 서부 비사야의 아티, 팔라완의 바탁, 민다나오의 마만와 등의 민족 집단을 포함한다. 오늘날 그들은 필리핀 전체 인구의 0.03%에 불과하다.[90]
네그리토 이후, 동아시아 사람들로부터 두 차례의 초기 구석기 시대 이주가 있었다. 그들은 각각 약 1만 5천 년 전과 1만 2천 년 전에 필리핀에 들어왔으며, 마노보족과 민다나오의 사마-바자우족 사이에 부분적인 유전적 신호를 남겼다.
마지막 선사 시대 이주는 오스트로네시아 확산으로, 신석기 시대 약 4,500년에서 3,500년 전에 타이완의 오스트로네시아인이 바타네스 제도와 루손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필리핀의 다른 섬으로 빠르게 퍼져 나가 주요 민족 언어 집단이 되었다. 발전된 항해 기술을 가진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해상 이주를 통해 필리핀을 식민지화했다.[94][95]
필리핀 출신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괌과 다른 해양 동남아시아 섬들, 본토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도 정착했다. 그들은 현대에 미크로네시아, 뉴기니, 멜라네시아 제도, 폴리네시아, 마다가스카르를 포함한 오스트로네시아의 나머지 지역을 식민지화했다.[95][96]
오스트로네시아인들 사이의 연관성은 식민 시대부터 알려져 왔으며,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을 "말레이 인종"으로 지정했다.[97][98][99] 20세기 초 미국 식민지 교육 제도로 인해 "말레이 인종"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필리핀에서 오스트로네시아인을 잘못 지칭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100][101][102][103]
3. 2. 고대 시대
최소 3세기부터 다양한 민족 집단들이 여러 공동체를 형성했다. 이들은 여러 필리핀 원주민 왕국들의 동화를 통해 형성되었다.[90] 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사람들, 그리고 인도네시아 군도와 말레이 반도 사람들은 필리핀 사람들과 무역을 했고, 필리핀 원주민 부족들에게 힌두교와 불교를 전파했다. 이들 대부분은 필리핀에 머물면서 점차 현지 사회에 흡수되었다.
많은 바랑가이(부족 자치체)는 스리비자야, 마자파힛, 브루나이, 말라카, 촐라, 참파, 크메르 등 여러 이웃 제국들의 사법 관할권 아래 있었지만, 사실상 독자적인 통치 체계를 수립했다. 수마트라, 보르네오, 자바, 캄보디아, 말레이 반도, 인도차이나, 중국, 일본, 인도, 아라비아와의 무역 관계도 있었다. 따라서 국제 무역을 기반으로 한 해상 제국이 등장했다.
4세기 무렵에는 섬과 섬 사이, 그리고 국제 무역의 발달을 통해 흩어져 있던 바랑가이들조차 문화적으로 더욱 동질화되었다. 이 시대 귀족들 사이에서는 힌두-불교 문화와 종교가 번성했다.
7세기부터 15세기 초까지 마닐라 만을 중심으로 번영한 나마얀 왕국[104][105], 세부, 일로일로,[106] 부투안, 판가시난에 위치한 산포트시 왕국, 현재 팜팡가로 알려진 루손 왕국(동남아시아 대부분, 중국, 일본, 그리고 오키나와의 류큐 왕국과의 무역을 전문으로 함) 등 수많은 번영하는 무역 중심지가 등장했다.
9세기부터는 중동 출신의 많은 아랍 상인들이 말레이 군도에 정착하여 현지 말레이인, 브루나이인, 말레이시아인, 인도네시아인, 루손과 비사야 원주민들과 혼인했다.[107]
1000년 전까지 필리핀 군도 전체를 아우르는 통일된 정치 국가는 없었지만, 여러 해양 사회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다투, 라자 또는 술탄[108]이 다스리는 경쟁적인 해상 제국들의 주권 아래에 있는 수많은 반자치적인 바랑가이(마을에서 도시 국가에 이르는 크기의 정착지)들, 또는 "소규모 부유층"이 다스리는 고지대 농업 사회들로 산재해 있었다. 판가시난의 카볼로안 왕국과 마이 왕국, 그리고 마이의 부하인 풀릴루와 산다오의 바랑가이 국가; 마닐라 왕국, 나마얀 왕국, 톤도 왕국; 마자-아스의 케다투안, 다피탄, 카인타; 세부 라자국, 부투안 라자국, 산말란; 그리고 부아얀 술탄국, 마긴다나오 술탄국, 라나오 연합국, 술루 술탄국은 이푸가오족과 망얀족의 고지대 사회와 함께 존재했다.[109][110][111][112] 이들 지역 중 일부는 스리비자야, 마자파힛, 브루나이 말레이 제국의 일부였다.[113][114][115]
다투(Datu) – 타갈로그어의 ''마기누(maginoo)'', 팜팡가어의 ''기누(ginu)'', 비사야어의 ''투마오(tumao)''는 식민지 이전 필리핀 여러 문화권의 귀족 계급이었다. 비사야인들 사이에서 투마오는 왕족이나 지배 계급과는 구분되었다.
티마와(Timawa) – 티마와 계급은 루손과 비사야스의 자유로운 평민으로, 자신의 땅을 소유할 수 있었고 다투에게 정기적인 조공을 바칠 필요는 없었다. 하지만 때때로 다투의 땅에서 일하거나 지역 사회 사업과 행사를 돕도록 의무 지워졌다. 다른 지역 사회에 시집을 가거나 이주하기로 결정하면 다른 다투의 충성으로 옮길 자유가 있었다.
마할리카(Maharlika) – 마할리카로 알려진 타갈로그족 전사 계급은 티마와와 동일한 권리와 책임을 가졌지만, 전쟁 시에는 전투에서 다투를 섬겨야 했다. 스스로 무기를 마련해야 했지만, 전리품은 가질 수 있었다. 귀족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었지만, 큰 공개 연회를 열고 다투에게 금 6~18냥(당시 큰돈)을 지불하지 않고서는 다투의 봉사를 떠날 수 없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티마와보다 자유롭지 못했다.
알리핀(Alipin) – 일반적으로 "종"이나 "노예"로 묘사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알리핀 개념은 서구와 이슬람의 노예 제도와 같이 사람을 실제로 매입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 필리핀 사회에서 노동을 통한 복잡한 의무와 상환 시스템에 의존했다. 자신의 집을 소유한 알리핀 계급의 구성원은 중세 유럽의 농노와 평민에 더 가까웠다.
