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국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국주의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나 지역을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배하려는 사상과 정책을 의미하며, '명령하다' 또는 '통치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imperium'에서 유래했다. 19세기 이후 서구 열강과 일본이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팽창주의 정책과 식민지 건설을 정당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제국주의는 자원 확보, 산업 혁명으로 인한 시장 개척, 민족주의 발흥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로마 제국, 대영 제국, 프랑스 식민 제국, 일본 제국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사회주의, 반제국주의, 문화 제국주의 등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으며, 문화 제국주의, 미디어 제국주의와 같은 형태로 현대 사회에서도 그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략전쟁 - 쿠웨이트 침공
    쿠웨이트 침공은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하여 점령한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규탄과 다국적군의 개입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쿠웨이트가 해방되었다.
  • 침략전쟁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사상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사상 - 사대주의
    사대주의는 강한 세력을 숭배하고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자국의 것을 낮춰 보는 태도로, 문화 사대주의는 자국 문화를 낮게 평가하고 강대국의 문화를 동경하여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주체적인 문화 정체성 확립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정치와 정부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정치와 정부 - 전체주의
제국주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국가가 다른 나라를 지배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정책 또는 행위
로마자 표기jegukjuui
영어 표기imperialism
관련 개념식민주의
패권주의
역사
기원고대부터 존재해 왔지만,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의 아프리카 및 아시아 침략을 통해 확산
주요 시기고대 로마 시대
대항해시대
근대 제국주의 시대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탈식민주의 시대 (20세기 중후반)
주요 원인산업 혁명으로 인한 자원 및 시장 확보 필요성
국가주의 및 민족주의 확산
사회 진화론 및 인종주의적 이데올로기
주요 결과식민지 지배 및 착취
피지배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종속 심화
세계적인 불평등 심화
문화적 파괴 및 혼합
제1차 세계 대전 및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
유형
직접 통치식민지 정부를 세워 직접 통치
간접 통치현지 지배층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통치
경제적 제국주의경제적 수단을 통해 다른 나라를 지배
문화적 제국주의문화적 영향력을 통해 다른 나라를 지배
비판 및 영향
비판폭력적인 침략과 지배
인간 착취와 차별
피지배 국가의 문화적 파괴
불평등 및 갈등 심화
영향세계적인 불평등 심화
식민지 유산 (국경 분쟁, 경제적 불균형)
탈식민주의 운동 및 민족 해방 운동
제3세계 국가의 발전 장애
관련 용어
식민주의국가가 타국 영토를 점령하고 지배하는 정책
패권주의특정 국가가 국제 사회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정책
신식민주의정치적 독립 이후에도 경제적, 문화적으로 지속되는 지배 관계
문화 제국주의특정 국가의 문화가 다른 국가의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지배하는 현상
참고 문헌
참고 도서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제국주의
Dictionary.com - 제국주의
독일 역사 박물관 - 독일 통치하의 미래 유럽 스케치 지도
관련 학술 자료포스트 식민 연구 : 주요 개념

2. 어원

제국주의라는 말의 어원은 라틴어 'imperium'(제국), 'imperator'(황제)인데,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와 3세가 로마 제국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제국주의라고 불렀다.[201] 이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나폴레옹 3세의 몰락을 보도한 영국의 신문 '데일리 뉴스'의 1870년 6월 8일자 보도에서 프랑스 제2제정을 제국주의라고 지칭한 후부터이며, 전제정치와 동일한 의미였다.[201]

1877년 러시아가 이스탄불을 점령하려고 했을 때, 영국의 총리 B.디즈레일리가 무력 행사를 통한 강경 정책을 취하여 이른바 징고이즘(jingoism)이 생겨난 이후부터 제국주의란 말이 사회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201] 이때부터 제국주의는 열광적인 주전론(主戰論)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했다.[201] 1880∼1890년대 영국에서는 제국주의를 영국의 번영과 진보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 오히려 이를 칭송하기도 했다.[201]

"제국주의"라는 단어는 "명령하다", "주권을 가지다", "통치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imperium에서 유래했다.[7] 이 단어는 19세기에 처음 등장하여 나폴레옹 3세의 전제적인 군국주의와 외국 군사 개입을 통한 정치적 지지 확보 시도를 비난하는 데 사용되었다.[9][10] 1870년대 영국에서 현재와 같은 의미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880년대에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11]

일본어에서는 "imperialism영어"을 「제국주의」,「제정」,「제제」,「황제제」,「황제제도」 등으로, "imperialist영어"는 「제국주의자」,「황제 지지자」,「제정주의자」 등으로 번역한다. 「」라는 한자는 강림한 이 기대는 책상을 본뜬 상형 문자이며, 「우주최고의 신」,「최대 최고의 신령, 상제」,「천하를 다스리는 임금」을 의미한다.

3. 원인

산업혁명은 대량생산을 위해 더 많은 자원과 노동력을 필요로 했고, 생산된 제품을 판매할 시장이 필요했다. 당시 영국의 식민 무역은 인도의 면화로 면직물을 만들어 인도에서 아편과 교환한 후, 중국에서 은과 교환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아편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15] 자본주의 발전으로 식민지에너지 및 자원 확보와 자본 투자처로 중요해졌다. 제국주의 국가는 식민지에 척식회사를 설립했는데, 영국의 동인도 회사와 일본의 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이 대표적이다. 미국일본이 후발 주자로 제국주의 열강에 합류했다.[15]

1800년 제국주의 세력


1945년 제국주의 세력


"제국주의"는 "식민주의"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학자들은 각 용어의 정의가 다르다고 주장한다. 로버트 영은 제국주의는 중심부에서 국가 정책으로 작용하며 이념적, 재정적 이유로 발전하는 반면, 식민주의는 정착 또는 상업적 의도를 위한 발전이지만 침략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16] 에드워드 사이드는 제국주의는 '먼 지역을 지배하는 지배적인 중심지의 관행, 이론 및 태도'를 포함하는 반면, 식민주의는 '먼 지역에 정착지를 건설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구분한다.[17]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는 모두 토지와 원주민 인구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우위를 결정하지만, 학자들은 둘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어려워한다.[18] 식민주의가 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물리적으로 통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면, 제국주의는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정치적 및 금전적 지배를 의미한다. 식민주의는 제국 국가가 어떤 지역에 대한 정복을 시작하고 지배하는 것이며, 제국주의는 다른 국가의 땅을 정복하여 자신의 지배력을 높이는 것이다.[18]

소련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은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최고 형태"이며, "독점 자본주의에 의해 식민주의와 구별된다"고 주장했다.[17]

19세기 주요 제국들을 풍자적으로 그린 캐리커처: 빅토리아 여왕(영국 제국), 빌헬름 2세(독일 제국), 니콜라이 2세(러시아 제국), 마리안느(프랑스 제3공화국) 그리고 사무라이(아마도 일본 제국메이지 천황을 암시하는)가 중국의 영토를 분할하고 있는 모습.


홉슨은 식민지주의를 잉여 자본의 투자처라는 경제적 측면과 식민지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을 제공한다는 사회적 측면을 지적했다. 특히, 이민지로 부적합한 열대 지역에서의 확장을 제국주의로 비판했다. 홉슨의 연구는 레닌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레닌의 제국주의론에서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독점 단계(최종 단계)이며, 19세기말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를 가리킨다. 레닌에 따르면, 독점 자본이 시장 확보와 잉여 자본 투자처로 새로운 영토 확보를 요구하고, 국가가 이를 받아들여 행동한다. 여러 국가가 제국주의에 따라 영토(식민지)를 확대하면, 세계는 유한하기 때문에 다른 제국주의 국가로부터 영토(식민지)를 빼앗아야 하며, 세계 대전은 그 당연한 귀결이라고 한다.

존 갤러허와 로널드 로빈슨의 「자유무역 제국주의」(Imperialism of free trade)론은, 비공식 제국(informal empir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자국의 식민지 이외에 대한 투자를 설명한다.

이마누엘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과 P.J. 케인과 A.G. 호프킨스의 신사 자본주의(gentlemanly capitalism)는 제국주의론의 초점을 다시 "중심"으로 되돌렸다. 월러스틴은 경제 결정론적이라고 비판받지만, 케인과 호프킨스는 본국 사회에서의 정치적·사회적 요인을 제기했다.

대영 제국(영국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지역


제국주의가 강화된 이유에 대해 여러 설명이 제시되었다. 정치적으로, 국민 국가로 발전한 유럽 열강들이 국가 위신을 높이고 민족적 자존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팽창주의를 선택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의 패배의 상처를 치유하고 국가 위신을 높이기 위해 해외 진출을 추진했다.[171] 독일 제국이탈리아 왕국도 대외 진출과 식민지 획득을 목표로 했다.[172]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 국가로 나아가기 시작한 일본 제국도 마찬가지였다.

