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는 독일의 최고 야구 리그이다. 1951년 창설되었으나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82년 재창설되었다. 1984년에 2개 리그로 시작하여 1985년부터 1개 리그 체제로 운영되다가 1990년에 다시 2개 리그 체제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북부 리그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리그는 8개 팀으로 구성된다. 정규 시즌은 각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28경기를 치르고, 상위 팀들은 독일 챔피언십을 위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야구 - 독일 야구 국가대표팀
    독일 야구 국가대표팀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상위권에 입상했으며, 2023년 기준 WBSC 세계 랭킹 17위이다.
  • 198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가자 지구 리그
    가자 지구 리그는 1980년대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축구 리그로, 알-아흘리 가자와 하드마트 알-샤티를 비롯한 여러 팀이 우승했으나 1987년부터 2010년 사이의 기록은 일부 불분명하다.
  • 198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스페인 프로축구연맹(라리가)은 스페인 축구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및 2부 리그를 운영하며 리그 운영, 재정 관리, 국제화 전략 등을 통해 스페인 축구 발전과 국제적 성장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 독일의 프로 스포츠 리그 - 3. 리가
    3. 리가는 독일 축구 협회의 관리를 받는 독일 3부 축구 리그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2. 분데스리가 승격을 목표로 경쟁하며 하위 팀은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된다.
  • 독일의 프로 스포츠 리그 - 2. 분데스리가
    2. 분데스리가는 1974년 출범한 독일 2부 리그로, 초기에는 2개 리그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18개 클럽이 참가하여 분데스리가 승격을 놓고 경쟁하며, 상위 두 팀은 자동 승격하고 3위 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기본 정보
스포츠야구
창립 년도1984년
국가독일
참가 팀 수13
웹사이트baseball-bundesliga.de
최근 시즌
최근 시즌2023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챔피언본 캐피털스 (3번째 타이틀)
역대 정보
최다 우승 팀만하임 토네이도스 (10회)

2. 역사

1951년에 야구 분데스리가의 전신이 창설되어 슈투트가르트 필리스가 초대 우승팀이 되었지만, 1970년 시즌 이후 해체되었다.[1][2] 이후 11년간 전국 리그가 없었다가, 1982년에 현재의 야구 분데스리가가 설립되었다.[3] 리그 초기에는 만하임 토네이도스 (1984~1989년 우승)와 파더보른 언터처블스 (2001~2005년 우승) 두 팀이 리그를 주도했다.[4]

2. 1. 초창기 (1951년 ~ 1970년)

야구 분데스리가의 전신은 1951년에 창설되었으며, 슈투트가르트 필리스가 초대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1] 그러나 이 리그는 1970 시즌 이후 해체되었고, 독일은 11년 동안 전국 리그 없이 지내게 되었다.[2]

2. 2. 재창설과 발전 (1982년 ~ 현재)

현재의 야구 분데스리가는 1982년에 재창설되었다.[3] 리그 초기에는 만하임 토네이도스 (1984~1989년 우승)와 파더보른 언터처블스 (2001~2005년 우승) 두 팀이 리그를 주도했다.[4] 1990년에는 독일 야구 선수 인구가 2,000명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30,000명이 넘는 선수들이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4]

1984년 개막 당시에는 2개 리그(지구) 체제였으나, 1985년부터 1개 리그 체제로 운영되었다가 1990년에 다시 2개 리그 체제로 변경되었다.

2010년, 도렌 와일드 파머스와 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가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5] 그러나 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는 남부 지구 최하위(1승 27패)로 강등되었고,[6] 자르루이스 호네츠는 1부 리그에서 10년 만에 최고 성적(19승 21패)을 기록했음에도 재정 문제로 자진 강등을 선택하여 남부 지구가 7개 팀으로 축소되었다.[6] 이후 바트홈부르크 호네츠가 남부 지구에 합류했고, 북부 지구에서는 쾰른 카디널스가 강등되고 2부 리그 챔피언인 베를린 슬러거스로 교체되었다.[7][8]

2010년 11월, 독일야구협회(DBV)는 리그를 16개 팀에서 12개 팀으로 축소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무산되었고, 2012 시즌에 올스타 게임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9]

유러피언컵 챔피언에서는 하일덴하임 하이데케페가 2010년에 준우승을 차지한 것을 제외하면, 1967년 만하임 토네이도스의 준우승 이후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 2. 1. 사회민주당 집권 시기 발전

1999년부터 2015년까지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1부 리그와 2부 리그 간의 승강팀은 다음과 같다.