15세기까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출신의 아랍과 인도 선교사 및 상인들이 필리핀에 이슬람교를 전파하여 토착 종교를 대체하거나 함께 행해졌다. 그 이전에는 필리핀의 토착 부족들이 애니미즘, 힌두교, 불교를 혼합하여 믿었다. ''바랑가이(barangay)''라고 불리는 토착 마을에는 티마와(중산층/자유민)와 알리핀(종과 노예)이라는 지역 주민들이 살았다. 그들은 라자(Rajah), 다투(Datu), 술탄(Sultan)이라고 불리는 마기누(Maginoo)(왕족) 계급에 의해 통치되었고, 마할리카(Maharlika)(하급 귀족, 왕족 전사, 귀족)에 의해 방어되었다.[90] 이 왕족과 귀족들은 다양한 정도의 인도-아리아인(Indo-Aryan peoples)과 드라비다인(Dravidian peoples)의 혈통을 가진 필리핀 원주민의 후손이며, 이는 오늘날 동남아시아 왕족들의 DNA 분석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전통은 현지 주민과 통혼한 스페인과 포르투갈인(Portuguese people) 상인들 사이에서도 계속되었다.[116] 대항해시대 이전에는 바랑가이라 불리는 지역 공동체 단위로 생활했다.
3. 3. 스페인 식민 시대
16세기 스페인의 필리핀 식민지화는 필리핀 역사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스페인은 가톨릭을 전파하고, 필리핀 사회를 식민지 체제에 맞게 재편했다.[116] 페르디난드 마젤란(Fernão de Magalhães|페르낭 드 마갈량이스pt)이 1521년 필리핀에 도착하면서 유럽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었고, 필리핀은 누에바 에스파냐의 일부로서 멕시코시티에서 통치 및 관리되었다. 초기 스페인 정착민들은 대부분 스페인과 멕시코 출신의 탐험가, 군인, 정부 관리 및 선교사들이었다. 정착한 스페인인 대부분은 바스크 혈통이었지만,[126] 안달루시아, 카탈루냐, 무어인 혈통의 정착민들도 있었다.[127]
마닐라-아카풀코 갈레온 무역을 통해 필리핀은 마닐라를 거쳐 멕시코의 아카풀코를 연결, 스페인과 아메리카 대륙을 잇는 중요한 무역 거점이 되었다. 마닐라는 이미 해상 실크로드와 해상 옥로와 연결되어 있었고(셀든 지도에서 볼 수 있듯이 남부 복건성의 취안저우와 장저우에서 마닐라까지), 마닐라 갈레온 무역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이민자들이 유입되었다.[128][129]
스페인은 "친추"(취안저우), "치옹 치우"(장저우), "광저우"(광저우), 그리고 마카오 출신의 수천 명의 중국인 이주 노동자들을 모집하여 섬에 식민지 기반 시설을 건설했다. 이들은 상글레이(필리핀어 복건 방언으로 '상업'을 의미)라고 불렸다. 많은 중국 이민자들은 기독교로 개종하고 현지인들과 결혼하여 스페인식 이름과 관습을 채택하여 동화되었지만, 필리핀인과 중국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공식 기록에서 상글레이 메스티소로 지정되었다.[130]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엄격한 신분 제도가 존재했다.
이러한 신분 제도는 필리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4. 미국 식민 시대와 독립
19세기 말, 필리핀 혁명을 통해 필리핀인들은 독립을 선언했지만, 스페인-미국 전쟁의 결과로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다.[153][154] 1898년 12월 10일 파리 조약으로 스페인은 2천만 달러를 받고 필리핀을 미국에 할양했다.[153][154] 에밀리오 아구날도가 독립을 선언하였고, 웨슬리 메릿 장군은 필리핀의 첫 번째 미국 총독이 되었다.
필리핀-미국 전쟁으로 인해 최소 20만 명의 필리핀 민간인이 사망하였고,[155] 일부 추산으로는 최대 100만 명에 달한다.[156][157] 전쟁 이후, 1901년에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첫 번째 미국 총독으로서 미국의 민정이 수립되었다.[158]
미국은 필리핀에 근대적인 교육 제도와 정치 제도를 도입했지만, 필리핀인들의 독립 요구는 계속되었다. 많은 미국인들이 이 섬들에 정착했고, 그 이후로 미국인과 필리핀인 사이에 수천 건의 인종 간 결혼이 이루어졌다. 필리핀의 전략적 위치 때문에, 미국이 1898년에 처음으로 이 섬들을 식민지화한 이후로 최대 21개의 기지와 10만 명의 군인이 주둔해 있었다. 이 기지들은 냉전 종식 후 1992년에 폐쇄되었지만, 수천 명의 아메라시안 어린이들을 남겨두었다.[159] 펄 S. 벅 국제 재단은 필리핀 전역에 5만 2천 명의 아메라시안이 흩어져 있다고 추산한다. 그러나 아메라시안 연구 센터에 따르면, 클락, 앙헬레스, 마닐라, 올롱가포 도시 전역에 최대 25만 명의 아메라시안이 흩어져 있을 수 있다.[160] 또한 많은 필리핀 남성들이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경력을 쌓았고, 종종 가족과 함께 미국에 정착하였다. 그들의 2세 또는 3세 자녀 중 일부는 필리핀으로 돌아왔다.
1946년,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4. 하위 집단
필리핀은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집단은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필리핀 사람들은 바랑가이라고 불리는 지역 공동체 단위로 생활했으며,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 세부아노어 등 지역 및 언어 그룹에 따라 생활했다.[252] 당시 "필리피노"는 필리핀 제도 출신의 스페인인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필리핀 제도 토착 주민들은 "인디오"라고 불렸다.[252]
마닐라 갈레온 무역이 종식되고 스페인이 필리핀을 본격적으로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와 같은 "필리핀인"으로서의 민족 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다.[252]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복잡한 사회 계층 제도가 존재했다.
