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하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하임은 라인강과 네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속한 도시이다. 라인-넥카 메트로폴의 중심 도시이며,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등 인근 대도시와 가깝다. 만하임은 17개의 시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내 중심부는 독특한 주소 체계를 사용한다.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19세기 초 라인강과 네카르강의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산업화와 경제적 부흥을 겪었다.
만하임은 76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606년 요새 건설을 시작으로 도시의 형태를 갖추었다. 1720년에는 팔츠 선제후의 수도가 되었으며, 18세기에는 만하임 악파로 불리는 음악가들의 활동으로 문화적 번영을 누렸다. 1828년 라인항 개항과 1840년 철도 개통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1865년 BASF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 중심부가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고, 1967년 만하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만하임 시의회는 다양한 정당으로 구성되며, 시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만하임은 10개의 대학이 있으며, 만하임 대학교는 경제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만하임 국립극장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지방자치단체 운영 극장이며, 미술관, 기술과 노동 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이 있다. 만하임 악파는 고전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최근 대중음악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
만하임은 다양한 건축물과 공원, 녹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로, 철도, 항구, 항공 교통이 발달했다. 자매 도시로는 스완지, 툴롱, 윈저 등이 있다. 칼 벤츠의 자동차, 드라이지네, 란츠 불독 등 다양한 혁신적인 발명품이 만하임에서 만들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하임 - 만하임 악파
만하임 악파는 18세기 중엽 독일 만하임에서 활동하며 관악기 처리, 크레센도 기법, 소나타 형식 발전에 기여하고 클라리넷을 도입하는 등 고전 교향곡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음악 유파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네카르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유서 깊은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성, 아름다운 구시가지, 낭만주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제적인 문화 관광 중심지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바일데어슈타트
바일데어슈타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뵈블링겐군에 속한 독일 도시로, 중세 시대 자유제국도시이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요하네스 브렌츠의 출생지로 유명하며, 슈투트가르트 S반 종착역과 파스넷 카니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 계획 수도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계획 수도 - 네피도
네피도는 2005년 미얀마의 새로운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군부의 전략적 목적과 행정 수행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낮은 인구 밀도와 사회·경제적 과제를 안고 있다.
만하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독일어 이름 | Mannheim |
팔츠어 이름 | Mannem Monnem |
별칭 | 만하임 대학교 도시 |
슬로건 | 삶은 사각형 안에 |
도시 별명 | 독일의 맨해튼 |
지리 | |
위치 |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좌표 | 49° 29' 16" N, 8° 27' 58" E |
해발 고도 | 97m |
면적 | 144.96 km² |
행정 | |
국가 | 독일 |
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행정 구역 | 카를스루에 행정구 |
도시 구역 | 17개 도시 구역 |
시장 임기 | 2023–31 |
역사 | |
도시 지위 획득 | 1607년 |
인구 통계 | |
인구 (2014년) | 299,844명 |
인구 밀도 | 2,100명/km² |
광역 인구 (2012년) | 2,362,046명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8001–68309 |
지역 번호 | 0621 |
차량 번호판 | MA |
웹사이트 | www.mannheim.de |
경제 | |
경제 중심지 | 라인-네카 지역 |
주요 산업 | 화학 공업 기계 공학 전기 공학 자동차 산업 서비스업 |
유네스코 | |
유네스코 음악 도시 지정 | 2014년 |
2. 지리
만하임은 라인강 중상류, 라인강과 네카강 합류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만하임은 라인-넥카 메트로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라인넥카군(Rhein-Neckar-Kreises), 헤센주와 라인란트팔츠주와 접하고 있다.
가까운 대도시로는 북쪽으로 약 70 km 떨어진 프랑크푸르트(Frankfurt am Main)가 있고, 남동쪽 약 95 km 지점에 슈투트가르트(Stuttgart)가 있다.
만하임은 라인강과 넥카르강이 합류하는 라인란트-프팔츠주 북부 오버라인 지방에 위치한다. 시역은 라인강 우안과 넥카르강 양안에 걸쳐 있다.
이 도시는 헤센주 남부 다름슈타트 행정구역, 베르크슈트라세 군, 라인란트-프팔츠주의 포더프팔츠 지방,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군 단독시 만하임과 발도르프(바덴)(Waldorf (Baden)), 보름스(Worms), 하이델베르크(Heidelberg), 하일브론(Heilbronn) 및 라인-넥카르 군의 서부·남부 시정촌을 포함하며, 총 인구 235만 명에 달하는 인구 집적지이다. 유럽 최대 규모의 대도시권 중 하나인 라인-넥카르 삼각지대(Rhein-Neckar-Dreieck)에 포함된다.
라인-넥카르 지역 내에서는 만하임은 인접한 하이델베르크와 함께 2002년 지역 개발 계획에 따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전역에 설치된 14개의 상위 중심 도시 중 하나이다. 상위 중심 도시 만하임은 에딩겐-넥카르하우젠(Edingen-Neckarhausen), 헤데스하임(Heddesheim), 일페스하임(Ilvesheim), 라덴부르크(Ladenburg)의 중심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헤센주와 라인란트-프팔츠주의 시정촌과도 관련을 맺고 있으며, 그들의 중심지 역할도 하고 있다.
인근 대도시로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Frankfurt am Main)이 북쪽으로 70km, 슈투트가르트(Stuttgart)가 남동쪽으로 약 95km 거리에 있다. 또한 로르슈(Lorsch)가 북쪽으로 35km 지점에 있다.
주민 구성은 중부 독일어 중 프팔츠어(Pfälzisch) 계통의 만하임 방언(Mannheimer Dialekt)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특히 많다.
2. 1. 도시 구성
만하임은 6개의 시가구와 11개의 교외구로 구성된다.
- 인넨슈타트/융부슈(Innenstadt/Jungbusch)
- 린덴호프(Lindenhof)
- 네커슈타트-오스트/볼게레겐(Neckarstadt-Ost/Wohlgelegen)
- 네커슈타트-베스트(Neckarstadt-West)
- 노이오스트하임/노이헬름스하임(Neuostheim/Neuhermsheim)
- 슈베칭거슈타트/오스트슈타트(Schwetzingerstadt/Oststadt)
그리고
- 포이덴하임(Feudenheim)
- 프리드리히스펠트(Friedrichsfeld)
- 쾨퍼탈(Käfertal)
- 네카라우(Neckarau)
- 라이나우(Rheinau)
- 잔트호펜(Sandhofen)
- 체켄하임(Seckenheim)
- 셰나우(Schönau)
- 포겔슈탕(Vogelstang)
- 발트호프(Waldhof)
- 발슈타트(Wallstadt)이다.
17개의 시가구에는 각각 12명의 주민으로 구성된 지역 자문위원회가 있다. 지역 자문위원회는 구내 문제에 대해 사정을 청취한다.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조치 결정은 만하임 시의회에서 이루어진다.
17개 시가구는 더욱 세분화된 지역이나 통계적 구분으로 나뉘기도 한다.
2. 2. 인넨슈타트: 쿼드라테(Quadrate)
만하임 시내는 독일 내에서도 독특한 주소 체계를 사용한다. 시내 중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대로의 고리 안에는 도로명 대신 문자와 숫자로 표시된 구획들이 있다.[89] 이러한 관행은 수세기 전부터 내려오는 것으로, 시내 중심부가 원래 요새였던 데서 유래하며, 도로가 공공 시설이 된 후에도 요새의 내부 시스템이 유지된 결과이다.
코드는 점진적인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브라이트슈트라세(Breite Straße)라는 도로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구획의 중앙을 지나며, 이 도로의 서쪽에는 A~K, 동쪽에는 L~U의 도로가 있다. 교차하는 도로들이 브라이트슈트라세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이러한 문자로 표시된 도로들을 최대 7개의 구획으로 나눈다. C3는 C2와 C4 사이, B3와 D3 사이에 위치하며, 각 건물에는 번호가 매겨진다. (예: C3, 17은 C3 구획의 17번 건물)[89] 집 번호는 브라이트슈트라세에 가장 가까운 남쪽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A~K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L~U는 시계 방향으로 매겨진다.[89]
이 시스템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혼란을 야기하며, 대부분의 지도 소프트웨어에서도 문제를 일으킨다.[90] 데이터베이스가 표준 도로 번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해결책이 시도되었지만, 성공률이 높지 않았다.[90] 구글 지도(Google Maps)와 같은 일부 플랫폼에서는 여전히 가짜 도로명을 볼 수 있다.[90] 따라서 이 지역에서 주소를 찾는 것은 길을 묻거나 공공 지도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존한다.[90]
라인강과 넥카르강 사이에 위치한 만하임의 인넨슈타트(시 중심부)는 말발굽 모양으로, 직교하는 격자 모양의 도로("만하이머 쿼드라테(Mannheimer Quadrate, 만하임의 사각형)")로 나뉜다. 궁전 앞에는 비스마르크 거리가 지나가고, 양쪽 끝에는 반원형의 링거리가 연결된다. 이러한 도로망 설계는 1600년경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인넨슈타트에는 "브라이트 슈트라세"(대로)로 알려진 쿠어팔츠 거리와 파라데 광장(열병식 광장)에서 메인 거리 "플랑켄"과 직교하는 두 개의 중심축이 있다. 이 두 개의 거리와 평행하게 달리는 도로에는 이름이 없으며, 구역은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한 명칭으로 불린다. (예: 궁전 정면 구역은 A1과 L1, 시청 주소는 E5)
건축사적 관점에서, 이러한 도로 배치는 도시 설계상 궁전의 초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절대왕정을 표현한 것이라고 해석된다. 만하이머 쿼드라테, 특히 "브라이트 슈트라세"는 새로운 궁전을 강조한다.
이상적인 도시의 원칙은 바로크 양식으로 구성된 에를랑겐, 글뤼크슈타트, 칼스루에 등에서 구현되고 있다. 만하임은 새로운 시대의 이상과 건축의 융합(계획 도시 또는 계획 수도)을 구상하여 설계된 도시이다.
2. 3. 기후
만하임은 독일에서 가장 따뜻한 여름 지역인 라인 지각 변동에 위치해 있으며, 쾨펜 기후 분류상 "Cfb"(해양 서안 기후/해양성 기후)에 속한다.[35] 여름철 평균 기온이 21℃를 넘는 경우가 많아 습윤 아열대 기후(Cfa)와 매우 가깝다. 프팔츠 숲(Pfälzerwald)과 오덴발트(Odenwald)에 둘러싸인 오버라인 지구대(Oberrheingraben)에 위치하여 매우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가장 따뜻한 7월 평균 기온은 19.9℃이고, 가장 추운 1월 평균 기온은 1.8℃이다.[93] 2016년 9월 만하임의 평균 기온은 18.6 °C로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 가장 높았다.[34]여름에는 기온이 때때로 35°C 이상으로 올라가며, 2015년 8월 7일에는 최고 기온 39.8°C를 기록했다.[34] 폭염 시 일 최저 기온은 위도에 비해 매우 높을 수 있다. 독일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만하임은 여름철 습도가 높아 체감온도가 더 높다. 라인강과 네카르강은 특히 가을에 안개 발생을 촉진하며, 습도 상승을 가져와 특히 한여름에는 무더위의 원인이 된다.
