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한삼재도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한삼재도회는 18세기 일본의 의사 데라시마 료안이 편찬한 백과사전으로, 중국의 삼재도회를 참고하여 일본 관련 내용을 추가했다. 이 책은 천문, 지리, 인문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일본과 중국의 사물에 대한 해설과 그림을 곁들여 구성되었다. 조선에는 왜한삼재도회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며, 이덕무, 정약용 등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서양 문물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화한삼재도회는 에도 시대 일본의 지식과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동아시아 지식 교류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의학 책 - 해체신서
해체신서는 1774년 스기타 겐파쿠 등이 네덜란드 해부학 서적을 번역하여 간행한 일본 최초의 서양 해부학 서적으로, 일본 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 의학 용어의 기반을 마련했다.
화한삼재도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한삼재도회 |
원어 이름 | 和漢三才図会 |
로마자 표기 | Wakan Sansai Zue |
저자 | 데라지마 료안 |
제작 시기 | 1712년경 |
언어 | 일본어, 한문 |
유형 | 유서 |
구성 | |
권수 | 105권 81책 |
내용 | 천문 지리 인물 수목 조수 어개 충류 인체 기물 |
특징 | |
특징 | 중국의 삼재도회를 참고하여 일본의 상황에 맞게 편찬 삽화가 포함된 백과사전 형식 에도 시대의 지식과 문화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 |
추가 정보 | |
소장처 | 국립국회도서관 도쿄대학교 교토대학교 |
2. 역사
《화한삼재도회》는 중국 명 말기 만력(萬曆) 35년(1607년) 왕기(王祈)가 지은 《삼재도회》(三才圖會)를 본떠 만든 책으로, 천지인(天地人)으로 분류한 구성 역시 《삼재도회》를 모방했다. 편집자는 오사카의 의사였던 데라시마 료안(寺島良安)이며, 본문은 모두 한문으로 해설되어 있다.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공상적인 내용도 많지만, 저자가 의사였던 만큼 동양 의학에 관한 기사는 매우 정확하며, 침이나 뜸을 다루는 치료사들 중에는 이 《화한삼재도회》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고전으로 평가하기도 한다.[4]
2. 1. 편찬 배경
데라시마 료안은 오사카의 의사로, 스승 와키 나카야스로부터 "의사는 우주 만물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받았다.[4] 이를 계기로 백과사전 편찬을 결심하게 되었다. 명나라의 왕기(王圻)가 편찬한 삼재도회(三才圖會)를 주 참고 자료로 삼았으며, 여기에 일본 관련 내용을 대폭 추가하였다. 약 30여 년에 걸쳐 완성된 《화한삼재도회》는 하늘, 땅, 사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마다 일본과 중국의 사물을 나열하고 고증하여 그림을 덧붙였다.[4]2. 2. 간행 및 영향
《화한삼재도회》는 간행 후 에도 시대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었고, 메이지 시대에도 크기를 줄인 축쇄판이 나왔을 만큼 2세기 동안 일본인들의 지식의 원천이 되어준 책이었다.[4]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 등을 통해 조선에 소개되어 《'''왜한삼재도회'''》(倭漢三才圖會)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조선 지식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1764년 남옥의 《일관기》 3월 27일자에는 슈고(周宏)라는 승려가 조선 측에 《왜한삼재도회》를 구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덕무(李德懋)는 《청령국지》에서 일본과 무역하던 네덜란드(아란타(阿蘭陀))에 대한 설명을 《화한삼재도회》에서 대부분 가져왔다. 이덕무는 1763년에서 1764년에 걸쳐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원중거(元重擧)와 성대중(成大中)에게서 일본에서 본 것과 구입해 온 서적들을 전해 듣는 과정에서 《화한삼재도회》를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덕무 이후 유득공(柳得恭)의 《필기(筆記)》, 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한치윤(韓致奫)의 《해동역사》(海東繹史), 성해응(成海應)의 《연경재총서》(硏經齋叢書),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등에서 《화한삼재도회》를 주요 참고 문헌으로 인용하였다.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도 일본의 무기와 무예에 대한 주요 참조자료로 인용되었다. 윤행임(1762~1801)은 《석재고》에서 임진왜란 당시의 전승과 네덜란드인들의 조선 표착을 다루면서 《화한삼재도회》 권56 산류 중 후지산 기사를 인용했다.