용어 | 정의 |
---|---|
페닌술라레스 | 스페인에서 태어난 순수 스페인 혈통 |
필리피노/인술라레스 | 필리핀에서 태어난 순수 스페인 혈통 |
메스티소 데 에스파뇰 | 스페인인과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혼혈 |
토르나 아트라스 | 스페인인과 중국인의 혼혈, 또는 스페인인, 중국인,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혼혈 |
메스티소 데 상글레이 | 중국인 또는 일본인과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혼혈 |
메스티소 데 봄베이 | 인도인과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혼혈 |
인디오 (기독교화됨) | 가톨릭으로 기독교화된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 |
상글레이 / 치노 (기독교화됨) | 가톨릭으로 기독교화된 순수 중국인 혈통 |
인디오 (미기독교화됨) | 기독교화되지 않은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인 |
상글레이 / 치노 (미기독교화됨) | 기독교화되지 않은 순수 중국인 혈통 |
네그리토 |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 이전 혈통 |
19세기 후반, 호세 리살은 "필리피노"라는 용어를 필리핀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168] 1898년 필리핀 독립 이후, "필리피노"는 인종적 조상에 관계없이 필리핀 전체 인구를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69]
4. 1. 주요 민족 집단
필리핀에는 여러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이들은 주로 오스트로네시아인 계통이며, 네그리토와 같은 선주민, 그리고 다른 동/동남아시아인과의 혼혈도 나타난다. 주요 민족 집단으로는 타갈로그족, 세부아노족, 일로카노족, 비콜족, 와라이족, 팜팡가족, 팡가시난족 등이 있다.[25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바랑가이라는 지역 공동체 단위로 생활했으며,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 세부아노어 등 지역 및 언어 그룹에 따라 생활했다.[252]4. 2. 소수 민족 집단
필리핀에는 여러 소수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네그리토는 필리핀 전체 인구에서 소수 민족을 구성하며, 오스트로네시아계 집단뿐만 아니라 더 이전의 "기저 동아시아" 집단으로부터 상당한 유전자 흐름을 받았다. 반면 현대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주류 인구는 혼혈의 증거를 보이지 않거나 최소한으로만 보이며, 다른 동/동남아시아인들과 밀접하게 묶인다.[172] 오스트로아시아계, 파푸아계, 남아시아계 사람들의 이주도 있었다.모로는 이슬람화된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계 사람을 의미한다.
5. 문화
필리핀 문화는 토착 문화, 스페인 문화, 미국 문화 등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가톨릭은 필리핀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교이다.
1591년에 실시된 필리핀 최초의 인구 조사는 징세액을 기준으로 스페인령 필리핀의 총 인구가 667,612명이라고 밝혔다.[117][118][119] 당시 중국인 이주민 상인은 2만 명,[120] 페루와 멕시코에서 파견된 라틴계 군인은 1만 5,600명,[121][122] 일본인 거주자는 3,000명,[123] 유럽 출신 순수 스페인인은 600명이었다.[124]
스페인의 식민지배를 받기 전 필리핀은 바랑가이라는 지역 공동체 단위로 생활했다. 또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말기까지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 세부아노어 등 지역·언어 그룹에 속해 생활했다.[252] 19세기에 마닐라 갈레온 무역이 종식되고 스페인이 필리핀을 본격적으로 지배하면서 현재와 같은 "필리핀인"으로서의 민족 의식이 싹텄다.[252]
필리핀의 전통 예술에는 음악, 춤, 문학 등이 있으며, 현대에는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도 발전하고 있다.
5. 1.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수천 년 동안 필리핀에서 사용되어 왔다. 동남아시아 이웃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기원전 5세기부터 시작된 강력한 인도(힌두-불교) 문화적 영향 기간 동안 산스크리트어와 타밀어에서 많은 어휘가 도입되었다. 중국어도 군도의 상인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슬람교의 등장과 함께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는 곧 산스크리트어와 타밀어를 성스러운 언어로 대체했다. 16세기 후반부터 스페인어는 3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섬들이 멕시코시티를 통해 스페인 제국을 대신하여 통치되었던 기간 동안 국가의 공식 언어였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스페인어가 ''일루스트라도''와 일반적으로 교육받은 필리핀인들 사이에서 선호되는 언어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스페인어 사용 범위에 대해서는 상당한 의견 차이가 있다. 필리핀은 카나리아 제도와 아메리카보다 스페인화가 덜 되었으며, 스페인어는 행정 및 사법 행정과 문화에 관여하는 지배 계급에 의해서만 채택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1898년 스페인 통치가 끝났을 때 스페인어는 필리핀 인구의 약 10%만 사용했다.[194] 필리핀인들의 공용어 또는 크리올어로서, 차바카노, 세부아노어, 타갈로그어, 팜팡가어, 팡가시난어, 비콜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 일로카노어와 같은 주요 언어들은 카스티야 스페인어에서 많은 단어와 표현을 받아들였다.
차바카노는 아시아 유일의 스페인어 기반 크리올어이다. 어휘의 90%가 스페인어이며, 나머지 10%는 주로 포르투갈어, 힐리가이논어와 약간의 영어가 혼합된 것이다. 세르반테스 연구소는 차바카노를 스페인어 기반 언어로 간주한다.[195]
반대로, 스페인 통치 마지막 10년 동안 스페인어를 사용한 인구 비율이 10% 또는 14%였다는 견해도 있다.[196] 추가로 60%가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스페인어를 제2언어로 사용했다고 하지만, 이 비율이 시장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부엌 스페인어"를 사용했는지, 실제 유창한 스페인어 화자였는지에 대한 논쟁도 있다.[196]
1863년 스페인 칙령은 보편적 교육을 도입하여 스페인어로 무료 공립학교를 설립했지만, 미국의 합병 이전에도 결코 시행되지 않았다.[197] 또한 필리핀 혁명의 언어였으며, 1899년 말로로스 헌법은 비록 임시 공식 언어였지만 제1 필리핀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선포했다. 스페인어는 미국 식민 통치 이전과 도중에 엘리트 계급이 섬에서 사용하는 주요 공용어였다. 미국의 필리핀 점령과 영어의 도입 후, 특히 1940년대 이후 스페인어의 전반적인 사용은 점차 감소했다.
''에스노로그''에 따르면 필리핀에서는 약 180개의 언어가 사용된다.[198] 1987년 필리핀 헌법은 필리핀어[199][200]를 국어로 채택하고 영어와 함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했다. 지역 언어는 보조 공식 언어로 지정된다. 헌법은 또한 스페인어와 아랍어가 자발적이고 선택적인 기준으로 장려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01]
100만 명 이상의 원주민 화자를 가진 다른 필리핀 언어로는 세부아노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 중부 비콜어, 팜팡가어, 팡가시난어, 차바카노(스페인어 기반 크리올어), 알바이 비콜어, 마라나오어, 마구인다나오어, 키나라이아어, 타우스그어, 수리가오논어, 마스바테뇨어, 악라논어 및 이바나그어가 있다. 1987년에 채택된 28자의 현대 필리핀 알파벳은 공식적인 문자 체계이다. 또한 각 민족의 언어는 자체 문자와 알파벳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많은 것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202]
5. 2. 종교

2010년 국가통계청(NSO)에 따르면, 필리핀 인구의 92% 이상이 기독교인이었으며, 그중 80.6%가 로마 가톨릭교 신자였다.[203] 로마 가톨릭교는 1521년 스페인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330년 이상 지속된 스페인의 식민지배 기간 동안 필리핀인 대다수를 개종시켜 아시아 최대 가톨릭 국가가 되었다. 개신교 여러 교파도 큰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국교 지정 해제 이후 가톨릭교회가 미국 식민지 시대에 성장하거나 설립되었다. 필리핀에 본부를 둔 가장 큰 단일 교회는 토착 교회인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이며,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 교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얀 교회)는 1898년 필리핀 혁명의 직접적인 결과로 생겨난 국교이다. 빅토리 교회[204], 에디 빌라누에바가 설립하고 이끄는 예수는 주님 교회, 예수 기적 선교회, 몰몬교, 정교회, 여호와의 증인 등 다른 기독교 단체들도 필리핀에서 눈에 띄는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2014년 기준 인구의 5%에서 8%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05] 필리핀의 이슬람교는 주로 남서부 민다나오와 술루 군도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지역은 필리핀에 속해 있지만 인근 이슬람 국가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와 매우 가깝다. 필리핀 무슬림들은 자신들을 ''모로스''라고 부르는데, 이는 스페인어 단어로 무어인을 가리킨다 (두 집단은 이슬람교 외에는 문화적 연관성이 거의 없다).
