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은 1963년부터 1992년까지 존재했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이다. 1943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해방을 위한 국가 반파시스트 평의회에서 명칭이 결정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쳐 1963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군수 산업 기지로서 전략적 중요성을 가졌으며,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는 등 문화적 관용을 보여주었다. 1990년 다당제 선거 이후 민족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1992년 독립을 선언하면서 보스니아 전쟁이 발발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행정 구역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은 1963년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하는 공화국이었으며, 1991년 사회주의 명칭이 삭제되고, 1992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합류했다.
  • 유고슬라비아의 행정 구역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 중 하나로, 자체 헌법, 정부, 의회를 갖춘 자치적인 국가였으며,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국명을 변경하였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역사 - 보스니아 왕국
    보스니아 왕국은 중세 시대 발칸 반도에서 강력한 국가였으나, 오스만 제국의 압력과 봉건 분열로 쇠퇴하여 멸망한 국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역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독립을 선언하고 보스니아 전쟁을 거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수립으로 소멸한 국가로, 전쟁 중에도 교육 유지, 우표 발행, 스포츠 성과 등의 활동을 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해방을 위해 탄생한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임시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가 페타르 2세 국왕 폐위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해체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기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기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장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장
유고슬라비아 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위치
유고슬라비아 내 유고슬라비아 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
일반 명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위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
정치 체제티토주의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국
수도사라예보
공용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역사
주요 사건ZAVNOBiH
시작일1943년 11월 25일
사건 1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날짜 11991년 11월 18일
사건 2스릅스카 공화국 형성
날짜 21992년 1월 9일
사건 31992년 보스니아 독립 국민투표
날짜 31992년 3월 1일
사건 4보스니아 전쟁 발발
날짜 41992년 4월 5일
종료 사건독립
종료일1992년 4월 6일
이전 국가
국가 1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 1Flag of Yugoslavia (1918–1941).svg
국가 2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 2Flag_of_Independent_State_of_Croatia.svg
이후 국가
국가 1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국기 1Flag of Bosnia and Herzegovina (1992–1998).svg
국가 2스릅스카 공화국
국기 2Flag of the Republika Srpska.svg
국가 3헤르체그-보스니아 공화국
국기 3Flag of the Croatian Republic of Herzeg-Bosnia.svg
국가 4서보스니아 자치주
국기 4Flag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Western Bosnia (1993–1995).svg
정부
지도자 직함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통령 평의회 의장
지도자 1보이슬라브 케츠마노비치
지도자 연도 11945–1946 (최초)
지도자 2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지도자 연도 21990–1992 (최후)
부통령 직함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각료 회의 의장
부통령 1로돌류브 촐라코비치
부통령 연도 11945–1948 (최초)
부통령 2유레 펠리반
부통령 연도 21990–1992 (최후)
입법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회
면적
면적 (km2)51,129
기타
현재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명칭 변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해방을 위한 국가 반파시스트 평의회(ZAVNOBiH)의 므르코니치 그라드 회의에서 1943년 11월 25일에 결정되었다. 1945년 4월, 이 명칭은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의 구성 단위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국''' (Federalna Država Bosna i Hercegovina|페데랄나 드르자바 보스나 이 헤르체고비나sh)으로 공식화되었다. 1945년 11월 29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으로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의 이름이 변경되었고, 두 달 뒤인 1946년 1월에 1946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이 공포되면서 구성 단위들의 이름도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공화국'''(Narodna Republika Bosna i Hercegovina|나로드나 레푸블리카 보스나 이 헤르체고비나sh)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헌법 체제는 1963년 유고슬라비아 헌법까지 지속되었다. 1963년 4월 7일, 유고슬라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재구성되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Socijalistička Republika Bosna i Hercegovina|소치얄리스티치카 레푸블리카 보스나 이 헤르체고비나sh)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92년 3월 1일 독립 이후, 국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개칭되었다. 데이턴 협정이 발효된 후, 1997년에는 단순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알려진 연방 국가가 되었다.