열강들의 민족주의는 비유럽인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유럽 문명을 전달하여 “교화”하려는 움직임과 결합되었다. 노예제 반대 운동도 아프리카 오지를 목표로 계속되었고, 노예 무역 폐지는 유럽 열강의 개입 명분 중 하나가 되었다.[175]

아프리카에서는 오지 탐험이 제국주의적 진출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1878년 헨리 모턴 스탠리는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의 위탁을 받고 콩고 강 유역을 탐험하여 무역 협정을 맺었고, 이는 1885년 콩고 자유국 성립으로 이어졌다.[177] 피에르 브라자도 콩고 강 유역을 탐험했고, 그 지역은 프랑스령 콩고가 되었다.

경제적으로, 산업혁명으로 열강들의 경제 체제가 변화하면서 각국은 산업 원료 공급지와 시장을 확보해야 했고, 대외 진출을 통해 후진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다.[178]

경제적인 제국주의는 반드시 정치적인 식민지화나 대외 확장을 수반한 것은 아니었으며, 각국의 식민지가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다는 것도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았다. 1913년 세계 무역에서 아프리카의 비율은 3.5%, 인도의 비율도 3.5%에 불과했다.[180] 유럽 각국과 미국의 무역 총액은 세계 전체의 72.4%를 차지했고, 무역의 주요 무대는 선진국 간 무역이었다.[181] 투자에서도 각국의 자본은 자국 식민지가 아닌 지역에 투자되는 경우가 많았다. 프랑스 자본은 프랑스 식민지가 아닌 러시아에 가장 많이 투자되었고, 이탈리아도 발칸반도중동 등 자국 식민지 이외 지역에 대한 투자를 주로 했다. 영국은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했지만,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 대한 투자도 그에 필적했다.[182]

후진 지역에 대한 열강의 경제적 진출은 민간보다는 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가 많았다. 오스만 제국, 가자르 왕조, 청나라와 같은 기존의 거대 제국은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외국으로부터의 차관에 의존했고, 열강들에게 특권 제공이나 양보를 강요당했다.[184]

철도 건설은 제국주의적 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영국령 케이프 식민지 총리였던 세실 로즈케이프타운-카이로 간 아프리카 대륙 종단 철도 구상[185]3C 정책, 독일의 바그다드 철도 건설 구상(베를린-비잔티움-바그다드를 잇는 3B 정책) 등이 그 예이다.

수에즈 운하파나마 운하도 제국주의와 연결되어 있었다. 수에즈 운하는 프랑스의 페르디낭 드 레셉에 의해 1869년 건설되었지만, 이집트에 불리한 조건이었다.[186] 1875년 이집트가 재정 위기에 빠지자, 이집트 총독 이스마일 파샤가 수에즈 운하 회사 주식을 매각하자 영국 정부가 매입하여 최대 주주가 되었다.[187] 파나마 운하는 1903년 미국 정부콜롬비아 정부와 조약을 맺고 권리를 인계받았다. 미국은 운하 예정지인 파나마 시의 분리 독립파에 자금을 지원하여 혁명을 선동했고, 파나마를 즉시 승인하고 파나마 운하 지구 임대 등 유리한 조약을 체결한 후[189] 1914년 운하를 개통했다.

기술적인 요인으로는, 의학 발전으로 전염병 사망자가 감소하고, 열대 지역에서 대규모 군사 작전이 가능해졌다.[190] 과학혁명과 산업혁명에 따른 무기 발전으로 유럽 국가들의 군사력이 증대되었고, 경제 성장으로 국력 차이가 커져 후진 지역과의 군사력 격차가 커졌다. 전신과 철도, 증기선 개발 등 교통·통신 수단 발전으로 원거리 통신이 용이해진 것도 요인 중 하나였다.[191]

4. 역사

제국주의라는 용어는 라틴어 'imperium'(제국)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와 3세가 로마 제국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가리켰다.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70년 영국의 신문 '데일리 뉴스'가 프랑스 제2제정을 '제국주의'라고 칭하면서부터이며, 이는 전제정치와 같은 의미였다.[201]

1877년 러시아가 이스탄불을 점령하려 할 때, 영국의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가 강경 정책을 펼치면서 '징고이즘(jingoism)'이라는 열광적인 주전론(主戰論)이 나타났고, 이때부터 제국주의는 이러한 주전론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했다. 1880년대에서 1890년대 영국에서는 제국주의를 번영과 진보의 상징으로 여기는 경향이 생겨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201]

그러나 1870년경부터 제국주의는 근대적인 의미와 내용을 가진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사회적 불안이 커지고 자본주의 국가 간의 팽창주의적 경쟁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영국은 자유무역 정책을 보호 정책으로 바꾸고 광대한 식민지를 긴밀하게 조직하려 했다. 1870년대 수에즈 운하 주식 매수, 인도의 지배 강화, 1884년 제국연방동맹 성립을 통한 자치령과 본국의 결합 시도, 1903년 식민지 장관 조지프 체임벌린의 보호관세 정책, 보어 전쟁 등이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향은 영국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을 필수 조건으로 여기던 후발 자본주의 국가들에서 더욱 두드러졌으며, 이는 세계 분할과 국제 대립 심화, 군비 확장을 초래했다.[201]

산업 혁명 이후, 유럽 국가들은 대량 생산을 위해 더 많은 자원과 노동력, 그리고 생산된 제품을 판매할 시장을 필요로 했다. 영국의 경우, 인도의 면화로 면직물을 만들어 인도에서 아편과 교환하고, 이를 다시 중국에서 은과 교환하는 식민 무역이 대표적이었으며, 이는 아편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식민지에너지와 자원 확보, 자본 투자처로서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 제국주의 국가는 식민지에 척식회사를 설립했는데, 영국의 동인도 회사나 일본의 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이 그 예이다. 미국일본이 후발 주자로 제국주의 열강 대열에 합류했다.

넓게는 대항해 시대 이후 유럽 국가들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자원과 노동력을 약탈하던 시기부터 제국주의의 시작으로 볼 수 있지만, 좁은 의미의 본격적인 제국주의는 산업 혁명 이후 유럽 국가들이 식민지 쟁탈전에 뛰어든 18세기 무렵부터 나타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제국주의의 전성기에는 세계가 열강이라 불리던 제국주의 국가와 식민지로 양분될 정도였으며, 에티오피아와 타이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열강의 지배하에 놓였다. 식민지들은 제국주의에 격렬하게 저항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0년대에는 대부분 독립을 회복했다.

여러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식민지 해방에 대한 합의로 민족자결주의가 채택되었고, 세계 대전 당시 제국주의를 비판하며 볼셰비키 혁명과 UN세계주의 (냉전) 이념에도 영향을 주었다.

제국주의 시대는 1760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유럽의 산업화된 국가들이 세계의 다른 지역을 식민지화하고, 영향을 미치고, 합병하는 과정에 참여한 시기를 말한다.[20] 19세기에는 "아프리카 분할"이 있었다.[21]

여러 유럽 제국들의 식민지로 나뉜 아프리카,


1970년대, 영국의 역사가 존 앤드류 갤러거와 로널드 로빈슨은 유럽 지도자들이 식민지에 대한 공식적인 법적 통제보다 독립 지역에 대한 비공식적인 통제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고 주장했다.[22] 오론 헤일에 따르면, 갤러거와 로빈슨은 아프리카에서 영국의 개입을 살펴보았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소수의 자본가, 적은 자본, 그리고 주장되는 전통적인 식민지 확장 추진자들의 압력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합병 여부에 대한 내각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정치적 또는 지정학적 고려 사항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라고 말했다.[24]

1875년부터 1914년까지 주요 제국들을 살펴보면, 수익성 측면에서 혼재된 기록이 나타난다. 인도 경제학자 우트사 파트나익에 따르면, 1765년부터 1938년까지 인도에서 이전된 부의 규모는 약 45조 달러로 추산된다.[25]

제국주의를 통해 이용 가능해진 자원 덕분에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수십 년 동안 세계 경제는 크게 성장하고 훨씬 더 상호 연결되었으며, 많은 제국 강국을 부유하고 번영하게 만들었다.[26]

유럽의 영토 제국주의 확장은 주로 식민지로부터 자원을 수집함으로써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추었고, 군사 및 정치적 수단을 통해 정치적 통제를 장악하는 것과 결합되었다. 18세기 중반 인도의 식민화는 이러한 초점의 한 예를 보여준다.[27]

유럽의 확장은 19세기에 크게 가속화되었다. 원자재를 얻기 위해 유럽은 다른 국가와 식민지로부터 수입을 확대했다. 유럽의 산업가들은 해외에서 염료, 목화, 식물성 기름 및 금속 광석과 같은 원자재를 찾았다. 동시에 산업화는 유럽을 제조업과 경제 성장의 중심지로 빠르게 만들어 자원 수요를 증가시켰다.[30]

통신의 발전과 함께 유럽은 군사 기술에서도 계속 발전했다. 유럽의 화학자들은 포병을 훨씬 더 치명적으로 만드는 새로운 폭발물을 만들었다. 1880년대가 되자 기관총은 신뢰할 수 있는 전투 무기가 되었다. 이 기술은 유럽 군대에게 상대방보다 우위를 제공했는데, 덜 발달된 국가의 군대는 여전히 화살, 칼, 가죽 방패로 싸웠기 때문이다 (예: 1879년 영국-줄루 전쟁 동안 남아프리카의 줄루족).[30]



반제국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와 냉전 초기에 유럽 열강의 식민지에서 민족 주권을 주장하는 정치 운동이 확산되면서 널리 퍼졌다.