역사적으로 고대 필리핀인들은 이웃 아시아 국가 상인들에 의해 전파된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은 애니미즘 종교를 믿었다. 이러한 필리핀 토착 민간 종교는 여전히 대중들 사이에 존재하며, 아에타, 이고로트, 루마드와 같은 일부 공동체는 강력한 신봉자들이고, 토착 종교 신앙과 기독교 또는 이슬람교 신앙을 혼합하는 사람들도 있다.[206][207]
2013년 기준, 인구의 5% 미만을 차지하는 종교 단체에는 시크교, 힌두교, 불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그리스도 연합 교회, 연합 감리교회, 필리핀 감리교회, 오순절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몰몬교), 필리핀 (남부) 남침례회, 그리고 국내에서 설립된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그리스도의 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얀),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예수는 주님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왕국,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애니미즘과 혼합 종교를 가진 원주민인 루마드가 있다.[208]
6. 유전적 특징
필리핀인의 유전적 구성은 매우 다양하며, 여러 인종과 민족의 혼혈로 이루어져 있다.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고대 인류 유해는 북부 루손의 칼라오 동굴에서 발견된 "칼라오인"이다. 이들은 후기 플라이스토세(약 6만 7천 년 전)로 연대 측정되었으며, 호모 루손넨시스라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었다.[84][85]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현생 인류(''호모 사피엔스'') 유해는 타본 동굴에서 발견된 "타본인" 화석이며, 구석기 시대(약 2만 6천년~2만 4천년 전)로 연대 측정되었다.[86][87] 이들은 "최초의 순다랜드 사람들"의 일부로, 약 5만 년에서 4만 년 전에 팔라완을 거쳐 필리핀으로 들어왔다. 이들의 후손들은 네그리토족으로 알려져 있으며, 데니소바인과 혼혈된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89] 네그리토에는 아에타, 아티, 바탁, 마만와 등이 포함되며, 오늘날 필리핀 전체 인구의 0.03%에 불과하다.[90]
이후 동아시아 사람들로부터 두 차례의 초기 구석기 시대 이주가 있었고, 약 1만 5천 년 전과 1만 2천 년 전에 필리핀에 들어왔다.[91] 마지막 선사 시대 이주는 오스트로네시아 확산으로, 신석기 시대 약 4,500년에서 3,500년 전에 타이완의 오스트로네시아인이 루손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필리핀의 다른 섬으로 빠르게 퍼져 나가 주요 민족 언어 집단이 되었으며, 초기 정착민들과 혼혈되어 현대 필리핀인이 되었다.[92][93]
필리핀인의 대다수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이며,[176] 신석기 시대 타이완의 오스트로네시아 인구로부터 남쪽과 동쪽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해상 이동을 통해 필리핀 제도에 정착했다.[177]
필리핀인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을 특징짓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O1a가 29%,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발견되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O2가 39%를 차지한다.[256] 이들은 북쪽 경로를 거친 몽골로이드 계열 유전자이다. 한편 필리핀인에게는 남쪽 경로를 거친 오스트랄로이드 계열 유전자도 발견되며, 특히 네그리토의 아에타족에서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K2b1-P378이 60%의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258]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지노그래픽 프로젝트"에 따르면, 평균적인 필리핀인의 유전자는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53%, 동아시아 36%, 남유럽 5%, 남아시아 3%, 아메리카 원주민 2%로 구성되어 있다.[183] 또한, 자기 확인 필리핀인 표본 대부분은 오래된 혼혈에 일치하는 "적당한" 양의 유럽계 조상을 가지고 있다.[184]
7. 디아스포라
현재 해외에 거주하는 필리핀인은 1천만 명이 넘는다. 필리핀인들은 아메리카, 유럽, 오세아니아,[209][210] 중동 및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소수 민족 집단을 형성한다.
미국에는 약 400만 명의 필리핀계 미국인이 있으며, 필리핀에는 30만 명이 넘는 미국 시민이 있다.[211]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필리핀 출신 이민자들은 멕시코 다음으로 가족 재결합을 추구하는 두 번째로 큰 집단이었다.[212]
필리핀인들은 북마리아나 제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며, 괌, 팔라우, 영국령 인도양 지역 및 사바의 인구에서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210]
참조
[1]
웹사이트
Urban Population in the Philippines (Results of the 2015 Census of Population), Release Date: 21 March 2019
http://psa.gov.ph/po[...]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8-04-01
[2]
웹사이트
Asia Times | Duterte's 'golden age' comes into clearer view | Article
https://www.asiatime[...]
2019-09-02
[3]
웹사이트
Remittances from Filipinos abroad reach 2.9 bln USD in August 2019 – Xinhua | English.news.cn
http://www.xinhuanet[...]
[4]
웹사이트
ASIA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THER RACES, AND WITH ONE OR MORE ASIAN CATEGORIES FOR SELECTED GROUP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5]
웹사이트
Ethnic Origin, both sexes, age (total), Canada, 2021 Census – 25%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2023-11-15
[6]
웹사이트
Distribution on Filipinos Overseas
https://dfa.gov.ph/d[...]
[7]
뉴스
Know Your Diaspora: United Arab Emirates
http://www.positivel[...]
[8]
웹사이트
2021 Census QuickStats: Australia
https://www.abs.gov.[...]
[9]
웹사이트
令和6年6月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https://www.moj.go.j[...]
[10]
뉴스
No foreign workers' layoffs in Malaysia – INQUIRER.net, Philippine News for Filipinos
http://globalnation.[...]
2009-02-09
[11]
웹사이트
https://www.paci.gov[...]
[12]
웹사이트
Qatar Population and Expat Nationalities
https://www.onlineqa[...]
