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 역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자 역할은 사회학에서 질병에 걸린 개인이 갖는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개념으로, 기능주의 사회학자 파슨스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 파슨스는 병든 사람에게 사회적 역할 면제, 상태에 대한 무책임, 회복 노력, 의료 전문가 협력의 권리와 의무를 부여했다. E. 프라이드슨은 병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조건부, 무조건적 정당성, 정당성 없는 병자 역할의 세 가지 유형을 제시했다. 파슨스의 병자 역할 개념은 비판을 받았으며, 질병을 낙인찍는 사회적 구성으로 보는 관점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사회학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 의료사회학 -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은 건강과 질병을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고, 건강 불평등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문제를 탐구하며,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식의 변천 과정을 살피는 학문이다.
병자 역할 | |
---|---|
병자 역할 (Sick role) | |
정의 | 사회학에서, 병자가 질병에 걸렸을 때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동과 기대의 집합 |
주요 개념 | 탈콧 파슨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질병이 개인적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능 장애로 간주됨 |
병자 역할의 특징 | 병자는 정상적인 사회적 의무로부터 일시적으로 면제됨 |
병자 역할의 권리 | 일상적인 사회적 책임으로부터의 면제 병의 책임으로부터의 면제 (자신의 상태에 대한 책임 없음) |
병자 역할의 의무 | 아픈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야 함 적절한 의학적 도움을 받아야 함 |
비판 |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만성 질환이나 심리적 질환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음 |
관련 용어 | 의료화 환자-의사 관계 사회적 낙인 |
참고 문헌 | Millon, Theodore, Blaney, Paul H., Davis, Roger D., Oxford Textbook of Psychopathology (1999) Parsons, Talcott, The Social System (1951) Burnham, John C., Why sociologists abandoned the sick role concept (2014) |
2. 파슨스의 병자 역할 개념
기능주의 사회학자인 파슨스는 병에 걸린다는 것은 환자가 '승인된 일탈'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병든 개인은 사회의 생산적인 구성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질병의 패턴은 종종 지속적인 고통에 의해 유발되며, 이는 환자가 나아지기 위한 긍정적인 행동을 취하고 싶어하지 않는 태도를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4][5] 따라서 이러한 일탈은 감시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의료 전문가의 역할이다. 파슨스는 사회학적으로 질병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질병을 사회의 사회적 기능을 방해하는 일탈의 한 형태로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반적으로 병에 걸린 개인은 신체적으로 아플 뿐만 아니라, 이제 병든 사람이라는 특별히 패턴화된 사회적 역할에 따른다. '병듦'은 단순히 '사실 상태'나 '상태'가 아니라, 이를 둘러싼 사회적 규범에 기초한 관습적인 권리와 의무를 내포하고 있다. 이 이론은 병든 사람의 세 가지 권리와 두 가지 의무를 제시했다.
- 권리:
- * 병든 사람은 정상적인 사회적 역할에서 면제된다.
- * 병든 사람은 자신의 상태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 의무:
- * 병든 사람은 나아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 병든 사람은 기술적으로 유능한 도움을 구하고 의료 전문가와 협력해야 한다.[6]
병자 역할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 조건부, 권리와 의무가 모두 적용됨
# 무조건적 정당성 - 의무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음 (말기 환자는 나아지기 위해 노력할 의무가 없음)
# 부당한 역할: 다른 사람들에 의해 낙인 찍히는 상태 (병든 사람은 자신의 상태에 대해 비난받으므로 권리가 적용되지 않음)[1]
3. 프라이드슨의 병자 역할 유형
병자 역할 이론은 다른 사회학자들에 의해 다듬어졌는데, 이들은 각각의 병자 역할은 질병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E. 프라이드슨'''(E. Freidson)의 이론으로, 그는 병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세 가지 병자 역할 유형을 제시하였다.
- 조건부 병자 역할: 회복 가능한 질병에 적용되며, 권리와 의무가 모두 적용된다.
- 무조건적 정당성을 갖는 병자 역할: 불치병과 같이 회복이 불가능한 질병에 적용되며, 회복 노력 의무가 면제될 수 있다.
- 정당성 없는 병자 역할: 알코올 중독처럼 사회적으로 낙인찍히는 질병에 적용되며, 병자에게 책임이 부여되고 권리가 주어지지 않는다.[1]
3. 1. 조건부 병자 역할 (Conditional Sick Role)
회복이 가능한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갖게 되는 병자 역할이다. 회복되리라 여겨지며, 병자로서의 특권은 병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진다.[4][5] 병자 역할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1]# 조건부: 권리와 의무가 모두 적용됨
# 무조건적 정당성: 의무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음 (말기 환자는 나아지기 위해 노력할 의무가 없음)
# 부당한 역할: 다른 사람들에 의해 낙인 찍히는 상태 (병든 사람은 자신의 상태에 대해 비난받으므로 권리가 적용되지 않음)
3. 2. 무조건적 정당성을 갖는 병자 역할 (Unconditionally Legitimate Sick Role)
불치병을 앓는 사람들이 갖게 되는 병자 역할이다. 이들은 회복될 수 없으며, 회복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병자로서의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탈모증과 같이 생명에 지장이 없는 불치병의 경우 완치에 대한 책임만 없을 뿐, 특권이 따르지는 않는다.[1]3. 3. 정당성 없는 병자 역할 (Illegitimate Sick Role)
타인에게 경멸받는 질병을 앓는 사람들이 갖는 역할이다. 이런 경우, 오히려 병자가 그 병을 앓게 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된다. 예를 들면, 알코올 중독과 같은 것이 있다.[1]4. 비판
파슨스와 기능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그의 주장에 결함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 모델은 개인이 자발적으로 병자 역할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지만, 개인이 병자 역할의 기대를 따르지 않거나, 사회적 의무를 포기하지 않거나, 의존을 거부하거나, 특히 질병이 낙인 찍히는 경우 공적인 병자 역할을 회피할 수 있다는 점을 무시한다. 이 모델은 또한 "권리"가 항상 적용되지 않는 환자를 비난한다.[3]
병자 역할은 1990년대에 인기를 잃었고, 대안적인 개념화는 낙인 이론의 관점에서 질병을 사회적으로 열등하다고 낙인찍기 위한 사회적 구성으로 보고, 의료 시스템과 의사를 통제 수단으로 사용했다. 버넘(Burnham)은 이러한 거부가 무의식에 대한 아이디어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거부(대신 인지 행동 치료 이론)와 질병이 경제적 상황에 의해 발생한다는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채택과 결합되었다고 주장한다.[3]
참조
[1]
서적
Oxford Textbook of Psychopath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2]
서적
The Social System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1951
[3]
간행물
Why sociologists abandoned the sick role concept
https://doi.org/10.1[...]
2014-02-01
[4]
문서
Rehabilitation of the Spine: A Patient-Centered Approac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문서
Psychological aspects of pain
[6]
서적
Health, Illness, and Medicine in Canada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Social System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1951
[8]
서적
Oxford Textbook of Psychopath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