당시 조선 학계에는 외부 세계에서 들어온 방대한 정보들을 주제에 따라 분류한 유서(類書, 백과사전) 편찬이 유행했는데, 일본에서 도입된 《화한삼재도회》는 조선 학계에 새롭고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했다.
3. 구성
《화한삼재도회》는 전체 105권 8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크게 천(天), 지(地), 인(人)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책의 이름은 중국 명나라 말기인 1607년(만력 35년) 왕기(王祈)가 지은 《삼재도회》를 본뜬 것으로, 천지인(天地人)으로 분류한 구성 역시 《삼재도회》를 모방한 것이었다.[4] 각 항목마다 일본과 중국의 사물을 배열하고, 한문으로 해설과 그림을 덧붙였다. 한자 표기와 함께 일본 이름(和名)을 병기하여 일본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5]
권수 | 분류 |
---|---|
1 | 천부(天部) |
2 | 천문(天文) |
3 | 천상류(天象類) |
4 | 시후류(時候類) |
5 | 역점류(暦占類) |
6 | 역택일신(暦擇日神) |
7 | 인륜류(人倫類) |
8 | 인륜친족(人倫親族) |
9 | 관위부(官位部) |
10 | 인륜지용(人倫之用) |
11 | 경락부(經絡部) |
12 | 지체부(支體部) |
13 | 이국인물(異國人物) |
14 | 외이인물(外夷人物) |
15 | 예기(藝器) |
16 | 예능(藝能) |
17 | 희희부(嬉戱部) |
18 | 악기류(樂器類) |
19 | 신제부불공구(神祭附佛供具) |
20 | 병기방비구(兵器防備具) |
21 | 병기정벌구(兵器征伐具) |
22 | 형벌(刑罰) |
23 | 어렵구(漁獵具) |
24 | 백공구(百工具) |
25 | 용식구(容飾具) |
26 | 복완구(服玩具) |
27 | 면포류(絹布類) |
28 | 의복류(衣服類) |
29 | 관모류(冠帽類) |
30 | 이말류(履襪類) |
31 | 포주구(庖厨具) |
32 | 가식류(家飾類) |
33 | 거가류(車駕類) |
34 | 선교류(船橋類) |
35 | 농구류(農具類) |
36 | 여공류(女工具) |
37 | 축류(畜類) |
38 | 수류(獸類) |
39 | 서류(鼠類) |
40 | 우류(寓類)ㆍ괴류(怪類) |
41 | 수금류(水禽類) |
42 | 원금류(原禽類) |
43 | 임금류(林禽類) |
44 | 산금류(山禽類) |
45 | 용사류(龍蛇部) |
46 | 개갑부(介甲部) |
47 | 개패부(介貝部) |
48 | 어류(魚類)ㆍ하호(河湖)ㆍ유린어(有鱗魚) |
49 | 어류(魚類)ㆍ강해(江海)ㆍ유린어 |
50 | 어류ㆍ하호ㆍ무린어(無鱗魚) |
51 | 어류ㆍ강해ㆍ무린어 |
52 | 난생류(卵生類) |
53 | 화생류(化生類) |
54 | 습생류(濕生類) |
55 | 지부(地部) |
56 | 산류(山類) |
57 | 수류(水類) |
58 | 화류(火類) |
59 | 금류(金類) |
60 | 옥석류(玉石類) |
61 | 잡석류(雜石類) |
62본(本) | 중화(中華) |
62말(末) | 하남(河南) |
63 | 하서(河西) |
64 | 지리(地理) 대일본국(大日本國) |
65 | 지부(地部) |
66 | 우에노(上野) |
67 | 무사시(武蔵) |
68 | 에치고(越後) |
69 | 가이(甲斐) |
70 | 노토(能登) |
71 | 와카사(若狹) |
72 | 야마시로(山城) |
73 | 야마토(大和) |
74 | 셋츠(攝津) |
75 | 가와치(河內) |
76 | 이즈미(和泉) |
77 | 단바(丹波) |
78 | 미마사카(美作) |
79 | 아와(阿波) |
80 | 부젠(豊前) |
81 | 가택류(家宅類) |
82 | 향목류(香木類) |
83 | 교목류(喬木類) |
84 | 관목류(灌木類) |
85 | 우목류(寓木類) |
86 | 오과류(五果類) |
87 | 산과류(山果類) |
88 | 이과류(夷果類) |
89 | 미과류(味果類) |
90 | 조과류(瓜果類) |