OnlineQatar
2019-04-09
[13]
웹사이트
Economic diplomacy is as important as OFW diplomacy
https://www.bworldon[...]
2018-06-24
[14]
웹사이트
Overview of Philippines-Singapore Relations
https://www.philippi[...]
The Embassy Of The Philippines
2018-11-14
[15]
웹사이트
Coronavirus: Filipino front-line workers pay ultimate price in UK
https://www.aljazeer[...]
Al Jazeera
[16]
웹사이트
2021.12Foreign Residents by Nationality
https://www.immigrat[...]
National Immigration Agency, Ministry of the Interior, Taiwan
2021-01-25
[17]
웹사이트
Filipinos in Hong Kong
http://www.yearbook.[...]
Hong Kong Bureau of Statistics
2009-06-30
[18]
웹사이트
2018 Census totals by topic – national highlights – updated 30-04-20
https://www.stats.go[...]
Stats NZ
2020-04-30
[19]
웹사이트
Demographic Balance and Resident Population by sex and citizenship on 31st December 2017
http://demo.istat.it[...]
2018-06-13
[20]
웹사이트
Filipinos in South Korea
http://www.korea.ne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KOIS)
2009-07-21
[21]
웹사이트
Das bedeutet der Besuch des philippinischen Präsidenten Marcos Jr. für Deutschland
https://www.freiheit[...]
2024-03-11
[22]
뉴스
Les nouveaux Misérables: the lives of Filipina workers in the playground of the rich
https://www.theguard[...]
2020-10-12
[23]
웹사이트
Overview of RP-Bahrain Relations
https://manamape.dfa[...]
2021-07-19
[24]
웹사이트
Israeli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http://www.cbs.gov.i[...]
Israeli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5]
웹사이트
Immigrants in Brazil (2022)
https://www.nepo.uni[...]
[26]
웹사이트
Population; sex, age, generation and migration background, 1 January
https://opendata.cbs[...]
2021-09-17
[27]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thumbs down Philippine request for additional flights
http://www.interaksy[...]
InterAksyon.com
2013-04-26
[28]
웹사이트
Wachtregister asiel 2012–2021
http://www.npdata.be[...]
[29]
웹사이트
Macau Population Census
http://www.dsec.gov.[...]
2012-05
[30]
뉴스
pinoys-sweden-protest-impending-embassy-closure
http://www.abs-cbnne[...]
ABS-CBN.com
2012-02-29
[31]
웹사이트
CSO Emigration
http://www.cso.ie/en[...]
Census Office Ireland
[32]
웹사이트
Statistic Austria
http://www.statistik[...]
[33]
웹사이트
8 Folkemengde, etter norsk / utenlandsk statsborgerskap og landbakgrunn 1. januar 2009
http://www.ssb.no/em[...]
Statistisk sentralbyra (Statistics Norway)
[34]
뉴스
President Aquino to meet Filipino community in Beijing
http://kalatas.com.a[...]
2011-08-30
[35]
웹사이트
Backgrounder: Overseas Filipinos in Switzerland
http://www.ops.gov.p[...]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36]
웹사이트
Labour Force Indicators by Sex, 2014- 2019
https://www.eso.ky/U[...]
2021-06-23
[37]
웹사이트
Philippines, Indonesia affirm strong decades-long partnership
https://www.philstar[...]
2022-09-05
[38]
웹사이트
Welcome to Embassy of Kazakhstan in Malaysia Website
http://www.kazembass[...]
2013-07-28
[39]
뉴스
A tale of two states
http://globalnation.[...]
Cebu Daily News
2006-06-06
[40]
간행물
Statistical Yearbook of Greece 2009 & 2010
http://dlib.statisti[...]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2014-09-09
[41]
웹사이트
11rv – Syntyperä ja taustamaa sukupuolen mukaan kunnittain, 1990–2018
http://pxnet2.stat.f[...]
2019-08-20
[42]
뉴스
No Filipino casualty in Turkey quake – DFA
http://www.gmanews.t[...]
GMA News
2010-08-03
[43]
웹사이트
Manila and Moscow Inch Closer to Labour Agreement
http://www.ipsnews.n[...]
2012-05-06
[44]
웹사이트
People: Filipino
http://www.joshuapro[...]
[45]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To Sign Agreement with Morocco to Protect Filipino workers
http://www.moroccowo[...]
Morocco World News
2016-09-13
[46]
웹사이트
Filipinos in Iceland
http://www.icelandre[...]
2013-03-25
[47]
웹사이트
Filipinos in Finland
http://www.filippiin[...]
Finnish-Philippine Society co-operates with the migrant organizations
2013-03-25
[48]
웹사이트
Filipinos in Aruba
https://joshuaprojec[...]
Joshua Project
[49]
간행물
Table 1.10; Household Population by Religious Affiliation and by Sex; 2010
https://psa.gov.ph/s[...]
2015-10
[50]
웹사이트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9-06-14
[51]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s://www.state.go[...]
2024-01-24
[52]
웹사이트
Do People In The Philippines Speak Spanish? (Not Quite)
https://www.mezzogui[...]
2024-01-24
[53]
사전
Filipino
http://www.etymonlin[...]
2014-02-03
[54]
서적
Barangay: sixteenth-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994
[55]
뉴스
From indio to Filipino
https://www.philstar[...]
2018-07-29
[56]
서적
Asian Slaves in Colonial Mexi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57]
서적
Asian Slaves in Colonial Mexico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6-23
[58]
서적
Asian Slaves in Colonial Mexico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6-23
[59]
서적
A nation under endless tyranny
Islamic Research Academy
1997
[60]
논문
Tracing Origins: "Ilustrado" Nationalism and the Racial Science of Migration Waves
[61]
서적
A local church living for dialogue: Muslim-Christian relations in Mindanao-Sulu (Philippines), 1965–2000
Ed. Pont. Univ. Gregoriana
2001
[62]
서적
Relacion de las islas Filippinas i de lo que in ellas an trabaiado los padres dae la Compania de Iesus. Del p. Pedro Chirino ..
https://books.google[...]
por Estevan Paulino
1604
[63]
서적
Relacion de las islas Filippinas i de lo que in ellas an trabaiado los padres dae la Compania de Iesus. Del p. Pedro Chirino ..
https://books.google[...]
por Estevan Paulino
1604
[64]
서적
The Blood of Government: Race, Empire,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6
[65]
서적
The Spanish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
[66]
서적
Bonifacio's bolo
https://books.google[...]
Anvil Pub.
1995
[67]
서적
History of the Philippines: From Indios Bravos to Filipinos
https://books.google[...]
