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법가전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법가전서는 야규 무네노리가 장군 가문에 적합한 병법을 확립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신카게류 병법 사상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살인도, 활인검, 무검, 진리교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심법, 전략, 그리고 야규 신카게류의 무도에 대한 해설을 포함한다. 병법가전서는 수신을 위한 병법을 설파하고, 검선일치를 강조하며, 야규 미쓰요시, 나베시마 가쓰시게 등에게 전수되었다. 이 책은 에도 야규의 사상을 담고 있으며, 다양한 유파의 병법 전서에 영향을 미쳐 무예에서 무도로의 변천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야규가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에도 야규가 - 야규번
야규번은 야규 신카게류의 창시자 야규 무네노리가 쇼군가의 검술 스승이 된 후 시작되어, 한때 하타모토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다이묘로 복귀하여 야규 가문이 13대에 걸쳐 통치한 번으로, 역대 번주는 쇼군가의 검술 스승 역할을 수행했다. - 야규씨 - 야규 무네요시
야규 무네요시는 신카게류 검술의 대가이자 야규 가문의 중흥조로, 무투도리라는 독자적인 무술을 개발하고 야규가헌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와의 인연으로 야규 가문이 재건되는 데 기여하며 일본 검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야규씨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에도 시대의 책 - 화한삼재도회
데라시마 료안이 『삼재도회』를 바탕으로 일본의 지리, 생태계, 사회, 문화 등을 기록한 일본식 백과사전인 《화한삼재도회》는 천부, 인부, 지부로 구성되어 우주, 인간, 지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조선 실학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 일본에서 복각본과 번역본이 출판되고 있다. - 에도 시대의 책 - 오륜서
미야모토 무사시가 밀교의 오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유파인 니텐이치류의 검술과 전략, 철학을 담아 저술한 병법서인 오륜서는 땅, 물, 불, 바람, 공의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병법가전서 | |
|---|---|
| 개요 | |
![]() | |
| 저자 | 야규 무네노리 |
| 원제 | 병법가전서 (兵法家伝書) |
| 유형 | 병법서 |
| 언어 | 일본어 |
| 창작 연도 | 1632년 |
| 내용 | |
| 주요 사상 | 선 (Zen), 살인검과 활인검 |
| 구성 | 제1권: 상경(上巻) 제2권: 하경(下巻) 제3권: 체(體) 제4권: 국(國) |
| 주제 | 무술, 검술, 정신 수양, 국가 통치 |
| 영향 | |
| 관련 인물 | 미야모토 무사시 (경쟁자), 도쿠가와 이에미쓰 (후원자) |
| 기타 | |
| 중요성 | 야규 신카게류의 비전, 무사도 정신 함양 |
2. 구성
『병법가전서』는 야규 무네노리가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위해 저술한 책으로, 신카게류의 병법 사상을 담고 있으며, "진리교(進履橋)", "살인도", "활인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8]
각 장은 심법에 대한 설명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으며, "활인검", "커다란 병법", "치국평천하의 검", "평상심", "무도", "검선일치" 등 후대 무도에 영향을 준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8][9]
- 진리교(進履橋): 가미이즈미 노부쓰나로부터 전해진 신카게류의 기법을 담고 있다.
- 살인도(殺人刀): 선의 공안집인 『벽암록』, 『무문관』 등에서 내용을 인용하여, 병법의 목적과 심법 등을 설명한다.
- 활인검(活人劍): '살인도'와 내용상 큰 차이는 없으며, 무도에 대한 해설을 포함한다.
- 무검(無劍): 주변 환경을 활용하는 전략을 다룬다. 높은 지형, 악천후, 불규칙한 지형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3]
2. 1. 진리교(進履橋)
"진리교(進履橋)"는 고대 중국의 군사 장량과 황석공의 일화에서 따온 것이다. 소우케(宗矩)가 아버지 야규 무네요시(세키슈사이)로부터 전해 받은 신음류의 세법(형)에 대한 목록이지만, 일반적인 목록과는 달리 전서와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가미이즈미 노부쓰나(上泉秀綱)로부터 소우겐(宗厳)에게 직접 전해진 신음류의 기법을 답습하는 "대개(大凡)의 목록"이다.[10]。그러나 "다섯 개의 습(五ケの習)"으로 제시된 몸 만들기에 대한 설명이나[11], 상위의 고제에게만 연습이 허용되는 "안의 태도(奥の太刀)"에 대해서는 소우케(宗矩)에 의한 개변이 보인다.[12]。2. 2. 살인도(殺人刀)
'살인도(殺人刀)'는 '사쓰진토'가 아닌 '세쓰닌토'로 읽는다. 신음류의 세법(勢法) 중에도 동명의 것이 존재하지만, 대개는 선의 공안집인 『벽암록』, 『무문관』 등에서의 인용이다. 그 내용은, "옛날에 이르기를, '병기는 불길한 기구이니, 하늘의 도는 이를 싫어한다. 어쩔 수 없이 이를 사용함은, 이것이 하늘의 도이다.'"라는 삼략의 인용으로 시작하여, "병법의 목적이란", "대장으로서 필요한 병법이란 무엇인가", "병법을 치국에 활용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라는 것을 설명하면서, 신음류의 병법 중, 심법(특히 "평상심"을 얻는 것)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비유와 형용을 사용하여 해설하고 있다. 또한 "치지격물(격물치지)"과 같이, 『대학(사서의 하나)』 등에서 인용된 유교적인 요소도 섞여 있다.[3]2. 3. 활인검(活人劍)
'가쓰진켄'이 아닌 '가쓰닌켄'으로 읽는다. 벽암록, 무문관 등에서 인용한 것이다. '진리교'와는 달리, '살인도'와 내용상 큰 차이는 없으며, 둘을 하나의 책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야규 신카게류의 특징인 무도에 대해 해설한 '무도지권'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무도지권」'''
- *「무도」에 대한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깨달음이나 평화주의, 비무장주의, 무저항주의와 같은 사상적인 것이 아니라, 실용적인 호신술로서의 마음가짐을 설명하고 있다. 야규 신카게류의 극의이자 '전일의 비사'이며, 평소 훈련에서 모든 기법과 심법[13]은 '모두 무도에서 비롯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2. 3. 1. 무검(無劍) (영어 문서)
이 장에서는 높은 지대가 적보다 유리한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악천후를 유리하게 이용하는 방법과 같은 전략을 논의한다.[3] 불규칙한 지형이 전투에서 얼마나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는지, 느슨한 돌멩이와 같은 사소한 것이 적을 곤경에 빠뜨릴 수 있는지에 대한 언급도 여러 번 나온다.3. 성립 배경
야규 무네노리는 쇼군가에 걸맞은 병법, 즉 1대1 대결 기술(소병법)이 아닌 군세를 움직여 태평 시대에 치국의 술(대병법)이 되는 병법을 확립하고자 했다.[14] 이는 이에미쓰 자신의 마음 수련, 즉 '수신'으로 이어지는 것을 목표로 했다.