1991년~2020년 평균 기온은 11.3°C이며,[31][32] 연평균 강수량은 640.5mm이다.[31][32]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7월이다. 추운 달에도 눈은 드물게 내리며, 강수량은 주로 따뜻한 시기에 오후 뇌우 형태로 발생한다 (연평균 뇌우 일수는 40~50일).[35] 만하임의 연평균 기온은 10.2℃로 독일에서 가장 따뜻한 도시 중 하나이다.[9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5.3 | 7.3 | 12.2 | 17.2 | 21.0 | 24.5 | 26.7 | 26.5 | 21.6 | 15.5 | 9.3 | 5.9 | 16.1 |
평균 최저 기온 (°C) | -0.7 | -0.5 | 2.1 | 5.1 | 9.2 | 12.7 | 14.6 | 14.4 | 10.6 | 6.7 | 2.8 | 0.4 | 6.5 |
평균 강수량 (mm) | 41.9 | 40.6 | 42.3 | 40.5 | 67.6 | 63.8 | 71.2 | 61.7 | 50.0 | 53.0 | 52.9 | 55.0 | 640.5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5.1 | 13.9 | 13.5 | 12.0 | 14.4 | 13.0 | 14.4 | 13.5 | 11.8 | 13.8 | 15.5 | 17.2 | 168.3 |
평균 일조시간 | 56.0 | 82.1 | 135.9 | 190.8 | 216.9 | 225.6 | 235.6 | 224.2 | 169.7 | 108.1 | 56.1 | 44.1 | 1733.7 |
만하임 마을은 766년 역사서 로르셔 코덱스(Lorscher Codex)에 처음으로 언급되고 있다.[24][94] 이 이름은 "만노(Manno)의 집"으로 해석되며, "하르트만(Hartmann)"이나 "헤르만(Hermann)"과 같은 게르만 이름의 축약형이다.[25] 오랫동안 중요하지 않은 어촌이었던 만하임은 1284년 팔츠 영주의 영지로 편입되었다.[94] 1349년 라인강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한 성인 아이헬하임이 들어 섰다.[94] 1415년에 지기스문트 황제의 명령에 따라 폐위된 교황 요한 23세를 이곳에 감금하기도 했다.[94] 선제후 프리드리히 폰 데어 팔츠가 1462년 제켄하임 전투에서 뷔르텐베르크 영주와 바덴 영주 그리고 메츠 주교의 연합군을 격파함으로써 오베르라인의 주인이 되었다.[94] 1566년 만하임은 인구 700으로 하이델베르크 행정구역내에서 가장 큰 마을이었다.[94]
3. 역사
1929년 제켄하임 지역에서 발굴된 기원후 74년부터 2세기 초까지 운영된 벽돌 가마는 로마 시대의 정착을 증명한다.[23]
1606년 3월 17일, 프리드리히 4세 선제후는 프리드리히스부르크 요새 건설의 기초 공사를 시작했다. 요새에 인접한 성곽 도시 만하임에 대한 격자 모양의 도로망 계획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활용되고 있다. 1607년 만하임은 도시특권을 인정받았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에 의해 프리드리히스부르크 요새가 건립되기 시작했다.[26] 이 당시 도로망이 직각으로 계획되어 요새와 성을 연결하면서 현재의 정방형 도시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만하임은 30년 전쟁에서 프로테스탄트 동맹 편에서 싸웠고, 1622년에 군사력에 의한 파괴를 경험했다. 1618년에 약 1200명이었던 만하임 인구는 전쟁과 전염병으로 인해 막대한 인적 피해를 입었다. 1622년 30년 전쟁 중에 가톨릭 측의 틸리에 의해 처음으로 파괴되었고, 1649년, 카를 1세 루트비히가 팔츠 선제후가 되었을 때, 전쟁으로 인한 파괴로 인구가 급감하고 경제적으로 파탄에 이른 영토를 목격했다. 새로운 군주는 만하임의 재건을 결정했다. 네카어 강이 라인 강과 합류하는 만하임은 산업, 상업 중심지로서 유리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1689년 팔츠 상속전쟁때에 프랑스군에게 다시 한번 희생되었다가 재건되었다. 팔츠 계승 전쟁에서는 1689년 프랑스군의 격렬한 포격과 그 이후의 점령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도시의 파괴를 계기로, 팔츠 선제후 요한 빌헬름은 대규모 재건을 지시했다. 1697년, 레이스베이크 조약 체결 전에 선제후는 피난민과 이주민들에게 귀환을 촉구하는 포고령을 작성했다. 도시의 재건이 시작되면서 주민 수는 급증했다.
1720년 선제후 카를 3세 필리프는 수도를 하이델베르크에서 만하임으로 변경하고 만하임 성을 짓기 시작했다. (1760년 예수교회와 함께 완성됨).[95] 만하임은 쿠어팔츠의 수도가 되면서 짧지만 화려한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인구는 2만 5천 명에 이르렀다. 쿠어팔츠는 영주는 미술과 음악, 학문과 상업에 많은 후원을 해서 괴테와 실러, 레싱, 모차르트 등이 만하임에 머물렀다.[95]
1778년 영주 카를 테오도르가 바이에른을 상속 받게 됨에 따라 수도가 뮌헨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문화적, 학문적 쇠퇴를 겪게 된다. 1795년 프랑스 군이 점령하고 또 오스트리아 군이 재 점령하게 된다. 1803년 최종적으로 정치적 위치를 잃게 된다. 쿠어팔츠는 제국대표자회의 주요 결의에서 해체되고 만하임은 바덴에 속하게 된다. 지리적으로 바덴의 북쪽 변방에 위치하게 되어 변경도시로 변하게 된다.
18세기 동안 만하임은 "만하임 학파"라고 불리는 유럽 고전 음악 작곡가들의 본거지였다.
1828년 라인항이 개항하고, 1840년에는 바덴 최초의 철로인 만하임-하이델베르크 철도가 개통되면서 만하임은 경제적 번영과 함께 또 다른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96] 1848년에는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 왕정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만하임에서 시민 집회가 열렸고, 독일 시민들의 자유를 요구하는 권리 선언과 청원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독일의 3월 혁명 확산에 기여했지만, 결국 혁명은 실패하고 만하임은 1849년 6월 15일 독일 여러 주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97]
1865년 프리드리히 엥겔호른에 의해 BASF(Badische Anilin- und Soda-Fabrik)가 창설된다.[97] 이 회사는 염색공장에 시작한 회사로 현재 세계 최대의 화학회사이며, 현재는 루드비히스하펜으로 옮겨갔다. 1886년에는 카를 벤츠가 „가솔린 기관“ 자동차 특허를 받았다.[97] 1차대전 후 하인리히 란츠 주식회사는 „불독“이라는 트랙터를 최초로 생산했다. 1922년에는 만하임 발전소가 운행되기 시작했다.[97] 1909년에는 카를 란츠와 요한 슈테가 슈테-란츠社를 설립했다.[97] 이 회사는 총 22대의 비행선을 건조하여 체펠린社의 독일 내 최대 경쟁사였다. 만하임어 라인샨체에서 함께 출발한 자매도시 루드비히스하펜과 함께 인구 38.5만명에 이르게 됐다.
제3제국 시대에 만하임의 유대인 약 2000명이 추방되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중 만하임에 대한 공습으로 도시 중심부가 완전히 파괴되었다.[29] 1940년 12월 16일 왕립 공군의 야간 폭격으로 만하임에서 최초의 의도적인 전략 폭격이 발생했다는 자료도 있다.[28] 1945년 3월 29일, 미국 제44보병사단이 만하임에 무혈 입성했다.[30] 이후 만하임 지역에 미군이 대규모로 주둔했으며,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병영이 폐쇄되었다.
전후 만하임은 재건되었다. 만하임 궁전과 물탑(바서투름)이 복원되었고, 국립극장은 새로운 위치에 신축되었다. 옛 극장 자리에는 프리드리히 실러 기념비와 ''Zum Zwischen-Akt'' 술집이 있다. 주택 부족으로 많은 새로운 주거 지역이 개발되었다. 1964년 시립 병원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만하임 임상의학부가 되었고, 1967년 만하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75년 분데스가르텐쇼가 루이젠과 헤르초겐리드 공원에서 개최되었다. 통신탑과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두 번째 다리(쿠르트 슈마허 다리)가 건설되었고, 보행자 전용 구역이 조성되었으며, 새로운 로젠가르텐 컨벤션 센터가 개장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천문관, 미술관 확장, 새로운 라이스 박물관, 슈타트하우스, 새로운 5월 축제 장소, 시나고그, 모스크, 기술과 노동 주립 박물관, 칼 벤츠 스타디온 등이 개장했다.
만하임은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하고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2001년 철도 부지에 건설된 빅토리아 타워(Victoria-Turm)가 그 예이다. 2007년 도시 400주년을 기념하여 2000년부터 SAP 아레나 건설, 브라이트슈트라세 보행자 구역, 무기고와 궁전 재건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2001년 시립병원은 공식적으로 만하임 대학병원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 2023년 만하임은 1975년에 이어 두 번째로 분데스가르텐쇼 2023(국가 정원 박람회)을 개최했습니다.
만하임의 인구는 1896년 10만을 넘어서 대도시가 되었다.[104] 1905년에는 16만이 넘었고 1961년에는 인구가 배로 증가했다. 1970년에 인구 33.3만으로 최고인구수를 기록했다.[104] 2005년 3월말 현재 관청에 주거지로 등록하고 있는 인구는 307,583명이다.[104]
라인강과 넥카르강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은 19세기 초 만하임의 산업화와 주요 도시로의 전환을 촉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산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빠르게 회복하여 1950년대 급격한 인구 증가를 가져왔다. 많은 자동차, 전자 및 발전소 회사들이 만하임과 라인-넥카르 지역의 다른 도시들, 특히 넥카르강 상류에 위치한 루트비히스하펜과 하이델베르크로 왔다.
만하임의 인구는 1980년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만하임 대학교의 많은 학생 인구 덕분에 2010년대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2022년 12월 31일 기준 만하임시에 거주하는 가장 많은 외국인 그룹은 다음과 같다:[36]순위 국적 인구 (2022년 12월 31일 기준) 1 터키 15,779 명 (5.12%) 2 이탈리아 8,165 명 (2.65%) 3 불가리아 6,997 명 (2.27%) 4 폴란드 6,595 명 (2.14%) 5 루마니아 5,663 명 (1.83%) 6 크로아티아 4,565 명 (1.48%) 7 우크라이나 4,207 명 (1.32%) 8 그리스 3,341 명 (1.08%) 9 스페인 1,754 명 (0.56%) 1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680 명 (0.54%) 11 시리아 1,642 명 (0.53%) 12 인도 1,541 명 (0.5%) 13 헝가리 1,341 명 (0.43%) 14 프랑스 1,266 명 (0.41%) 15 코소보 1,164 명 (0.37%)
만하임 전체 주민 중 44.7%가 외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36] 네카슈타트-베스트 지역은 외국인 인구 비율이 68.9%로 가장 높고, 발슈타트 지역은 23.1%로 가장 낮다.[36] 이민자의 상당수는 발칸 반도와 유럽 국가 출신이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만하임 인구의 종교 분포는 로마 가톨릭 25.4%, 개신교 20.0%, 기타/무종교 54.6%이다.[37]연도 인구 1450 570 1663 3,000 1729 15,760 1777 25,353 1802 18,818 1852 24,316 1871 39,606 1890 79,058 1895 97,780 1900 141,131 1919 229,576 1925 247,486 1933 275,162 1939 284,957 1945 186,310 1950 245,634 1956 287,210 1961 313,890 1966 329,301 1971 332,378 1976 309,059 1981 304,219 1986 294,648 1990 310,411 2001 308,385 2011 290,117 2022 313,693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인구 규모가 영향을 받았을 수 있음.