『세계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제국주의”라는 개념이 현대 정치·경제 용어로 정착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이지만, 현대의 여러 현상은 이 개념의 역사적 의미를 반영한다. 제국주의의 기원은 고대 로마의 임페리움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로마 공화정에서 로마 제정으로의 체제 전환과 제국 형성의 관련성이 후세 사람들에게 강하게 인식되었다. 즉, 고대 로마에서는 “임페리움”의 의미가 과거 공화정의 법적 명령에서 타민족 지배와 군사력, 부에 의존한 지배 형태로 변화되었고, 이러한 통치 구조의 변질이 후세 사람들의 제국주의에 대한 이미지의 원형이 되었다.

제국주의 개념에는 절대왕정 시기 중상주의 제국의 전쟁 정책과 국내의 전제적인 통치 구조의 역사에서 비롯된 두 번째 의미도 있다. 근대인들이 계승한 제국이라는 말은 절대 군주제의 부와 권력을 칭찬하고 그 영토를 보여주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제국에 대한 비판이 19세기 이후의 새로운 현상을 다루는 틀이 되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서구 열강들은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식민지 획득 경쟁을 벌였다. 이들을 정체나 국호를 묻지 않고 “제국”이라고 부르는 용어에는 스페인 제국, 포르투갈 해상 제국, 네덜란드 해상 제국, 덴마크 식민지 제국, 스웨덴 식민지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제국(대영 제국), 프랑스 식민지 제국, 벨기에 식민지 제국, 독일 식민지 제국, 이탈리아 식민지 제국, 미국 제국, 대청 제국, 대일본 제국, 오스만 제국, 그리고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사회 제국주의 등이 있다.

영국의 경제학자 존 앳킨슨 홉슨은 식민지주의를 잉여 자본의 투자처라는 경제적 측면 외에, 식민지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을 제공한다는 사회적 측면도 지적했지만, 19세기 중반 이후의 식민지 획득, 특히 이민지로 부적합하여 잉여 인구의 배출구가 될 수 없는 열대 지역에서의 확장을 제국주의로 비판했다. 홉슨의 연구는 레닌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레닌의 제국주의론에서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독점 단계(최종 단계)이며, 세기 전환기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를 가리키는 시대 구분이기도 하다. 열강들이 식민지 경영이나 권익 다툼을 하여 세계를 재분할했던 시대를 가리키며, 이 시대만을 제국주의라고 부르는지, 그 이후도 제국주의 시대에 포함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레닌에 따르면, 고도로 발전한 자본주의로 인해 성립하는 독점 자본이 시장 확보와 잉여 자본의 투자처로서 새로운 영토 확보를 요구하게 되고, 국가가 그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행동한다. 여러 국가가 제국주의에 따라 영토(식민지)를 확대하면 세계는 유한하므로, 언젠가는 다른 제국주의 국가로부터 영토(식민지)를 빼앗아야 하며, 세계 대전은 그 당연한 귀결이라고 한다. 레닌의 『제국주의론』은 세계 대전의 결과로서의 파국이 자본주의 체제의 파국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경제 결정론적인 레닌의 주장은 종종 “홉슨=레닌적” 제국주의라고 평가되지만, 양자의 주장이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존 갤러거와 로널드 로빈슨의 「자유무역 제국주의」(Imperialism of free trade)론은 비공식 제국(informal empir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자국 식민지 이외에 대한 투자를 설명한다. 이들에 따르면, 자유 무역 유지, 권익 보호, 정세 안정화라는 조건만 충족되면 식민지 획득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이러한 조건이 지켜지지 않게 된 경우에만 식민지화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갤러거와 로빈슨은 현지 정세와 위기에 대한 대응에서 식민지화의 이유를 찾았기 때문에, 이후 “주변 이론”이라고 불리는 식민지 측의 조건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에 대해 다시 제국주의론의 초점을 “중심”으로 되돌린 것이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세계 시스템론이며, P.J. 케인과 A.G. 홉킨스의 신사 자본주의(gentlemanly capitalism)이다. 월러스틴은 종종 경제 결정론적이라고 비판받지만, 케인과 홉킨스는 홉슨 이래의 사회적 측면에 다시 주목하여 본국 사회의 정치적·사회적 요인을 제기했다. 이러한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후 탈식민지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적되는 신식민주의(간접적으로 정치·경제·문화를 지배하는)의 영향을 받았다.

제국주의는 타자를 지배하는 것을 긍정하는 사상에 의해 정당화되었다. 사회진화론과 등의 유사과학에 의해 뒷받침된 제국주의 의식이었으며, 러디어드 키플링의 「」이라는 말에 대표된다. 진화진보와 혼동하는 진보사관에는 계몽주의와의 관련성도 지적된다. 어둠/야만, 빛/문명이라는 이분법을 만들어 어둠의 영역에 빛, 즉 문명을 가져오고, “무지몽매한 상태에서 구해낸다”는 계몽의 이데올로기로 가장하는 경우가 많았다.[166]

제국주의를 비판한 홉슨도 궁극적으로는 “전 인류의 행복에 기여하는 자본주의”라는 이념을 신봉하며, 주변 지역을 적절한 방법으로 경제권에 편입하는 것 자체를 “문명화”로 긍정했다.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사상은 비유럽 지역 지배가 경제적 원리를 넘어 “양심”의 이름하에 진행되었으며, 안전과 문명화 수단이 제공된다면 반드시 자국에 의한 정치적 지배가 요구되지 않았던 반면, 벨기에령 콩고 자유국에서 레오폴드 2세처럼 “백인의 책임”을 망각하고 지나친 착취를 행하면 국제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19세기 후반은 민족주의의 흥륭에 따라 유럽에서 국가 형성이 이루어진 시기에 해당하며, 국가에 대한 귀속 의식을 높인 민중은 국위 선양을 위해 제국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167]

1895년 프랑스의 마다가스카르 침공을 선전하는 포스터


제국주의라는 용어에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가장 강력해진 시기는 1870년대 이후이며, 협의의 제국주의는 이 시기의 움직임을 가리킨다.[168] 15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까지의 유럽 열강의 세계 진출과 비교하여 이 시기의 제국주의를 신제국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시기에 유럽 열강과 미국, 일본 등이 세계의 상당 부분을 식민지화하여 분할 지배했고, 독립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도 세력권에 넣었다.

이 시기 제국주의의 주요 목표는 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이었다. 아시아는 이전 시기에도 상당히 분할이 진행되었지만, 1870년부터 1914년까지 독립을 유지해 온 지역들도 잇따라 열강의 지배하에 들어가 독립국으로 남은 곳은 극소수가 되었다. 다만, 이 지역에는 근대 제국 이외에 이나 오스만 제국과 같은 구(舊) 제국이 아직 남아 있었다.[169] 그러나 이러한 구제국의 대부분은 정치적 패배로 열강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여 관세 자주권을 상실하고 치외법권영사재판권을 인정하는 등 반식민지적인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 시기 대립의 초점 중 하나는 중앙아시아였으며, 그레이트 게임이라고 불리는 영국과 러시아의 세력권 다툼 속에서 남하를 노리는 러시아와 인도에 이권을 가진 영국은 투르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페르시아, 티베트를 두고 경쟁을 벌였다. 러시아는 코칸트 칸국,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등 서투르키스탄 3칸국을 지배하에 두었고,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왕조를 1881년 제2차 아프간 전쟁에서 보호국으로 삼았다. 이 다툼은 1907년 영러 협상에 의해 페르시아(가자르 왕조)의 독립 존중과 북부를 러시아, 남부를 영국의 세력권으로 하는 것, 아프가니스탄의 영국 세력권 존중 등이 결정되면서 종결되었다.