연도1부→2부2부→1부
북부 지구남부 지구북부 지구남부 지구
1999년라팅겐 구즈넥스, 브레멘 도커스라덴부르크 로만스홀츠비케데 조복서즈, 엘름스호른 앨리게이터스하이덴하임 하이데케페
2000년홀츠비케데 조복서즈프리트베르크 브레이브스, 글륜발트 제스터스풀하임 고퍼스자르루이 호네츠, 만하임 아미고스
2001년로크슈테트 스틸러스만하임 아미고스쾰른 카디널스헤렌베르크 원더러스
2002년볼프스부르크 야후즈, 슈트라우스베르크 선워리어즈, 풀하임 고퍼스헤렌베르크 원더러스, 발트함 보어스로크슈테트 스틸러스, 졸링겐 앨리게이터스퓌르트 파이레츠, 라덴부르크 로만스
2003년엘름스호른 앨리게이터스튀빙겐 호크스, 라덴부르크 로만스풀하임 고퍼스, 베니크센 비버스가우팅 인디언스, 헤렌베르크 원더러스
2004년풀하임 고퍼스헤렌베르크 원더러스홀츠비케데 조복서즈발트함 보어스
2005년베니크센 비버스, 홀츠비케데 조복서즈발트함 보어스부퍼탈 스팅레이튀빙겐 호크스
2006년부퍼탈 스팅레이퓌르트 파이레츠하노버 리젠츠하르 디사이플스
2007년-튀빙겐 호크스도르트문트 원더러스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
2008년노인키르헨 나이트메어스, 하노버 리젠츠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풀하임 고퍼스-
2009년데렌 와일드파머스--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
2010년쾰른 카디널스자르루이 호네츠, 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베를린 슬러거스-
2011년풀하임 고퍼스가우팅 인디언스쾰른 카디널스슈투트가르트 레즈
2012년---튀빙겐 호크스
2013년베를린 슬러거스---
2014년데렌 와일드파머스-하노버 리젠츠-
2015년교체 없음


3. 리그 구성 및 경기 방식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는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로 구성된다. 정규 시즌은 북부 리그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리그 상위 4개 팀은 인터리그 라운드를 거쳐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

인터리그 라운드에서는 각 리그 상위 4개 팀이 다른 리그 상위 4개 팀과 경기를 치른다. 이 경기는 같은 날 같은 구장에서 백투백 더블헤더로 진행되며, 각 팀은 홈과 원정 경기를 모두 치르게 된다.[1]

3. 1. 정규 시즌

베이스볼 분데스리가의 정규 시즌은 북부(Nord)와 남부(Süd)의 두 개 하위 리그로 나뉘며, 각 리그는 8개 팀으로 구성된다. 시즌은 총 28경기로 진행되며, 각 팀은 주말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두 번씩 모든 팀과 경기를 치른다.[1] 경기는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과 동일하게 9이닝으로 진행되며, 동점인 경우 연장전을 치른다. MLB와 달리 1. 분데스리가는 경기 후반 2이닝 전에 두 팀 중 한 팀이 10점 이상 앞서고 있는 경우 콜드 게임 규정을 적용하여, 10점 이상 앞선 팀에게 자동 승리를 부여한다.[1]

각 리그의 상위 4개 팀은 독일 챔피언십을 위한 인터리그 라운드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각 그룹의 나머지 팀들은 플레이다운을 통해 강등 여부를 결정한다.[1]

