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스 터널은 산악 지형을 통과하는 철도 노선에서, 산의 기저부를 관통하도록 건설된 긴 터널을 의미한다. 기존의 정상 터널과 달리, 베이스 터널은 긴 거리를 직선화하여 건설함으로써 운행 속도를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주요 베이스 터널로는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등이 있으며, 건설 또는 계획 중인 터널도 다수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스 터널 - 체네리 베이스 터널
체네리 베이스 터널은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알프스 횡단 철도의 일부로, 카모리노와 베치아를 연결하여 스위스 북부와 이탈리아 북부 간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철도 터널이다. - 베이스 터널 -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은 스위스 알프스를 관통하는 철도 터널로, 알프스 횡단 철도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도로 교통량 감소와 철도 운송 활성화를 목표하며, 유럽 철도 네트워크 효율성 증대와 독일-이탈리아 차량 운송 시간 단축, 발레주의 베른 통근권 편입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베이스 터널 |
---|
2. 베이스 터널의 장점
베이스 터널은 산의 아랫부분을 통과하여 노선의 경사와 곡률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건설된다. 이는 기존의 정상 터널 방식과 비교했을 때, 열차 운행 속도를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여 운행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주요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전체 노선 길이를 단축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2. 1. 운행 효율성 증대
과거 산악 지형에 철도 노선을 건설할 때는 기술적, 비용적 한계 때문에 터널 공사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해 노선은 길고 가파른 경사를 가지거나 많은 곡선 구간, 심지어 나선형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건설된 터널들은 길이가 짧고 산의 높은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런 터널들은 때때로 정상 터널(summit tunnel)이라고 불리는데, 특히 같은 산 아래를 관통하는 기저부(베이스) 터널(base tunnel)이 함께 존재할 때 더욱 명확히 구분된다.
베이스 터널은 이와 다른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 터널 자체의 길이는 더 길어지지만, 노선 전체의 이동 거리는 오히려 짧아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노선의 기울기와 곡선 구간을 최소화하거나 없애기 때문에 열차의 운행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에너지 소모도 줄일 수 있어 운행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2. 2. 환경 영향 최소화
과거 산악 지형을 통과하는 철도 노선은 기술적, 비용적 한계로 인해 터널 건설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해 노선은 길고 가파른 경사와 많은 곡선 구간을 포함하게 되었으며, 터널은 비교적 짧고 높은 고도에 건설되었다. 이러한 터널을 때때로 '''정상 터널'''이라고 부르는데, 특히 같은 산을 관통하는 '''베이스 터널'''이 함께 존재할 경우 더욱 명확하게 구분된다.반면, 베이스 터널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터널 자체의 길이는 기존 터널보다 길어질 수 있지만, 노선의 전체적인 경사와 곡률을 크게 줄여 총 이동 거리를 단축시킨다. 이는 열차의 고속 운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에너지 효율성 향상은 환경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주요 베이스 터널
[이미지는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인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의 대피소를 보여준다 – ]]]
베이스 터널은 산악 지형을 통과하는 철도나 도로 노선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고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산기슭이나 계곡 바닥 근처에서 시작하여 건설되는 터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설된 주요 터널은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운영 중이거나 건설 및 계획 단계에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스위스의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이탈리아의 아펜니노 베이스 터널 등이 있으며,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에서도 긴 베이스 터널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3. 1. 운영 중
[이미지는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인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의 대피소를 보여준다 – ]]]베이스 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어 현재 운영 중인 주요 터널은 다음과 같다.
터널 이름 | 길이 (km) | 개통 연도 | 국가 |
---|---|---|---|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 57.1km | 2016 | 스위스 |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 34.6km | 2007 | 스위스 |
파하레스 베이스 터널 | 24.7km | 2023 | 스페인 |
치머베르크 베이스 터널 | 20km | 2003 | 스위스 |
심플론 터널 | 19.8km | 1906/1921 | 스위스 |
아펜니노 베이스 터널 | 18.5km | 1934 | 이탈리아 |
체네리 베이스 터널 | 15.4km | 2020 | 스위스 |
푸르카 베이스 터널 | 15.4km | 1982 | 스위스 |
3. 2. 건설 또는 계획 중
아래는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주요 베이스 터널 목록이다.터널 이름 | 길이 | 국가 | 개통/계획 연도 |
---|---|---|---|
파야레스 베이스 터널 | 24.7km | 스페인 | 2023년 개방 예정 |
브레너 베이스 터널 | 55km |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 2025년 계획 |
발리코 터널 | 27km | 이탈리아 | 2025년 계획 |
코랄름 터널 | 32.9km | 오스트리아 | 2026년 계획 |
제머링 베이스 터널 | 27.3km | 오스트리아 | 2027년 계획 |
몽 드 아뱅 기저 터널 | 57.5km | 프랑스, 이탈리아 | 2032년 계획 |
또한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시스템의 일부로 샌가브리엘 산맥을 통과하는 베이스 터널 건설이 제안되었다.[3]
4. 한국의 베이스 터널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LZMK: ''tunel''
http://www.enciklope[...]
enciklopedija.hr
2016-06-02
[2]
웹인용
LZMK: ''tunel''
http://www.enciklope[...]
enciklopedija.hr
2016-06-02
[3]
뉴스
Latest plan for California’s high-speed rail calls for tunnel into San Fernando Valley
https://www.dailynew[...]
Los Angeles Daily News
2016-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