91 | 수과류(水果類) |
92본(本) | 산초류(山草類) 상권 |
92말(末) | 산초류(山草類) 하권 |
93 | 방초류(芳草類) |
94본(本) | 습초류(濕草類) |
94말(末) | 습초류(濕草類) |
95 | 독초류(毒草類) |
96 | 만초류(蔓草類) |
97 | 수초(水草)ㆍ조류(藻類)ㆍ태류(苔類) |
98 | 석초류(石草類) |
99 | 훈초류(葷草類) |
100 | 과채류(瓜菜類) |
101 | 지이류(芝茸類) |
102 | 유활채(柔滑菜) |
103 | 곡류(穀類) |
104 | 숙두류(菽豆類) |
105 | 조양류(造醸類) |
3. 1. 상세 구성
寺島良安|테라시마 요시아스일본어는 오사카의 의사로, 스승인 와키 나카야스(和気仲安)로부터 "의사는 우주 만물을 밝힐 필요가 있다"라는 가르침을 받은 것이 화한삼재도회 편찬의 동기가 되었다. 명나라의 왕기(王圻)가 편찬한 유서(類書) 『삼재도회(三才図会)』를 본보기로 한 그림이 들어 있는 백과사전으로, 약 30년 이상에 걸쳐 편찬되었다.전체 105권 81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각 항목은 일본과 중국의 사물을 하늘(1-6권), 사람(7-54권), 땅(55-105권)의 세 부분(삼재(三才))으로 나누어 나열하고 고증하여 그림(삽화, 옛 지도[4])을 덧붙였다. 각 항목은 한명(漢名)과 일본명(和名)으로 표기되고, 본문은 한문으로 설명되어 있다. 목판 인쇄이며, 판본은 오사카 앵림당(杏林堂)이다.
허구적인 것들이나 터무니없는 항목도 있지만, 자연사 등에 있어 귀중한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후세의 자연과학자 南方熊楠(미나미카타 쿠마쿠스)는 전권을 필사했다고 한다.[5]
권수 | 분류[6] |
---|---|
1 | 천부[7] (우주, 각 행성 등) |
2 | 천문[8] (이십팔수, 은하수 등) |
3 | 천상류[9] (주로 무리, 무지개, 안개, 천둥 등 기상 현상. 단, 혜성도 포함) |
4 | 시절류[10] (역법, 연중행사 등) |
5 | 역점류[11] (역법과 점이 결합된 것. 육요 외 다수) |
6 | 역일길흉[12] - 역법택일신 |
7 | 인륜류[13] (인간의 각 계층과 다양한 직업) |
8 | 인륜 친족[14] (남성, 여성, 노인, 아동. 자녀·손주·부모·조부모·삼촌·숙모·조카 등) |
9 | 관위부[15] (관직, 승진 개요, 각 부처. 군인의 계급. 불교의 승려 계층~선지식) |
10 | 인륜지용[16] (결혼, 중매인, 친구, 독신. 여행자, 주인·손님, 도둑, 죄수, 간통, 남색, 양성. 맹인, 농아. 백자, 사마귀, 혹, 주근깨. 용사, 술꾼. 사망, 장례식 등) |
11 | 경락부[17] (인체 해부학, 경혈 등) |
12 | 지체부[18] (신체의 각 부위(머리, 눈, 코, 입, 가슴, 배, 허리, 엉덩이, 음낭, 자궁, 월경. 어깨, 팔, 손, 다리, 발 등의 기능, 증상과 대처법) |
13 | 이국인물[19] (외국, 외국의 민족·부족, 외국의 중요 인물, 외국어, 외교 관계 등) |
14 | 외이인물[20] |
15 | 기예[21] |
16 | 예능[22] |
17 | 희희[23] |
18 | 악기류[24] |
19 | 신제 부 불공기[25] |
20 | 무기 방비구[26] |
21 | 무기 정벌구[27] |
22 | 형벌[28] |
23 | 어렵구[29] |
24 | 백공구[30] |
25 | 용식구[31] |
26 | 복완구[32] |
27 | 견포류[33] |
28 | 의복류[34] |
29 | 관모류[35] |
30 | 리말류[36] (신발) |
31 | 포주구[37] (가마솥, 냄비, 밥그릇 등) |
32 | 가택구[38] |
33 | 차가구[39] |
34 | 배교류[40] |
35 | 농기구류[41] |
36 | 녀공구[42] (베틀, 바늘, 다림질, 다듬이 등) |
37 | 축류[43] |
38 | 짐승류[44] |
39 | 쥐류[45] |
40 | 우류·괴류[46] 짐승의 용[47] |