3. 2. 플레이오프

각 그룹/하위 리그의 상위 4개 팀은 독일 챔피언십을 위한 인터리그 라운드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

인터리그 라운드 후, 정규 시즌과 인터리그 라운드의 경기만을 포함하여 '''플레이오프 시드를 결정'''한다.[1] 1위 대 8위, 2위 대 7위 등 인터리그 라운드에 참여하는 8개 팀 간의 대결 구도가 결정된다.[1]

플레이오프 라운드는 인터리그 라운드와 유사하지만 약간 다르다.[1] 모든 라운드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8강 및 준결승은 2주에 걸쳐 토요일에 '''더블헤더 형식'''으로 열린다.[1] 만약 5차전이 필요한 경우, 3, 4차전 다음 날인 일요일에 마지막 경기가 치러진다.[1] 결승전은 더블헤더 형식이 아닌 '''개별 경기'''로 진행되며, 경기 장소는 각 팀에 분배된다.[1] 1, 2차전은 정규 시즌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의 홈 구장에서, 3, 4차전은 성적이 더 나쁜 팀의 홈 구장에서 열린다.[1] 필요한 경우, 5차전은 정규 시즌 성적이 더 좋은 팀의 홈 구장에서 다시 열리며, 여기서 '''독일 챔피언'''(''Deutscher Meister'')이 결정된다.[1]

4. 참가팀

2024 시즌 이전의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는 여러 디비전과 리그로 구성되어 운영되었다.

2020년 시즌에는 북부 리그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운영되었다.[10]

지구창설본거지
북부 지구본 캐피탈스1989년Martin-Luther-King-Straße 24, 53175 Bonn
쾰른 카디널스1983년Walter-Binder-Weg 1, 50933 Köln
도르트문트 원더러스1989년Kirchderner Str. 35, 44145 Dortmund
졸링겐 앨리게이터스1991년Kotter Str. 45, 42655 Solingen
파더보른 언터처블스1990년Ahornallee, 33106 Paderborn
함부르크 스틸러스1985년Langenhorst 4, 22453 Hamburg
베를린 플라밍고스2011년Königshorster Str. 11, 13439 Berlin
도렌 와일드 파머스2011년Kakenstorfer Weg 31, 21255 Dohren
남부 지구잇 슈어 팔콘스 울름1989년In der Wanne 100, 89075 Ulm
부흐빈더 레기오네어 레겐스부르크1987년Donaustaufer Str. 258, 93055 Regensburg
뮌헨-하르 디사이플스1990년Richard-Reitzner-Allee, 85540 Haar
마인츠 애슬레틱스1988년Hartmühlenweg 3, 55122 Mainz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1992년Heerackerweg 23, 89522 Heidenheim an der Brenz
만하임 토네이도스1975년Theodor-Heuss-Anlage 25, 68165 Mannheim
슈투트가르트 레즈1986년Am Schnarrenberg 10, 70376 Stuttgart
튀빙겐 호크스1985년Stuttgarter Straße 72072 Tübingen



2016년 시즌에는 1부 리그 외에도 2부 리그가 운영되었다.[11] 2부 리그는 북부, 남부, 북서, 북동, 남서, 남동의 4개 지구로 나뉘어 운영되었다.[12]