3. 1. 초기
만하임 마을은 766년 역사서 로르셔 코덱스(Lorscher Codex)에 처음으로 언급되고 있다.[24][94] 이 이름은 "만노(Manno)의 집"으로 해석되며, "하르트만(Hartmann)"이나 "헤르만(Hermann)"과 같은 게르만 이름의 축약형이다.[25] 오랫동안 중요하지 않은 어촌이었던 만하임은 1284년 팔츠 영주의 영지로 편입되었다.[94] 1349년 라인강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한 성인 아이헬하임이 들어 섰다.[94] 1415년에 지기스문트 황제의 명령에 따라 폐위된 교황 요한 23세를 이곳에 감금하기도 했다.[94] 선제후 프리드리히 폰 데어 팔츠가 1462년 제켄하임 전투에서 뷔르텐베르크 영주와 바덴 영주 그리고 메츠 주교의 연합군을 격파함으로써 오베르라인의 주인이 되었다.[94] 1566년 만하임은 인구 700으로 하이델베르크 행정구역내에서 가장 큰 마을이었다.[94]
1929년 제켄하임 지역에서 발굴된 기원후 74년부터 2세기 초까지 운영된 벽돌 가마는 로마 시대의 정착을 증명한다.[23]
3. 2. 도시 형성
1607년 만하임은 도시특권을 인정받았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에 의해 프리드리히스부르크 요새가 건립되기 시작했다.[26] 이 당시 도로망이 직각으로 계획되어 요새와 성을 연결하면서 현재의 정방형 도시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1622년 30년 전쟁 중에 가톨릭 측의 틸리에 의해 처음으로 파괴되었고, 1689년 팔츠 상속전쟁때에 프랑스군에게 다시 한번 희생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606년 3월 17일, 프리드리히 4세 선제후는 프리드리히스부르크 요새 건설의 기초 공사를 시작했다. 요새에 인접한 성곽 도시 만하임에 대한 격자 모양의 도로망 계획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활용되고 있다. 만하임은 30년 전쟁에서 프로테스탄트 동맹 편에서 싸웠고, 1622년에 군사력에 의한 파괴를 경험했다. 1618년에 약 1200명이었던 만하임 인구는 전쟁과 전염병으로 인해 막대한 인적 피해를 입었다. 1649년, 카를 1세 루트비히가 팔츠 선제후가 되었을 때, 전쟁으로 인한 파괴로 인구가 급감하고 경제적으로 파탄에 이른 영토를 목격했다. 새로운 군주는 만하임의 재건을 결정했다. 네카어 강이 라인 강과 합류하는 만하임은 산업, 상업 중심지로서 유리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팔츠 계승 전쟁에서는 1689년 프랑스군의 격렬한 포격과 그 이후의 점령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도시의 파괴를 계기로, 팔츠 선제후 요한 빌헬름은 대규모 재건을 지시했다. 1697년, 레이스베이크 조약 체결 전에 선제후는 피난민과 이주민들에게 귀환을 촉구하는 포고령을 작성했다. 도시의 재건이 시작되면서 주민 수는 급증했다.
3. 3. 문화, 정치적 번성
1720년 선제후 카를 3세 필리프는 수도를 하이델베르크에서 만하임으로 변경하고 만하임 성을 짓기 시작했다. (1760년 예수교회와 함께 완성됨).[95] 만하임은 쿠어팔츠의 수도가 되면서 짧지만 화려한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인구는 2만 5천 명에 이르렀다. 쿠어팔츠는 영주는 미술과 음악, 학문과 상업에 많은 후원을 해서 괴테와 실러, 레싱, 모차르트 등이 만하임에 머물렀다.[95]
1778년 영주 카를 테오도르가 바이에른을 상속 받게 됨에 따라 수도가 뮌헨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문화적, 학문적 쇠퇴를 겪게 된다. 1795년 프랑스 군이 점령하고 또 오스트리아 군이 재 점령하게 된다. 1803년 최종적으로 정치적 위치를 잃게 된다. 쿠어팔츠는 제국대표자회의 주요 결의에서 해체되고 만하임은 바덴에 속하게 된다. 지리적으로 바덴의 북쪽 변방에 위치하게 되어 변경도시로 변하게 된다.
18세기 동안 만하임은 "만하임 학파"라고 불리는 유럽 고전 음악 작곡가들의 본거지였다.
3. 4. 경제적 부흥
1828년 라인항이 개항하고, 1840년에는 바덴 최초의 철로인 만하임-하이델베르크 철도가 개통되면서 만하임은 경제적 번영과 함께 또 다른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96] 1848년에는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 왕정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만하임에서 시민 집회가 열렸고, 독일 시민들의 자유를 요구하는 권리 선언과 청원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독일의 3월 혁명 확산에 기여했지만, 결국 혁명은 실패하고 만하임은 1849년 6월 15일 독일 여러 주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97]
1865년 프리드리히 엥겔호른에 의해 BASF(Badische Anilin- und Soda-Fabrik)가 창설된다.[97] 이 회사는 염색공장에 시작한 회사로 현재 세계 최대의 화학회사이며, 현재는 루드비히스하펜으로 옮겨갔다. 1886년에는 카를 벤츠가 „가솔린 기관“ 자동차 특허를 받았다.[97] 1차대전 후 하인리히 란츠 주식회사는 „불독“이라는 트랙터를 최초로 생산했다. 1922년에는 만하임 발전소가 운행되기 시작했다.[97] 1909년에는 카를 란츠와 요한 슈테가 슈테-란츠社를 설립했다.[97] 이 회사는 총 22대의 비행선을 건조하여 체펠린社의 독일 내 최대 경쟁사였다. 만하임어 라인샨체에서 함께 출발한 자매도시 루드비히스하펜과 함께 인구 38.5만명에 이르게 됐다.
3. 5. 제3제국에서 현재까지
제3제국 시대에 만하임의 유대인 약 2000명이 추방되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중 만하임에 대한 공습으로 도시 중심부가 완전히 파괴되었다.[29] 1940년 12월 16일 왕립 공군의 야간 폭격으로 만하임에서 최초의 의도적인 전략 폭격이 발생했다는 자료도 있다.[28] 1945년 3월 29일, 미국 제44보병사단이 만하임에 무혈 입성했다.[30] 이후 만하임 지역에 미군이 대규모로 주둔했으며,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병영이 폐쇄되었다.
전후 만하임은 재건되었다. 만하임 궁전과 물탑(바서투름)이 복원되었고, 국립극장은 새로운 위치에 신축되었다. 옛 극장 자리에는 프리드리히 실러 기념비와 ''Zum Zwischen-Akt'' 술집이 있다. 주택 부족으로 많은 새로운 주거 지역이 개발되었다. 1964년 시립 병원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만하임 임상의학부가 되었고, 1967년 만하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75년 분데스가르텐쇼가 루이젠과 헤르초겐리드 공원에서 개최되었다. 통신탑과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두 번째 다리(쿠르트 슈마허 다리)가 건설되었고, 보행자 전용 구역이 조성되었으며, 새로운 로젠가르텐 컨벤션 센터가 개장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천문관, 미술관 확장, 새로운 라이스 박물관, 슈타트하우스, 새로운 5월 축제 장소, 시나고그, 모스크, 기술과 노동 주립 박물관, 칼 벤츠 스타디온 등이 개장했다.
만하임은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하고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2001년 철도 부지에 건설된 빅토리아 타워(Victoria-Turm)가 그 예이다. 2007년 도시 400주년을 기념하여 2000년부터 SAP 아레나 건설, 브라이트슈트라세 보행자 구역, 무기고와 궁전 재건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2001년 시립병원은 공식적으로 만하임 대학병원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 2023년 만하임은 1975년에 이어 두 번째로 분데스가르텐쇼 2023(국가 정원 박람회)을 개최했습니다.
3. 6. 인구 변화
만하임의 인구는 1896년 10만을 넘어서 대도시가 되었다.[104] 1905년에는 16만이 넘었고 1961년에는 인구가 배로 증가했다. 1970년에 인구 33.3만으로 최고인구수를 기록했다.[104] 2005년 3월말 현재 관청에 주거지로 등록하고 있는 인구는 307,583명이다.[104]
라인강과 넥카르강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은 19세기 초 만하임의 산업화와 주요 도시로의 전환을 촉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산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빠르게 회복하여 1950년대 급격한 인구 증가를 가져왔다. 많은 자동차, 전자 및 발전소 회사들이 만하임과 라인-넥카르 지역의 다른 도시들, 특히 넥카르강 상류에 위치한 루트비히스하펜과 하이델베르크로 왔다.
만하임의 인구는 1980년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만하임 대학교의 많은 학생 인구 덕분에 2010년대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2022년 12월 31일 기준 만하임시에 거주하는 가장 많은 외국인 그룹은 다음과 같다:[36]
순위 | 국적 | 인구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1 | 터키 | 15,779 명 (5.12%) |
2 | 이탈리아 | 8,165 명 (2.65%) |
3 | 불가리아 | 6,997 명 (2.27%) |
4 | 폴란드 | 6,595 명 (2.14%) |
5 | 루마니아 | 5,663 명 (1.83%) |
6 | 크로아티아 | 4,565 명 (1.48%) |
7 | 우크라이나 | 4,207 명 (1.32%) |
8 | 그리스 | 3,341 명 (1.08%) |
9 | 스페인 | 1,754 명 (0.56%) |
1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680 명 (0.54%) |
11 | 시리아 | 1,642 명 (0.53%) |
12 | 인도 | 1,541 명 (0.5%) |
13 | 헝가리 | 1,341 명 (0.43%) |
14 | 프랑스 | 1,266 명 (0.41%) |
15 | 코소보 | 1,164 명 (0.37%) |
만하임 전체 주민 중 44.7%가 외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36] 네카슈타트-베스트 지역은 외국인 인구 비율이 68.9%로 가장 높고, 발슈타트 지역은 23.1%로 가장 낮다.[36] 이민자의 상당수는 발칸 반도와 유럽 국가 출신이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만하임 인구의 종교 분포는 로마 가톨릭 25.4%, 개신교 20.0%, 기타/무종교 54.6%이다.[37]
연도 | 인구 |
---|---|
1450 | 570 |
1663 | 3,000 |
1729 | 15,760 |
1777 | 25,353 |
1802 | 18,818 |
1852 | 24,316 |
1871 | 39,606 |
1890 | 79,058 |
1895 | 97,780 |
1900 | 141,131 |
1919 | 229,576 |
1925 | 247,486 |
1933 | 275,162 |
1939 | 284,957 |
1945 | 186,310 |
1950 | 245,634 |
1956 | 287,210 |
1961 | 313,890 |
1966 | 329,301 |
1971 | 332,378 |
1976 | 309,059 |
1981 | 304,219 |
1986 | 294,648 |
1990 | 310,411 |
2001 | 308,385 |
2011 | 290,117 |
2022 | 313,693 |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인구 규모가 영향을 받았을 수 있음.