세계 분할에서 가장 늦게까지 남아 있던 곳은 아프리카 대륙이었다. 1870년 당시에는 해안부를 중심으로 소수의 식민지만 존재했지만, 1884년 베를린 회의가 열려 분할 규칙이 제정됨[170]으로써 열강은 아프리카 내륙부 식민지화를 시작하여 1900년경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한 아프리카 대부분이 유럽 열강에 의해 분할되었다. 흑인 국가 외에, 남아프리카에는 트란스발 공화국과 오렌지 자유국의 보어인에 의한 백인 국가가 존재했지만, 이 발견되어 골드러시로 풍요로워진 트란스발을 병합하려던 영국은 1899년 두 국가에 선전포고하여 보어 전쟁을 일으켰고, 1902년 베르리네히팅 조약에 의해 두 국가는 영국에 병합되었다. 북쪽 끝의 알라위 왕조 모로코는 요충지에 있었기 때문에 열강 간의 견제로 독립을 유지했지만, 스페인과 프랑스의 우위가 강해졌다. 이를 우려한 독일은 1905년 제1차 모로코 사건(탕헤르 사건) 및 1911년 제2차 모로코 사건(아가디르 사건)으로 모로코 진출을 노렸지만, 결국 1912년 페스 조약에 의해 프랑스는 모로코를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1912년에는 아프리카 대륙의 독립국은 에티오피아라이베리아 두 나라만 남게 되었다.

이 시기에 제국주의가 강화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이 제시되어 왔다. 정치적 측면에서 보면, 국민 국가로 발전한 유럽 열강들이 국가의 위신을 높이고 민족적 자존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팽창주의를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이러한 측면이 두드러졌으며, 프랑스 제3공화정 정부는 1871년 보불전쟁의 패배의 상처를 치유하고 국가의 위신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추진했다.[171] 소위 “늦게 온” 열강인 독일 제국이탈리아 왕국도 자국의 국력을 증명하기 위한 대외 진출과 식민지 획득을 목표로 했다.[172]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 국가로 나아가기 시작한 일본 제국도 마찬가지였다. 반대로 포르투갈은 국력의 쇠퇴에 직면하여, 국력의 건재함과 위신을 보여주는 방편으로 식민지를 유지하는 데 강하게 집착했다.[173] 이러한 진출은 1870년대 이전에 기반이 형성되었고, 그 이전에 각지에 기반을 마련했던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 분할의 주역이 되었다. 이 시기에 통일을 달성한 이탈리아와 독일은 식민지 분할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었고, 영국과 프랑스가 진출하지 않았던 식민지적 가치가 낮은 지역으로 진출하게 되었다.[174] 또한 일본은 식민지 획득의 대상을 대체로 동아시아 지역으로 한정했지만, 거기서도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이 아직 진출하지 않은 지역으로 진출해야 했다.

이러한 열강들의 민족주의는, 그 이전에도 존재했던 유럽적인 “인도주의”, 즉 비유럽인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유럽 문명을 전달함으로써 현지의 “낙후된” 사람들을 “교화”하려는 움직임과 쉽게 결합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오래전부터 계속되어 왔지만, 제국주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그 속도가 느리고 좌절되자, 선교사들 중 일부는 저항을 계속하는 현지 정부를 자국의 세속 정부를 통해 타도하고, 더욱 쉽게 교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환영하는 풍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프로테스탄트뿐만 아니라, 한때 전파 운동을 중단했던 가톨릭도 다시 적극적인 전파를 시작했다. 이미 유럽 주요국들이 폐지했던 노예제 반대 운동도, 아직도 활발한 노예 무역이 계속되는 아프리카 대륙 오지를 목표로 계속되었고, 노예 무역 폐지는 현지 정부에 대한 유럽 열강의 개입의 주요 명분 중 하나가 되었다.[175] 또한 비유럽인에 대한 유럽 문명의 “교화” 운동은, 현지 주민과의 여러 가지 불화와 서구화의 지연으로 변질되어, 유럽인의 문명적인 “우월성”을 현지 주민이 완전히 이해하고 동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는 인종차별적인 인식으로 기울어져 갔다.[176]

아프리카에서는 오지 탐험이 제국주의적 진출과 직결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다. 특히 1870년대 이후, 정부의 위탁을 받은 탐험가들이 현지 수장과 조약을 체결하고 그 지역을 식민지로 편입하는 것이 널리 행해졌다. 1878년에는 헨리 모턴 스탠리가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의 위탁을 받고 콩고강 유역을 탐험하여 각지에서 무역 협정을 맺었고, 이는 1885년 콩고 자유국의 성립으로 이어졌다.[177] 같은 시기에 프랑스의 피에르 브라자도 콩고 강 유역을 탐험했고, 그가 탐험한 지역은 프랑스령 콩고가 되었다.

이 외에도 정치가 강하게 개입한 경제적 진출로는 철도 건설을 들 수 있다. 열강은 식민지 내는 물론 후진 지역의 철도 부설권을 놓고 경쟁하여 자국 민간 자본으로 건설해 나갔다. 철도 건설은 흔히 제국주의적 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영국령 케이프 식민지의 총리였던 세실 로즈케이프타운-카이로 간 아프리카 대륙 종단 철도 구상[185]과, 두 도시와 더 나아가 인도의 콜카타를 잇는 세력권을 구축하는 3C 정책, 그리고 이와 대립하는 독일의 바그다드 철도 건설 구상(후에 베를린-비잔티움-바그다드를 잇는 진출 정책으로 3B 정책이라고 불리게 됨) 등이 그 예이다.

철도 외에도, 이 시기에 건설된 세계의 두 대 운하수에즈 운하파나마 운하도 제국주의와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 수에즈 운하는 무함마드 알리 왕조 통치하의 이집트에서 프랑스의 페르디낭 드 레셉에 의해 1869년에 건설되었지만, 그 조건은 이집트에 매우 불리한 것이었다.[186] 1875년에 이집트가 재정 위기에 빠지자, 이집트 총독 이스마일 파샤가 수에즈 운하 회사의 주식을 매각하자 영국 정부가 이를 매입하여 최대 주주가 되면서 이집트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187]. 이듬해 이집트가 재정 파탄을 맞자 프랑스와 함께 이집트의 재정 관리를 맡게 되었고[188], 결국 1882년의 군사 점령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파나마 운하는 처음에 레셉이 건설을 진행했으나 실패하고 파산하여, 1903년미국 정부콜롬비아 정부와 조약을 맺고 그 권리를 인계받았다. 그러나 콜롬비아 의회에서는 반대 여론이 강했기 때문에, 미국은 운하 예정지인 파나마의 분리 독립파에 자금을 지원하여 혁명을 선동했다. 독립한 파나마 공화국을 미국은 즉시 승인하고, 파나마 운하 지구의 임대 등 미국에 매우 유리한 조약을 체결한 후[189] 운하 공사에 착공하여 1914년에 개통했다.

기술적인 요인으로는, 우선 의학의 발전으로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감소하고, 그동안 유럽인의 군사 작전이 어려웠던 열대 지역에서 대규모 군사 작전이 가능해진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분할을 가능하게 한 요인 중 하나였다.[190] 또한 과학혁명과 산업혁명에 따른 무기 발전으로 유럽 여러 국가의 군사력이 증대되었고, 경제의 급성장으로 국력에도 큰 차이가 생기면서 후진 지역과의 군사력 격차가 커졌다. 이로 인해 침략 비용이 크게 줄어들어 아프리카 분할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191] 전신과 철도, 증기선의 개발 등 교통·통신 수단의 발전으로 원거리 통신이 용이해진 것도 요인 중 하나였다.

이 제국주의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함께 느슨해지기 시작했지만, 이 시기에는 패배한 중앙 연합국 측의 식민지가 위임 통치령이라는 명목으로 승전국 측에 분배되는 등, 제국주의의 재편·강화로 이어지는 움직임도 아직 존재했다.[192] 제2차 세계 대전 후, 열강이 식민지 측의 독립 요구에 더 이상 저항할 수 없게 되면서 각지에서 새로운 독립국이 대량으로 탄생하고, 탈식민지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4. 1. 주요 제국주의 국가

근세 제국들(1492년-1945년)


티푸, 마이소르 술탄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동맹으로, 영국 동인도 회사군과 슈리랑가파트나 공방전에서 맞서 싸웠으며, 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보어 전쟁의 결과로 1902년 보어 공화국이 영국 제국에 병합되었다.