무네노리는 이러한 병법 이론을 확립하기 위해 선승 다쿠안에게 조언을 구했고, 다쿠안은 무네노리의 의뢰를 받아 『부동지신묘록』을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15]
무네노리는 『부동지신묘록』에서 설파된 '검선일치' 사상을 자신이 수련한 신카게류와 결합하고, 대학, 삼략 등 한적 고전을 참고하여 장군가 어류로서의 야규 신카게류(에도 야규) 병법 사상을 확립하여 『병법가전서』에 담아냈다.
4. 전수자
야규 미쓰요시(주베)는 야규 가문의 차기 당주로서,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야규가 및 쇼군가 외에 최초로 병법가전서를 전수받았다. 호소카와 타다토시는 다쿠앙 선사의 식어가 실린 백지 인가장을 받았으며, 나베시마 모토시게는 소에키가 죽기 직전에 기록한 것으로 여겨지는 "흐트러진 화압"을 받았다.[1]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도 전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4. 1. 야규 미쓰요시 (주베)
야규 미쓰요시(주베)는 야규 가문의 차기 당주로서 병법가전서를 전수받았다. 야규 가문에 전해지는 것이 최초의 원본으로 추정된다.[1]4. 2. 나베시마 가쓰시게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야규 가문 및 쇼군 가문 외에 최초로 전수받은 자이다.[1]4. 3. 호소카와 타다토시
다쿠앙 선사의 식어(識語)가 적힌 백지 인가장(印可狀)이 첨부되어 있다.[1]4. 4. 나베시마 모토시게
소에키가 죽기 직전에 기록한 것으로 여겨지는 "흐트러진 화압"이 있다.[1]4. 5.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전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5. 영향
부동지신묘록과 함께 "검선일치"로 상징되는 병법을 통한 수신을 설파한 최초의 서적이며, 동시에 전수는 구전이 주를 이루고 기법명의 목록뿐이었던 종래의 병법 전서와 달리, 그 기법과 사상의 이론화 및 명문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도 획기적인 병법 전서였다.
여기서 제시된 병법 사상은 후에 성립하는 여러 유파의 병법 전서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종래의 실전을 위한 "무예"에서 수신을 위한 "무도"로의 변천에 기여했다.
6. 공식 기관 (영어 문서)
글레제 자치구에 있는 헤이호 니텐 이치 류 기념비는 진품이다.[4] 게양된 깃발은 진품임을 확인시켜 주며, 미야모토 무사시 도장에 의해 통합된 기념비의 특징을 부여한다.[5]
7. 비고
『병법가전서』에 기록된 사상은 야규신카게류 중 쇼군 가문 어류인 에도 야규의 사상이며, 오와리 야규와는 무관하다. 오와리 야규 가문의 시조인 야규 도시토시(무네노리의 조카・효고노스케)는 별도로 『시종불사서』라는 전서를 저술했다.
참조
[1]
서적
The life-giving sword = Heihō kadensho : secret teachings from the house of the Shogun : the classic text on Zen and the No-Sword by Musashi's great rival
Kodansha International
2003
[2]
서적
The book of five rings
Shambhala
[3]
웹사이트
A Hereditary Book On The Art Of War – Yagyū Munenori
https://web.archive.[...]
2018-11-30
[4]
뉴스
"Report - Dojo - France3 - Ecole Miyamoto Musashi"
https://vimeo.com/38[...]
France 3
1999-02
[5]
웹사이트
Recognition
https://www.memorial[...]
[6]
간행물
A symbolic bridge to Asia, Un pont symbolique vers l'Asie
https://www.leprogre[...]
2015-12-12
[7]
간행물
"Symbolic exchange of flags"
https://www.leprogre[...]
2016-04-13
[8]
서적
兵法家伝書
岩波文庫
[9]
문서
[10]
서적
兵法家伝書
岩波文庫
[11]
문서
[12]
서적
兵法家伝書に学ぶ
日本武道館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