ABRAMS
2013
[68]
논문
Filipino Philosophy: A Critical Bibliography (1774–1997)
https://www.academia[...]
2001
[69]
서적
Diccionario de filipinismos, con la revisión de lo que al respecto lleva publicado la Real academia española
https://catalog.hath[...]
Wentworth Press
1921
[70]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Relating to China and the Chinese
https://books.google[...]
A.H. Clark Company
1915
[71]
웹사이트
'Filipinx,' 'Pinxy' among new nonbinary words in online dictionary
https://newsinfo.inq[...]
2020-09-07
[72]
웹사이트
Leave the Filipinx Kids Alone
https://www.esquirem[...]
2020-09-07
[73]
웹사이트
Filipino or Filipinx?
https://opinion.inqu[...]
2020-09-15
[74]
웹사이트
NOLA Filipino History Stretches for Centuries
https://www.neworlea[...]
WWNO
2014-10-27
[75]
논문
Manilamen and seafaring: engaging the maritime world beyond the Spanish realm
2012-11
[76]
서적
Asian and Pacific Presence: Harmony in Faith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01-12
[77]
서적
Struggling to be heard: the Unmet Needs of Asian Pacific American Children
https://books.google[...]
NetLibrary, Inc
1999
[78]
서적
Pacific Worlds and the South
https://books.google[...]
2013-10-21
[79]
웹사이트
Mabuhay Pilipino! (Long Life!): Filipino Culture in Southeast Louisiana
http://www.louisiana[...]
[80]
웹사이트
Re-imagining Australia – Voices of Indigenous Australians of Filipino Descent
http://museum.wa.gov[...]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81]
서적
Re-imagining Australia: Voices of Indigenous Australians of Filipino Descent
Keeaira Press
2016
[82]
뉴스
Latin America's lost histories revealed in modern DNA
https://www.science.[...]
2018-04-12
[83]
서적
Asian slaves in colonial Mexico: from chinos to Indi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4]
논문
A new species of ''Homo''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the Philippines
https://hal.archives[...]
2019-04
[85]
뉴스
Archaeologists unearth 67000-year-old human bone in Philippines
https://www.telegrap[...]
2010-08-03
[86]
문서
Scott (1984), pp. 14–15
[87]
웹사이트
The Tabon Cave Complex and all of Lipuun
https://whc.unesco.o[...]
UNESCO
[88]
논문
"Small Size" in the Philippine Human Fossil Record: Is it Meaningful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Negritos?
https://digitalcommo[...]
2013-06
[89]
논문
Discerning the Origins of the Negritos, First Sundaland People: Deep Divergence and Archaic Admixture
2017-08
[90]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Philippines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Diplomacy in Action
[91]
논문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92]
논문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https://www.biorxiv.[...]
[93]
논문
Archaeology and the Austronesian expansion: where are we now?
2011-05
[94]
논문
The Early Austronesian Migration To Luzon: Perspectives From The Peñablanca Cave Sites
http://ejournal.anu.[...]
[95]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press-files.a[...]
ANU E Press
2006
[96]
논문
Genetic Evidence for the Proto-Austronesian Homeland in Asia: mtDNA and Nuclear DNA Variation in Taiwanese Aboriginal Tribes
1998-12
[97]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3
[98]
논문
The beautiful skull and Blumenbach's errors: the birth of the scientific concept of race
2007-12-22
[99]
논문
On the Origin of the Term 'Malayo-Polynesian'
[100]
논문
Rethinking history, conserving heritage: archaeology and community engagement in Ifugao, Philippines
https://www.ifugao-a[...]
[101]
뉴스
Waves of migration
https://opinion.inqu[...]
2017-12-28
[102]
뉴스
Are Filipinos Malays?
https://thediplomat.[...]
2013-02-27
[103]
서적
Melayu: Politics, Poetics and Paradoxes of Race
https://www.research[...]
Singapore University Press
[104]
웹사이트
About Pasay – History: Kingdom of Namayan
http://www.pasay.gov[...]
City Government of Pasay
[105]
서적
Estado Geografico, Topografico, Estadistico, Historico-Religioso de la Santa y Apostolica Provincia de San Gregorio Magno
Imprenta de M. Sanchez y Compañia
1865
[106]
서적
Conquistas de las Islas Filipinas (1565–1615)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107]
웹사이트
Arab and native intermarriage in Austronesian Asia
http://www.colorq.or[...]
2008-12-24
[108]
서적
Philippine History
Rex Bookstore
[109]
웹사이트
The Kingdom of Namayan and Maytime Fiesta in Sta. Ana of old Manila
http://traveleronfoo[...]
2008-05-12
[110]
웹사이트
Volume 5 of A study of the Eastern and Western Oceans (東洋洋考)
http://www.lib.kobe-[...]
[111]
웹사이트
Akeanon Online – Aton Guid Ra! – Aklan History Part 3 – Confederation of Madyaas
http://akeanon.com/i[...]
2008-03-27
[112]
웹사이트
Sultanate of Sulu, The Unconquered Kingdom
http://www.royalsulu[...]
[113]
서적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114]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runei Darussalam
https://2009-2017.st[...]
[115]
웹사이트
tribal groups
http://www.mangyan.o[...]
[1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7]
학술지
The Spanish 'Impact' on the Philippines, 1565-1770
https://www.jstor.or[...]
Brill
[118]
서적
The Unlucky Country: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in the 21st Century
[119]
웹사이트
Demography Philippine Yearbook 2011
https://psa.gov.ph/s[...]
[120]
서적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Volume 1
https://books.google[...]
Springer
[121]
논문
Between Loyalty and Disobedience: The Limits of Spanish Domin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Pacific
Univ. of Sydney
[122]
학술지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 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123]
웹사이트
Japanese Christian
http://ph.pagenation[...]
Google map of Paco district of Manila, Philippines
[124]
웹사이트
Spanish Settlers in the Philippines (1571–1599)
http://www.uco.es/aa[...]
[125]
논문
Peasants, Servants, and Sojourners: Itinerant Asians in Colonial New Spain, 1571-1720
https://repository.a[...]
[126]
서적
VIIème Congrès d'Etudes Basques = Eusko Ikaskuntzaren VII. Kongresua = VII Congreso de Estudios Vascos
Eusko Ikaskuntza
[127]
학술지
The Spanish Community in the Philippines, 1935–1939
[128]
서적
1493: Uncovering the New World Columbus Create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129]
서적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0]
서적
Essential Outsiders: Chinese and Jews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utheast Asia and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1]
학술지
The Chinese Mestizos and the Formation of the Filipino Nationality
https://www.persee.f[...]