1921년 영토 최대치에 달했던 영국 제국의 지도


약 1820년경 청 제국. 청나라가 이 지역들을 지배하기 시작한 시기를 나타낸다.


프랑스 제1식민제국(연한 파란색)과 제2식민제국(진한 파란색) 지도




1940년 이탈리아 제국


1942년 대동아공영권


일본 해병대가 1938년 6월 중국 안칭에 상륙 준비를 하고 있다.


1937년 7월 베이징 함락 후 일본군이 베이징의 정양문으로 진군하고 있다.


1683년 오스만 제국; 핵심 영토는 진녹색, 속국 또는 자치 지역은 연두색으로 표시됨.


역사의 어느 시점에서 포르투갈 제국의 일부였던 전 세계 지역


1914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확장


러시아 제국에 속하지 않았던 소비에트 영토: 투바, 동프러시아, 서부 우크라이나, 쿠릴 열도
소비에트 영향권: 바르샤바 조약 기구, 몽골
소비에트 군사 점령: 북부 이란, 만주, 북한, 신장, 아프가니스탄




1898년 하와이 공화국 합병 당시 거행된 의식


1898년경, 스페인에 경고하는 호전적인 샘 아저씨를 묘사한 만화


한때 스페인 제국의 영토였던 세계 지역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카리브 해 분지의 스페인 식민지와 영토

  • '''로마 제국'''은 로마 공화정 이후 시대의 고대 로마를 가리킨다. 정치 체제로서, 로마 제국은 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의 지중해 주변 광대한 영토를 포함하였으며, 로마 황제들이 통치하였다.
  • '''벨기에 제국(Belgian Empire)'''
  • '''영국 제국'''의 제국주의적 야망은 1530년대에 시작된 아일랜드 정복에서 볼 수 있듯이 16세기 초부터 이미 나타났다. 1599년 영국 동인도회사가 설립되었고, 이듬해 엘리자베스 여왕에 의해 특허를 받았다.[18] 인도에 무역 기지를 설립함으로써 영국은 이미 인도에 무역 기지를 설립했던 포르투갈과 같은 다른 제국들에 비해 우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18] 프로토 산업화 이후, "제1기" 영국 제국은 중상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주로 북아메리카, 카리브해, 인도에 있는 식민지와 영토를 포함했다. 1776년 아메리카 식민지 상실로 인해 그 성장은 역전되었다. 영국은 인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이를 보상하는 이득을 얻었고, 1820년경 스페인과 포르투갈 식민지의 독립 이후 라틴 아메리카에서 무역과 금융을 통제함으로써 비공식적인 경제 제국을 건설했다.[67] 1840년대까지 영국은 매우 성공적인 자유 무역 정책을 채택하여 세계 대부분의 무역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68] 제2차 세계 대전은 영국의 세계적 지위, 특히 재정적 지위를 결정적으로 약화시켰다. 제국 전역에서 탈식민화 운동이 일어나 1947년 인도의 독립과 분할, 1949년 자치령들의 제국으로부터의 분리, 그리고 1950년대 독립 국가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제국 중 하나였다. 오랜 제국주의적 확장의 역사로 인해 중국은 인구, 거대 경제, 강력한 군사력, 그리고 역사를 통한 영토 변화로 인해 이웃 국가들에게 위협으로 여겨져 왔다. 진나라에 의한 중국의 통일을 시작으로, 이후 중국 왕조들은 확장의 형태를 계속 이어갔다.[83]
  • '''덴마크-노르웨이(1814년 이후 덴마크)'''는 1536년부터 1953년까지 해외 식민지를 소유했다. 최전성기에는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의 네 대륙에 식민지를 두고 있었다. 17세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영토 손실을 입은 후 덴마크-노르웨이는 서아프리카, 카리브해, 인도 아대륙에 식민지, 요새, 무역 기지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 '''프랑스 식민 제국'''의 "제2식민제국"은 1830년 알제 점령으로 시작되어 1962년 알제리의 독립 승인으로 대부분 종식되었다.[85] 프랑스 제국 역사는 크고 작은 수많은 전쟁과 더불어 세계 대전에서 식민지 주민들이 프랑스에 제공한 상당한 지원으로 특징지어진다.[86] 처음에는 제국에 반대했던 프랑스 공화파는 독일이 자체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자 제국을 지지하게 되었다. 새롭게 발전한 제국은 프랑스와의 무역에서 원자재 공급과 제조품 구매 역할을 수행했으며, 모국에 명성을 더하고 프랑스 문명과 언어, 가톨릭교를 전파하는 역할도 했다. 또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중요한 병력을 제공했다.[87]
  • '''독일 식민 제국'''의 슬라브 지역 진출은 12세기에서 13세기에 시작되었다(동방 정책 참조). 동방 정책은 독일 민족주의의 핵심 요소이자 나치 이데올로기의 주요 구성 요소였다. 그러나 19세기 말까지 해외 영토 획득에 대한 독일의 개입은 미미했다. 독일 식민 제국의 수립은 1884년 독일령 뉴기니에서 시작되었다.[106] 25년 안에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에서는 오늘날 나미비아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20세기 최초의 집단 학살인 헤레로와 나마 족 집단 학살을 저질렀다.
  • '''이탈리아 제국'''(''Impero italiano'')은 주로 북동 아프리카에 있던 이탈리아 왕국의 해외 영토들을 포함한다. 그 기원은 1869년 이탈리아 항해 회사가 수에즈 운하 개통 시기에 석탄 보급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아삽 만을 매입한 데서 시작한다.[108] 이것은 1882년 이탈리아 정부에 인계되어 현대 이탈리아 최초의 해외 영토가 되었다.[109]
  • '''일본 제국'''은 200년 이상 세계 다른 지역과의 상대적 고립 기간 동안 봉건 사회를 유지했다. 그러나 1850년대 미국의 군사적 압력과 다른 세계 열강들의 강압으로 일본은 세계 시장에 개방되면서 국가의 고립은 종식되었다. 1905년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결과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사할린의 일부를 차지했다. 특히 러시아 제국에 대한 승리는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전에는 아시아 국가가 유럽 열강을 물리친 적이 없었고, 일본에서는 이것이 위업으로 여겨졌다.
  • '''네덜란드 제국''' 네덜란드 제국주의의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인도네시아와 관련이 있다.
  • '''오스만 제국'''은 1299년부터 1922년까지 지속된 제국이었다. 1453년, 메흐메트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고 수도로 삼았다. 특히 술레이만 1세 치세에 전성기를 맞이한 16세기와 17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강력한 다민족, 다언어 제국이었으며, 동남유럽, 서아시아, 캅카스, 북아프리카, 그리고 아프리카의 뿔의 많은 지역을 침략하고 식민지화했다.
  • '''포르투갈 제국'''
  • '''러시아 제국'''은 18세기까지 태평양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청나라일본 제국과 평화적으로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이는 러시아 제국 동쪽, 서쪽, 남쪽의 광대한 영토에 대한 수많은 군사 침략의 결과였다. 볼셰비키 지도자들은 1921년까지 국제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러시아 제국과 거의 같은 규모의 정체를 효과적으로 재건했다. 특히 레닌은 새로운 영토 내 소수 민족의 제한적인 자결권을 주장했다.[121] 2010년대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 시대의 러시아는 신제국주의적으로 묘사되어 왔다.[134] 러시아는 이웃 국가의 일부를 점령하고, 특히 2008년 러시아의 조지아 침공, 2014년 크림반도 합병, 그리고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동남부 지역 합병을 통해 팽창주의에 관여해왔다.
  • '''미국 제국주의''' 스스로도 과거 식민지였던 초기 미국은, 적어도 자체적인 명백한 운명과는 다른 형태의 제국주의에 대해서는 몬로 독트린과 같은 정책을 통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나 미국은 1812년 전쟁에서 캐나다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은 미국-멕시코 전쟁 동안 멕시코로부터 매우 중요한 영토적 양보를 얻어냈다.
  • '''스페인 제국''' 식민지 시대 스페인 제국주의는 일반적으로 1402년 카나리아 제도 정복으로 시작된 스페인 제국의 성장과 쇠퇴와 일치한다. 대항해 시대 동안 수행된 탐험 항해의 성공에 이어 스페인은 북미, 남미 및 카리브해 분지를 구성하는 지리적 지역에 걸쳐 강력한 제국적 입지를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대서양 원정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해군을 개발하는 데 상당한 재정 및 군사 자원을 투입했다.