41 | 수금류[48] |
42 | 원금류[49] |
43 | 림금류[50] |
44 | 산금류[51] |
45 | 용뱀부[52] |
46 | 거북패류부[53] |
47 | 개조개부[54] |
48 | 어류 하호 유린어[55] |
49 | 어류 강해 유린어[56] |
50 | 어류 하호 무린어[57] |
51 | 어류 강해 무린어[58] |
52 | 충부 난생류[59] |
53 | - 화생류[60] |
54 | 습생류[61] |
55 | 지부[62] |
56 | 산류[63] |
57 | 물류[64] |
58 | 불류[65] |
59 | 금석부 금류[66] |
60 | - 옥석류[67] |
61 | - 잡석류[68] |
62본 | 중화(모로코시) - 베이징, 난징, 산둥성, 산시성[69] |
62말 | - 허난성, 산시성, 후베이성[70] |
63 | - 장시성, 저장성, 푸젠성, 광둥성, 광시성, 구이저우성, 쓰촨성, 윈난성[71] |
64 | 지리 - 대일본국, 조선국, 류큐국, 에조섬, 서역, 인도, 북지제적, 서남제만[72] |
65 | - 무쓰, 우슈[73] |
66 | - 코즈케, 시모쓰케, 히타치, 카즈사, 시모우사, 아와[74] |
67 | - 무사시, 사가미, 이즈[75] |
68 | - 에치고, 사도, 에치젠, 시나노[76] |
69 | - 카이, 스루가, 토토미, 미카와[77] |
70 | - 노토, 가가, 에치젠, 히다, 미노[78] |
71 | - 와카사, 오미, 오와리, 이세, 시마, 이가[79] |
72 | - 야마시로[80][81] |
73 | - 야마토[82] |
74 | - 세쓰[83] |
75 | - 카와치[84] |
76 | - 이즈미, 키이, 아와지[85] |
77 | - 탄바, 탄고, 타지마, 이나바, 하리마[86] |
78 | - 미마사카, 비젠, 비추, 비고, 호키, 이즈모, 오키[87] |
79 | - 아와, 토사, 사누키, 이요, 아키, 이와미, 스오, 나가토[88] |
80 | - 부젠, 분고, 치쿠젠, 치쿠고, 히우가, 히고, 오스미, 사쓰마, 히젠, 이키, 쓰시마[89] |
81 | 가택류[90] |
82 | 향목류[91] |
83 | 교목류[92] |
84 | 관목류[93] |
85 | 우목류, 포목·대나무류[94] |
86 | 과부 - 오과류[95] |
87 | - 산과류[96] |
88 | - 이과류[97] |
89 | - 미과류[98] |
90 | - 과과류[99] |
91 | - 수과류[100] |
92본 | 초류·약품[101] - 산초류상권[102] |
92말 | - 산초류하권[103] |
93 | 방초류[104] |
94본 | 습초류[105] |
94말 | 습초류[106] |
95 | 독초류[107] |
96 | 만초류[108] |
97 | 수초류[109] - 수초 조류 이끼류 |
98 | 석초류[110] |
99 | 훈초류[111] (오훈, 부추, 마늘, 미나리, 생강 등) |
100 | 과채류[112] |
101 | 지송류[113] |
102 | 유활채[114] |
103 | 곡류[115] |
104 | 숙두류[116] |
105 | 조양류[117] (된장, 간장, 두부, 양갱, 술 등) |
4. 내용 특징
오사카의 의사였던 데라시마 료안(寺島良安)은 스승 와키 나카야스(和氣仲安)로부터 "의사라면 삼라만상의 모든 것에 밝아야 한다"는 말을 듣고, 중국 명나라 왕기의 《삼재도회》 구성을 본떠 일본 관련 내용을 보충하여 《화한삼재도회》를 지었다. 전체 105권 81책 분량으로 각 항목마다 일본과 중국의 사상을 배열하고 고증하여 삽화를 덧붙였으며, 본문은 모두 한문으로 해설되어 있다.[4]