4. 정치
만하임 시의회는 48석으로 구성되며, 의원들은 5년 임기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99]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지방자치단체 선거법에 따라 유권자들은 누적 투표와 분산 투표를 활용할 수 있다.[9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SPD)이 지속적으로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1999년부터 2009년까지는 (CDU)이 원내 1당이었다.[99] 2009년 6월 7일 선거에서는 사회민주당이 다시 1당으로 올라섰다.[99] 2019년 선거에서는 녹색당이 처음으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2009년 6월 7일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년 시의회 | ||||
---|---|---|---|---|
SPD | 30,6 % | –1,4 | 16 석 | ±0 |
CDU | 28,7 % | –8,7 | 15 석 | –4 |
Bündnis 90/Die Grünen | 15,9 % | +4,2 | 8 석 | +3 |
FDP | 8,0 % | +3,8 | 4 석 | +2 |
Mannheimer Liste | 7,4 % | -1,7 | 3 석 | -1 |
Die Linke | 4,9 % | +2,6 | 2 석 | +1 |
기타 | 4,5 % | +3,5 | 0 석 | –1 |
가장 최근의 시의회 선거는 2024년 6월 9일에 실시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율 | % | ± | 의석수 | ± | |
---|---|---|---|---|---|---|
bgcolor=| | 기독교민주연합 (CDU) | 21.6 | 2.5 | 10 | 1 | |
bgcolor=| | 녹색당 (Grüne) | 20.1 | 4.3 | 9 | 3 | |
bgcolor=| | 사회민주당 (SPD) | 18.5 | 2.7 | 9 | 1 | |
bgcolor=| | 독일을 위한 대안 (AfD) | 14.2 | 5.0 | 7 | 3 | |
자유유권자/만하임 명단 (ML) | 6.7 | 0.7 | 3 | 1 | ||
bgcolor=| | 자유민주당 (FDP) | 5.4 | 0.7 | 3 | 0 | |
bgcolor=| | 좌파당 (Die Linke) | 4.9 | 1.1 | 2 | 1 | |
bgcolor=| | 동물 보호당 (Tierschutz) | 2.2 | 1.1 | 1 | 0 | |
bgcolor=| | Die PARTEI (PARTEI) | 2.1 | 0.9 | 1 | 0 | |
중산층을 위한 만하임 (MfM) | 1.5 | 0.2 | 1 | 0 | ||
만하임 사람들 | 1.3 | 신규 | 1 | 신규 | ||
bgcolor=| | 바덴뷔르템베르크 기후 명단 (Klima) | 1.2 | 신규 | 1 | 신규 | |
자동차 보호 | 0.2 | 신규 | 0 | 신규 | ||
총 투표수 | 100.0 | 48 | ±0 |
만하임시의 행정기관과 시의회(Gemeinderat)의 수장은 시장(Oberbürgermeister)이다. 시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임기는 8년이다. 시장은 시의회의 수장이자 의장이다. 현 시장은 기독교민주연합(CDU)의 크리스티안 슈페흐트(de)이다.
2023년 시장 선거에서, 현직 시장인 사회민주당 (SPD)소속의 페터 쿠르츠는 불출마했고, 슈페흐트는 만하임 CDU, de, 자유민주당 (FDP) 만하임의 지지를 받았다.[54][55] 2023년 6월 18일 1차 투표에서 45.64%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2023년 7월 9일 2차 투표에서 49.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56] 2차 투표에서는 SPD 후보 토르스텐 리를레(48.7%)와 무소속 후보 우구르 차키르(1.3%)가 경쟁했다.[56]
선거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로 인해 슈페흐트는 당초 시의회에서 임명된 시장으로 선출되었으나,[57] 2023년 8월 2일 카를스루에 지방의회(de)에서 이의 제기가 기각됨에 따라 슈페흐트의 당선이 유효하게 되었다.[58] 그는 2023년 8월 4일에 취임했으며,[59] 요제프 브라운(1945~1948) 이후 만하임 최초의 CDU 시장이 되었다.[60]
한명의 수석 부시장과 4명의 부시장이 시의회에서 선출된다. 그래서 선거당시의 정당간 의석분포를 반영한다. 이 부시장들은 시행정에서 한 분야를 맡아 이끌게 된다.(예. 문화, 재정, 사회등.)
1810년부터의 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
임기 | 이름 | 정당 |
---|---|---|
1810-1820 | 요한 빌헬름 라인하르트 | |
1820-1832 | 발렌틴 묄 | |
1833-1835 | 하인리히 안드리아노 | |
1836-1849 | 루트비히 졸리 | |
1849-1852 | 프리드리히 라이스 | |
1852-1861 | 한스 크리스티안 디페네 | |
1861-1870 | 루트비히 아헨바흐 | |
1870-1891 | 에두아르트 몰 | |
1891-1908 | 오토 베크 | |
1908-1913 | 파울 마르틴 | |
1914-1928 | 테오도어 쿠처 | |
1928-1933 | 헤르만 하이메리히 | SPD |
1933-1945 | 카를 레닌거 | NSDAP |
1945-1948 | 요제프 브라운 | Zentrum, 1945년 이후 CDU |
1948-1949 | 프리츠 칸-가르니에 | SPD |
1949-1955 | 헤르만 하이메리히 | SPD |
1956-1972 | 한스 레슈케 | 무소속 |
1972-1980 | 루트비히 라첼 | SPD |
1980-1983 | 빌헬름 파른홀트 | SPD |
1983-2007 | 게르하르트 비더 | SPD |
2007-2023 | 페터 쿠르츠 | SPD |
2023-현재 | 크리스티안 슈페흐트 | CDU |
4. 1. 시의회
만하임 시의회는 48석으로 구성되며, 의원들은 5년 임기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99]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지방자치단체 선거법에 따라 유권자들은 누적 투표와 분산 투표를 활용할 수 있다.[9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지속적으로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1999년부터 2009년까지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이 원내 1당이었다.[99] 2009년 6월 7일 선거에서는 사회민주당이 다시 1당으로 올라섰다.[99] 2019년 선거에서는 녹색당이 처음으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2009년 6월 7일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년 시의회 | ||||
---|---|---|---|---|
SPD | 30,6 % | –1,4 | 16 석 | ±0 |
CDU | 28,7 % | –8,7 | 15 석 | –4 |
Bündnis 90/Die Grünen | 15,9 % | +4,2 | 8 석 | +3 |
FDP | 8,0 % | +3,8 | 4 석 | +2 |
Mannheimer Liste | 7,4 % | -1,7 | 3 석 | -1 |
Die Linke | 4,9 % | +2,6 | 2 석 | +1 |
기타 | 4,5 % | +3,5 | 0 석 | –1 |
가장 최근의 시의회 선거는 2024년 6월 9일에 실시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율 | % | ± | 의석수 | ± | |
---|---|---|---|---|---|---|
bgcolor=| | 기독교민주연합 (CDU) | 21.6 | 2.5 | 10 | 1 | |
bgcolor=| | 녹색당 (Grüne) | 20.1 | 4.3 | 9 | 3 | |
bgcolor=| | 사회민주당 (SPD) | 18.5 | 2.7 | 9 | 1 | |
bgcolor=| | 독일을 위한 대안 (AfD) | 14.2 | 5.0 | 7 | 3 | |
자유유권자/만하임 명단 (ML) | 6.7 | 0.7 | 3 | 1 | ||
bgcolor=| | 자유민주당 (FDP) | 5.4 | 0.7 | 3 | 0 | |
bgcolor=| | 좌파당 (Die Linke) | 4.9 | 1.1 | 2 | 1 | |
bgcolor=| | 동물 보호당 (Tierschutz) | 2.2 | 1.1 | 1 | 0 | |
bgcolor=| | Die PARTEI (PARTEI) | 2.1 | 0.9 | 1 | 0 | |
중산층을 위한 만하임 (MfM) | 1.5 | 0.2 | 1 | 0 | ||
만하임 사람들 | 1.3 | 신규 | 1 | 신규 | ||
bgcolor=| | 바덴뷔르템베르크 기후 명단 (Klima) | 1.2 | 신규 | 1 | 신규 | |
자동차 보호 | 0.2 | 신규 | 0 | 신규 | ||
총 투표수 | 100.0 | 48 | ±0 |
4. 2. 시장
만하임시의 행정기관과 시의회(Gemeinderat)의 수장은 시장(Oberbürgermeister)이다. 시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임기는 8년이다. 시장은 시의회의 수장이자 의장이다. 현 시장은 기독교민주연합(CDU)의 크리스티안 슈페흐트(de)이다.2023년 시장 선거에서, 현직 시장인 피터 쿠르츠(Peter Kurz)(사회민주당(SPD))는 불출마했고, 슈페흐트는 만하임 CDU, 만하임 리스트(de), 자유민주당(FDP) 만하임의 지지를 받았다.[54][55] 2023년 6월 18일 1차 투표에서 45.64%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2023년 7월 9일 2차 투표에서 49.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56] 2차 투표에서는 SPD 후보 토르스텐 리를레(48.7%)와 무소속 후보 우구르 차키르(1.3%)가 경쟁했다.[56]
선거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로 인해 슈페흐트는 당초 시의회에서 임명된 시장으로 선출되었으나,[57] 2023년 8월 2일 카를스루에 지방의회(de)에서 이의 제기가 기각됨에 따라 슈페흐트의 당선이 유효하게 되었다.[58] 그는 2023년 8월 4일에 취임했으며,[59] 요제프 브라운(1945~1948) 이후 만하임 최초의 CDU 시장이 되었다.[60]
한명의 수석 부시장과 4명의 부시장이 시의회에서 선출된다. 그래서 선거당시의 정당간 의석분포를 반영한다. 이 부시장들은 시행정에서 한 분야를 맡아 이끌게 된다.(예. 문화, 재정, 사회등.)
1810년부터의 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
임기 | 이름 | 정당 |
---|---|---|
1810-1820 | 요한 빌헬름 라인하르트 | |
1820-1832 | 발렌틴 묄 | |
1833-1835 | 하인리히 안드리아노 | |
1836-1849 | 루트비히 졸리 | |
1849-1852 | 프리드리히 라이스 | |
1852-1861 | 한스 크리스티안 디페네 | |
1861-1870 | 루트비히 아헨바흐 | |
1870-1891 | 에두아르트 몰 | |
1891-1908 | 오토 베크 | |
1908-1913 | 파울 마르틴 | |
1914-1928 | 테오도어 쿠처 | |
1928-1933 | 헤르만 하이메리히 | SPD |
1933-1945 | 카를 레닌거 | NSDAP |
1945-1948 | 요제프 브라운 | Zentrum, 1945년 이후 CDU |
1948-1949 | 프리츠 칸-가르니에 | SPD |
1949-1955 | 헤르만 하이메리히 | SPD |
1956-1972 | 한스 레슈케 | 무소속 |
1972-1980 | 루트비히 라첼 | SPD |
1980-1983 | 빌헬름 파른홀트 | SPD |
1983-2007 | 게르하르트 비더 | SPD |
2007-2023 | 페터 쿠르츠 | SPD |
2023-현재 | 크리스티안 슈페흐트 | CDU |
5. 교육
만하임에는 24,000명의 학생이 10개의 대학에 등록되어 있다.[51] 1907년에 상대로 개교하여 1967년 종합대학(Universität)으로 승격한 만하임대학교(Universität Mannheim)는 경제학, 사회과학분야의 대학 평가에서 상위를 랭크되고 있으며, 현재 11,500명이 등록되어있다.[51] 디 차이트 (Die Zeit)는 만하임 대학교를 "독일의 하버드"라고 묘사[6]하기도 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Universität Heidelberg)의 의과대학(만하임 대학병원 소재),[51] 만하임 응용과학대학교 (Hochschule Mannheim),[51]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 공동 대학교의 분교, 그리고 팝 아카데미 만하임(Pop Academy Mannheim), 음악대학(Musikhochschule), 극장 아카데미(Theaterakademie) 등 여러 음악 및 연극 아카데미가 있다.[51]
1978년 개교한 연방 공공행정 전문대학(Fachhochschule des Bundes für öffentliche Verwaltung)에는 연방군행정 전공이 있으며 1,200명이 등록되어 있다. 1961년 개교한 군행정, 군기술 연방학교(Bundesakademie für Wehrverwaltung und Wehrtechnik)는 연방 군행정 최고 교육기관이자 군기술 분야의 주무교육기관이다. 연방군행정학교 1 (기술)(Bundeswehrverwaltungsschule I (Technik))은 연방군 기술자의 교육기관이다.