3. 역사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중앙에 위치했기 때문에, 전후 보스니아는 군수 산업 발전을 위한 기지로 전략적으로 선택되었다.[1] 이는 보스니아에 대량의 무기와 군 병력이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발발한 보스니아 전쟁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보스니아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대체로 평화롭고 번영을 누렸다. 1950년대 초 비교적 가난한 공화국 중 하나였지만, 풍부한 천연 자원을 활용하여 산업 발전을 촉진하며 빠르게 경제를 회복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교리인 "형제애와 단결"은 특히 관용을 강제하는 시스템으로 인해 문화적, 사회적으로 번성한 보스니아의 다양하고 다민족 사회에 적합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반에 걸친 문화적 관용의 발전은 사라예보1984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다.

3. 1. 건국과 발전 (1943년 ~ 198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해방을 위한 국가 반파시스트 평의회(ZAVNOBiH)의 므르코니치 그라드 회의에서 1943년 11월 25일에 건국되었다. 1945년 4월,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의 구성 단위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국''' (Federalna Država Bosna i Hercegovina|페데랄나 드르자바 보스나 이 헤르체고비나sh)으로 공식화되었다. 1945년 11월 29일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이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두 달 뒤인 1월에 1946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이 공포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공화국'''(''Narodna Republika Bosna i Hercegovina'' /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Босна и Херцеговина)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 헌법 체제는 1963년 유고슬라비아 헌법까지 지속되었다. 1963년 4월 7일, 유고슬라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재구성되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Socijalistička Republika Bosna i Hercegovina'' /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Република Босна и Херцеговина)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중앙에 위치했기 때문에, 전후 보스니아는 군수 산업 발전을 위한 기지로 전략적으로 선택되었다.[1] 이는 보스니아에 많은 무기와 군 병력이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발발한 보스니아 전쟁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보스니아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대체로 평화롭고 번영했다. 1950년대 초 비교적 가난한 공화국 중 하나였지만, 풍부한 천연 자원을 활용하여 산업 발전을 촉진하며 빠르게 경제를 회복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교리인 "형제애와 단결"은 특히 관용을 강제하는 시스템으로 인해 문화적, 사회적으로 번성한 보스니아의 다양하고 다민족 사회에 적합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반에 걸친 문화적 관용의 발전은 사라예보1984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다.

3. 2. 티토 사후와 민족주의 갈등 (1980년 ~ 1990년)

1980년 티토가 사망한 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는 민족주의 사상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특히 세르비아 학계를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보스니아는 사회 내에서 높아지는 민족주의 혐의에 대처해야 하는 압력을 받게 되었다.[2]

보스니아 정치 지도부가 취한 가장 논란이 많은 사건 중 하나는 1983년의 이른바 '사라예보 프로세스'였다. 이 과정에서 세르비아 정치 지도부의 압력 아래, 보스니아 정치 엘리트는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과의 싸움에서 정치적 점수를 얻기 위해 여러 보스니아계 무슬림 민족주의자들에게 유죄 판결을 내리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3] 사라예보 프로세스는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가 "이슬람 선언"을 저술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저서는 유고슬라비아 공산 정권에서 민족주의 억압에 기반한 이전 유고슬라비아의 사회주의 이상에 대한 급진적인 접근으로 여겨졌으며, 그러한 교리를 위반하는 행위는 법으로 처벌받았다.

보스니아 정치인들은 이 관행을 사용하여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정치에 대한 반대를 재확인했다. 밀로셰비치는 1970년대에 보스니아인에게 구성 민족 지위를 부여한 헌법 개정을 되돌리려 했다.[3] 이 과정은 또한 세르비아 로비가 보스니아를 정부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들이 기소되는 "어두운 국가"이며, 보스니아 무슬림 공산주의자들이 무슬림 신자들을 기소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역효과를 낳았다.