실제 존재하지 않는 공상이나 황당무계한 내용도 많지만, 저자가 의사였던 만큼 동양 의학 관련 기사는 매우 정확하며, 침이나 뜸 치료사들 중에는 이 《화한삼재도회》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고전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화한삼재도회》는 간행 후 에도 시대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었고, 메이지 시대에도 축쇄판이 나왔을 만큼 2세기 동안 일본인들의 지식 원천이 된 책이었다. 또한 조선에까지 전해져 지식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허구적이거나 터무니없는 항목도 있지만, 자연사 분야에서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5]
5. 조선에 끼친 영향
《화한삼재도회》는 조선 통신사를 통해 조선에 소개되었다. 1764년 제11회 통신사 남옥의 《일관기》에는 승려 슈고(周宏)가 조선 측에 《왜한삼재도회》(화한삼재도회)를 구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에 소개된 제목은 《'''왜한삼재도회'''》(倭漢三才圖會)이며, 영조 24년(1748년) 통신사 조명채의 《봉사일본시견문록》에 처음 등장한다. 이덕무는 일본 관련 정보를 모아 편찬한 《청령국지》에서 일본과 무역하던 네덜란드(아란타)에 대한 설명을 《화한삼재도회》에서 가져왔다. 이덕무는 1763년~1764년 통신사로 일본에 간 원중거와 성대중에게서 일본 견문과 서적을 통해 《화한삼재도회》를 접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득공의 《필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 한치윤의 《해동역사》, 성해응의 《연경재총서》,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등에서 《화한삼재도회》를 주요 참고 문헌으로 인용했다.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에도 일본 무기와 무예에 대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다. 윤행임은 《석재고》에서 임진왜란 당시 전승과 네덜란드인들의 조선 표착을 다루며 《화한삼재도회》 권56 후지산 기사를 인용했다.
당시 조선 학계에는 외부 정보를 모아 주제별로 분류한 유서(백과사전) 편찬이 유행했는데, 《화한삼재도회》는 조선 학계에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를 제공했다.
6. 현대적 의의
《화한삼재도회》는 에도 시대 일본의 지식 체계와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자, 동아시아 지식 교류 및 문화 전파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메이지 시대에는 크기를 줄인 축쇄판이 나올 정도로 2세기 동안 일본인들의 지식의 원천이 되었으며, 조선에까지 전해져 지식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4] 후세의 자연과학자 미나미카타 쿠마쿠스는 전권을 필사했다고 한다.[5]
참조
[1]
논문
"Mōko Shūrai Ekotoba" (Illustrated Account of the Mongol Invasions)
https://revistas.ucm[...]
2020-07-03
[2]
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2023-07-15
[3]
웹사이트
국서 데이터베이스 和漢三才図会【서지 상세】
https://kokusho.nijl[...]
2023-05-01
[4]
서적
倭漢三才圖會
吉川弘文館
1906-00-00 #明治39년은 1906년
[5]
웹사이트
독서와 필사에 몰두했던 소년 (웅소학교 시대)
http://www.minakatak[...]
남방웅남기념관
2020-03-26
[6]
문서
<평범사 동양문고>『화한삼재도회』목차(18권 274-346면)도 참조.
[7]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 권1
https://dl.ndl.go.jp[...]