2006년 개교한 연방노동청 대학(Hochschule der Bundesagentur für Arbeit)은 노동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며, 900명 정원의 학사과정이 있다. 1898년에 생긴 기술학교에 기원을 둔 만하임 대학 (Hochschule Mannheim)은 1971년 기술 전문대학이 1995년 건축전문대학, 2006년에 사회사업전문대학과 통합하여 생긴 대학으로, 현재 4,100명의 학생이 있다.
1761년 세워진 Académie de Danse에 뿌리를 두고 있는 만하임 음대(Staatliche Hochschul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Mannheim)에는 현재 600명이 재학 중이다. 1974년 세워진 만하임 직업학교 (Berufsakademie Mannheim)에는 4,500명, 2003년 세워진 바덴뷔르텐베르크 팝아카데미()에는 독일에서 유일한 음악비지니스와 팝음악 디자인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에도 인간학적 교육학을 위한 자유대학(Freie Hochschule für anthroposophische Pädagogik Mannheim)에서는 발도르프 학교 교사를 양성한다.
20세기 초, 교육 개혁가 요제프 안톤 칙킹거(Josef Anton Sickinger)는 만하임의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육학에 큰 기여를 했다. 한편, 1980년대에 2,200명의 학생이 재학했던 만하임 초등학교(Mannheim Elementary School)는 미군 장병의 가족들을 위한 학교였으나 2012년 6월 폐교되었다.[52][53]
6. 문화
6. 1. 극장
만하임 국립극장(National Theatre Mannheim)은 1779년에 건설된 극장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극장으로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38] 1782년 프리드리히 실러의 『군도』가 초연되었다.[38] 역대 음악 감독으로는 바인가르트너, 에리히 클라이버, 푸르트뱅글러, 호르스트 슈타인, 준 멜클, 아담 피셔 등이 있다. 현재는 독일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레퍼토리를 가진 오페라(오페레타, 뮤지컬 포함) 부문 외에도 연극, 발레,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연극 및 오페라로 구성된 복합 시설이며, 2009년 9월부터 음악 총감독에 댄 에팅거가 취임했다.이 외에도 오스트슈타트 테아터, TIG7 (Theater im Quadrat G7), 테아터 올리브, 야외 뷔네, 테아터 31, 테아터 임펄스, 만하임 푸펜슈필(인형극), 클랍스뮐, 차이트라움 엑시트 등 많은 소극장이 있다.
6. 2. 박물관
만하임 미술관은 만하임 건설 300주년을 기념하여 1907년에 설립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 독일과 프랑스 회화와 20세기 국제 조각 작품을 주로 소장하고 있으며, 동판화, 그래픽, 포스터, 현대 사진 및 비디오 작품 컬렉션도 보유하고 있다.[101]1990년에 개관한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 "기술과 노동 박물관"은 독일 남서부 지역의 산업화 관련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순환 전시된다. 1997년에는 유럽 최초로 군터 폰 하겐스의 인체 표본이 전시되었다.[101]
리스-엔겔홀른 박물관은 1763년 설립된 선제후립 학술 아카데미를 기원으로 하며, 현재는 여러 박물관과 연구 시설을 포함하는 복합 시설이다.[101] 과거에 마야 문명, 폼페이, 일본 고대사, 게르만 민족 등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회가 열렸다.
1833년 설립된 만하임 예술 협회는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예술 협회 중 하나이다. 하이델베르크, 루트비히스하펜과 공동으로 개최되는 Lange Nacht der Museen(박물관의 긴 밤)은 베를린에 이어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예술 행사이다. 만하임-잔트호펜 지역에는 나츠바일러 강제 수용소의 부속 시설에 관한 기록 보관소가 있다.[101]
6. 3. 음악
1750년경 요한 슈타미츠(Johann Stamitz)에 의해 창설된 만하임 악파는 팔츠 선제후의 궁정 음악가들의 모임이었다. 이 악파는 통주 저음 중심의 오케스트레이션과 후기 바로크 음악의 파토스를 벗어나, 하모니가 멜로디 라인을 지지하는 새롭고 우아한 음악으로 발전해 나갔다. 만하임 악파는 빈 고전파로 발전해 가는 근원적인 선구자가 되었다.1952년에 설립된 쿠아르팔츠 실내 관현악단은 전통적인 만하임 악파뿐만 아니라 빈 고전파 음악도 능숙하게 연주한다.
만하임 출신의 오페라 가수 안넬리제 로텐베르거(Anneliese Rothenberger)는 전후 독일 여성 가수 중 가장 눈부신 국제적 경력을 쌓은 인물 중 한 명이다.
1987년 슈테판 프리첸(Stefan Fritzen)이 창설한 만하임 유겐트 블라스 오케스트라(Mannheim Jugendblasorchester)는 만하임 블레이저 필하모니의 기원이다.
합창단이 후계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반면, 가스펠 그룹의 활동은 활발하다. Celebration Gospel Choir, die Preacherman's Friends, die Rainbow-Gospel-&-Soul-Connection, die Joyful Voices 등의 그룹이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중음악 분야에서도 만하임의 이름이 무게를 갖는다. 바덴뷔르템베르크 팝 아카데미는 독일 최초의 팝 아카데미였다. 만하임 출신의 뮤지션으로는 조이 플레밍(Joy Fleming), 샤비어 나이두(Xavier Naidoo), 제네 만하임스(Seeed), 라이트 알-딘(Righteous Al-Din), 왈리스 바드(Wallis Bird), 크라우트록 밴드 킹 핑 메(King Ping Mä), 요하나 초일(Johanna Zeul), 대니 프레시(Danny Fresh), 조니 D(Johnny D), 겟 웰 쑨(Get Well Soon), 루트비히스하펜 출신 율리아 나이겔(Julia Neigel) 등이 있다.
만하임은 또한 새로운 음악 스타일인 "드럼 앤 베이스"의 독일 내 발상지이기도 하다. 만하임의 클럽 "밀크!(Milk!)"는 이 장르의 음악을 발신한 독일 최초의 클럽이었으며, 1992년 그루브 매거진(Groove Magazine)의 올해 최고 클럽으로 선정되었다.
만하임에는 까바레 겸 소극장 크랍스뮬레(Klappmühle)와 샤츠키스토어(Schatzkistl) 등 활기찬 까바레 신이 존재하며, 까바레 엔터테이너 뷔렌트 세이란(Bülent Ceylan) 등을 배출하고 있다.
대중음악 이벤트는 구 메세 광장 근처의 구 소방서(Alte Feuerwache)와 카피톨 만하임(Capitol Mannheim), 로젠가르텐 콩그레스 센터(Rosengarten Kongresszentrum), SAP 아레나(SAP Arena), 마이마르크트 클럽(Maimarkt Club) 등에서 개최되고 있다.
6. 4. 건축



프리드리히스 광장(Friedrichsplatz)은 인넨슈타트(Innenstadt) 동쪽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만하임의 상징인 높이 60m의 급수탑이 네오바로크 양식으로 1889년에 건설되었다.[63] 꼭대기에는 높이 3.5m의 암피트리테상이 있다. 1903년까지 브루노 슈미트(Bruno Schmidt)에 의해 조성된 광장은 유겐트슈틸 양식으로 분수, 샘, 가로수가 있는 산책로, 녹지 등으로 꾸며져 있다. 여름 저녁에는 분수 조명이 장식되며, 겨울에는 급수탑과 트리톤 분수 사이에서 크리스마스 시장이 열린다. 프리드리히스 광장 동쪽은 적색 사암 아케이드로 되어 있고, 남북축은 예술·축제홀로 이어진다. 1907년 헬만 빌링(Hermann Billing)에 의해 건설되고 1983년에 확장된 예술홀은 적색 사암이 프리드리히스 광장과 조화를 이룬다. 로젠가르텐(Rosengarten)은 1903년에 축제홀로 문을 열었으며, 현재는 컨벤션 센터, 회의장, 콘서트홀로 이용되고 있다.
플랑켄(Planken)을 따라 가면 파라데 광장(Paradeplatz)이 나오는데, 이 광장은 원래 팔츠 선제후의 사열 퍼레이드를 위해 조성되었다. 광장 중앙에는 1711년 가브리엘 드 그뤼펠로(Gabriel de Grupello)가 만든 그뤼펠로의 피라미드가 있으며, 1743년 카를 필립(Karl Philipp)이 만하임으로 옮겼다. 피라미드 주변에는 19세기 말 별 모양의 녹지가 조성되었다. 광장 남쪽에는 1746년에 구 상관이 세워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후 재건되지 않았고, 1991년에 슈타트하우스(Stadthaus)가 건설되어 사무실, 시립 도서관, 광장 관리 사무소가 입주해 있다. 2003년에는 플랑켄을 따라 나치에 의한 유대인 희생자들을 위한 기념비(홀로코스트 기념비)가 건립되었고, 유리 큐브에 만하임 유대인 희생자들의 이름이 거울 글씨로 새겨져 있다.
마르크트 광장(Marktplatz)은 파라데 광장 북쪽, 브라이트슈트라세(Breite Straße)를 따라 있는 운터슈타트(Unterschtadt) 중심에 위치한다. 광장 중앙에는 1719년에 만들어진 분수 기념비가 있으며, 카를 테오도어에 의해 1767년에 만하임시에 기증되었다. 마르크트 광장 남쪽에는 바로크 양식의 구 시청과 성 세바스티안 교구 교회가 있으며, 1713년까지 지어진 만하임에 현존하는 아마도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두 건물은 중앙의 종탑에 연결되어 있고, 여러 층의 보주 모양 지붕을 가진 탑이다. 구 시청에는 유스티티아(정의의 여신)와 아틀라스(인물상 형태의 기둥)가, 교회에는 피에타와 천사상이 보인다.
예수회 교회는 1760년까지 선제후의 궁정 교회로서 알레산드로 비비에나(Alessandro Bibiena)의 설계에 따라 건설되었다.[63] 게오르크 데히오(Georg Dehio)는 이 교회를 남서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바로크 교회라고 평가했다. 장중한 중앙 돔은 높이 75m이며, 내부는 에기트 퀴린 아잠(Egid Quirin Asam)의 벽화로 둘러싸여 있다. 본 제단과 여섯 개의 측 제단은 파울 에겔(Paul Egell)과 페터 안톤 폰 페어샤펠트(Peter Anton von Verschaffelt)의 작품이다.
그리스도 교회는 1911년까지 오스트슈타트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로서 건설된 인상적인 교회 건축물이다. 유겐트슈틸 양식을 가미한 신바로크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베더 광장에 면해 있어 세 방향에서 볼 수 있다. 돔은 높이 65m이고, 탑의 기저부는 실물 크기의 열두 사도상으로 둘러싸여 있다. 내부에는 8,600개의 파이프를 가진 독일 최대의 오르간이 설치되어 있다.
신바로크 양식의 콘코르디아 교회의 역사는 16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은 1918년부터이며, 프로테스탄트 교회와 일부는 학교로 이용되고 있다. 교회의 탑은 높이 92m로, 만하임에서 가장 높은 탑을 가진 교회이다.
시나고그는 1987년에 완공되었다. 화강암 외벽과 납유리를 넣은 반원형 아치형 창문을 가진 네모난 건물이다. 두 개의 입구는 1938년에 파괴된 시나고그에 있던 연철제 채광창 격자를 본떠 만든 것이다.