[132]
서적
Essential Outsiders: Chinese and Jews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utheast Asia and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3]
서적
World On Fire
Knopf Doubleday Publishing
[134]
서적
World On Fire
Knopf Doubleday Publishing
[135]
서적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Capitalist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Palgrave Macmillan
[136]
서적
Ethnic Business: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Routledge
[137]
서적
Essential Outsiders: Chinese and Jews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utheast Asia and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8]
서적
Interracial Intimacy in Japa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39]
서적
Manila Ransomed: The British Assault on Manila in the Seven Years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Exeter Press
[140]
논문
Peasants, Servants, and Sojourners: Itinerant Asians in Colonial New Spain, 1571–1720
https://repository.a[...]
[141]
서적
Intercolonial Intimacies Relinking Latin/o America to the Philippines, 1898–1964
[142]
논문
Forzados y reclutas: los criollos novohispanos en Asia (1756–1808)
https://bagn.archivo[...]
2022-07-09
[143]
웹사이트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144]
웹사이트
How big were families in the 1700s?
https://www.ncesc.co[...]
[145]
서적
Conquest and Pestilence in the Early Spanish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24-02-03
[146]
서적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http://www.xeniaedit[...]
[147]
서적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https://ia601608.us.[...]
[148]
웹사이트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Appendix, Page 35)
https://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1-03-23
[149]
논문
Tracing the Decline of the Mestizo Categories in Philippine Life in the Late 19th Century
[150]
서적
Philippine Politics and Society in the Twentieth Century: Colonial Legacies, Post-Colonial Trajector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7-30
[151]
서적
The Philippines A Singular and a Plural Pl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7-22
[152]
논문
Tracing the Decline of the Mestizo Categories in Philippine Life in the Late 19th Century
[153]
웹사이트
the treaty
http://avalon.law.ya[...]
2012-07-08
[154]
웹사이트
American Conquest of the Philippines – War and Consequences: Benevolent Assimilation and the 1899 PhilAm War
http://www.oovrag.co[...]
oovrag.com
2014-02-03
[155]
서적
Filipinos in the U.S. Navy & Coast Guard During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9-05-04
[15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1-05
[157]
서적
Filipinos in the U.S. Navy & Coast Guard During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158]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 A History of Resistance and Assimilation
http://voices.cla.um[...]
voices.cla.umn.edu
2006-02-08
[159]
뉴스
Women and children, militarism, and human rights: International Women's Working Conference – Off Our Backs – Find Articles at BNET.com
http://findarticles.[...]
2009-02-03
[160]
보도자료
200,000–250,000 or More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live Today i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ccording to USA-RP Joint Research Paper Finding
http://amerasianrese[...]
2016-07-11
[160]
웹사이트
The Case for Categorization of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s Diaspora
http://amerasianres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Philippines, Michigan State University, E. Lansing, MI
2016-07-11
[161]
논문
The Creoles in Spanish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2021-12-06
[162]
서적
From Indio to Filipino: And Some Historical Works
https://books.google[...]
Milagros Romuáldez-Abella
2021-12-06
[163]
논문
The Chinese Mestizo in Philippine History
https://kuscholarwor[...]
2021-10-21
[164]
웹사이트
The origin of Filipino
https://muntingnayon[...]
2021-10-21
[165]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R. P. GARCIA Publishing Co.
[166]
논문
The Chinese Mestizos and the Formation of the Filipino Nationality
https://www.persee.f[...]
2021-10-21
[167]
서적
PHILIPPINE POLITICS: possibilities and problems in a localist democracy.
ROUTLEDGE
[168]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Southeast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9]
서적
The Star-entangled Banner: One Hundred Years of America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P Press
[170]
서적
Anglo-Chinese Encounters Before the Opium War: A Tale of Two Empires Over Two Centuries
Taylor & Francis
[171]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20 Volume Set
http://www.els.net/W[...]
John Wiley & Sons, Inc.
2019-01-16
[172]
논
[176]
논문
A Predominantly Indigenous Paternal Heritage for the Austronesian-speaking Peoples of Insular Southeast Asia and Oceania
http://hpgl.stanford[...]
2007-06-24
[177]
논문
Austronesian prehistory and Polynesian genetics: A molecular view of human migration across the Pacific
http://www.scientist[...]
[178]
논문
Early Austronesians: Into and Out Of Taiwan
[179]
논문
Rethinking the Origins of Taiwan Austronesians
http://comonca.org.c[...]
[180]
논문
Farming and Language in Island Southeast Asia
[181]
뉴스
New DNA evidence overturns population migration theory in Island Southeast Asia
http://phys.org/news[...]
2014-02-03
[182]
논문
The Pre-Sa Huynh-Kalanay Pottery of Taiwan and Southeast Asia
http://journals.upd.[...]
[183]
웹사이트
Genographic Project – Reference Populations – Geno 2.0 Next Generation
https://genographic.[...]
2005-04-13
[184]
논문
Characterizing Race/Ethnicity and Genetic Ancestry for 100,000 Subjects in the Genetic Epidemiology Research on Adult Health and Aging (GERA) Cohort
[185]
서적
Handbook of Paleoanthropology: Vol I:Principles, Methods and Approaches Vol II:Primate Evolution and Human Origins Vol III:Phylogeny of Hominid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86]
서적
The Anthropology of Modern Human Teeth: Dental Morphology and Its Variation in Recent Human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87]
서적
Intercolonial Intimacies Relinking Latin/o America to the Philippines, 1898–1964
[188]
서적
The Unlucky Country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189]
논문
Forzados y reclutas: los criollos novohispanos en Asia (1756-1808)
https://bagn.archivo[...]
[190]
간행물
The Former Philippines thru Foreign Eyes
http://www.authorama[...]
[191]
보도자료
Senate declares Chinese New Year as special working holiday
http://www.senate.go[...]
PRIB, Office of the Senate Secretary, Senate of the Philippines
2013-01-21
[192]
뉴스
Why the Philippines Is America's Forgotten Colony
http://www.nationalj[...]
2015-01-28
[193]
보도자료
200,000–250,000 or More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live Today i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ccording to USA-RP Joint Research Paper Finding
http://amerasianrese[...]
2012-11-05
[193]
웹사이트
The Case for Categorization of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s Diaspora
http://amerasianres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Philippines, Michigan State University, E. Lansing, MI
2012-10
[194]
서적
(참조 필요)
https://books.google[...]
[195]
웹사이트
El Torno Chabacano
http://manila.cervan[...]
[196]
웹사이트
Estadisticas: El idioma español en Filipinas
http://buscoenlaces.[...]
[197]
웹사이트
Philippines – EDUCATION
http://countrystudie[...]
[198]
웹사이트
Languages of the Philippin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199]
서적
Filipino English and Taglish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3
[200]
논문
The Language Planning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http://www.multiling[...]