2023-06-18
[8]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 권2
https://dl.ndl.go.jp[...]
2023-06-18
[9]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 권3
https://dl.ndl.go.jp[...]
2023-06-18
[10]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4
https://dl.ndl.go.jp[...]
2023-06-18
[11]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 권5
https://dl.ndl.go.jp[...]
2023-06-16
[12]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6
https://dl.ndl.go.jp[...]
2023-04-30
[13]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7
https://dl.ndl.go.jp[...]
2023-06-16
[14]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8
https://dl.ndl.go.jp[...]
2023-06-16
[15]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9
https://dl.ndl.go.jp[...]
2023-06-16
[16]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 권10
https://dl.ndl.go.jp[...]
2023-04-30
[17]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1
https://dl.ndl.go.jp[...]
2023-06-16
[18]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2
https://dl.ndl.go.jp[...]
2023-06-16
[19]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3
https://dl.ndl.go.jp[...]
2023-04-30
[20]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4
https://dl.ndl.go.jp[...]
2023-04-30
[21]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 권15
https://dl.ndl.go.jp[...]
2023-06-16
[22]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6
https://dl.ndl.go.jp[...]
2023-06-16
[23]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7
https://dl.ndl.go.jp[...]
2023-06-16
[24]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8
https://dl.ndl.go.jp[...]
2023-06-16
[25]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19
https://dl.ndl.go.jp[...]
2023-06-16
[26]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0
https://dl.ndl.go.jp[...]
2023-06-16
[27]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1
https://dl.ndl.go.jp[...]
2023-06-16
[28]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2
https://dl.ndl.go.jp[...]
2023-06-16
[29]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3
https://dl.ndl.go.jp[...]
2023-06-16
[30]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4
https://dl.ndl.go.jp[...]
2023-06-16
[31]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5
https://dl.ndl.go.jp[...]
2023-06-16
[32]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6
https://dl.ndl.go.jp[...]
2023-06-16
[33]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7
https://dl.ndl.go.jp[...]
2023-06-16
[34]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8
https://dl.ndl.go.jp[...]
2023-06-16
[35]
웹사이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화한삼재도회 :권29
https://dl.ndl.go.jp[...]
2023-06-16
[3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0
https://dl.ndl.go.jp[...]
2023-06-16
[3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31
https://dl.ndl.go.jp[...]
2023-06-16
[3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32巻
https://dl.ndl.go.jp[...]
2023-06-16
[3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3
https://dl.ndl.go.jp[...]
2023-06-16
[4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4
https://dl.ndl.go.jp[...]
2023-06-16
[4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5
https://dl.ndl.go.jp[...]
2023-06-16
[4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6
https://dl.ndl.go.jp[...]
2023-06-16
[4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 37
https://dl.ndl.go.jp[...]
2023-06-16
[4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8
https://dl.ndl.go.jp[...]
2023-06-16
[4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39
https://dl.ndl.go.jp[...]
2023-06-16
[4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0
https://dl.ndl.go.jp[...]
2023-06-16
[4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0
https://dl.ndl.go.jp[...]
2023-06-18
[4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1
https://dl.ndl.go.jp[...]
2023-05-01
[4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2
https://dl.ndl.go.jp[...]
2023-05-01
[5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3
https://dl.ndl.go.jp[...]
2023-06-16
[5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4
https://dl.ndl.go.jp[...]
2023-06-16
[5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5
https://dl.ndl.go.jp[...]
2023-06-16
[5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6
https://dl.ndl.go.jp[...]
2023-06-16
[5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7
https://dl.ndl.go.jp[...]
2023-06-16
[5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8
https://dl.ndl.go.jp[...]
2023-06-16
[5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49
https://dl.ndl.go.jp[...]
2023-06-16
[5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0
https://dl.ndl.go.jp[...]
2023-06-16
[5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1
https://dl.ndl.go.jp[...]
2023-06-16
[5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2
https://dl.ndl.go.jp[...]
2023-05-01
[6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3
https://dl.ndl.go.jp[...]
2023-06-16
[6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4
https://dl.ndl.go.jp[...]
2023-06-16
[6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5
https://dl.ndl.go.jp[...]