1995년에 건설된 야우스 술탄 셀림 모스크는 건설 당시 독일에서 가장 큰 모스크였다. 밝은 화장 도료의 외벽은 미흐랍의 돌출부에 의해 중심이 강조되고, 삼각형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2005년에 높이 35m의 새로운 미나렛이 건설되었다.
Mannheimer Schlossde은 팔츠 선제후의 궁정으로, 1720년부터 1760년에 걸쳐 건설되었다.[63] 베르사유 궁전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바로크 건축이었다. 시 중심부를 향한 정면의 너비는 440m에 달하며, 제작에 참여한 예술가들 중에는 알레산드로 갈리 다 비비에나, 아우구스틴 에겔, 프란츠 빌헬름 라발리아티, 니콜라 드 피가주, 코스마스 다미안 아잠 등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완전히 파괴된 후, 단순화된 형태로 재건되었다. 하소 플라트너(SAP AG 창립자 중 한 명)의 기부로, 2006년까지 원작에 충실한 본관의 지붕이 복원되었다.
2007년 4월부터, 만하임 궁전 안에 바로크 시대・신성 로마 제국 시대의 생활을 재인식하는 슐로스 박물관(성관 박물관)이 개관했다. 방문객은 카를 테오도어와 나폴레옹 1세의 양녀이자 바덴 공녀인 스테파니의 생활을 직접 볼 수 있다.
무기고는 1779년에 건설되었다. 이 건물은 페터 안톤 폰 페어샤펠트의 신고전주의 양식 건축물이다. 1956년 이후 라이스 박물관(초이크하우스 박물관)이 되고 있다. 건물은 2007년에 수리되었다.
신고전주의 양식의 브레첸하임 궁전은 역시 페어샤펠트의 설계에 기초하여 1788년까지 건설되었다. 선제후 카를 테오도어는 이 건물을 정부와 그 자녀들에게 선물했다. 1899년에 이 건물은 라인 부동산 은행으로 사용되었고, 2004년부터 만하임 지방 법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Fernmeldeturm Mannheimde은 높이 212.8m로, 이 도시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63] 이 탑은 에르빈 하인레와 예르크 슈라이히의 설계에 따라 1975년에 건설되었다. 높이 125m 지점에 회전식 레스토랑과 전망대가 있다.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있는 고층 빌딩 상위 6개 중 5개가 만하임에 있다. 1975년에는 이미 네커우퍼베바우웅-노르트의 3개의 주거 타워와 콜리니 센터의 아파트가 지어져 있었다. 빅토리아 투름은 2001년에 완공된 이 도시에서 가장 높은 오피스 타워이다. 이 5개의 고층 빌딩은 모두 약 95-97m의 거의 같은 높이이다.

- 만하임 통신탑
- Synagoge (Mannheim)de
- 야부즈 술탄 셀림 모스크
- 만하임 궁전
- [https://www.visit-mannheim.de/en/Media/attractions/water-tower 바서투름]
- 예수회 교회
- SAP 아레나
- 쿤스트할레 만하임
- 테크노세움
- [https://www.visit-mannheim.de/en/Media/attractions/multihalle-mannheim 멀티할레]
- 라이스-엔겔혼-무제엔
- 마임마르크트[66]
- 마르크트플라츠 (시장 광장)[67]
- Mannheimer Messde[68]
6. 5. 공원과 녹지
만하임에는 다양한 공원과 녹지가 조성되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루이젠 공원은 매년 약 120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원 중 하나로 손꼽힌다.[63] 41ha 면적의 시립 공원으로, 1903년에 완공되었으며 1975년 독일 연방 정원박람회를 위해 확장되었다. 네카어 강변에 위치하며, 식물원, 중국식 차원, 나비관, 곤돌라, 수상 무대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헤르초겐리트 공원은 루이젠 공원보다 다소 작은 22ha 면적의 공원으로, 네카어슈타트 북부에 위치한다. 동물원, 장미원, 그리고 프라이 오토가 설계한 텐트 형태의 지붕을 가진 멀티할레가 있다.
만하임 궁전 뒤편에서 라인 강까지 펼쳐지는 슐로스가르텐(궁전 정원)은 38ha 면적으로 만하임에서 두 번째로 큰 공원이다. 스테파니 드 보아르네가 1808년부터 영국식 정원을 조성하기 시작했으나, 철도, 연방 도로, 시전 등으로 인해 그 매력이 크게 손상되었다.
발트 공원과 부속된 라이제인젤은 라인 강변에서 가장 큰 자연 그대로의 수변 지역이다. 큰오색딱따구리, 쇠백로, 참매를 비롯한 많은 희귀 조류가 서식하며, 붉은목도리앵무나 캐나다기러기와 같은 외래종도 관찰된다.
2000년 당시, 만하임 시역의 29%가 자연·경관 보호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7. 스포츠
만하임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두 개의 축구 클럽이 있다. SV 발트호프 만하임(SV Waldhof Mannheim)은 현재 3부 리가(3. 리가)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했던 경력이 있다. VfR 만하임(VfR Mannheim)은 1949년 독일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지만, 현재는 6부 리그인 페어반트스리가 바덴(Verbandsliga Baden)에서 활동하고 있다. SV 발트호프 만하임의 홈 구장은 카를-벤츠-슈타디온(Carl-Benz-Stadion)이다.[39]
아들러 만하임(Adler Mannheim)은 프로 독일 아이스하키 리그에서 활동하는 아이스하키팀으로, 독일 챔피언십에서 총 8회(독일 아이스하키 리그 7회, 분데스리가 1회) 우승했다.[39] 아들러 만하임은 1980년, 1997년부터 99년, 2001년, 2007년에 독일 챔피언이 되었다. 이 팀의 홈 링크는 2005년 이후로 SAP 아레나이다.
이 도시에는 야구 분데스리가 1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만하임 토네이도스(Mannheim Tornados)가 있으며, 11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0] 과거 만하임에는 미국 부대의 지지를 받는 야구팀들이 있었고, 만하이머 페라이네 나이츠, VfR, 아미고스 및 토르나도스는 1954년부터 1997년까지 9번의 독일 야구 마스터스에서 우승했다.
미식축구 클럽 만하임 밴딧츠(Mannheim Bandits)는 2003년에 창단되어 독일 1부 미식축구 리그인 GFL1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매 경기마다 500명에서 9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41]
라인-넥카르 레벤(Rhein-Neckar Löwen)은 프로 독일 핸드볼 리그에서 활동하는 핸드볼 팀이다.[42] 2005년 이후 SAP 아레나를 홈으로 하고 있다.
2008년에는 WWE가 만하임을 방문하여 약 1만 명의 팬들이 이벤트에 참석했고,[43] UFC 파이터인 데니스 시버(Dennis Siver)는 만하임에 거주하며 훈련하고 있다.[44]
만하임은 1997년 유럽 승마 선수권 대회와 2007년 FEI 유럽 장애물 승마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45] 2002년에는 만하임에서 취미용 승마 폴로가 발명되었다.[46][47][48] 마임마르크트 투르니어 만하임(Maimarkt-Turnier Mannheim)은 1964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국제 승마쇼이다.
독일 농구 연맹은 1958년부터 2년마다 봄에 만하임에서 알베르트 슈바이처컵 유럽 유소년 농구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TK 그륀-바이스 만하임은 테니스 분데스리가에서 1922년, 1993년, 1996년, 2005년, 2007년에 독일 남자 챔피언이 되었다.
육상 경기 클럽 MTG 만하임은 여자 스프린트 경기에서 크리스텐 볼름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해 왔다.
사이클 경기 클럽 RRC 엔트슈프룬트 만하임은 1950년대부터 60년대에는 세계적으로, 1990년대에는 국내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빌리 알티히, 루디 알티히가 활동했다.
글라이더 활공 경기 클럽인 제겔플루크페라인 만하임은 활공 분데스리가 1부에 속해 있으며, 독일 챔피언 및 세계 챔피언에 여러 번 올랐다.
1876년에 창립된 보트 클럽, 만하이머 RV 아미시티아는 과거 여러 차례 세계 마스터스 및 올림픽에 출전하는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만하임은 2007년 핸드볼 남자 세계 마스터스 개최지였으며, 2010년에는 쾰른과 함께 아이스하키 세계 마스터스 개최지가 되기도 했다.
8. 경제
만하임은 경쟁력 있는 사업 환경과 성장 기회 덕분에 독일에서 가장 매력적인 사업 거점 중 하나이며,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 지역 중 하나인 라인-네카르 대도시권의 경제 중심지로 여겨진다.[21] 2018년 기준으로 만하임의 GDP는 209억 2100만 유로로, 독일 도시 GDP 순위에서 17위를 차지했다. 2019년판 Zukunftsatlasde에서 만하임 독립시는 독일의 401개 시·군 중 35위를 기록하며 "높은 미래 성장 가능성"을 가진 도시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69] 뉴 이코노미 매거진(New Economy Magazine)은 만하임의 긍정적인 경제 및 혁신 환경을 강조하며, 미래를 가장 잘 대표하는 20개 도시 중 하나로 만하임을 선정했다.[21] 2020년 기준 만하임의 실업률은 7.2%이다.[70]
만하임에서 시작된 칼 벤츠 자동차 제조 회사의 후신인 다임러 AG는 만하임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디젤 엔진과 버스가 조립된다. 스위스의 호프만-라 로슈 진단 그룹(구 보에링거 만하임)은 만하임에 지사 본부를 두고 있다.[71] 또한 만하임에는 ABB[72], IBM[73], 알스톰[74][75], BASF (루트비히스하펜), 빌핑거 베르거, 레킷 벤키저, 유니레버, 에시티, 피닉스 그룹, 봄바디어[80], 페퍼플러스푸흐스[81], 캐터필러, 푸흐스 페트롤룹, 존 디어, 지멘스, SCA, 쥐트추커 등 대규모 공장, 본사 및/또는 사무소가 있다.
만하임에 본사를 둔 MVV 에너지는 독일 최대 규모의 지방 공기업 에너지 공급업체이다. 만하임 대학병원은 만하임과 라인-네카르 대도시권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하임은 DAX, TecDAX, MDAX 상장 기업의 시가총액 기준으로 45억 유로를 기록하며 22위를 차지했다.[83]
2004년 기준 만하임에는 156,364명의 사회보험 의무 납부 근로자가 있었으며, 이 중 33.1%가 제조업, 22.8%가 상업 및 숙박업, 42.2%가 기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2008년 1월 현재 실업률은 약 7.7%였다. 만하임은 적어도 1790년대 이후 심각한 산업 구조 변화를 겪었고, 제조업 분야에서 인원 감축이 이루어지는 한편 서비스업 종사자는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속 및 화학 관련 기업들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가장 강력한 분야는 전자·기계 제조업이다. 이 분야에는 다임러(엔진), EvoBus(버스), ABB(전자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 알스톰(발전),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자동차 전장품), 존 디어(농업 기계), 요셉 푀겔레(도로 포장 기계), MWM(자동차, 엔진), Pepperl+Fuchs(공장·프로세스 자동화), WIMA(전자 부품) 등이 있다.
화학 관련 기업으로는 로슈(의약품, 진단 제품), Svenska Cellulosa Aktiebolaget("Zewa" 등의 셀룰로오스 및 펄프 제품, Zewa는 "Zellstoff Waldhof"(발트호프의 셀룰로오스)의 약자임), Fuchs Petrolub(윤활유), 유니레버(도브 비누), Reckitt Benckiser(가정용 청소 용품), Phoenix(의약품 판매), Deutsche Hutchinson(고무 제품) 등이 있다.