지구연고지
북부 지구베를린 챌린저스베를린
베를린 플라밍고스베를린
베를린 슬러거스베를린
브레멘 도커스브레멘 주브레멘
되렌 와일드 파머스니더작센 주하르부르크군되렌
하노버 리젠츠 2니더작센 주하노버
함부르크 나이츠함부르크
킬 시호크스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킬
남부 지구다름슈타트 위페츠헤센 주다름슈타트 행정관구다름슈타트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2바덴뷔르템베르크 주슈투트가르트 행정관구하이덴하임
노이엔부르크 아토믹스바덴뷔르템베르크 주프라이부르크 행정관구브라이스가우호흐슈바르츠발트군노이엔부르크
마인츠 애슬레틱스 2라인란트팔츠 주마인츠
퓌르트 파이리츠바이에른 주미텔프랑켄 행정관구퓌르트
뮌헨 캐리브스바이에른 주뮌헨
부흐빈더 레기오네어 2바이에른 주오버팔츠 행정관구레겐스부르크
자르루이 호네츠자르란트 주자르루이 군자르루이
북서 지구아헨 그레이하운즈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쾰른 행정관구아헨
본 캐피탈스 2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쾰른 행정관구
쾰른 카디널스 2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쾰른 행정관구쾰른
베셀링 버민스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쾰른 행정관구베셀링
마를 슬라이독스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뮌스터 행정관구
라팅겐 구스넥스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뒤셀도르프 행정관구라팅겐
파더보른 언터처블스 2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파더보른 군파더보른
북동 지구베를린 로드러너스베를린
베를린 드래곤스베를린
브라운슈바이크 스폿 업 에이티나이너스니더작센 주브라운슈바이크
엘름스호른 앨리게이터스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핀네베르크 군엘름스호른
홀름 웨스트엔드 식스티나이너스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핀네베르크 군홀름
함부르크 스틸러스 2함부르크
라이프치히 월브레이커스작센 주라이프치히 행정관구라이프치히
마그데부르크 푸어 피그스작센안할트 주마그데부르크
남서 지구바트홈부르크 호네츠 2헤센 주다름슈타트 행정관구바트홈부르크
휜슈테텐 스톰헤센 주다름슈타트 행정관구휜슈테텐
프랑크푸르트 이글스헤센 주다름슈타트 행정관구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헤렌베르크 완더러스바덴-뷔르템베르크 주슈투트가르트 행정관구헤렌베르크
슈투트가르트 레즈 2바덴-뷔르템베르크 주슈투트가르트 행정관구슈투트가르트
카를스루에 쿠거스바덴-뷔르템베르크 주카를스루에 행정관구카를스루에
라덴부르크 로만스바덴-뷔르템베르크 주카를스루에 행정관구라덴부르크
만하임 토네이도스 2바덴-뷔르템베르크 주카를스루에 행정관구만하임
남동 지구데겐도르프 드래곤스바이에른 주데겐도르프 군데겐도르프
퓌센 로열 바바리안스바이에른 주슈바벤 행정관구오스트알고이 군퓌센
가르힝 아토믹스바이에른 주상 바이에른 행정관구가르힝 바이 뮌헨
뮌헨-하르 디사이플스 2바이에른 주상 바이에른 행정관구하르
가우팅 인디언스바이에른 주상 바이에른 행정관구슈타른베르크 군가우팅
잉골슈타트 샨처바이에른 주상 바이에른 행정관구잉골슈타트
라우퍼 붤페바이에른 주오버프랑켄 행정관구바이로이트 군페그니츠 시라우프
울름 팰컨스바덴-뷔르템베르크 주튀빙겐 행정관구울름


4. 1. 2024 시즌 참가팀

2024 시즌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는 북부 리그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진행된다. 북부 리그에는 졸링겐 앨리게이터스, 파더보른 언터처블스, 브레멘 도커스, 본 캐피탈스, HSV 스틸러스, 베셀링 버민스, 쾰른 카디널스, 도렌 와일드 파머스가 참가한다. 남부 리그에는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부흐빈더 레기오네어 레겐스부르크, 만하임 토네이도스, 마인츠 애슬레틱스, 뮌헨-하르 디사이플스, 자를루이 호네츠, 슈투트가르트 레즈, IT 슈어 팔콘스가 참가한다.