2023-06-16
[6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6
https://dl.ndl.go.jp[...]
2023-06-16
[6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7
https://dl.ndl.go.jp[...]
2023-06-16
[6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58
https://dl.ndl.go.jp[...]
2023-05-07
[6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59
https://dl.ndl.go.jp[...]
2023-06-16
[6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0
https://dl.ndl.go.jp[...]
2023-05-07
[6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1
https://dl.ndl.go.jp[...]
2023-06-16
[6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2 本
https://dl.ndl.go.jp[...]
2023-05-07
[7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2 末
https://dl.ndl.go.jp[...]
2023-05-07
[7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3
https://dl.ndl.go.jp[...]
2023-05-07
[7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4
https://dl.ndl.go.jp[...]
2023-05-07
[7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5
https://dl.ndl.go.jp[...]
2023-05-07
[7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6
https://dl.ndl.go.jp[...]
2023-05-07
[7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7
https://dl.ndl.go.jp[...]
2023-05-07
[7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8
https://dl.ndl.go.jp[...]
2023-05-07
[7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69
https://dl.ndl.go.jp[...]
2023-05-07
[7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0
https://dl.ndl.go.jp[...]
2023-05-07
[7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1
https://dl.ndl.go.jp[...]
2023-05-07
[8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2 末
https://dl.ndl.go.jp[...]
2023-05-07
[8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2 本
https://dl.ndl.go.jp[...]
2023-05-07
[8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3
https://dl.ndl.go.jp[...]
2023-05-07
[8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4
https://dl.ndl.go.jp[...]
2023-05-07
[8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5
https://dl.ndl.go.jp[...]
2023-05-07
[8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6
https://dl.ndl.go.jp[...]
2023-05-07
[8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7
https://dl.ndl.go.jp[...]
2023-05-07
[8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8
https://dl.ndl.go.jp[...]
2023-05-07
[8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79
https://dl.ndl.go.jp[...]
2023-05-07
[8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0
https://dl.ndl.go.jp[...]
2023-05-07
[9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1
https://dl.ndl.go.jp[...]
2023-06-16
[9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2
https://dl.ndl.go.jp[...]
2023-06-16
[9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3
https://dl.ndl.go.jp[...]
2023-05-07
[9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4
https://dl.ndl.go.jp[...]
2023-05-07
[9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5
https://dl.ndl.go.jp[...]
2023-05-07
[9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6
https://dl.ndl.go.jp[...]
2023-06-16
[9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7
https://dl.ndl.go.jp[...]
2023-06-16
[9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8
https://dl.ndl.go.jp[...]
2023-06-16
[9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89
https://dl.ndl.go.jp[...]
2023-06-16
[9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0
https://dl.ndl.go.jp[...]
2023-06-16
[10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91
https://dl.ndl.go.jp[...]
2023-06-16
[10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2 本
https://dl.ndl.go.jp[...]
2023-06-16
[10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2 本
https://dl.ndl.go.jp[...]
2023-06-16
[10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2 末
https://dl.ndl.go.jp[...]
2023-06-16
[10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93
https://dl.ndl.go.jp[...]
2023-06-16
[10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4 本
https://dl.ndl.go.jp[...]
2023-06-16
[10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第94 末
https://dl.ndl.go.jp[...]
2023-06-16
[10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5
https://dl.ndl.go.jp[...]
2023-06-16
[10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96
https://dl.ndl.go.jp[...]
2023-06-16
[10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7
https://dl.ndl.go.jp[...]
2023-06-16
[11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8
https://dl.ndl.go.jp[...]
2023-06-16
[11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99
https://dl.ndl.go.jp[...]
2023-06-16
[11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巻100
https://dl.ndl.go.jp[...]
2023-06-16
[11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101
https://dl.ndl.go.jp[...]
2023-06-16
[114]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和漢三才図会 : 巻102
https://dl.ndl.go.jp[...]
2023-06-16
[11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103
https://dl.ndl.go.jp[...]
2023-06-16
[11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104
https://dl.ndl.go.jp[...]
2023-06-16
[11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和漢三才図会 : 巻105
https://dl.ndl.go.jp[...]
2023-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