만하임의 금융 관련 기업은 1900년대 초와 같은 활황은 아니지만, 특히 보험 회사를 중심으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은행(LBBW)의 4개 본사 중 하나가 만하임에 있으며, Neue Rechtsschutz Versicherungsgesellschaft는 만하임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또한 SV SparkassenVersicherung의 중요한 거점도 이 도시에 있다.
식품 산업으로는 Südzucker, Birkel, Eichbaum-Brauereien, Pfalzmühle Mannheim(베르한 그룹 계열사), Bunge Deutschland(유지·곡물 가공) 등이 있다. 1987년 만하임에서 최초의 알나투라 유기농 식품 슈퍼마켓이 문을 열었다.
건설업에는 빌핑거 베르거가 있다. 이 판매 부문은 바우하우스와 엔겔호른과 같은 소매점을 운영하고 있다.
Bibliographisches Institut & F. A. Brockhaus(브록하우스, 두덴, 랑겐샤이트, 마이어를 계열사로 두고 있음)와 에디션 파노라마는 만하임에 본사를 둔 중요한 출판사이다.
9. 교통
9. 1. 도로 교통
만하임/루트비히스하펜 지역은 고속도로 순환선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의 프랑크푸르트, 남쪽의 칼스루에, 서쪽의 자르브뤼켄, 그리고 동쪽의 뉘른베르크와 연결된다.만하임과 루트비히스하펜이라는 두 대도시가 밀집한 주변에는 총 7개의 아우토반 분기점이 조성되어 있다. 북쪽과 동쪽을 A6호선(자르브뤼켄 – 뉘른베르크)이 둘러싸고 있으며, A61호선이 서쪽에서 남쪽을 둘러쌈으로써 아우토반 고리가 형성된다. 만하임 북동쪽에서 다름슈타트와 프랑크푸르트로 향하는 A67호선이 분기한다. 동쪽에는 A656호선이 하이델베르크로, A659호선이 바인하임으로 갈라진다. 이 아우토반 고리의 동쪽에는 A5호선(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이 병행하여 지나간다. 시내에는 연방도로 B36, B37, B38, B38a, B44호선이 통과한다.
9. 2. 철도 교통
만하임 중앙역(Mannheim Hauptbahnhof)은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철도의 종착역이며, 남서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교차점이다.[84] ICE(InterCityExpress) 고속철도망이 운행되며, 프랑크푸르트암마인–베를린, 칼스루에–바젤, 슈투트가르트–뮌헨으로 연결된다. 만하임-프랑크푸르트 철도의 부담을 덜기 위해 프랑크푸르트로 가는 고속철도 노선도 계획 중이다.[84] 만하임은 남서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환승역으로, 2005년 통계에 따르면 만하임 중앙역에는 하루 185편의 열차가 발착한다. 만하임 중앙역은 2005년 독일에서 가장 훌륭한 역으로 선정되었다.2007년 6월에는 파리-프랑크푸르트 구간을 3시간 50분 만에 연결하는 ICE 고속 노선 (LGV 동유럽선)이 운행을 시작했으며, 만하임을 경유한다.
만하임 차량기지는 함부르크 마르셴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차량기지이다. 2005년 통계에 따르면 하루 30편의 국제 열차, 60편의 국내 열차, 440편의 근거리 화물 열차를 처리했다.
라인네카르 S반은 2003년부터 라인-네카르 지역 거의 전역을 연결하고 프팔츠 지방, 오덴발트, 헤센 남부까지 운행하며, 모든 S반 노선이 만하임 중앙역을 경유한다. 만하임 시내에는 만하임 차량기지, 만하임-제켄하임, 만하임-프리드리히스펠트 남역 등의 S반 역이 있다.
1878년 6월 2일에 개통한 전차를 포함하여 11개 노선의 전차와 많은 버스 노선이 만하임의 대중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50대 이상의 카셰어링 시스템도 운영 중이며, 더욱 확장되고 있다. 1970년대에는 U반(지하철망) 건설 계획이 검토되었으나, 자금난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하고 폐지되었다. 만하임에 있는 유일한 지하역은 달베르크슈트라세역이다.
1975년 연방원예박람회 (BUGA)에서는 임시 에어로버스가 약 6개월간 운행되어 220만 명의 이용자가 있었다.[102]
9. 3. 수운
만하임 항구는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하항이며, 면적은 1131 헥타르이다.[85] 2016년에는 수상에서 690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했다.[86] 만하임 항구에는 약 2만 명의 직원을 고용한 500개의 기업이 있다.[87]
라인강과 넥카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만하임 항은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 항구이다. 2007년 통계에 따르면 830만 톤의 화물이 하역되었다.
9. 4. 항공 교통

만하임에는 노이오스트하임(Neustadt) 시가지에 시티 에어포트 만하임(IATA 코드: MHG, ICAO 코드: EDFM)이 있으며, 현재는 질트(Sylt)행 상업용 여객기가 운항 중이다. 과거에는 런던, 드레스덴,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자르브뤼켄행 항공편이 운항되었다. 프랑크푸르트 공항은 북쪽으로 65km 떨어져 있으며, ICE를 이용하면 30분 만에 도착할 수 있다. 만하임에는 산트호펜(Sandhofen)의 군용 비행장도 있다.
9. 5. 대중교통
만하임의 대중교통은 라인네카어 운송(Rhein-Neckar-Verkehr)(RNV)에서 운영하는 라인네카어 S반, 11개의 트램 노선, 그리고 다양한 버스 노선을 포함한다.[88]라인네카어 S반은 2003년에 설립되어 팔츠, 오덴발트, 그리고 남부 헤센을 포함한 라인네카어 지역 대부분을 연결한다. S5를 제외한 모든 S반 노선은 만하임 중앙역을 통과한다. 만하임 내 다른 S반 역으로는 만하임-랑지어반호프, 만하임-제켄하임, 만하임-프리드리히스펠트-쥐트가 있다.[88]
만하임/루트비히스하펜 노면 전차 네트워크는 통합 노선으로 하이델베르크까지 연결된다. RNV는 만하임, 하이델베르크, 바인하임 사이의 삼각형 노선에서 시외 트램을 운영하며, 이 노선은 원래 오버라인 철도 회사(''Oberrheinische Eisenbahn'', OEG)에 의해 설립되었다. 또한 RNV는 바트 뒤르크하임, 루트비히스하펜, 만하임 사이의 시외 트램도 운영한다.[88] 1970년대에 U반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소규모 구간만 건설되었고, 현재 U반 계획은 중단되었다. 만하임 유일의 지하역은 달베르크슈트라세 정류장이다. 모든 대중교통은 라인네카어 교통 연합(Verkehrsverbund Rhein-Neckar)(VRN)에서 설정한 통일된 가격으로 제공된다.[88]
만하임은 남서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환승역이다. 만하임 중앙역에는 2005년 통계에 따르면 하루 185편의 열차가 발착하며, ICE 고속철도 정비를 통해 슈투트가르트 방면 연결이 더욱 편리해졌다. 만하임 중앙역은 2005년 독일에서 가장 훌륭한 역으로 선정되었다.
라인-마인-라인-네카르 신선을 통해 라인-마인 지역과 연결하는 계획이 있으며, 2007년 6월에는 파리-프랑크푸르트 구간을 3시간 50분 만에 연결하는 ICE 고속 노선 (LGV 동유럽선)이 만하임을 경유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만하임 차량기지는 함부르크 마르셴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차량기지이다. 2005년 통계에 따르면 하루 30편의 국제 열차, 60편의 국내 열차, 440편의 근거리 화물 열차를 처리했다.
1878년 6월 2일에 개통된 전차는 11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 많은 버스 노선과 함께 만하임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다. 만하임에는 50대 이상의 카셰어링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더욱 확장되고 있다. 1975년 연방원예박람회 (BUGA)에서는 약 6개월간 임시 에어로버스가 운행되어 220만 명의 이용자가 있었다.[102]
10. 자매 도시
만하임은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91][100]
- 영국 스완지 (1957년)
- 프랑스 툴롱 (1959년)
- 독일 샬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 (1961년)
- 캐나다 윈저 (1980년)
- 독일 리자 (1988년)
- 몰도바 키시너우 (1989년)
- 폴란드 비드고슈치 (1991년)
-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2002년)
- 중국 전장 시 (2004년)
- 이스라엘 하이파 (2009년)

11. 만하임에서 만들어진 혁신품
포브스(Forbes) 잡지에 따르면, 만하임은 뛰어난 발명력으로 유명하며, 세계에서 가장 발명적인 도시 상위 15개 도시 중 11위를 차지했다.[49]
만하임에서 발명된 중요한 발명품들은 다음과 같다.
- 칼 드라이스(Karl Drais)가 1817년 최초의 두 바퀴 자전거인 드라이지네를 제작했다.
- 칼 벤츠(Karl Benz)가 1886년 만하임 거리에서 최초의 자동차를 운전했다. 그는 만하임의 자신의 작업장에서 단일 실린더 가솔린(휘발유) 내연 기관 엔진으로 작동하는 경량의 벤츠 특허 모터바겐(벤츠 특허 모터바겐) 3륜차를 생산하여 1886년에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동력 삼륜차는 이후 내연 기관으로 작동되는 최초의 자동차로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
- 견고하고 간단한 디젤 엔진을 갖춘 인기 트랙터인 란츠 불독(Lanz Bulldog)이 1921년에 출시되었다.
- 칼 벤츠는 1923년 만하임의 벤츠 & 시(Benz & Cie.) 자동차 공장에서 세계 최초의 소형 디젤 자동차를 개발했다.
- 율리우스 하트리(Julius Hatry)가 1929년 세계 최초의 로켓 비행기를 제작했다.
- 이탈리아 출신의 가스트아르바이터(Gastarbeiter, 외국인 노동자)인 다리오 폰타넬라는 1969년 최초의 스파게티 아이스크림(Spaghettieis)을 발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hine-Neckar: Rhine-Neckar in figures
https://web.archive.[...]
2014-08-31
[2]
웹사이트
OB Wahl Mannheim 2023
https://www.staatsan[...]
[3]
웹사이트
Wörterbuchnetz – Pfälzisches Wörterbuch
http://woerterbuchne[...]
2020-09-09
[4]
웹사이트
Wirtschaftsstandort
https://www.mannheim[...]
2021-12-19
[5]
웹사이트
Slogans: "Leben im Quadrat"
https://www.svz.de/d[...]
2014-01-06
[6]
웹사이트
Deutsches Havard
https://web.archive.[...]
2017-10-04
[7]
뉴스
Auf der Suche nach einem deutschen Harvard
https://www.welt.de/[...]
2005-02-13
[8]
웹사이트
The City of Mannheim isn't Germany at its Prettiest
https://blog.foster.[...]
2022-01-17
[9]
웹사이트
Die 10 größten Messen in Deutschland
https://www.wlw.de/d[...]
2022-01-17
[10]
웹사이트
Benzin im Blut: Der vergessene Mannheimer Auto-Bauer Franz Heim – Mannheim
https://www.rheinpfa[...]
2021-02-04
[11]
웹사이트
The Manhattan of Germany: the innovative Mannheim city
http://www.theneweco[...]
The New Economy
2014-03-23
[12]
웹사이트
200 Jahre Fahrrad – Radfahrer erobern Mannheim zurück
https://www.sueddeut[...]
2017-06-17
[13]
웹사이트
Mannheim: Die Stadt der Erfindungen – Mannheim – Nachrichten und Informationen
https://www.mannheim[...]
2020-01-25
[14]
웹사이트
Stadt der Erfinder – Grünstadt
https://www.rheinpfa[...]
2021-12-19
[15]
웹사이트
Stadt der Erfinder: Mannheimer Augustaanlage wird zur "Allee der Innovationen"
https://www.rnf.de/m[...]