4. 1. 1. 북부 리그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북부 리그 팀
소재지구장창단
베를린 플라밍고스Berlin|베를린de플라밍고 파크1990년
본 캐피탈스Bonn|본de스타디온 라인아우에1989년
쾰른 카디널스Köln|쾰른de서클우드 스타디움, 쾰른1983년
도렌 와일드 파머스Dohren|도렌de야구장 와일드 파머스1990년
함부르크 스틸러스Hamburg|함부르크de야구장 랑엔호르스트1985년
파더보른 언터처블스Paderborn|파더보른de아혼-볼파크1990년


4. 1. 2. 남부 리그

wikitext

디비전소재지구장창단
남부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어 레겐스부르크아르민-볼프-아레나1987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헬렌슈타인에너지 볼파크1992
휜슈테텐 스톰 휜슈테텐딕만 필드
마인츠 애슬레틱스 마인츠야구장 하트뮐렌베크1988
만하임 토네이도스 만하임로베르토-클레멘테-필드1975
뮌헨-하르 디사이플스 하르볼파크 에글핑1990
슈투트가르트 레즈 슈투트가르트TVC-볼파크1986
튀빙겐 호크스 튀빙겐1985[10]



지구창설본거지
남부 지구잇 슈어 팔콘스 울름
IT Sure Falcons Ulm
1989년In der Wanne 100, 89075 Ulm
부흐빈더 레기오네어 레겐스부르크
Buchbinder Legionäre Regensburg
1987년Donaustaufer Str. 258, 93055 Regensburg
뮌헨-하르 디사이플스
München-Haar Disciples
1990년Richard-Reitzner-Allee, 85540 Haar
마인츠 애슬레틱스
Mainz Athletics
1988년Hartmühlenweg 3, 55122 Mainz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Heidenheim Heideköpfe
1992년Heerackerweg 23, 89522 Heidenheim an der Brenz
만하임 토네이도스
Mannheim Tornados
1975년Theodor-Heuss-Anlage 25, 68165 Mannheim
슈투트가르트 레즈
Sttutgart Reds
1986년Am Schnarrenberg 10, 70376 Stuttgart
튀빙겐 호크스
Tübingen Hawks
1985년Stuttgarter Straße 72072 Tübingen


5. 역대 우승팀 및 MVP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는 2010년부터 매년 북부 지구와 남부 지구로 나누어 각 지구별 최우수 선수(MVP)를 선정하고 있다.

연도북부 지구 MVP남부 지구 MVP
2010년빈스 데코이트 (데렌 와일드파머스)매트 반스 (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레)
2011년개릿 로저스 (데렌 와일드파머스)에반 르블랑 (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레)
2012년다니엘 힌즈 (파더보른 언터처블스)루드비히 그레이저 (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레)
2013년브렌트 부파 (함부르크 스틸러스)루크 소머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2014년태너 레이턴 (졸링겐 앨리게이터스)루크 소머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2015년윌슨 리 (본 캐피탈스)사이먼 귈링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5. 1. 역대 우승팀