5. 제국주의 이론

영미권 학계는 제국주의에 대한 이론을 영국의 제국 경험에 기반을 두는 경우가 많다. "제국주의"라는 용어는 본래 1870년대 후반 영국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의 공격적이고 과시적인 제국주의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의해 현재의 의미로 영어에 도입되었다. 조지프 체임벌린(Joseph Chamberlain)과 같은 "제국주의" 지지자들은 이 개념을 빠르게 수용했다. 어떤 사람들에게 제국주의는 이상주의와 자선 사업의 정책을 의미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정치적 이익에 의해 특징지어진다고 주장했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자본주의적 탐욕과 관련지었다.[32]

역사가와 정치 이론가들은 오랫동안 자본주의, 계급, 제국주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논쟁해 왔다. 이 논쟁의 상당 부분은 존 A. 홉슨(J. A. Hobson), 요제프 슘페터(Joseph Schumpeter), 토르슈타인 베블런(Thorstein Veblen), 노먼 앤절(Norman Angell)과 같은 이론가들에 의해 개척되었다. 이들 비마르크스주의 작가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지만, 전간기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그들의 연구는 제국주의와 유럽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에 정보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1950년대부터 미국의 군사-정치 복합체의 부상에 대한 성찰에도 기여했다.

홉슨은 『제국주의: 연구』(1902)에서 제국주의에 대한 매우 영향력 있는 해석을 제시했는데, 이는 자유 기업 자본주의가 대다수 인구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그의 믿음을 확장한 것이다. 그는 『제국주의』에서 해외 제국의 자금 조달이 국내에서 필요한 자금을 빼앗았다고 주장했다. 해외 근로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이 낮았기 때문에 국내 임금에 비해 더 높은 이윤과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었기에 해외에 투자되었다. 따라서 국내 임금은 더 높게 유지되었지만, 그렇지 않았을 경우보다 훨씬 느리게 성장했다. 그는 자본 수출이 국내 임금과 국내 생활 수준의 성장에 제한을 두었다고 결론지었다. 홉슨은 국내 사회 개혁이 제국주의의 경제적 기반을 제거함으로써 국제적 질병인 제국주의를 치유할 수 있으며, 세금을 통한 국가 개입이 더 광범위한 소비를 촉진하고 부를 창출하며 평화롭고 관용적인 다극 세계 질서를 장려할 수 있다고 이론화했다.[32][33]

1970년대가 되자 데이비드 필드하우스(David K. Fieldhouse)[34]와 오론 헤일(Oron Hale)과 같은 역사가들은 "홉슨의 기반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었다.[24] 기업가와 은행가가 아니라 정치인들이 대중의 흐름에 편승했다. 현대 제국주의는 악용되는 자본가들보다는 국가적 대중 히스테리에 의해 발생한 정치적 산물이었다.[35] 영국의 경험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미국 역사가 데이비드 란데스(David Landes)는 기업가들이 식민지주의에 대해 정치가와 모험가들보다 열정이 덜했다고 주장한다.[36]

그러나 유럽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홉슨의 아이디어를 전적으로 받아들여 자신들의 제국주의 이론으로 만들었는데, 특히 블라디미르 레닌의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1916)에서 그러했다. 레닌은 제국주의를 세계 시장의 폐쇄와 자본주의 자유 경쟁의 종식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자본주의 경제가 식민지 확장을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투자, 물적 자원, 인력을 끊임없이 확장해야 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후대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은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구조적 특징으로 보는 이러한 개념을 반복했는데, 이는 세계 대전을 외부 시장 장악을 위한 제국주의자들 간의 전투로 설명했다. 레닌의 논문은 1989~91년 공산주의 붕괴까지 번성한 표준 교과서가 되었다.[37]

프란츠 루보(Franz Roubaud)가 1886년에 그린 ''1799년 11월 26일 티플리스에 진입하는 러시아군'' 그림


1885년 프랑스의 베트남 정복 당시 랑선 함락


비공산주의 좌파의 일부 이론가들은 "제국주의"의 구조적 또는 체계적 성격을 강조해왔다. 이러한 작가들은 이 용어와 관련된 시기를 확장하여 이제 정책도 아니고 19세기 후반 수십 년간의 짧은 기간도 아니고, 종종 식민지화로 거슬러 올라가고, 어떤 설명에서는 십자군 전쟁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수 세기에 걸친 세계 시스템을 지정한다. 이 용어의 적용이 확장됨에 따라 그 의미는 도덕적, 경제적, 체계적, 문화적, 시간적이라는 다섯 가지 구별되지만 종종 평행적인 축을 따라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감각의 변화 외에도 특히 서구의 힘에 대한 만연함에 대한 불안감, 심지어 큰 혐오감을 반영한다.[38][34]

월터 로드니는 1972년 저서 『유럽이 아프리카를 저개발시킨 방법』(How Europe Underdeveloped Africa)에서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한 단계로 제시하는데, 이 단계에서 서유럽 자본주의 국가들, 미국, 일본은 초기 단계에 있었고 따라서 지배에 저항할 수 없었던 세계의 다른 지역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문화적 헤게모니를 확립했다.[39] 결과적으로 제국주의는 "수년 동안 전 세계를 포용했는데, 한 부분은 착취자이고 다른 부분은 피착취자이며, 한 부분은 지배당하고 다른 부분은 지배자로 행동하며, 한 부분은 정책을 만들고 다른 부분은 의존하는 상태였다."[39]

제국주의는 우주 개발과 그 지배 구조와 같은 새로운 현상에서도 확인되었다.[40]

6. 제국주의의 영향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유럽 열강들이 식민지 쟁탈전에 뛰어들면서 제국주의가 본격화되었다.[201] 이 시기 제국주의는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914년까지 독립을 유지해 온 지역들도 열강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169]

1870년부터 1914년까지 세계는 이른바 열강이라 불리던 제국주의 국가와 식민지로 양분되었으며, 에티오피아와 타이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열강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01] 식민지들은 대부분 격렬하게 제국주의에 저항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독립을 회복하였다.[201]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에 척식회사를 설립하여 에너지 및 자원 확보와 자본 투자처로 활용하였다. 영국의 동인도 회사나 일본의 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201]

제1차 세계대전 직전은 제국주의의 전성기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족자결주의가 합의되면서 식민지 해방이 이루어졌다.[201] 그러나 신자유주의 여파로 식민지에 대한 옛 제국주의 국가의 정치, 경제적 영향은 지속되었으며, 경제제국주의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했다.[201]

사회주의 국가들 사이에서도 내정불간섭 원칙을 무시하고 무력으로 자기 의사를 강요하는 방식이 나타났으며, 중국소련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사회적 제국주의"라고 비판하였다.[201]

제국주의적 통제는 영토적, 문화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상의 지리 개념은 비유럽 타자들에 대한 제국주의적 이해의 한계를 설명한다.[41] 에드워드 사이드오리엔탈리즘에서 서구가 동양을 본질주의적 담론으로 구성하여 문화적 차이와 심리적 거리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42][43]

지도 제작은 제국주의의 주요 도구 중 하나였으며, 푸코의 권력과 지식 개념의 예시로 사용되었다.[47] 지도 제작 과정은 유럽 중심주의와 관련된 많은 편향을 보였다.[48]

문화 제국주의는 하나의 지배적인 문화가 다른 문화에 미치는 영향, 즉 소프트 파워의 한 형태를 의미한다.[48] 이는 국민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기대를 바꾸어 외국과 비슷해지기를 원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국주의는 비판가들에 의해 도덕적 비난을 받아왔으며,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에 대한 비난으로 국제 선전에서 자주 사용된다.[49] 스티븐 호는 제국주의의 유익한 측면으로 안정, 안보, 법질서 제공과 민족적, 종교적 적대감 억제를 언급했다.[54][55]

사회 다윈주의와 인종 이론은 제국주의에 대한 겉으로는 합리적인 정당화를 형성했다.[56] J. A. 호브슨(J. A. Hobson)은 "가장 높은 '사회적 효율성'을 가진 종족"이 지구를 지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57]

환경 결정론 개념은 특정 영토와 사람들의 지배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로 사용되었다.[17] 엘렌 처칠 셈플(Ellen Churchill Semple)은 인간이 온대 지역에서야 완전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59]

제국주의는 사회다윈주의 등의 유사과학에 의해 뒷받침되었다.[166] 러디어드 키플링의 ""이라는 말은 이러한 제국주의 의식을 대표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랫동안 제국주의에 기반한 군사 침공은 없었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제국주의의 부활과 세계 대전 발발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196]

"제국주의"라는 용어는 문명 간 불평등한 힘의 관계나 강력한 국가의 영향력 확장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언어 제국주의, 영어 제국주의, 문화 제국주의, 미디어 제국주의 등이 그 예이다.[197]

7.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

사회주의 가치를 내건 국가간 주권평등, 내정불간섭 등의 원칙을 무시하고 무력으로 자기 의사를 타국에 강요하는 방식을 비판하는 정치용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60년대에 와서 중화인민공화국과 구 소비에트 연방 간의 논쟁이 격렬해지고, 소련이 자유화 운동이 활발했던 1968년 8월 체코슬로바키아를 무력으로 침공하자, 중국은 "이 노골적인 무력간섭은 소련 배신자 집단의 흉악한 파쇼적 정체를 여지없이 폭로한 처사이며, 소련 지도부가 이미 사회적 제국주의로 전락한 것이다"라고 맹렬히 비판하였다.