2016-10-24
[16]
서적
Demokratie in der Großstadt Ergebnisse des ersten Mannheimer Demokratie Audit
http://worldcat.org/[...]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2015
[17]
웹사이트
Mannheim: Dieser Rangierbahnhof stößt an Grenzen
https://www.rnz.de/n[...]
2021-12-19
[18]
웹사이트
Infrastructure
https://www.hafen-ma[...]
2022-12-23
[19]
웹사이트
Mannheim ist jetzt offiziell "Unesco City of Music"
https://web.archive.[...]
RNZ
2014-12-28
[20]
웹사이트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20
https://web.archive.[...]
Globalization and World Cities
2020-08-24
[21]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smart city
http://www.theneweco[...]
The New Economy
2014-03-23
[22]
웹사이트
Smart City knows who needs power, and when
http://edition.cnn.c[...]
CNN
2015-02-19
[23]
서적
Ton + Technik : römische Ziegel
http://worldcat.org/[...]
Limesmuseum Aalen, Zweigmuseum des Archäologischen Landesmuseums Baden-Württemberg
2010
[24]
웹사이트
Minst, Karl Josef [Transl.]: Lorscher Codex: deutsch; Urkundenbuch der ehemaligen Fürstabtei Lorsch (Band 2): Schenkungsurkunden Nr. 167 – 818, Oberrheingau und Ladengau (Lorsch, 1968)
https://digi.ub.uni-[...]
2021-12-18
[25]
서적
400 Jahre Stadt Mannheim (Dokumente zur Stadtgeschichte). Band 1: bis zur Kaiserzeit
2004
[26]
웹사이트
Grundriß der Stadt Mannheim im 17. Jahrhundert
http://www.landeskun[...]
2021-12-21
[27]
웹사이트
Verlegung der kurfürstlichen Residenz nach Mannheim – News – lokalmatador
https://web.archive.[...]
2021-12-21
[28]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1-11-15
[29]
웹사이트
https://zensus2011.d[...]
2024-08-00
[30]
서적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An Encyclopedic Reference to U.S. Army Ground Forces from Battalion through Division, 1939–1946
Stackpole Books
2006
[31]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10
https://web.archiv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32]
웹사이트
Ausgabe der Klimadaten: Monatswerte
http://www.dwd.de/bv[...]
2014-07-00
[33]
웹사이트
Heidelberg historic weather averages
https://www.dwd.de/D[...]
weather-online
2020-08-13
[34]
웹사이트
Mannheim – heißeste Stadt des Landes – Mannheim – Nachrichten und Informationen
https://www.mannheim[...]
2016-10-07
[35]
웹사이트
Mannheim, Germany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36]
웹사이트
Staatsangehörigkeiten der Ausländerinnen und Ausländer zum 31.12.2017
https://www.mannheim[...]
2018-06-18
[37]
웹사이트
Religionszugehörigkeit in Mannheim Mannheim.de
https://www.mannheim[...]
2021-12-18
[38]
웹사이트
Neues in der Theaterwelt
https://www.deutschl[...]
2021-12-17
[39]
웹사이트
Championnat d'Allemagne de hockey sur glace 1979/80
http://www.passionho[...]
2020-09-01
[40]
웹사이트
(Dead Link, April 2011)
http://www.tornados.[...]
[41]
웹사이트
"Leute sollen Spaß am Sport haben" – Bitte keine Fußball-Verhältnisse im Football
https://www.vereinsl[...]
2021-12-18
[42]
웹사이트
Rhein-Neckar Löwen, Stuttgart und Göppingen mit Pleiten
https://web.archive.[...]
2021-12-18
[43]
웹사이트
RAW Survivor Series Tour 2008 Ergebnisse aus Mannheim/Deutschland (5.11.08) Wrestling-Infos.de
https://www.wrestlin[...]
2021-12-18
[44]
웹사이트
Dennis Siver im Schnelldurchlauf UFC
https://kr.ufc.com/n[...]
2021-12-18
[45]
웹사이트
Werbeagentur Mannheim UFC
https://wirkungswerk[...]
2021-12-18
[46]
이미지
Express 23 June 2013
http://www.steckenpf[...]
[47]
이미지
Rheinpfalz July 25 2008
http://www.steckenpf[...]
[48]
웹사이트
Steckenpferdpolo: Trendsportart in Düsseldorf im Rheinpark
http://www.spiegel.d[...]
2014-09-27
[49]
잡지
World's 15 Most Inventive Cities
https://www.forbes.c[...]
2014-02-13
[50]
웹사이트
Bertha Benz Memorial Route
http://www.bertha-be[...]
2021-12-19
[51]
웹사이트
Student statistics 2013/2014
http://www.uni-mannh[...]
2021-12-17
[52]
뉴스
Mannheim Elementary closes doors after 66 years: Teachers, students all attend ceremony to say goodb
http://www.army.mil/[...]
U.S. Army
2015-11-16
[53]
뉴스
Closing of bases in Mannheim ends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Germans, U.S. troops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5-11-16
[54]
웹사이트
CDU-Politiker Christian Specht tritt bei OB-Wahl in Mannheim an
https://www.mannheim[...]
2023-07-12
[55]
웹사이트
OB-Kandidat Specht: "Mannheim ist für mich eine Herzensangelegenheit"
https://www.mannheim[...]
Mannheimer Morgen
2023-01-20
[56]
웹사이트
Christian Specht neuer Oberbürgermeister
https://www.mannheim[...]
2023-07-12
[57]
웹사이트
Christian Specht zum bestellten Oberbürgermeister gewählt Mannheim.de
https://www.mannheim[...]
2023-08-04
[58]
웹사이트
Einsprüche zurückgewiesen: Was das für Christian Specht bedeutet
https://www.mannheim[...]
2023-08-13
[59]
웹사이트
Amtsantritt am 4. August: Mannheims neuer OB Specht setzt auf "Koalition der Willigen"
https://www.swr.de/s[...]
swr.de
2023-07-10
[60]
웹사이트
OB-Wahl in Mannheim – dieses Ergebnis gab es in der Quadratestadt noch nie zuvor
https://www.mannheim[...]
2023-07-12
[61]
웹사이트
Mannheim Deactivation Ceremony
http://www.army.mil/[...]
2011-06-09
[62]
웹사이트
DoDEA: Mannheim Middle School
https://web.archive.[...]
2007-06-07
[63]
웹사이트
Tagesausflug Luisenpark Mannheim
https://www.cbf-sued[...]
2021-12-21
[64]
웹사이트
SAP-Arena
http://www.mannheim.[...]
2021-12-21
[65]
웹사이트
Reißinsel in Mannheim
https://www.visit-ma[...]
2021-12-21
[66]
웹사이트
Messehostessen für die Maimarkt Messe in Mannheim
https://messehostess[...]
2021-12-24
[67]
웹사이트
Marktplatz Mannheim
https://www.visit-ma[...]
2021-12-21
[68]
웹사이트
Mannheimer Maimess – Themen – lokalmatador
https://www.lokalmat[...]
2021-12-19
[69]
웹사이트
TPMA TPMA
https://www.tp-ma.de[...]
2021-12-17
[70]
웹사이트
Arbeitslosenquote Mannheim bis 2020
https://de.statista.[...]
2021-12-17
[71]
웹사이트
Roche Diagnostics GmbH, Mannheim: Daten – der digitale Schatz des medizinischen Fortschritts
https://www.rhein-ne[...]
2021-12-21
[72]
웹사이트
Mannheim: ABB kehrt in den Gewerbepark zurück
https://www.rnz.de/w[...]
2021-12-21
[73]
웹사이트
Dietmar Hopp: Sein Bruder Rüdiger – bester Freund
https://www.rnz.de/n[...]
2021-12-21
[74]
웹사이트
Alstom: Auch Mannheim vom Stellenabbau betroffen
https://www.rnz.de/w[...]
2021-12-21
[75]
웹사이트
Alstom in Mannheim: Neue Standortleiterin Karin Sautter sagt "sehr positive Zukunft" voraus – Wirtschaft
https://www.mannheim[...]
2021-07-24
[76]
웹사이트
Bilfinger in Mannheim: Neues Hauptquartier symbolisiert Neuanfang
https://www.rnz.de/n[...]
2021-12-21
[77]
웹사이트
Unsere Standorte im Überblick
https://www.unilever[...]
2021-12-21
[78]
웹사이트
Essity: Unternehmen verlagert "Tempo" nach Mannheim
https://www.rnz.de/w[...]
2021-12-21
[79]
웹사이트
Mannheim: Phoenix-Gruppe auf stabilem Wachstumskurs
https://www.rnf.de/2[...]
2021-12-21
[80]
웹사이트
Mannheim: Beschäftigte von Bombardier kämpfen um Arbeitsplätze
https://www.rnf.de/m[...]
2021-12-21
[81]
웹사이트
Exzellenzbetrieb: Pepperl+Fuchs SE – Die Deutsche Wirtschaft
https://die-deutsche[...]
2021-12-21
[82]
웹사이트
Siemens {{!}} Niederlassung Mannheim
https://new.siemens.[...]
2021-12-21
[83]
웹사이트
Platz 22: Mannheim – Die 25 "wertvollsten" Städte Deutschlands {{!}} Top-Ranking
https://www.finanzen[...]
2021-12-20
[84]
뉴스
Bahnstreckenausbau In 29 Minuten mit dem ICE von Frankfurt nach Mannheim
https://m.faz.net/ak[...]
2021-12-19
[85]
웹사이트
Mannheimer Binnenhafen ist einer der größten seiner Art
https://www.echo-onl[...]
2019-01-09
[86]
간행물
Mannheim und Ludwigshafen stabil
2017-01-31
[87]
웹사이트
Hafen Mannheim: Trockensommer forderte seinen Tribut
https://www.rnz.de/n[...]
2021-12-17
[88]
웹사이트
Press release announcing the merger to form RNV (German-language)
http://www.rnv-onlin[...]
2009-10-06
[89]
웹사이트
Mannheim, Germany – 7 Awesome Things To Do
https://twomonkeystr[...]
2015-11-14
[90]
Youtube
The European City Centre With No Street Names
https://www.youtube.[...]
2018-02-19
[91]
웹사이트
Partner- und Freundesstädte
https://www.mannheim[...]
Mannheim
2019-11-26
[92]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93]
웹사이트
マンハイム=ゼッケンハイム私立観測所の2003年8月の記録
http://archiv.mannhe[...]
[94]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95]
서적
Mythos Rhein. Zur Kulturgeschichte eines Strome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96]
서적
ドイツ史
[97]
서적
ドイツ史
[98]
뉴스
欧州ゴミ合戦-2- 60年かけ捨場築く
朝日新聞
1970-10-24
[99]
웹사이트
Gemeinderatswahlen 2019 - Universitätsstadt Mannheim
https://www.statisti[...]
2021-06-20
[100]
웹사이트
Mannheims Partnerstädte - von Bydgoszcz bis Zhenjiang
http://www.mannheim.[...]
[101]
웹사이트
強制収容所を記憶する場所ザントホーフェンのホームページ
http://www.kz-gedenk[...]
[102]
웹사이트
マンハイムBUGA1975でのエアロバス
http://www.rothenhoe[...]
[103]
웹사이트
Bertha Benz Memorial Route
http://www.bertha-be[...]
[104]
웹사이트
Einwohnerentwicklung von Mannheim
de:Einwohnerentwickl[...]
[10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1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10-12
[106]
웹인용
Ausgabe der Klimadaten: Monatswerte
http://www.dwd.de/b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