연도독일 챔피언남부 리그 우승팀북부 리그 우승팀
1984만하임 토네이도스만하임 토네이도스쾰른 다저스
1985만하임 토네이도스단일 리그 분데스리가로 진행
1986만하임 토네이도스단일 리그 분데스리가로 진행
1987만하임 토네이도스단일 리그 분데스리가로 진행
1988만하임 토네이도스단일 리그 분데스리가로 진행
1989만하임 토네이도스단일 리그 분데스리가로 진행
1990쾰른 카디널스만하임 토네이도스베를린 챌린저스
1991만하임 토네이도스만하임 토네이도스베를린 챌린저스
1992만하임 아미고스만하임 토네이도스쾰른 카디널스
1993만하임 토네이도스만하임 아미고스로크슈테트 스틸러스
1994만하임 토네이도스만하임 아미고스로크슈테트 스틸러스
1995트리어 카디널스트리어 카디널스로크슈테트 스틸러스
1996트리어 카디널스트리어 카디널스로크슈테트 스틸러스
1997만하임 토네이도스만하임 토네이도스본 캐피털스
1998쾰른 다저스만하임 토네이도스쾰른 다저스
1999파더보른 언터쳐블스마인츠 애슬레틱스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00로크슈테트 스틸러스마인츠 애슬레틱스쾰른 다저스
2001파더보른 언터쳐블스만하임 토네이도스쾰른 다저스
2002파더보른 언터쳐블스레겐스부르크 레기오네어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03파더보른 언터쳐블스만하임 토네이도스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04파더보른 언터쳐블스마인츠 애슬레틱스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05파더보른 언터쳐블스레겐스부르크 레기오네어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06졸링겐 알리게이터스레겐스부르크 레기오네어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07마인츠 애슬레틱스레겐스부르크 레기오네어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08부흐빈더 레기오네어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09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부흐빈더 레기오네어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10부흐빈더 레기오네어부흐빈더 레기오네어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11부흐빈더 레기오네어부흐빈더 레기오네어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12부흐빈더 레기오네어부흐빈더 레기오네어파더보른 언터쳐블스
2013부흐빈더 레기오네어부흐빈더 레기오네어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14졸링겐 알리게이터스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15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부흐빈더 레기오네어본 캐피털스
2016마인츠 애슬레틱스마인츠 애슬레틱스본 캐피털스
2017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본 캐피털스
2018본 캐피털스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본 캐피털스
2019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마인츠 애슬레틱스졸링겐 알리게이터스
2020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부흐빈더 레기오네어본 캐피털스
2021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본 캐피털스
2022본 캐피털스부흐빈더 레기오네어본 캐피털스
2023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하이덴하임 하이데쾨프페본 캐피털스
2024본 캐피털스파더보른 언터쳐블스본 캐피털스


5. 2. 시즌 MVP

연도북부 지구남부 지구
2010년빈스 데코이트 (데렌 와일드파머스)매트 반스 (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레)
2011년개릿 로저스 (데렌 와일드파머스)에반 르블랑 (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레)
2012년다니엘 힌즈 (파더보른 언터처블스)루드비히 그레이저 (레겐스부르크 레지오네레)
2013년브렌트 부파 (함부르크 스틸러스)루크 소머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2014년태너 레이턴 (졸링겐 앨리게이터스)루크 소머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2015년윌슨 리 (본 캐피탈스)사이먼 귈링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


참조

[1] 웹사이트 German Baseball-Bundesliga: History http://www.baseballg[...] 2023-01-08
[2] 웹사이트 German Baseball-Bundesliga: Past Champions http://www.baseballg[...] 2023-01-08
[3] 웹사이트 all time club records http://www.baseball-[...]
[4] 웹사이트 Baseball-bundesliga Official Website, English http://www.baseballg[...]
[5] 웹사이트 Baseball-bundesliga Official Website, English http://www.baseballg[...]
[6] 뉴스 Saarlouis Hornets withdraw from Baseball-Bundesliga http://www.mister-ba[...] Mister-Baseball: Baseball and Softball in Europe 2010-10-20
[7] 뉴스 Berlin Challengers win Game 1 of German Relegation Series http://www.mister-ba[...] Mister-Baseball: Baseball and Softball in Europe 2010-10-10
[8] 뉴스 German Federation releases 2011 Baseball and Softball Schedules http://www.mister-ba[...] Mister-Baseball: Baseball and Softball in Europe 2010-12-23
[9] 뉴스 No reformation of German Baseball Bundesliga http://www.mister-ba[...] Mister-Baseball: Baseball and Softball in Europe 2010-11-16
[10] 웹사이트 CLUBS DER 1. BASEBALL-BUNDESLIGA http://www.baseball-[...] Baseball Bundesliga 2016-10-15
[11] 웹사이트 Teams 2. Baseball Bundesliga http://www.baseball-[...] Deutscher Baseball und Softball Verband e.V. 2016-10-15
[12] 웹사이트 Teams Baseball Regionalliga http://www.baseball-[...] Deutscher Baseball und Softball Verband e.V. 2016-10-15
[13] 웹사이트 Buchbinder Legionäre 생중계 웹사이트 http://www.legionaer[...]
[14] 웹사이트 Haar Disciples 생중계 웹사이트 http://www.eurobase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