이 용어는 중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대립 이전인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제국주의 국가 가운데 노동계급을 배신한 사회민주당을 제국주의에 봉사하고 있다고 비판한 데서 비롯되었다. 예를 들면 영국 노동당 정부가 인도의 독립운동을 의 폭력을 동원하여 무자비하게 탄압한 것을 가리켜 "사회제국주의의 무식한 정치 테러"라 비판한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201]

제국주의는 비판가들에 의해 도덕적 또는 비도덕적 비난을 받아왔으며, "제국주의"라는 용어는 팽창주의적이고 공격적인 외교 정책에 대한 비난으로 국제 선전에서 자주 사용된다.[49]

"사회 다윈주의"의 과학적인 성격과 인종 이론은 제국주의에 대한 겉으로는 합리적인 정당화를 형성했다. 이러한 이론에 따라 프랑스 정치인 쥘 페리(Jules Ferry)는 1883년에 "우월한 종족은 권리가 있기 때문에 의무가 있다. 그들은 열등한 종족을 문명화할 의무가 있다"고 선언했다.[56] J. A. 호브슨(J. A. Hobson)은 이러한 정당화를 일반적인 근거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지구가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종족, 즉 가장 높은 '사회적 효율성'을 가진 종족에 의해 인구가 증가하고, 통치되고,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7]

환경 결정론 개념은 특정 영토와 사람들의 지배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로 사용되었다. 환경 결정론 학파는 특정 사람들이 사는 환경이 그 사람들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주장했으며, 따라서 그들의 지배를 정당화했다. 식민 제국 하의 일부 지리학자들은 세계를 기후대로 나누었다. 이 학자들은 북유럽과 중대서양의 온대 기후가 근면하고 도덕적이며 고결한 인간을 만들어낸다고 믿었다. 반대로, 열대 기후는 게으른 태도, 성적 방종, 이국적인 문화, 도덕적 타락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열대 지방 사람들은 "덜 문명화된" 것으로 여겨졌고 유럽의 지도가 필요했으므로, 문명화 사명으로서의 식민 통치를 정당화했다.[17]