[201]
웹사이트
Article XIV, Section 6
http://www.chanroble[...]
[201]
웹사이트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www.chanroble[...]
[202]
서적
Contemporary Asian American communities: intersections and divergences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203]
간행물
Table 1.10; Household Population by Religious Affiliation and by Sex; 2010
https://psa.gov.ph/s[...]
2015-10
[204]
웹사이트
Victory Outreach
http://victoryoutrea[...]
[205]
보고서
Philippines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4-07-28
[206]
논문
Anitism: a survey of religious beliefs native to the Philippines
http://www.asj.upd.e[...]
[207]
서적
Baylan: Animist Religion and Philippine Peasant Ideology
University of San Carlos Publications
[208]
보고서
Philippines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4-07-28
[209]
웹사이트
National Summary Tables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1-06-06
[210]
웹사이트
Population Composition: Asian-born Australians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1-06-06
[211]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Philippines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6-03
[212]
웹사이트
Migr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http://www.migration[...]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9-07-00
[213]
웹사이트
Urban Population in the Philippines (Results of the 2015 Census of Population), Release Date: 21 March 2019
http://psa.gov.ph/po[...]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14]
웹사이트
The Asian Population: 2010
https://www.census.g[...]
census.gov
[215]
웹사이트
Ethnic Origin, both sexes, age (total), Canada, 2016 Census – 25% Sample data
http://www12.statcan[...]
2017-10-25
[216]
웹사이트
Know Your Diaspora: United Arab Emirates
http://www.positivel[...]
[217]
뉴스
No foreign workers' layoffs in Malaysia - INQUIRER.net, Philippine News for Filipinos
http://globalnation.[...]
2009-02-09
[218]
간행물
令和元年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旧登録外国人統計)
http://www.moj.go.jp[...]
[219]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Australia
http://www.censusdat[...]
[220]
웹사이트
OFW Statistics
http://www.poea.gov.[...]
Philippine Overseas Employment Administration
2013-02-08
[221]
웹사이트
Demographic Balance and Resident Population by sex and citizenship on 31st December 2017
http://demo.istat.it[...]
2018-06-13
[222]
웹사이트
Filipinos in Hong Kong
http://www.yearbook.[...]
Hong Kong Bureau of Statistics
[223]
웹사이트
PGMA meets members of Filipino community in Spain
http://www.gov.ph/in[...]
Gov.Ph
[224]
웹사이트
Stock Estimates of Filipinos Overseas 2007 Report
http://www.poea.gov.[...]
Philippine Overseas Employment Administration
[225]
웹사이트
外僑居留-按國籍別
http://www.immigrati[...]
National Immigration Agency, Ministry of the Interior
2011-02-28
[226]
웹사이트
Filipinos in South Korea
http://www.korea.ne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KOIS)
[227]
웹사이트
Ethnic group profiles
http://www.stats.gov[...]
[228]
웹사이트
Israeli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http://www.cbs.gov.i[...]
Israeli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29]
뉴스
Papua New Guinea thumbs down Philippine request for additional flights
http://www.interaksy[...]
2013-04-26
[230]
웹사이트
CBS StatLine - Bevolking; generatie, geslacht, leeftijd en herkomstgroepering, 1 januari
http://statline.cbs.[...]
[231]
웹사이트
Anzahl der Ausländer in Deutschland nach Herkunftsland (Stand: 31. Dezember 2014)
http://de.statista.c[...]
[232]
웹사이트
ชาวต่างชาติในเมืองไทยเป็นใครบ้าง? (Foreigners in Thailand)
http://www.ms.ipsr.m[...]
[233]
웹사이트
Macau Population Census
http://www.dsec.gov.[...]
2012-05-00
[234]
웹사이트
pinoys-sweden-protest-impending-embassy-closure
http://www.abs-cbnne[...]
ABS-CBN.com
[235]
웹사이트
CSO Emigration
http://www.cso.ie/en[...]
Census Office Ireland
[236]
웹사이트
Statistic Austria
http://www.statistik[...]
[237]
웹사이트
8 Folkemengde, etter norsk / utenlandsk statsborgerskap og landbakgrunn 1. januar 2009
http://www.ssb.no/em[...]
Statistisk sentralbyra (Statistics Norway)
[238]
뉴스
President Aquino to meet Filipino community in Beijing
http://kalatas.com.a[...]
2011-08-30
[239]
웹사이트
Backgrounder: Overseas Filipinos in Switzerland
http://www.ops.gov.p[...]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2007-00-00
[240]
웹사이트
Welcome to Embassy of Kazakhstan in Malaysia Website
http://www.kazembass[...]
[241]
뉴스
A tale of two states
http://globalnation.[...]
2006-06-06
[242]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Greece 2009 & 2010
http://dlib.statisti[...]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243]
뉴스
No Filipino casualty in Turkey quake - DFA
http://www.gmanews.t[...]
2010-08-03
[244]
웹사이트
Manila and Moscow Inch Closer to Labour Agreement
http://www.ipsnews.n[...]
2012-05-06
[245]
웹사이트
11rv -- Syntyperä ja taustamaa sukupuolen mukaan kunnittain, 1990-2018
http://pxnet2.stat.f[...]
[246]
웹사이트
Backgrounder: The Filipinos in Indonesia
http://www.ops.gov.p[...]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2001-10-07
[247]
웹사이트
People: Filipino
http://www.joshuapro[...]
[248]
웹사이트
Filipinos in Finland
http://www.filippiin[...]
Finnish-Philippine Society co-operates with the migrant organizations
[249]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To Sign Agreement with Morocco to Protect Filipino workers
http://www.moroccowo[...]
Morocco World News
[250]
웹사이트
Filipinos in Iceland
http://www.icelandre[...]
Iceland Review Online
[251]
간행물
Table 1.10; Household Population by Religious Affiliation and by Sex; 2010
https://psa.gov.ph/s[...]
2015-10-01
[252]
문서
清水展「フィリピン人」
エリア・スタディーズ(2009)
[253]
서적
The remnants of the great Ilonggo nation
https://books.google[...]
Rex Book Store
2009-08-03
[254]
웹사이트
2000 Census-based Population Projection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6-12-08
[255]
웹사이트
Rapid Population Growth, Crowded Cities Present Challenges in the Philippines
http://www.prb.org/A[...]
Population Reference Bureau
2009-08-03
[256]
논문
Unexpected NRY Chromosome Variation in Northern Island Melanesia
2006-08-01
[257]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01-01
[258]
논문
Improved phylogenetic resolution and rapid diversific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K-M526 in Southeast Asia
https://www.ncbi.nlm[...]
2014-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