공산주의의 몰락과 유고슬라비아의 해체가 시작되면서, 관용에 대한 오래된 공산주의 교리는 그 힘을 잃기 시작했고, 이는 사회 내 민족주의 세력이 영향력을 확산할 기회를 만들었다. 1990년 11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실시된 최초의 다당제 선거에서는 보스니아인 민주 행동당, 세르비아 민주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과 같은 세 주요 민족 정당이 승리했다. 이들은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민족적 노선에 따라 권력을 분담했다. 이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은 보스니아인이, 의회 의장은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이, 총리는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이 맡게 되었다.

3. 3. 독립과 보스니아 전쟁 (1990년 ~ 1992년)

공산주의가 몰락하고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공산주의의 관용 정책은 힘을 잃게 되었다. 이는 사회 내 민족주의 세력들이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1990년 11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최초로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세 개의 주요 민족 정당이 승리했다. 보스니아인의 민주 행동당,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의 세르비아 민주당,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이었다. 선거 후, 이들은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각 정당은 민족에 따라 권력을 나누어 가졌다. 보스니아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을,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은 의회 의장을,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은 총리를 맡았다.

1991년,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1년 10월에 주권을 선언하고, 1992년 3월에 독립을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의회에서 국민투표를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은 다수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의원들이 항의하며 의회를 떠난 후였다.

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의원들은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에게 1992년 2월 29일과 3월 1일에 열린 국민투표를 보이콧할 것을 요청했다. 국민투표 투표율은 64~67%였으며, 98%가 독립에 찬성했다. 의회는 1992년 3월 5일에 독립을 선언했다. 국민투표와 국민투표 전날 사라예보에서 발생한 결혼 행렬에서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두 명이 살해된 사건은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정치 지도부가 항의의 표시로 도로 봉쇄를 시작하는 이유로 이용되었다.[4] 이후 정치적, 사회적 상황이 악화되면서 보스니아 전쟁이 발발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은 1992년 4월 8일에 국명에서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변경했다.[5] 완전한 자본주의 경제 체제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공화국은 사회주의 현실주의 상징을 유지했다. 공화국은 분열된 정치 환경 속에서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가 이끌었다. 1992년,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4. 정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부분 연방 내에서 정치적으로 소외된 지역으로 여겨졌다.[2]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젬알 비예디치, 브란코 미쿨리치, 함디야 포제라츠와 같은 보스니아 정치인들이 등장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권을 강화하고 보호하는 데 힘썼다.[2] 이들의 노력은 1980년 티토 사후 격동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 보스니아 독립의 초기 단계로 평가받는다.[2]

1980년 티토 사망 이후, 세르비아 학계를 중심으로 민족주의 사상이 고조되면서 보스니아는 민족주의 혐의에 대처해야 했다.[3] 1983년의 사라예보 프로세스는 보스니아 정치 지도부가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과의 싸움에서 정치적 점수를 얻기 위해 여러 보스니아계 무슬림 민족주의자들에게 유죄 판결을 내린 사건이었다.[3]

사라예보 프로세스는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가 이슬람 선언을 저술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3] 이 사건은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전형적인 관행으로, 보스니아 정치인들은 이를 통해 세르비아 민족주의, 특히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정치에 반대했다.[3] 밀로셰비치는 1970년대에 보스니아인에게 구성 민족 지위를 부여한 헌법 개정을 되돌리려 했다.[3]

그러나 이 과정은 세르비아 로비가 보스니아를 "어두운 국가"로 묘사하고, 보스니아 무슬림 공산주의자들이 무슬림 신자들을 기소한다고 주장하면서 역효과를 낳았다.