8. 한국과 제국주의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국과 제국주의' 섹션 내용을 작성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Rhodes London
[2] 웹사이트 Kartenskizze eines zukünftigen Europa unter deutscher Herrschaft https://www.dhm.de/l[...]
[3] 웹사이트 Imperialism https://www.britanni[...] 2023-03-20
[4] 웹사이트 imperialism https://www.dictiona[...] 2019-02-22
[5] 서적 Post-colonial studies : the key concepts Routledge 2007
[6] 웹사이트 Imperialism Definition, History, Example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25
[7] 웹사이트 Charlton T. Lewis,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imperium (inp-) https://www.perseus.[...] 2016-09-11
[8] 서적
[9] 서적 Teorier om imperialism Tidens Förl.
[10] 논문 Empires, Imperial States, and Colonial Societies http://www-personal.[...] Brill
[11] 서적 Visions of Empire: How Five Imperial Regimes Shaped the World https://assets.pres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서적
[13] 학술지 Theories of Imperialism https://www.jstor.or[...]
[14] 서적 Culture and Imperialism Vintage Publishers
[15] 학술지 Southern Vancouver Island Ottawa
[16] 서적 Empire, colony, postcolony John Wiley & Sons
[17] 서적 Key Concepts in Political Geography
[18] 서적 Political Geography
[19] 웹사이트 Imperialism: A Study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oll.libertyfu[...]
[20] 웹사이트 John Haywood, Atlas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21] 웹사이트 The New Imperial Histories Reader https://h-net.org/re[...]
[22] 서적 Africa and the Victorians: The official mind of imperialism
[23] 서적 Imperialism
[24] 서적 The great illusion: 1900–14 Harper & Row
[25] 서적 Dispossession deprivation and development: essays for Utsa Patnaik Columbia University Press
[26] 학술지 Patterns of British Overseas Investment in Land
[27] 서적 Politics, Geography and Political Geography: A Crit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E. Arnold
[28] 학술지 'Imperialism': An Historiographical Revision https://www.jstor.or[...]
[29] 서적 Spaces of Global Capitalism: A Theory of Uneven Geographical Development Verso
[30] 서적 Turbulent Passage A Global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Pearson/Longman
[31] 웹사이트 A Thing Well Begun Is Half Done https://digital.libr[...] Cornell University
[32] 학술지 Capitalism, Aristocracy and Empire: Some 'Classical' Theories of Imperialism Revisited
[33] 학술지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34] 학술지 'Imperialism': An Historiographical Revision
[35] 서적 Theories of Imperial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서적 Theories of Imperial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37] 서적 Marxist theories of imperialism: a critical survey 2002
[38] 논문 Words for Scholars: The Semantics of "Imperialism"
[39] 서적 How Europe underdeveloped Africa Howard University Press 1972
[40] 논문 Development and imperialism in space https://www.research[...] 2020-06-28
[41] 서적 Key Thinkers on Space and Place Sage Publications 2010
[42]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2008
[43] 서적 Imaginative Geography and its Representations: Orientalizing the Oriental Vintage 1979
[44]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2008
[45]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2008
[46] 서적 Imaginative Geography and its Representations: Orientalizing the Oriental Vintage 1979
[47] 논문 Deconstructing the Map http://www.comitepp.[...]
[48] 논문 Cartography and Empire Building in Nineteenth-Century West Africa
[49] 백과사전 Imperialism
[50] 논문 The Arab Empire: A Religious Imperialism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6
[51] 서적 Ruling Minds: Psychology in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09-30
[52] 서적 Essential Works of Lenin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1987
[53]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World History Chambers 2000
[54] 서적 Empire: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55] 서적 Visions of Empire: How Five Imperial Regimes Shaped the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6] 서적 Modern Imperialism D.C. Heath
[57] 서적 Imperialism: A Study https://archive.org/[...] Cosimo, Inc. 2005
[58] 서적 Theories of Imperial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59] 논문 "Illusory Riches": Representations of the Tropical World, 1840–1950
[60] 서적 Key Concepts in Political Geography
[61] 서적
[62] 웹사이트 The Pan-African Movement https://www.historia[...] 2023-05-04
[63] 웹사이트 The Pan-African Congresses, 1900–1945 https://www.blackpas[...] 2008-07-30
[64] 서적 Islam as Political Religion Routledge 2010-10-18
[65] 백과사전 British Empire
[66] 웹사이트 New France (1608–1763) http://www.canadiana[...] 2015-02-03
[67]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1781–1997 2008
[6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1997
[69] 서적 The Historical Foundations of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BRILL 2008
[70] 서적
[71] 서적 Navies in Modern World History Reaktion Books
[72] 서적 The Nineteenth Century,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II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3] 잡지 The Workshop of the World https://www.bbc.co.u[...] BBC History 2013-04-28
[74] 서적 The Nineteenth Century,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II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 서적 Great Britain: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77] 서적 World War I: People, Politics, and Power
[7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79] 서적 The Diplomacy of Imperialism: 1890–1902
[80] 웹사이트 Britain, the Commonwealth and the End of Empire https://www.bbc.co.u[...] BBC 2017-04-13
[81] 서적 The Sense of Power: Studies in the Ideas of Canadian Imperialism, 1867–1914
[82] 서적 Yankee Go Home?: Canadians and anti-Americanism HarperCollins
[83] 서적 The Rise of the Chinese Empire: Nation, State, and Imperialism in Early China, ca. 1600 B.C.–A.D. 8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84] 서적 A historical companion to postcolonial literatures Edinburgh UP
[85] 서적 Greater France: A History of French Overseas Expansion
[86] 서적 The Wars of French Decolonization
[87] 서적 Imperialism: The Idea and Reality of British and French Colonial Expansion, 1880–1914
[88] 서적 The Liberal-Welfarist Law of Nations: A History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서적 Assimilation and Association in French Colonial Theory, 1890–1914
[90] 학술지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s://escholarship[...]
[91] 웹사이트 Population en 2019 - Tableaux de séries longues − La situation démographique en 2019 https://www.insee.fr[...] 2022-05-11
[92] 서적 The End of Empire in French West Africa: France's Successful Decolonization?
[93] 학술지 Inadequacies of the Notion of Assimilation in African Education
[94] 학술지 Education for Colonial Dominance in French West Africa from 1900 to the Second World War
[95] 학술지 Conflicted Missionaries: Power and Identity in French West Africa During the 1930s
[96] 학술지 Between empire and nation: Francophone West African students and decolonization
[97] 학술지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A Case Study of Tunisia and Morocco https://www.academia[...]
[98] 학술지 Teaching Africans to be French?: France's 'civilising mis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education system in French West Africa, 1903–30
[99] 학술지 Schooling in the States of Equatorial Africa
[100] 학술지 French Education in Revolutionary North Africa
[101] 학술지 The rivalry of the French and American educational missions during the Vietnam War https://www.academia[...]
[102] 웹사이트 Diese deutschen Wörter kennt man noch in der Südsee https://www.welt.de/[...]
[103] 서적 The Scramble for Africa: White Man's Conquest of the Dark Continent from 1876 to 1912
[104] 서적 The Rise of the Anglo-German Antagonism, 1860–1914
[105] 학술지 Bismarck's Imperialism 1862–1890
[106] 논문 Domestic Origins of Germany's Colonial Expansion Under Bismarck
[107] 논문 Origin of the System of Mandates Under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jstor.or[...]
[108] 논문 Italian Colonial Rule
[109] 서적 Reflections on the Battle of Adwa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Algora
[110] 서적 Armies in the Balkans 1914–18 Osprey Publishing
[111] 논문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nd of the Italian empire in Africa, 1940–52
[112] 서적 The Fascist Effect Cornell University Press
[113] 서적 A Modern History of Japan: From Tokugawa Times to the Present
[114]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War: Social Scienc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115] 서적 The Japanese Empire: Grand Strategy from the Meiji Restoration to the Pacific War
[116] 서적 Japan's Total Empire: Manchuria and the Culture of Wartime Imperialism
[117] 서적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1895–1945
[118] 서적 The Arab Lands under Ottoman Rule, 1516–1800
[119]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120] 논문 An Empire of Peasants. Empire-Building, Interethnic Interaction, and Ethnic Stereotyping in the Rural World of the Russian Empire, 1800–1850s.
[121] 서적 Critical Remarks on the National Question http://www.marxists.[...] Prosveshcheniye
[122] 웹사이트 The Soviet Union and Europe after 1945 http://www.ushmm.org[...] The U.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0-12-30
[123] 서적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24] 논문 Soviet Empire as "Family Resemblance"
[125] 서적 Kazakhstan: Ethnicity, language and power Routledge
[126] 논문 Soviet Colonialism in Central Asia 1953
[127] 서적 The New Class: An Analysis of the Communist System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23-10-09
[128] 논문 The Tito–Stalin split: a reassessment in light of new evidence https://www.zora.uzh[...] MIT Press 2007
[129] 서적 Painting Imperialism and Nationalism Red: The Ukrainian Marxist Critique of Russian Communist Rule in Ukraine, 1918–1925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30] 논문 Totalitarian Imperialism: Reflections on the Hungarian Revolution
[131] 서적 The Invasion of Afghanistan and UK-Soviet Relations, 1979-1982: Documents on British Policy Overseas, Series III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2] 논문 Soviet Imperialism in Afghanistan
[133] 뉴스 Putin compares himself to Peter the Great over drive to 'take back Russian land' https://www.euronews[...] 2022-06-10
[134] 웹사이트 Putin Sees Himself as Part of the History of Russia's Tsars—Including Their Imperialism https://time.com/621[...] Yale University Press 2022-09-30
[135] 논문 The War in Ukraine and Eurasia's New Imperial Moment https://doi.org/10.1[...] 2022
[136] 웹사이트 Putin admits Ukraine invasion is an imperial war to "return" Russian land https://www.atlantic[...] Atlantic Council 2022-06-10
[137] 논문 Imperialism, supremacy, and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https://www.tandfonl[...] 2023-10
[138] 서적 Beyond Crimea: The New Russi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2016
[139] 웹사이트 Putin's Thousand-Year War https://foreignpolic[...] 2022-03-12
[140] 서적 Beyond Crimea: The New Russi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2016
[141] 논문 Proxy Neo-colonialism? The Case of Wagner Group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2024
[142] 뉴스 How Russia's Wagner Group funds its role in Putin's Ukraine war by plundering Africa's resources https://www.cbsnews.[...] 2023-05-16
[143] 웹사이트 Woodrow Wilson: War Message | Text of Original address (mtholyoke.edu) http://www.mtholyoke[...] 2015-06-13
[144] 웹사이트 In Modern Imperialism, U.S. Needs to Walk Softly http://www.cfr.org/p[...]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4-07-15
[145] 뉴스 America is still the world's policeman http://www.timesonli[...] 2008-10-30
[146]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4
[147] 웹사이트 Moore: War is just a racket, said a General in 1933 http://www.federalob[...] federalobserver.com
[148]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Decolonization: Power and Freedom https://books.google[...] Springer
[149] 서적 Empire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0] 서적 Empire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1] 서적 Empire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2] 서적 Empire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3] 웹사이트 orientalism https://www.youtube.[...] 2003-04-16
[154] 서적 The Rise of the Spanish Empire in the Old World and in the New https://archive.org/[...]
[155] 서적 Questioning the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age 1995
[156] 서적
[157] 웹사이트 帝国主義 https://kotobank.jp/[...] 2019-03-05
[158] 웹사이트 帝国主義 https://kotobank.jp/[...] 2019-03-05
[159] 웹사이트 帝国主義 https://web.archive.[...] 2019-03-05
[160] 웹사이트 インペリウム https://kotobank.jp/[...]
[161] 웹사이트 https://ejje.weblio.[...]
[162] 서적 Teorier om imperialism
[163] 서적 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小学館 1993
[164] 서적 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小学館 1993
[165] 웹사이트 https://ejje.weblio.[...]
[166] 서적 知の論理 東京大学出版会
[167] 서적 ナショナリズム 1890-1940 岩波書店 2009-08-27
[168] 서적 帝国と帝国主義 有志舎 2012-09-30
[169] 서적 帝国と帝国主義 有志舎 2012-09-30
[170]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 2003-02-20
[171]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72]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73]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74]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75]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76]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77] 서적 物語 ベルギーの歴史 ヨーロッパの十字路 中央公論新社 2014-08-25
[178] 서적 南北・南南問題 山川出版社 1997-07-25
[179] 서적 南北・南南問題 山川出版社 1997-07-25
[180] 서적 商業史 有斐閣 1980-11-20
[181] 서적 商業史 有斐閣 1980-11-20
[182]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83]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84] 서적 帝国主義 岩波書店 2006-03-28
[185] 서적 鉄路17万マイルの興亡 鉄道からみた帝国主義 日本経済評論社 1996-09-25
[186] 서적 新版 エジプト近現代史 ムハンマド・アリー朝成立からムバーラク政権崩壊まで 明石書店 2011-10-25
[187] 서적 新版 エジプト近現代史 ムハンマド・アリー朝成立からムバーラク政権崩壊まで 明石書店 2011-10-25
[188] 서적 新版 エジプト近現代史 ムハンマド・アリー朝成立からムバーラク政権崩壊まで 明石書店 2011-10-25
[189] 서적 パナマ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2004-08-31
[190]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 2003-02-20
[191] 서적 アフリカ経済論 ミネルヴァ書房 2004-11-25
[192] 서적 帝国と帝国主義 有志舎 2012-09-30
[193] 웹사이트 「人道的帝国主義」書評 論理的な批判、切れ味も鋭く|好書好日 https://book.asahi.c[...]
[194] 웹사이트 Monthly Review | Humanitarian Imperialism: Using Human Rights to Sell War https://monthlyrevie[...]
[195] 웹사이트 現代の帝国主義 - 新書マップ https://shinshomap.i[...]
[196] 웹사이트 なぜプーチン氏は破滅的な決断を下したのか ウクライナ侵攻の背景にある「帝国」の歴史観: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2-02-27
[197]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198]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1 国際連合 朝倉書店 2000-02-01
[199]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1 国際連合 朝倉書店 2000-02-01
[200]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201] 백과사전 두산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