4. 1. 역대 지도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의 역대 지도자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구분직함이름임기
국가 원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평의회(ZAVNOBiH) 의장보이슬라브 케츠마노비치1943년 11월 25일 ~ 1945년 4월 26일
인민 의회 간부 의장보이슬라브 케츠마노비치, 주로 푸차르, 블라도 세그르트1945년 4월 26일 ~ 1953년 3월
인민 의회 의장주로 푸차르, 라토미르 두고니치, 제말 비예디치, 함디야 포제라츠1953년 12월 ~ 1974년 5월
프레지덴시 의장라토미르 두고니치, 라이프 디즈다레비치, 브란코 미쿨리치, 밀란코 레노비차, 무니르 메시호비치, 마토 안드리치, 니콜라 필리포비치, 오브라드 필략,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1974년 5월 ~ 1992년 4월 8일
정부 수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리로돌류브 촐라코비치1945년 3월 7일 ~ 1945년 4월 27일
총리로돌류브 촐라코비치, 쥬로 푸차르1945년 4월 27일 ~ 1953년 3월
집행 평의회 의장쥬로 푸차르, 아브도 후모, 오스만 카라베고비치, 하산 브르키치, 루디 콜라크, 브랑코 미쿨리치, 드라구틴 코소바츠, 밀란코 레노비차, 세이드 마글라일리아, 고이코 우비파립, 요시프 로브레노비치, 마르코 체라니치, 유레 펠리반1953년 3월 ~ 1992년 4월 8일


4. 1. 1. 국가 원수

직함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정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평의회(ZAVNOBiH) 의장보이슬라브 케츠마노비치1943년 11월 25일1945년 4월 26일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인민 의회 간부 의장보이슬라브 케츠마노비치1945년 4월 26일1946년 11월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인민 의회 간부 의장주로 푸차르1946년 11월1948년 9월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인민 의회 간부 의장블라도 세그르트1948년 9월1953년 3월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인민 의회 의장주로 푸차르1953년 12월1963년 6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인민 의회 의장라토미르 두고니치1963년 6월1967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인민 의회 의장제말 비예디치1967년1971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인민 의회 의장함디야 포제라츠1971년1974년 5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라토미르 두고니치1974년 5월1978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라이프 디즈다레비치1978년 4월1982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브란코 미쿨리치1982년 4월1984년 4월 26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밀란코 레노비차1984년 4월 26일1985년 4월 26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무니르 메시호비치1985년 4월 26일1987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마토 안드리치1987년 4월1988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니콜라 필리포비치1988년 4월1989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오브라드 필략1989년 4월1990년 12월 20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프레지덴시 의장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1990년 12월 20일1992년 4월 8일민주행동당


4. 1. 2. 정부 수반

직함이름취임퇴임정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리로돌류브 촐라코비치1945년 3월 7일1945년 4월 27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총리로돌류브 촐라코비치1945년 4월 27일1948년 9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총리쥬로 푸차르1948년 9월1953년 3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쥬로 푸차르1953년 3월1953년 12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아브도 후모1953년 12월1956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오스만 카라베고비치1956년1963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하산 브르키치1963년1965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루디 콜라크1965년1967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브랑코 미쿨리치1967년1969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드라구틴 코소바츠1969년1974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밀란코 레노비차1974년 4월1982년 4월 28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세이드 마글라일리아1982년 4월 28일1984년 4월 28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고이코 우비파립1984년 4월 28일1986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요시프 로브레노비치1986년 4월1988년 4월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집행 평의회 의장마르코 체라니치1988년 4월1990년 12월 20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참조

[1] 논문 Historical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Bosniak Nation 2012
[2] 논문 The 'Paradox' of Tuzla City: Explaining Non-nationalist Local Politics during the Bosnian War 2011-03
[3] 논문 Sudden Nationhood: The Microdynamics of Intercommunal Relations in Bosnia-Herzegovina After World War II 2013-06
[4] 논문 Bosnia Revisited: A Retrospective on the Legacy of the Conflict. 2015-10-26
[5] 간행물 Uredba o izmjeni naziva Socijalističke Republike Bosne i Hercegovine "Službeni list Republike Bosne i Hercegovine" 1992-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